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191B1 -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191B1
KR101188191B1 KR1020120024422A KR20120024422A KR101188191B1 KR 101188191 B1 KR101188191 B1 KR 101188191B1 KR 1020120024422 A KR1020120024422 A KR 1020120024422A KR 20120024422 A KR20120024422 A KR 20120024422A KR 101188191 B1 KR101188191 B1 KR 10118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it
substation
underground cable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2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의 변전반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에 관한 것으로 변전반 커넥터와 접속하여 변전반에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변전반 접속부; 지중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여 지중케이블에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지중케이블 접속부;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 사이에 축 중심의 회동 상태로 설치되며 막대 형상의 도체이고 양쪽 끝단 부분으로 변전반 접속부와 지중케이블 접속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를 무선수신되는 해당 명령신호에 의하여 구동시키고 변전반 접속부와 지중케이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레이저 신호와 통전된 전류로 각각 검출하며 검출된 결과를 설정된 상대방 호출번호에 무선접속하여 통보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변전반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원격지로부터 간편하게 제어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긴급을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Cable connecting site of transformer station for transforming}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의 변전반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에 관한 것이다.
화력 발전소, 수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 등이 포함되는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발전된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 KV 또는 345 KV)으로 승압되며 승압된 전기는 초고압선로를 통하여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는 배전된 초고압의 전기를 특고압인 22.9 KV로 강하시켜 대용량의 수용가 근처에 위치한 2 차 변전소 또는 배전선로를 따라 일반적인 각 수용가로 송전 또는 배전한다.
초고압을 특고압으로 또는 특고압을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전하는 장치를 변전반이라 하며 변전반은 변전된 전기를 해당 경로를 통하여 각각의 배전반에 전송하고 배전반은 해당 경로를 통하여 다수의 변압기 등에 배전한다.
변전반과 지중케이블과의 접속은 연결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연결은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변전반과 지중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는 각종 유지보수 및 사고대비 등을 위하여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탈부착 또는 접속과 접속해제를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커넥터를 안착대라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변전소의 케이블 안착대로 특허등록 제10-1037722호(2011. 05. 23.)에 의한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특고압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특고압용 케이블 안착대는 고정관(110), 연결관(120), 체결관(130) 및 어댑터(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고정관(110)은 특고압 지중전선(L)의 전극체와 연결된 연결단자(C)를 내부에 수용하고, 연결관(120)은 고정관(110)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며, 체결관(130)은 연결관(120)을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한다.
어댑터(200)는 변전반(300)의 해당 전극체에 연결된 연결단자(C')를 내부에 수용한다.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체결관(130)을 어댑터(200)에 강제 압입하므로 특고압용 지중전선(L)의 연결단자(C)와 변전반(300)의 연결단자(C')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체결관(130)을 어댑터(200)에 물리적으로 직접 압입시키므로 22.9 KV의 특고압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준비를 완료한 후에 특고압이 전송되는 지중케이블과 변전반 사이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하고 긴급한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특고압을 변전하는 변전반과 특고압이 전송되는 지중케이블의 연결과 분리 또는 탈부착을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원격으로 조정하면서 긴급한 유지보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 변전반과 지중케이블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원격지에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 변전반과 특고압 전용 지중케이블의 탈부착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는 특고압을 변전하는 변전반 커넥터와 특고압을 전송하는 지중케이블 커넥터를 접속하고 분리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전반 커넥터와 접속하여 변전반에 상기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변전반 접속부; 상기 지중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여 지중케이블에 상기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지중케이블 접속부;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 사이에 축 중심의 회동 상태로 설치되며 막대 형상의 도체이고 양쪽 끝단 부분으로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무선수신되는 해당 명령신호에 의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레이저 신호와 통전된 전류로 각각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결과를 설정된 상대방 호출번호에 무선접속하여 통보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전반 접속부는 상기 변전반 커넥터에 나사산과 중심도체에 의하여 기계적과 전기적으로 동시에 접속하거나 분리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제 1 접속부의 중심도체와 일측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도체이며 타측은 원호 형상의 만곡홈이 형성된 제 1 접촉턱부 및 상기 제 1 접촉턱부의 상단부에 폭이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도체이고 상기 제 1 접촉턱부와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두께가 균일한 제 1 지지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는 상기 변전반 커넥터에 나사산과 중심도체에 의하여 기계적과 전기적으로 동시에 접속하거나 분리되는 제 2 접속부; 상기 제 2 접속부의 중심도체와 일측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도체이며 타측은 원호 형상의 만곡홈이 형성된 제 2 접촉턱부 및 상기 제 2 접촉턱부의 하단부에 폭이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도체이고 상기 제 2 접촉턱부와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두께가 균일한 제 2 지지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접촉턱부, 제 1 지지턱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일측 끝단 부분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접촉턱부, 제 2 지지턱부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끝단 부분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며 막대 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진 회전자부; 상기 회전자부의 회전중심부에 절연상태로 축결합하며 회동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축부 및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를 대응되는 양쪽 측면에 각각 절연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구동회로부를 타 측면 일부에 절연상태로 설치하며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자부를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 사이에서 회동되는 상태로 설치시킨 절연상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연결부의 회동축부와 회전축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크기로 좌회전과 우회전하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에 접속하여 좌회전하는 크기와 우회전하는 크기를 각각 지정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입력된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접속제어부;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특고압이 전송되는지를 검출하는 통전센서부; 상기 제 1 접촉턱부와 상기 제 2 접촉턱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부(1310)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신호가 송출되는 레이저 송신부; 상기 레이저 송신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송신부가 송출하는 레이저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접속제어부에 통보하는 레이저 수신부 및 상기 접속제어부와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의 호출번호와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의 확인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정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어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이동무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 변전반과 특고압 전용 지중케이블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 원격지로부터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특고압 전용 변전반과 특고압 전용 지중케이블 사이의 탈부착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므로 긴급을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특고압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가 사용되는 상태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동회로부의 기능 구성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가 접속 동작된 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가 사용되는 상태 설명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구동회로부의 기능 구성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가 접속 동작된 상태 설명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1000)는 특고압을 변전하는 변전반 커넥터(9140)와 특고압을 전송하는 지중케이블 커넥터(920) 사이에 설치된다.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1000)는 원격지에서 조정 또는 제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특고압 전기의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변전반 접속부(1100),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연결부(1300), 구동회로부(1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변전반 접속부(1100)는 변전된 22.9 KV의 특고압을 인출(출력)하거나 인입(입력)하는 변전반 커넥터(91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제 1 접속부(1110), 제 1 접촉턱부(1120), 제 1 지지턱부(1130)로 구성된다.
제 1 접속부(1110)는 원통형상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중심부분에 중심도체(1112)와 전기적인 절연상태로 결합된다.
제 1 접속부(1110)는 변전반 커넥터(910)에 나사산(1111)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접속과 분리하며 중심도체(111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과 분리하는 것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제 1 접촉턱부(1120)는 균일하지 못한 두께와 균일한 폭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과 선택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 중심도체(1112)와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 1 접촉턱부(1120)의 타측은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파여진 만곡홈(1121)이 형성되고 만곡홈(1121)으로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이 슬라이딩 접속하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지지턱부(1130)는 제 1 접촉턱부(11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균일한 두께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접촉턱부(1120)의 상단부에 폭이 일치되는 상태로 결합 설치되며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과 선택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다.
제 1 접촉턱부(1120)와 제 1 지지턱부(1130)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제 1 접촉턱부(1120)의 만곡홈(1121)이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되거나 스파크 발생으로 소손되는 등의 경우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과 사이에 간극(틈)이 형성되어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1300)의 일측 끝단 부분은 제 1 접촉턱부(1120)와 제 1 지지턱부(1130)에 동시 접촉하거나 제 1 지지턱부(113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는 22.9 KV의 특고압을 전송하는 지중케이블 커넥터(920)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제 2 접속부(1210), 제 2 접촉턱부(1220), 제 2 지지턱부(1230)로 구성된다.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는 변전반 접속부(1100)와 동일한 구성이며 대응되는 위치에 중심축을 기준의 대응되는 형상을 한다.
제 2 접속부(1210)는 원통형상을 하고 외주연에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의 중심부분에 중심도체(1212)와 전기적인 절연상태로 결합된다. 제 2 접속부(1210)는 지중케이블 커넥터(920)에 나사산(1211)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접속과 분리하며 중심도체(121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과 분리하는 것으로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과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제 2 접촉턱부(1220)는 균일하지 못한 두께와 균일한 폭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과 선택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 중심도체(1212)와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 2 접촉턱부(1220)의 타측은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파여진 만곡홈(1221)이 형성되고 만곡홈(1221)으로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이 슬라이딩 접속하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지지턱부(1230)는 제 2 접촉턱부(12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균일한 두께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접촉턱부(1220)의 상단부에 폭이 일치되는 상태로 결합 설치되며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과 선택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다. 제 2 접촉턱부(1220)와 제 2 지지턱부(1230)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일실시 예로, 변전반 접속부(1100)의 예와 동일하게, 제 2 접촉턱부(1220)의 만곡홈(1221)이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되거나 스파크 발생으로 소손되는 등의 경우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과 사이에 간극(틈)이 형성되어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1300)의 타측 끝단 부분은 제 2 접촉턱부(1220)와 제 2 지지턱부(1230)에 동시 접촉하거나 제 2 지지턱부(123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0)는 회전자부(1310), 회동축부(1320), 절연상자부(1330)로 구성된다. 연결부(1300)는 사각 막대 형상의 도체이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사이에 축 중심의 회동상태로 설치되고 양쪽 끝단 부분으로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한다.
회전자부(1310)는 4 각 막대 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접촉턱부(1120), 제 1 지지턱부(113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일측 끝단 부분을 직접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동시에 제 2 접촉턱부(1220), 제 2 지지턱부(123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끝단 부분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킨다.
회동축부(1320)는 회전자부(1310)의 회전중심부와 절연상태로 축결합하고 회전자부(131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도록 회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절연상자부(1330)는 상자 형상을 하며 내부를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형성한다. 절연상자부(1330)는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대응되는 양쪽 측면에 각각 절연상태로 설치하고 구동회로부(1400)를 타 측면 일부에 절연상태로 설치한다.
또한, 절연상자부(1330)는 차폐된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의 사이에 회전자부(1310)를 회동상태로 설치한다.
구동회로부(1400)는 연결부(1300)를 무선수신되는 해당 명령신호에 의하여 회동상태로 구동시키고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레이저 신호와 통전된 전류로 각각 검출하여 설정된 상대방 호출번호에 무선으로 통보한다. 구동회로부(1400)는 구동모터부(1410), 접속제어부(1420), 통전센서부(1430), 레이저 송신부(1440), 레이저 수신부(1450), 이동무선부(1460)로 구성된다.
구동모터부(1410)는 연결부(1300)의 회동축부(1320)와 회전축이 절연 상태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크기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한다.
접속제어부(1420)는 구동모터부(1410)에 접속하여 좌회전하는 크기와 우회전하는 크기를 각각 지정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입력된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각 기능부를 감시한다.
통전센서부(1430)는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되어 22.9 KV의 특고압이 전송되는지를 검출한다.
레이저 송신부(1440)는 제 1 접촉턱부(1120)와 제 2 접촉턱부(12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접속제어부(14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자부(1310)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신호를 송출한다.
레이저 수신부(1450)는 접속제어부(1420)에 접속하며 레이저송신부(14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레이저송신부(1440)가 송출하는 레이저 신호를 검출하여 접속제어부에 통보한다.
이동무선부(1460)는 접속제어부(1420)와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의 호출번호와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의 확인된 정보를 송신한다.
이동무선부(1460)는 지정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어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접속제어부(1420)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을 일실시 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변전반 접속부(1100)는 변전반 커넥터(910)와 접속하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는 지중케이블 커넥터(920)와 접속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가 수나사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변전반 커넥터(910)와 지중케이블 커넥터(920)의 형상에 적합하게 암나사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동무선부(1460)는 피호출된 상대방으로부터 접속 또는 분리의 명령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무선수신하고 접속제어부(1420)에 전달하면 접속제어부(1420)에 의항 분석된다.
접속제어부(1420)는 수신된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라는 명령신호로 확인되면 구동모터부(1410)를 제어하여 회전자부(1310)가 제 1 접촉턱부(1120), 제 1 지지턱부(1130)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접촉턱부(1220), 제 2 지지턱부(1230)에 접촉하도록 구동시킨다. 접속제어부(1420)는 통전센서부(1430)를 제어하여 전송되는 특고압을 검출시키는 동시에 레이저 송신부(1440)가 레이저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고 레이저 수신부(1450)는 레이저 신호를 검출(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접속제어부(1420)에 의하여 통전센서부(1430)로부터 특고압이 전송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동시에 레이저 수신부(1450)로부터 레이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구동모터부(1410)의 구동을 중지시키므로 회전자부(1310)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접속제어부(1420)가 통전센서부(1430)와 레이저 수신부(1450)로부터 각각 검출된 신호를 모두 사용하는 것은 접속에 의한 특고압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이동무선부(1460)가 분리 명령신호를 무선수신하고 접속제어부(1420)에 의하여 확인되면, 접속제어부(1420)는 구동모터부(141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므로 회동축부(132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자부(1310)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접속제어부(1420)는 통전센서부(1430)와 레이저 수신부(1450)를 동시에 감시하여, 통전센서부(1430)로부터는 특고압이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검출한 신호가 입력되고 레이저 수신부(1450)로부터는 레이저 신호를 검출(수신)한 신호가 입력할 때까지 구동모터부(141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동시킨다.
즉, 회전자부(131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하여 변전반 접속부(1100)와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특고압의 전송이 중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1100 : 변전반 접속부 1110 : 제 1 접속부
1111, 1211 : 나사산 1112, 1212 : 중심도체
1120 : 제 1 접촉턱부 1121, 1221 : 만곡홈
1130 : 제 1 지지턱부 1200 : 지중케이블 접속부
1210 : 제 2 접속부 1220 : 제 2 접촉턱부
1230 : 제 2 지지턱부 1300 : 연결부
1310 : 회전자부 1320 : 회동축부
1330 : 절연상자부 1400 : 구동회로부
1410 : 구동모터부 1420 : 접속제어부
1430 : 통전센서부 1440 : 레이저 송신부
1450 : 레이저 수신부 1460 : 이동무선부

Claims (1)

  1. 특고압을 변전하는 변전반 커넥터(910)와 특고압을 전송하는 지중케이블 커넥터(920)를 접속하고 분리하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전반 커넥터와 접속하여 변전반에 상기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변전반 접속부(1100);
    상기 지중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여 지중케이블에 상기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 사이에 축 중심의 회동 상태로 설치되며 막대 형상의 도체이고 양쪽 끝단 부분으로 상기 변전반 접속부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연결부(1300); 및
    상기 연결부(1300)를 무선수신되는 해당 명령신호에 의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레이저 신호와 통전된 전류로 각각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결과를 설정된 상대방 호출번호에 무선접속하여 통보하는 구동회로부(1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는
    상기 변전반 커넥터(910)에 나사산(1111)과 중심도체(1112)에 의하여 기계적과 전기적으로 동시에 접속하거나 분리되는 제 1 접속부(1110);
    상기 제 1 접속부(1110)의 중심도체(1112)와 일측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도체이며 타측은 원호 형상의 만곡홈(1121)이 형성된 제 1 접촉턱부(1120); 및
    상기 제 1 접촉턱부(1120)의 상단부에 폭이 일치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도체이고 상기 제 1 접촉턱부(1120)와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두께가 균일한 제 1 지지턱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는
    상기 변전반 커넥터(910)에 나사산(1211)과 중심도체(1212)에 의하여 기계적과 전기적으로 동시에 접속하거나 분리되는 제 2 접속부(1210);
    상기 제 2 접속부(1210)의 중심도체(1212)와 일측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도체이며 타측은 원호 형상의 만곡홈(1221)이 형성된 제 2 접촉턱부(1220); 및
    상기 제 2 접촉턱부(1220)의 하단부에 폭이 일치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도체이고 상기 제 2 접촉턱부(1220)와 동일한 폭을 형성하며 두께가 균일한 제 2 지지턱부(12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1300)는
    상기 제 1 접촉턱부(1120), 제 1 지지턱부(113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일측 끝단 부분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제 2 접촉턱부(1220), 제 2 지지턱부(1230)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끝단 부분을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며 막대 형상의 도체로 이루어진 회전자부(1310);
    상기 회전자부(1310)의 회전중심부에 절연상태로 축결합하며 회동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축부(1320); 및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대응되는 양쪽 측면에 각각 절연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구동회로부(1400)를 타 측면 일부에 절연상태로 설치하며 외부와 차폐된 상태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자부(1310)를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사이에서 회동되는 상태로 설치시킨 절연상자부(13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회로부(1400)는
    상기 연결부(1300)의 회동축부(1320)와 회전축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크기로 좌회전과 우회전하는 구동모터부(1410);
    상기 구동모터부(1410)에 접속하여 좌회전하는 크기와 우회전하는 크기를 각각 지정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입력된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각 기능부를 감시하는 접속제어부(1420);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특고압이 전송되는지를 검출하는 통전센서부(1430);
    상기 제 1 접촉턱부(1120)와 상기 제 2 접촉턱부(12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제어부(14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부(1310)의 위치를 검출하는 레이저 신호가 송출되는 레이저 송신부(1440);
    상기 레이저 송신부(14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송신부(1440)가 송출하는 레이저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접속제어부(1420)에 통보하는 레이저 수신부(1450); 및
    상기 접속제어부(1420)와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상대방의 호출번호와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된 상태의 확인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정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어 상기 변전반 접속부(1100)와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부(12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이동무선부(14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1020120024422A 2012-03-09 2012-03-09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10118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22A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03-09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22A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03-09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191B1 true KR101188191B1 (ko) 2012-10-09

Family

ID=4728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422A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03-09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8-09-26 주식회사 평일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45383B1 (ko)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8-09-26 주식회사 평일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45383B1 (ko) 2010-12-17 2011-06-30 (주)슈펙스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7517A1 (en) Multi-mode charging system
CN202633545U (zh) 一种弹簧压紧式接地线夹
CN103560421B (zh) 变电站便携式气动短路接地装置
US20050090144A1 (en) Universal wire harness for detectors
CN102403780A (zh) 旁路不停电作业供电设备
CN106451220A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及方法
CN202423590U (zh) 750kV高可靠性接地线装置
KR101188191B1 (ko)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CN204206179U (zh) 中压电力线通信耦合器
JP2005085568A (ja) 光電複合通信システム、その光電複合接続ケーブル、その光電複合分岐装置、および、その光電複合変換装置
JP5442675B2 (ja) 絶縁抵抗測定システム
CN206195248U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
CN103956669A (zh) 中置开关柜专用接地线
SI21482A (sl) Naprava za odkrivanje in izklop prekinjenega polizoliranega vodnika v električnih vodih srednje napetosti
KR101544186B1 (ko)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
CN203871732U (zh) 中置开关柜专用接地线
CN208316315U (zh) 一种自供能的装置
CN207165780U (zh) 一种电力系统智能灭弧接地装置
CN202818333U (zh) 一种具有电压检测功能的poe开关电源适配器
KR101722775B1 (ko) 전력공급이 용이한 분리형 예비 지상 변압기
JP2008283765A (ja) 作業用接地線検出装置、作業用接地線検出システム、及び作業用接地線
GB2363530A (en) Signal coupler
CN107171187A (zh) 10kV环网柜交流耐压绝缘隔离装置
CN102545125A (zh) 移动式架空地线直流融冰系统
JP2556803Y2 (ja) 無線式移動発電機並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