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469B1 -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 Google Patents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469B1
KR100934469B1 KR1020090081775A KR20090081775A KR100934469B1 KR 100934469 B1 KR100934469 B1 KR 100934469B1 KR 1020090081775 A KR1020090081775 A KR 1020090081775A KR 20090081775 A KR20090081775 A KR 20090081775A KR 100934469 B1 KR100934469 B1 KR 10093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nector
mover
tub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영
Original Assignee
오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영 filed Critical 오대영
Priority to KR102009008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을 따라 일정범위로 절개 형성된 이동홈(111)을 갖는 관 형상의 하우징(110): 이동홈(111)을 따라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구형의 연결구(121)가 하우징(110) 외면에 돌출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 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결속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이동홈(111)에 끼워진 행거(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동홈(111)에 끼워져서, 행거(120)의 이동을 완충 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6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Connector of the inputed wires}
본 발명은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송전전기는 원격으로의 송전, 또는 특정 지역에서의 소비를 위한 변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송전전기를 전송하는 송전케이블은 변전반으로 인입된다.
일반적으로, 송전케이블(200; 도 1 참조)은 지중은 물론 지상의 가공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가공 송전케이블의 경우에는 지상에 위치한 변전소의 변전반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송전케이블을 해당 변전반으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그런데, 변전반의 위치적인 특성 또는 송전케이블과 변전반 간의 탈부착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송전케이블을 직접 변전반에 연결하는 것보다 변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변전반라인(300; 도 1 참조)을 매개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국, 송전케이블과 변전반라인을 작업자가 전기적/물리적으로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변전반라인과 송전케이블의 전기적/물리적 연결을 작업자가 손쉽게 진행할 수 있고,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둘레면을 따라 일정범위로 절개 형성된 이동홈(111)을 갖는 관 형상의 하우징(110):
이동홈(111)을 따라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구형의 연결구(121)가 하우징(110) 외면에 돌출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결속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이동홈(111)에 끼워진 행거(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동홈(111)에 끼워져서, 행거(120)의 이동을 완충 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60):
을 포함하는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커넥터를 이용해 송전케이블에 포함된 인입전선을 변전반라인과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특히 커넥터와 송전케이블 간의 물리적인 결속을 견고히해서 장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외력에 의한 송전케이블의 인출방향 등이 유동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을 고정하는 행거(120)와,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및 결속관(140)과, 행거(120)를 기준으로 한 하우징(110)의 이동을 양방향으로 완충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변전반(미도시함)으로부터 인출된 변전반라인(300)과, 다수의 인입전선(210)을 내장한 송전케이블(200)을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인입전선(210)은 소켓(130)에 연결된다.
한편, 송전케이블(200)은 다수의 인입전선(210)을 내설하면서 자체 지지와 고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강심(230)을 포함한다. 강심(230)은 바람직하게는 송전케이블(200)의 중심에 배치되고, 인입전선(210)은 강심(230)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인입전선(210)의 말단에는 소켓(130)과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220)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인입전선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인입전선(210)은 전기가 흐르는 통전라인(211)과, 통전라인(211) 을 절연하는 피복(212)과, 통전라인(211)을 지지하는 지지심(213)으로 구성된다. 이때, 통전라인(211)은 송전효율과 경제성을 고려해 알루미늄이 널리 활용된다. 인입전선(210)은 공지,공용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인입전선(210)에 대한 구조와 재질 및 특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단자(220)는 인입전선(210)의 말단을 감싸 고정하는 본체(221)와, 본체(221)의 중공에 고정되면서 일단이 인출되고 타단은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음단자(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221)는 인입전선(210)의 지지심(213)을 고정하는 앵커부(221a)와, 돌출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따라 나란히 이격하게 돌출되는 차단대(221b)를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지심(213)의 둘레를 감싸는 앵커부(221a)에 볼트 또는 핀 등이 끼워져서, 지지심(213)과 앵커부(221a)가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지지심(213)과 앵커부(221a)의 체결방식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앵커부(221a)는 본체(221)와 일체로 된 것으로, 스크류 형태로 지지심(213)의 둘레를 감싸는 통전라인(211)을 관통해 배치될 것이다.
이음단자(222)는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일단이 돌출된 것으로, 통전라인(211)을 따라 흐르는 송전전기가 흐르게 될 것이다.
소켓(130)은 연결단자(220)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수용관(131)과, 수용관(131)에 내설되고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이 형성된 통전대(132)와, 이동홈(132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통전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 동자(133)와, 이동자(133)를 통전대(132)로부터 탄발하도록 지지하는 탄발체(134)와, 수용관(131)과 연결단자(220)를 연결하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진다.
수용관(131)은 고압의 전기가 흐르는 통전대(132)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질로 되고, 연결단자(220)가 접하는 일면에는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는 인입홈(131b)과,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관(135)이 감싸는 외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어서, 연결관(135)의 돌기(135a)와 맞물리도록 된다.
통전대(132)는 이음단자(222)를 매개로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인입홈(131b)에 연통하는 이동홈(132a)이 형성된다.
이동자(133)는 이동홈(13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둘레면이 이동홈(132a)의 내면과 밀착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음단자(222)의 일단면과 직접적으로 접한다. 한편, 이음단자(222)와 이동자(133)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단자(222) 및 이동자(133)의 접합면에는 굴곡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탄발체(134)는 이동자(133)를 이음단자(222) 쪽으로 탄발하는 것으로, 이동홈(132a)에 내설될 수 있다. 즉, 이음단자(222)와 이동자(133)의 접촉이 이동자(133)를 이음단자(22)로 밀어내는 탄발체(134)에 의해 항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상호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관(135)은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부를 감싸면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도 록 연결되고, 연결단자(220)의 둘레면과 결속돼 소켓(130)과 인입전선(210)이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본체(221)의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연결관(135)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시켜서, 본체(221)와 연결관(135)의 나사산 결합으로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물론, 나사산 결합을 위해서는 연결관(135)이 수용관(131)의 둘레를 공회전해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관(131)의 둘레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을 형성시키고, 연결관(135)의 내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에 이동가능하게 걸리는 돌기(135a)를 형성시켜서, 돌기(135a)가 회전식 걸림홈(131a)을 따라 이동되도록 했다.
결국,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30)과 인입전선(210)은 전기적/물리적인 견고한 결속을 이루고, 이는 소켓(130)과 인입전선(210) 간의 안정된 연결상태를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커넥터(100)의 소켓(130)은 연결단자(220)와의 결속 시, 차단대(221b)와 홈(131c) 간 결속, 이음단자(222)와 인입홈(131b) 간 결속 등과 같이 긴밀히 맞물리는 접촉면적을 넓게 해서, 소켓(130)과 연결단자(200) 간의 유동성을 최소화시켰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강심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강심(230)은 송전케이블(20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면서 커넥터(100)와의 결 속을 매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이 이용된다.
한편, 커넥터(100)에 구성된 결속관(140)은 강심(230)이 송전케이블(200)에 배치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커넥터(10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관(140)은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면에는 턱(1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턱(141)의 일면은 완만한 사면이고 타면은 결속관(140)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거나 급경사로 된 사면으로 된다.
계속해서, 결속관(140)에 삽입되는 강심(230)의 말단에는 뿔대 형상으로 강심(2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된 걸림체(213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체(213a)는 현 위치를 고수하려는 탄성재질로 되고, 걸림체(213a)와 강심(213)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는 액성 고화물질(B)을 수용한 튜브(214)가 내삽된다.
여기서 액성 고화물질(B)이란. 접착제 등과 같이 공기 중에서 액체에서 고체로 상태가 변하는 공지,공용의 합성물질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강심(230)을 결속관(140)에 삽입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심(230)의 말단에 위치한 걸림체(213a)는 결속관(140)의 내면에 돌출된 턱(141)의 일면과 접하면서 오므라들고, 이렇게 오므라드는 과정에서 상기 빈공간에 위치한 튜브(214)는 압력을 받아 터지게 된다. 이때, 강심(213)의 외면과 마주하는 걸림체(213a)의 내면에는 바늘(213b)이 돌출 형성되어서, 튜브(214)의 터짐을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튜브(214)의 터짐으로 튜브(214)에 수용된 고화물질(B)은 확산하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심(230)의 지속적인 삽입에 의해 협소해진 공간을 채운다. 이때, 충분한 삽입으로
(213a)가 턱(141)을 지나면, 걸림체(213a)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를 통해 걸림체(213a)는 턱(141)의 타면과 접하면서 강심(213)이 결속관(14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 지지한다. 물론, 상기 빈공간을 채운 고화물질(B)은 신속한 고체화를 통해 상기 공간을 견고히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유동적인 고정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별도로 분리된 송전케이블(200)과 변전반라인(300)을 일지점에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면서 송전케이블(200) 및 변전반라인(300)의 선로를 안내하는 고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송전케이블(200)의 경우, 풍력 등과 같은 외력을 받아 요동칠 수 있으므로, 송전케이블(200)을 부동하게 단단히 고정하는 것은 오히려 송전케이블(200)과 커넥터(100) 간의 결속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구형의 연결구(121)가 돌출형성된 행거(120)를 구비하고, 특정 지점에 고정된 지지대(150)와 링거(151)를 매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링거(151)는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121)가 일정 범위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피봇힌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송전케이블(200)에 장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완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넥터(100)로부터 인출된 송전케이블(200) 또는 변전반라인(300)은 지속적인 장력에 의해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된 커넥터(100)와 송전케이블(200) 및 변전반라인(300)은 시간이 지날수록 벌어지면서, 결국에는 커넥터(100)로부터 송전케이블(200) 또는 변전반라인(300)이 분리돼 단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의 행거(12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행거(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코일스프링(160)에 의해 완충지지하도록 된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케이블(200)이 장력을 받아 기울어지면, 하우징(110) 또한 행거(120)를 중심으로 송전케이블(2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력을 완화시키고, 장력이 소멸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행거(120)의 양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0)의 탄발력에 의해 원 윈치로 복귀한다.
한편, 하우징(110)은 행거(120)가 끼워지는 외면에 둘레면을 따라 이동홈(111)을 형성시켜서, 행거(120)의 이동범위를 이동홈(111)의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인입전선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강심의 연결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유동적인 고정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

  1. 둘레면을 따라 일정범위로 절개 형성된 이동홈(111)을 갖는 관 형상의 하우징(110):
    이동홈(111)을 따라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구형의 연결구(121)가 하우징(110) 외면에 돌출된 행거(120):
    전면이 개구된 이동홈(132a)을 형성한 도전성 재질의 통전대(132); 이동홈(132a)의 내면과 긴밀히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이동자(133); 이동홈(132a)에 내설되어 이동자(133)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체(134); 통전대(132)를 감싸면서 절연하고, 말단 둘레면에는 회전식 걸림홈(131a)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인입전선(210)의 통전라인(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음단자(222)가 삽입되면서 이동자(133)와 접하도록 안내하는 인입홈(131b)과, 이 인입홈(131b)을 중심으로 나란히 절개되어서 이음단자(222)의 둘레를 이격되게 감싸는 차단대(221b)가 삽입되는 홈(131c)이 각각 형성된 수용관(131); 회전식 걸림홈(1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수용관(131)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135a)를 형성하고, 수용관(131)의 말단 둘레를 감싸는 연결관(135);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다수의 소켓(130):
    말단에 뿔대 형상으로 배치된 탄성 재질의 걸림체(213a)를 구비하면서, 내측 빈공간에 고화물질(B)이 수용된 튜브(214)를 내삽한 송전케이블(200)의 강심(213)이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면에는 강심(213) 삽입시 걸림체(213a)를 가압해 튜브(214)를 터뜨려서 고화물질(B)을 확산시켜, 탄성에 의해 복원된 걸림체(213a)를 걸어 고정하는 턱(141)이 돌출 형성되어서; 하우징(110)에 내설되는 결속관(140):
    연결구(121)를 이동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링거(151)를 구비하면서 지상에 고정되는 지지대(150): 및
    이동홈(111)에 끼워진 행거(12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동홈(111)에 끼워져서, 행거(120)의 이동을 완충 지지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1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20090081775A 2009-09-01 2009-09-01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093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75A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09-01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775A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09-01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469B1 true KR100934469B1 (ko) 2009-12-30

Family

ID=416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775A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09-01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4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1161850B1 (ko) 2012-03-30 2012-07-03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송배전용 특고압 선로의 인입선 커넥터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10-09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101485148B1 (ko) * 2014-10-17 2015-01-23 (주)서전종합전기 특고압 변전설비의 인입선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908672B1 (ko) 2009-04-09 2009-07-21 오대영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63B1 (ko) 2007-08-22 2007-11-22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846136B1 (ko) 2008-04-07 2008-07-14 (유)전일기술단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0908672B1 (ko) 2009-04-09 2009-07-21 오대영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205B1 (ko) 2010-02-05 2010-07-05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70775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송전용 특고압 지중전선 접속단자
KR100970778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KR100970774B1 (ko) 2010-02-05 2010-07-16 성지파워 주식회사 지중송전선의 보호함체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10-09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101161850B1 (ko) 2012-03-30 2012-07-03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송배전용 특고압 선로의 인입선 커넥터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485148B1 (ko) * 2014-10-17 2015-01-23 (주)서전종합전기 특고압 변전설비의 인입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469B1 (ko)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2255226B1 (ko)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RU200610879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101350457A (zh) 电线接头
CN108683137B (zh) 线缆接线盒
CN108599053B (zh) 具有接线端子组件的接线盒
KR100933321B1 (ko) 변전반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CN209930689U (zh) 一种机箱压线压紧固定结构、机箱及电子设备
CN104937785A (zh) 连接器部件
KR100933327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 철탑
CN109861435A (zh) 碳刷刷架
CN209993425U (zh) 一种防线圈短路的pcb用线圈电感磁环
CN101808461A (zh) 一种电路板
CN201601094U (zh) 断路器插入式接线装置
KR100967205B1 (ko) 송전용 가공선로의 애자고정식 완철
KR100933328B1 (ko) 가공송전선 연결애자 고정용 완금
CN208923377U (zh) 抱紧式接线端子
CN101997188A (zh) 一种通信用防雷spc连接器
KR20100000941U (ko) 고압 전선용 커넥터
CN217282159U (zh) 一种高绝缘性电缆接头
CN219040895U (zh) 一种圆形电连接器用弯式护线簧插头
CN104810119A (zh) 一种绝缘子
CN220543684U (zh) 一种10kV配电带电作业导线临时支撑绝缘子
CN220732472U (zh) 一种平衡车电机线圈
CN215184573U (zh) 管道磁吸式地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