KR101995975B1 - 배전 전주용 접지판 - Google Patents

배전 전주용 접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975B1
KR101995975B1 KR1020190023043A KR20190023043A KR101995975B1 KR 101995975 B1 KR101995975 B1 KR 101995975B1 KR 1020190023043 A KR1020190023043 A KR 1020190023043A KR 20190023043 A KR20190023043 A KR 20190023043A KR 101995975 B1 KR101995975 B1 KR 101995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ing
lid
ba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2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배전 전주의 설치 현장에서 지반 조건 및 지장물의 간섭과 상관없이 접지봉을 설치하여 설치 작업성을 향상하고 전주의 둘레부에서 접지가 이루어져 전주의 저부를 지중에 견고하게 정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은, 전주(1)에 형성되며 접지선(3)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2)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0)과;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좌우 양측 중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힌지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체결구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함께 상기 접지선이 배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 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이 고정되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과; 상기 덮개의 둘레부와 저부 중 일측에서 조립되며 상기 덮개 안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접속되어 상기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전기를 지중에 접지하는 접지봉(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내부에 홀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홀에 결합되는 고정링(11), 상기 고정링의 외부쪽에 저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12), 상기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상기 전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배선홀더(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덮는 덮개 본체(21), 상기 덮개 본체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지지하는 파이프 형태의 소켓(22), 상기 소켓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소켓 안에 배선된 접지선을 눌러 고정하는 조임구(25), 상기 덮개 본체의 측벽과 바닥부에 각각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제1,2접지봉 장착홀(23,24),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마개(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은 상기 덮개의 소켓에 지지되는 접지선과 접속되며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상기 접지봉은 전주가 설치되는 지반의 여건에 따라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한편 단부가 상기 덮개 내부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옆이나 밑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상기 접지봉이 결합되지 않는 접지봉 장착홀을 폐쇄한다.

Description

배전 전주용 접지판{EARTH PLATE OF ELECTRIC SUPPLY POLES}
본 발명은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전주의 접지선을 지중으로 접지하고 이 때 지중의 접지봉을 지중 여건에 맞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흔히 콘크리트 전주를 지지물로 하는 배전선을 따라 전주 위의 주상 변압기를 통해 가정에 전달되는데, 배전선은 지중선과 가공선으로 분류되며, 지중선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는데 우수한 반면, 건설비가 가공선에 비해 10배 이상 소요되고 사고의 파급이 크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도심의 미관 등을 고려할 때 지중선이 바람직하나 이미 형성된 기존 도시에 지중선을 시공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현재 가공선에 의한 전력의 전송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전력을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일반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 등의 배전선로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배전선로에는 고전압의 흔촉 및 지락(地絡) 사고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여 이상전압을 억제하고, 뇌(雷), 써지(surge)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재해 방지를 위하여 접지를 하게 되는 젓이다.
한편, 접지란 전력 설비의 사고나 절연불량, 전원회로나 전자장치에 뇌서지(Lightning Surge) 또는 개폐서지(Switching Surge) 와 같은 과도한 이상전압이 침입 한때 취급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고 설비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 설비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정보전송의 양질화를 이룩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대지에 전기적 단자를 접속하는 것이다. 즉, 금속 또는 도전성 물체를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그의 전위를 대지와 같은 전위 또는 전위차를 최소화시키는 수단을 말한다.
배전선로의 접지공사는 전주를 매설할 수 있는 일정깊이의 구덩이를 굴착한 후, 상기 구덩이 일측으로 일정깊이와 폭을 갖는 구덩이를 하나 더 굴착하고, 상기 구덩이에 접지에 사용되는 다수의 접지봉을 햄머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시켜 매설한 다음, 상기 전주 내에서 인출되는 인출선과 상기 접지봉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구덩이에 흙과 같은 내용물을 체워 시공 및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818938호)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링형상으로 전주 하부 외주연을 감싸되 외주연 좌우측에는 상하측으로 관통되어 인하선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는 체결관이 형성되고, 외주연 사방으로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로는 삽입공을 갖는 연결관이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체결관의 관통공과 연결관의 삽입공으로 관통되는 링홈이 형성되는 접지링체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상기 접지링체의 링홈에 삽입되는 금속링체로 외주연 좌우측에는 상기 체결관의 관통공 내주연에 위치되어 인하선과 통전되는 통전관이 각각 형성되고, 외주연 사방에는 상기 연결관의 삽입공 상단에 위치되는 통전원판이 각각 형성되는 전도링체와; 도전성 시멘트와 탄소섬유 등을 혼합한 모르타르를 믹싱가공하여 제조된 원통형상으로 매립되어 전주의 하단부를 감싸고, 하단에는 수평으로 절곡연장되어 토양과의 접지면적을 증대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단면 사방에는 내측으로 긴 앵커볼트가 각각 기립고정되어 상부가 돌출되는 도전체인 접지우물통과; 일단은 상기 접지우물통 상단의 앵커볼트가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을 갖는 수평대가 형성되고, 수평대 선단에서 지주 외주연을 따라 수직연장되되 절연코팅층을 감싸이며 상단이 상기 접지링체의 연결관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전도링체의 통전원판과 접촉되어 통전되는 통전접지바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등의 종래 배전 전주의 접지판은 전주의 저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접지봉의 방향이 저부나 둘레부 중 어느 한 곳으만 설치 가능하고, 따라서, 접지봉을 설치할 곳에 지장물이 있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므로 다른 접지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결국 접지봉이 전주의 둘레부를 향하는 제품과 전주의 저부를 향하는 제품 모두를 구비하여야 한다.
등록특허 제10-08189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봉을 전주 주변 여건(지반 조건, 지장물 등)으로부터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배전 전주용 접지판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은, 전주에 형성되며 접지선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좌우 양측 중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힌지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체결구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함께 상기 접지선이 배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 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이 고정되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상기 덮개의 둘레부와 저부 중 일측에서 조립되며 상기 덮개 안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접속되어 상기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전기를 지중에 접지하는 접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내부에 홀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홀에 결합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외부쪽에 저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상기 전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접지선 배선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덮는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지지하는 파이프 형태의 소켓, 상기 덮개 본체의 측벽과 바닥부에 각각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제1,2접지봉 장착홀,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은 상기 덮개의 소켓에 지지되는 접지선과 접속되며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상기 접지봉은 전주가 설치되는 지반의 여건에 따라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한편 단부가 상기 덮개 내부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옆이나 밑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상기 접지봉이 결합되지 않는 접지봉 장착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의하면, 접지봉을 접지판의 설치 현장에서 설치 여건에 맞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을 접지봉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접지선과 접지봉을 접속함으로써 지장물이 있더라도 다른 접지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지 작업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접지판이 전주의 인출홀을 폐쇄하고 이 인출홀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전주의 오염과 접지선의 손상을 막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장치없이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전주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전주의 저부를 견고하게 지반에 정착할 수 있으므로 전주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의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의 작용 상태도로서,
도 2는 접지봉이 전주의 둘레부를 향해 설치되는 상태이고,
도 3은 접지봉이 전주의 저부를 향해 설치되는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적용된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적용된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에 2개의 접지봉이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에 적용된 보조 접지봉을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은, 전주(1)의 인출홀(2)을 통해 전주(1)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접지선(3)을 따라 흐르는 전기를 지중에 접지하는 것이며, 전주(1)의 인출홀(2)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0), 고정브래킷(10)에 결합되며 고정브래킷(10)과 함께 접지선(3)의 배선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 곳에 접지봉 장착홀이 형성되는 덮개(20), 덮개(20) 안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20) 안에서 접지선(3)과 연결되는 한편 지중 여건에 따라 접지방향을 전환하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 덮개(20)의 외부로서 지중 여건에 따라 덮개(20)의 둘레부 또는 저부에 결합되면서 어느 하나의 접지봉 장착홀에 결합되어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에 연결되는 접지봉(40), 상기 접지봉 장착홀 중에서 접지봉(40)이 장착되지 않는 접지봉 장착홀에 결합되는 마개(50)로 구성되며, 도 2는 접지봉(40)이 전주(1)의 저부를 향해 설치된 상태이고 도 3은 접지봉(40)이 전주(1)의 둘레부를 향해 설치된 형태이다.
고정브래킷(10)은 전주(1)의 인출홀(2)에 결합되는 고정링(11), 고정링(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지선(3)이 전주(1)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12), 지지부(12)에 돌출 형성되며 접지선(3)을 지지하는 배선홀더(13)로 구성된다.
고정링(11)은 인출홀(2) 안에 결합되는 접지선(3)이 배선되는 홀이 구비된 고정링 몸체(11a), 고정링 몸체(11a)의 일측 단부에 둘레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탄성 변형되면서 인출홀(2)의 외부에서 안쪽으로 삽입된 후 인출홀(2)의 안쪽 둘레부에 걸려 고정되는 링 형상의 걸림턱(11b), 고정링 몸체(11a)의 타측 단부에 둘레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전주(1)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링 형상의 지지턱(11c)으로 구성된다.
지지부(12)는 고정링(11)의 걸림턱(11b)의 저부에 판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주(1)의 외주면에 지지된다.
걸림턱(11b)과 지지부(12)의 일면으로 전주(1)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면에는 전주(1)와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패드가 덧대어질 수 있다.
배선홀더(13)는 접지선(3)이 지지부(12)에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부(12)에서 돌출 형성되고 접지선(3)의 절반을 지지하는 반원형의 홈이 구성된다.
고정브래킷(10)은 덮개(20)가 힌지 연결되도록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하나 이상의 보스(14)가 구성된다.
덮개(20)는 고정브래킷(10)에 조립되는 덮개 본체(21), 덮개 본체(21) 안에 형성되며 접지선(3)이 연결되는 소켓(22), 덮개 본체(21)의 측벽과 바닥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접지봉 장착홀(23,24)로 구성된다.
덮개 본체(21)는 평평한 판상의 지지부(12)와 결합되어 접지선(3)의 배선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방 형성되는 홈을 갖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힌지(15)를 통해 고정브래킷(10)의 보스(14)에 연결되어 고정브래킷(10)에 회전식으로 연결되고, 물론, 힌지(15)가 연결되는 곳의 반대쪽은 체결구를 통해 고정브래킷(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소켓(22)은 접지선(3)을 감싸도록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브래킷(10)과 덮개(20)가 결합되면 고정브래킷(10)의 배선홀더(13) 아래에 배치되어 접지선(3)을 지지한다.
소켓(22)은 접지선(3)이 빠지지 않도록 조임구(25)가 구성된다.
소켓(22)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조임홀이 관통 형성되고, 조임구(25)는 소켓(22)의 상기 조임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소켓(22) 안에 관통된 접지선(3)을 눌러 고정한다.
제1접지봉 장착홀(23)은 덮개 본체(21)의 측벽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접지봉 장착홀(24)은 덮개 본체(21)의 바닥부에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들(23,24)의 위치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의 회전 경로 안에 배치된다.
제1,2접지봉 장착홀(23,24)은 접지봉(40)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됨으로써 접지봉(40)이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물론, 마개(50)도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1,2접지봉 장착홀(23,24)에 나사 체결로 조립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은 블록 몸체(31), 블록 몸체(31)에 형성되며 덮개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2), 블록 몸체(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지봉 체결홈(33), 블록 몸체(31)의 둘레부에 블록 몸체(31)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접지선 고정홈(34,35)으로 구성되며, 접지봉(40)을 전주(1)의 저부로 설치하기 위한 방향 및 전주(1)의 둘레부로 설치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록 몸체(31)는 바람직하게 육면체 형태이며, 회전축(32)이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면 중 서로 다른 면에 접지봉 체결홈(33)과 제1,2접지선 고정홈(34,35)이 각각 형성된다.
접지봉 체결홈(33)은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봉(40)은 덮개 본체(21)의 제1,2접지봉 장착홀(23,24)에 체결 또는 관통되면서 단부가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의 접지봉 체결홈(33)에 고정된다.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과 접지봉(40)은 접지선(3)을 따라 흐르는 전기를 접지하기 위한 구성(도체와 부도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부도체는 콘크리트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전주용 접지판은 전주(1)의 둘레부와 저부의 지반 여건에 따라 접지봉(40)의 설치 위치를 선택하며, 즉, 전주(1)의 저부에 지장물이 있거나 암석이 있는 경우 접지봉(40)을 전주(1)의 둘레부에 설치하고 전주(1)의 둘레부에 지장물이 있는 경우 접지봉(40)을 전주(1)의 저부에 설치한다.
1. 접지봉을 전주의 둘레부에 설치(도 2 참고).
접지선(3)은 전주(1)의 내부에서 고정브래킷(10)의 고정링(11)을 통해 전주(1)의 외부로 인출된다.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은 제1접지선 고정홈(34)이 소켓(22)의 저부에 배치되고 접지봉 체결홈(33)이 제1접지봉 장착홀(23)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이다.
접지선(3)을 제1접지선 고정홈(34)에 고정하고, 접지봉(40)을 제1접지봉 장착홀(23)을 통해 접지봉 체결홈(33)에 조립한다.
제2접지봉 장착홀(24)은 마개(50)로 폐쇄된다.
따라서, 접지선(3)의 전기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 - 접지봉(40)을 통해 전주(1)의 둘레부로 접지된다.
2. 접지봉을 전주의 저부에 설치(도 3 참고).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은 제2접지선 고정홈(35)이 소켓(22)의 저부에 배치되고 접지봉 체결홈(33)이 제2접지봉 장착홀(24)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이다.
접지선(3)을 제2접지선 고정홈(35)에 고정하고, 접지봉(40)을 제2접지봉 장착홀(24)을 통해 접지봉 체결홈(33)에 조립한다.
제1접지봉 장착홀(23)은 마개(50)로 폐쇄된다.
따라서, 접지선(3)의 전기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 - 접지봉(40)을 통해 전주(1)의 저부로 접지된다.
접지봉(40)은 제1 또는 제2접지봉 장착홀(23,24)을 관통한 후 접지봉 체결홈(33)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은 접지선(3)과 접지봉(40)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접지봉 체결홈(33)은 하나만 형성되지 아니하고 2개로도 형성 가능하다. 즉,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의 일면에 접지봉 체결홈(33-1)을 더 형성하며, 이 접지봉 체결홈(33-1)에 접지봉(40-1)을 조립하고, 따라서, 둘레부와 저부를 향해 접지봉(40,40-1)이 각각 설치된다.
결국, 본 발명은 지반 여건에 따라 전주(1)의 둘레부와 저부 중 일측에만 접지봉(40)을 설치하는 것, 둘레부와 저부 모두 접지봉(40,40-1)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은 보조 접지봉(6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보조 접지봉(60)은 접지선(3)이 관통하는 소켓(22)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소켓(22)과 소켓(22)과 덮개 본체(21)를 연결하는 연결부(26) 및 덮개 본체(21)에 걸쳐 외부와 통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보조 접지봉(60)을 삽입하여 접지선(3)과 접속한다. 따라서, 보조 접지봉(60)은 접지선(3)에서부터 덮개 본체(21)의 외부로 일정 거리 돌출되는 길이이고, 접지선(3)과 정상적인 접속을 위하여 일측 단부에 뾰족한 접속침(61)이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접지봉(60)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덮개 본체(21)와 연결부(26) 및 소켓(22)에 형성된 홈 중 일측 이상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보조 접지봉(60)이 나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 본체(21)의 홈에는 보조 접지봉(60)이 사용되지 않을 때 폐쇄를 위하여 마개가 적용된다.
10 : 고정브래킷, 11 : 고정링
12 : 지지부, 13 : 배선홀더
20 : 덮개, 21 : 덮개 본체
22 : 소켓, 23,24 : 제1,2접지봉 장착홀
30 : 회전형 접지전환블록, 31 : 블록 몸체
32 : 회전축, 33 : 접지봉 체결홈
34,35 : 제1,2접지선 고정홈, 40 : 접지봉
50 : 마개, 60 : 보조 접지봉

Claims (4)

  1. 전주(1)에 형성되며 접지선(3)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홀(2)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0)과;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면서 좌우 양측 중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힌지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체결구로 고정되어 상기 고정브래킷과 함께 상기 접지선이 배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 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이 고정되는 회전형 접지전환블록(30)과;
    상기 덮개의 둘레부와 저부 중 일측에서 조립되며 상기 덮개 안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접속되어 상기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전기를 지중에 접지하는 접지봉(4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내부에 홀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홀에 결합되는 고정링(11), 상기 고정링의 외부쪽에 저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판상의 지지부(12), 상기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상기 전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배선홀더(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덮는 덮개 본체(21), 상기 덮개 본체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선을 지지하는 파이프 형태의 소켓(22), 상기 소켓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소켓 안에 배선된 접지선을 눌러 고정하는 조임구(25), 상기 덮개 본체의 측벽과 바닥부에 각각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제1,2접지봉 장착홀(23,24),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마개(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은 상기 덮개의 소켓에 지지되는 접지선과 접속되며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상기 접지봉은 전주가 설치되는 지반의 여건에 따라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한편 단부가 상기 덮개 내부에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전주의 옆이나 밑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 중 상기 접지봉이 결합되지 않는 접지봉 장착홀을 폐쇄하며,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은, 육면체의 블록 몸체(31), 상기 블록 몸체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2), 상기 블록 몸체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접지봉 체결홈(33)과 제1,2접지선 고정홈(34,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전주용 접지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접지전환블록은 상기 접지봉 체결홈(33)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접지봉 체결홈(3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2접지봉 장착홀(23,24)을 통해 2개의 접지봉(40,40-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전주용 접지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소켓의 내부에 걸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소켓 내부에서 접지선과 접속되어 지중으로 접지하는 보조 접지봉(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20190023043A 2019-02-27 2019-02-27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1995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43A KR101995975B1 (ko) 2019-02-27 2019-02-27 배전 전주용 접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43A KR101995975B1 (ko) 2019-02-27 2019-02-27 배전 전주용 접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975B1 true KR101995975B1 (ko) 2019-07-03

Family

ID=6725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043A KR101995975B1 (ko) 2019-02-27 2019-02-27 배전 전주용 접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9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97B1 (ko) 2020-07-24 2020-12-21 남부솔루션(주) 배전용 전주의 피뢰접지 구조물
KR102236030B1 (ko) * 2020-08-14 2021-04-05 세원전설 주식회사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KR102335560B1 (ko) * 2021-06-22 2021-12-07 주식회사 세명기술단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
KR102463227B1 (ko) * 2022-02-15 2022-11-07 김남균 접지선 고정이 용이한 금속 전신주
KR102472341B1 (ko) * 2021-11-12 2022-11-30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전주용 배전선 접지 구조물
KR102498490B1 (ko) * 2022-06-13 2023-02-09 정경하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2532785B1 (ko) 2023-01-31 2023-05-16 주식회사 천지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350Y1 (ko) * 1992-01-31 1994-04-13 고석조 전주용 어스카바
KR200346907Y1 (ko) * 2003-12-24 2004-04-01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전주의 내장 접지선 고정 클립
KR100818938B1 (ko) 2008-02-13 2008-04-04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주용 접지판
JP2008282733A (ja) * 2007-05-11 2008-11-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地棒操作装置
KR20100007753U (ko) * 2009-01-23 2010-08-02 박준석 전주에 접지선출입구 카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350Y1 (ko) * 1992-01-31 1994-04-13 고석조 전주용 어스카바
KR200346907Y1 (ko) * 2003-12-24 2004-04-01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전주의 내장 접지선 고정 클립
JP2008282733A (ja) * 2007-05-11 2008-11-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接地棒操作装置
KR100818938B1 (ko) 2008-02-13 2008-04-04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주용 접지판
KR20100007753U (ko) * 2009-01-23 2010-08-02 박준석 전주에 접지선출입구 카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97B1 (ko) 2020-07-24 2020-12-21 남부솔루션(주) 배전용 전주의 피뢰접지 구조물
KR102236030B1 (ko) * 2020-08-14 2021-04-05 세원전설 주식회사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KR102335560B1 (ko) * 2021-06-22 2021-12-07 주식회사 세명기술단 배전 전주용 접지 시설
KR102472341B1 (ko) * 2021-11-12 2022-11-30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전주용 배전선 접지 구조물
KR102463227B1 (ko) * 2022-02-15 2022-11-07 김남균 접지선 고정이 용이한 금속 전신주
KR102498490B1 (ko) * 2022-06-13 2023-02-09 정경하 배전 전주용 접지판
KR102532785B1 (ko) 2023-01-31 2023-05-16 주식회사 천지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75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US3187175A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US3450951A (en) Outdoor electrical meter box and service outlet for mobile homes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2085352B1 (ko) 배전 전주용 접지시설
US3760234A (en)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for utilities with meter pullbox
KR102296160B1 (ko) 배전선로가 연결된 변압기 설치용 낙뢰방지장치
US3377487A (en) Underground residential power distribution construction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US3596141A (en) Electrical meter box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CN211351259U (zh) 一种智能变电站继电保护用配电柜接地装置
US3309456A (en) Above ground terminal tap enclosure for subterranean cables
WO2009055847A1 (en) Multi-way underground link box
CN105846195A (zh) 一种电气配电箱用带有接地连接器的接线装置
US4340772A (en) Cover plates for electrical utility and other boxes as used in concealed wiring system of buildings
KR102186876B1 (ko) 침수시 누전방지장치가 부설된 이동형 전선릴
US2100824A (en) Electric cable connecter
KR0130538B1 (ko) 케이블말단을 가진 가스절연보호 스위칭장치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US3287566A (en) Housing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apparatus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KR20110079230A (ko) 가스절연개폐기의 부스바 연결장치
US4359645A (en) Electrical conversion apparatus for individual tenant me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