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78Y1 -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 Google Patents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78Y1
KR200441978Y1 KR2020060032355U KR20060032355U KR200441978Y1 KR 200441978 Y1 KR200441978 Y1 KR 200441978Y1 KR 2020060032355 U KR2020060032355 U KR 2020060032355U KR 20060032355 U KR20060032355 U KR 20060032355U KR 200441978 Y1 KR200441978 Y1 KR 200441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w voltage
connection device
handl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197U (ko
Inventor
허동구
주종민
최경선
안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2020060032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7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에 구축된 저압접속장치를 교체하기 위해 저압케이블을 절연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접촉고정부에 의해 확실하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에 연결되는 하부의 리드선(90), 내부에 리드선(90)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막힌 구멍(blinded hole)(26)이 하부에 형성되고 이의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케이블 수용부(21)를 상부에 갖는 대체로 원통형상의 도체접속부(20), 도체접속부(20)를 감싸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절연손잡이(60), 절연손잡이(60)와 도체접속부(20) 사이에 결합되어 절연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50), 상기 승강장치(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절연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상방 또는 하강으로 이동되어 케이블 수용부(21)에 위치되는 저압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고, 하부 외주연부에 절연손잡이(60)와 결합되도록 돌출턱(32)에 의해 걸림홈(3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접촉고정부(30), 도체접속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체접속부(20)와 외부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접속, 지중, 저압, 케이블, 도체, 무정전, 선로, 교체

Description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BYPASS CABLE FOR NO-BREAK REPLACING OF A CONNECTING DEVICE FOR LOW VOLTAGE UNDERGROUND CABLE}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교체 단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절연커버 11: 오목부
20: 도체접속부 21: 케이블 수용부
22: (도체접속부)몸체 23: 도체 헤드
24: 볼트구멍 25: 경사면
26: 오목부 27: 막힌 구멍
28: 수나사부 30: 접촉고정부
31: 걸림홈 32: 돌출턱
40: 와셔 50: 승강장치
51: (외측면) 핀결합홈 52: 암나사부
60: 절연손잡이 61: (미끄럼방지)돌기
62: (걸림핀)결합구멍 63: (내측면) 핀결합홈
64: 단턱부 70: 결합핀
71: 걸림핀 80: 압착부싱
90: 리드선 91, 92: 도체부
100: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연결용)커넥터
본 고안은 지중 배전선로상의 저압케이블을 접속하는 저압접속장치를 무정전 상태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저압접속장치 교체 시 무정전 작업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중 저압선로의 케이블에 절연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접촉고정부에 의해 확실하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나고, 사용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과 같은 도심지의 도로환경 및 미관, 공간점유를 최소화, 안전성을 위하여 전력선의 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의 지중화 지역에는 저압선로로 지중으로 포설되고 있으나, 특고압 전력선로에 비하여 관리가 소홀되어 왔고, 이러한 관리의 소홀에 의한 누전사고가 종종 발생되어 인명을 빼앗는 사고의 발생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지중 배전선로상에는 저압 케이블이 분기되는 지점에 지중 저압접속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중 케이블 저압접속장치는 지중 배전선로상에서 저압케이블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접속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중 저압접속장치는 지중에 설치됨으로 지중의 높은 습도에 의한 수분 침투로 누전의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지중 저압접속장치는 노후화는 물론 구조상 방수성능이 떨어지고, 그 수명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에 외부 절연재의 절연파괴가 발생할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요인으로 되어 반드시 방수성능이 뛰어나 저압접속장치로의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저압접속장치의 교체는 무정전 상태에서 교체가 되어야만 수용가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저압접속장치의 교체는 현재 C형 클램프로 지중 저압선로와 임시로 설치된 지상의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와 연결된 리드선(바이패스 케이블)과를 압축하여 접속하고, 새로운 저압접속장치로 교체한 후 다시 리드선의 압축부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해체하는 방식으로 장시간의 작업시간과 작업효율의 저하 및 불편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정전 상태로 지중 저압선로상의 접속장치를 교체 시공시에 간편하게 접속 및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저압선로의 케이블에 접속하는 노출된 도체 부위를 절연물 로 전체적으로 절연시킴과 아울러 상하로 승강되는 접촉고정부의 가압 조임에 의해 리드선 도체부를 압착함으로써 저압케이블과 확실히 고정하여 선로교체 작업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킨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은,
지중 저압 선로상의 접속장치를 무정전으로 교체 시공시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있어서,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에 연결되는 리드선(90);
이 리드선을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막힌 구멍(blinded hole)(26)이 하부에 형성되고 이의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케이블 수용부(21)를 상부에 갖는 원통형상의 도체접속부(20);
이 도체접속부를 감싸서 회전되도록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절연손잡이(60);
이 절연손잡이(60)와 도체접속부(20) 사이에 결합되어 절연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50);
이 승강장치의 상부에 위치되어 절연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이나 하강으로 이동되어 케이블 수용부(21)에 위치되는 케이블의 도체을 고정하거나 해제하고 하부 외주연부에 절연손잡이(60)와 결합되도록 돌출턱(32)에 의해 걸림홈(3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접촉고정부(30);
도체접속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 도체접속부와 외부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절연손잡이(60)와 절연커버(10)는 절연성능이 우수한 MC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연손잡이(60)와 승강장치(50)는 상호 결합핀(70)으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반면에 접촉고정부(30)는 회전되지 않고 승강장치(50)에 의해 상하로 승강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지중전압 무정전케이블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교체 단계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와 연결되는 리드선(90)과, 지중 저압 케이블(도체)(C)을 고정하기 위한 도체 접속부(20)와, 도체접속부(20)의 케이블(C)을 나사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절연손잡이(60)와, 이 절연손잡이(60)의 회전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승강장치(50)와, 승강장치(50)에 의해 승강되어 도체 접속부(20)에 수용된 케이블(C)을 가압하여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접촉고정부(30)로 크게 구성된다.
도시된 도 9를 더욱 참조하면, 도체 접속부(20)는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전전용 접속장치(200)와 연결되는 리드선(90)과 연결되는 한편, 교체대상의 지중 저압접속장치와 접속된 지중 저압선로의 저압케이블(C)의 피복을 벗겨 노출된 도체와 도체로 연결되어 유지되도록 승강장치(50)와 절연손잡이(60)가 결합되어 승강장치(50)와 절연손잡이(60)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접촉고정부(3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저압케이블(C)을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케이블 수용부(21)가 형성된다.
이 케이블 수용부(21)는 저압케이블(C)의 수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25)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경사면(25)에 대응하여 상부측으로 즉, 도체 헤드(23) 하부에 저압케이블(C)(도체)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저압케이블(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오목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체 접속부(20)의 하부 내측에는 리드선(90)의 일측 도체부(91)를 수용하도록 막힌 구멍(27)이 형성되고, 이 막힌 구멍(27)의 외면에는 리드선(90)의 도체부(91)를 무두볼트(72)로 확실히 고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볼트구멍(24)이 형성되고, 아울러 승강장치(50)와 나사결합되게 수나사부(28)가 형성된다.
접촉고정부(30)는 도체 접속부(20)의 하부 부분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외면에 돌출턱(32)이 하부 외주연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걸림홈(31)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이 걸림홈(31)은 접촉고정부(30)를 감싸는 절연손잡이(60)의 회전작동시에 절연손잡이(60)에 끼움결 합되는 걸림핀(71)이 걸려지는 부분으로 접촉고정부(30)가 절연손잡이(60)로부터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접촉고정부(30)의 하측에는 도체접속부(20)의 수나사부(28)와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암나사부(52)를 갖는 승강장치(50)가 위치된다.
이 승강장치(50)는 절연손잡이(60)와 고정되도록 외면 길이방향으로 외측면 핀결합홈(51)이 형성된다. 이 외측면 핀결합홈(51)에 대응하여 절연손잡이(6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측면 핀결합홈(63)이 형성된다. 절연손잡이(60)의 내측면 핀결합홈(63)은 절연손잡이(60) 상부 내측으로부터 절연손잡이(60) 내측의 단턱부(64)까지 형성된다. 이들 핀결합홈(51, 63)은 절연손잡이(60)의 회전작동시에 절연손잡이(60)와 승강장치(50)의 확실한 결합력을 위해 2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50)의 외측면 핀결합홈(51)과 절연손잡이(60) 내측의 내측면 핀결합홈(63)에 함께 끼워지는 결합핀(70)을 밀폐시키도록 승강장치(50)와 접촉고정부(30)사이에 와셔(40)가 위치된다. 이 와셔(40)는 또한 외측면 및 내측면 핀결합홈(51,63)들에 결합된 결합핀(7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승강장치(50) 상부와 접촉고정부(30) 하부의 접촉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체접촉부(20)는 도체 헤드(23)와 외부를 절연시키기 위해 절연커버(10)로 보호되어야 한다.
승강장치(50)와 접촉고정부(30)를 감싸는 절연손잡이(60)는 승강장치(50)를 내부에 위치되도록 원통형 내면에 단턱부(64)가 형성되고, 원통형 외면에는 절연손 잡이(60)의 회전시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종횡으로 돌기(6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절연손잡이(60)와 접촉고정부(30)를 걸림핀(71)으로 걸림고정하도록 핀구멍(62)이 형성된다. 핀구멍(62)은 접촉고정부(30)와의 확실한 걸림고정을 위해 걸림핀(71)이 2개 이상 그리고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선(90)의 양측은 접속장치와 지중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해 도체가 드러나도록 도체부(91, 92)를 갖고 이중 일측 도체부(92)는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200)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100)가 조립(압착방식)에 의해 조립되고, 타측 도체부(91)는 본 고안의 접속장치의 도체접속부(20)에 연결된다.
도체접속부(20)에 연결되는 리드선(90)의 일측 도체부(91)는 도체부(91)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압착부싱(80)이 결합된다. 이 압착부싱(80)은 리드선(90)의 도체부(91)와 도체접속부(20)의 양호하고 확실한 도체 연결을 위해 그리고 도체부(91)가 도체 접속부(20)에 결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두볼트(72)에 의해 부분적으로 찌그러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9와 같이,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200)에 리드선(90)의 도체부(92)에 조립된 커넥터(100)로 연결하는 한편, 교체할 지중의 저압접속장치(300)에 접속된 저압케이블(C)의 피복을 벗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절연손잡이(60)을 잡고 도체접속부(20)의 케이블 수용부(21)에 저압케이블(C)의 노출된 도체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연손잡이(60)를 회전작동시킴으로써 승강장치(50)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승강장치(50)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방의 접촉고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저압케이블(C)을 상방으로 가압함에 따라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압케이블(C)과 리드선(90)의 도체 연결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저압케이블(C)의 도체는 접촉고정부(30)의 상승에 의해 케이블 수용홈(21)의 경사면(25)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체 헤드(23)의 오목부(26)에 용이하게 안내 위치되어 결속된다.
절연손잡이(60)의 회전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승강장치(50)는 상부의 와셔(40)에 의해 접촉고정부(30)와의 회전마찰이 감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설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300)에 접속 구축된 각 저압케이블의 동일 수로 지상에 임시로 설치된 무정전용 저압접속장치와 동일 회로 연결함으로서 상기 지중의 저압선로는 지상의 무정전용 저압접소장치(200)의 경유하여 바이패스 상태로 무정전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체할 저압접속장치(300)와 접속된 저압케이블(C)과 분리한 다음, 신형의 저압접속장치를 투입하여 분리된 지중선로의 저압케이블(C)을 재접속한 다음, 다시 절연손잡이(60)를 역회전하여 접속도체부(20)를 하강하여 분리하고 벗겨진 케이블(C)의 도체는 절연튜브나 절연테이프(미도시 함)로 피복하여 절연처리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장치는 상기에서 와 같이 절연손잡이(60)를 나사식으로 작동하여 저압케이블(C)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이지만, 절연손잡이(60)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접촉고정부(30)와 승강장치(50)의 구조 등이 상기의 일실시예와 상이하므로 기타 동일한 구성요소는 간편한 설명을 위해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하였다.
절연손잡이(60A)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내측은 상측 및 하측의 2개의 단턱부(61A, 61B)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암나사부(62A)와 단턱부(63A)가 더욱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절연손잡이(60A)의 파지력을 향상시키도록 다수의 홈(63A)이 형성된다. 2개의 단턱부(61A, 61B) 중 상측 단턱부(61A)에는 접촉고정부(30A)와 와셔(40A)가 위치되고, 하측 단턱부(61B)에는 승강장치(50A)가 위치된다.
이 승강장치(50A)는 절연손잡이(60A)내에 지지되도록 중공 원통형상의 지지체(110)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체(110)는 승강장치(50A)를 지지하도록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외주연부에 절연손잡이(60A)의 암나사부(62A)와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 지지체(110)의 수나사부(111)는 절연손잡이(60A) 하부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암나사부(62A)와 나사결합된다.
절연손잡이(60A)의 상방에 위치되는 접촉고정부(30A)는 중공원통형의 하부 외주면으로 돌출된 플랜지(31A)가 형성된다.
또한 승강장치(50A)는 중공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부(5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고정부(30A)와 승강장치(50A)가 결합되는 도체접속부(20A)의 몸체(22A) 중앙에만 수나사부(28A)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8A) 하측에는 리드선(90) 의 도체부(91)와 결합되도록 막힌 구멍(27)이 형성되나 수나사부(28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이한 구조를 갖는 절연손잡이(60A)는 하부에서 상방으로 접촉고정부(30A)가 삽입되어 상측 단턱부(61A)에 위치되고 와셔(40)도 이 상측 단턱부(61A)에 그리고 접촉고정부(30A) 하측에 위치되고, 와셔(40)의 하측에는 승강장치(50A)가 하측 단턱부(61B)에 위치된 후 지지체(110)가 나사결합되어 승강장치(50A)를 가압하면 승강장치(50A)가 하측 단턱부(61B)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리드선(90)에 절연손잡이(60A)를 끼우고 리드선(90)의 도체부(91)를 도체접속부(20A)의 막힌 구멍(27)에 끼움결합시켜 도체접속부(20A)와 리드선(90)을 도체연결시킨다.
그 다음 절연손잡이(60A)를 상방으로 위치시켜 회전시키면 승강장치(50A)의 암나사부(51A)와 도체접속부(20A)의 수나사부(28A)가 나사결합되고, 승강장치(50A)의 상방이동에 따라서 접촉고정부(30A)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케이블 수용부(21)에 위치한 저압케이블(C)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기타 구성요소는 상기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도체접속부(20, 20A)에 절연손잡이(60, 60A)를 결합시키고, 이 절연손잡이(60, 60A)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50A)를 도체접속부(20A)와 나사결합시키고, 이 승강장치(50A)의 상하이동에 의해 승강되는 접촉고정부(30A)가 저압케이블(C)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교체할 지중 저압접속 장치를 간편하고 조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러한 작업이 양호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은 지중 저압접속장치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 할 때 케이블의 도체 고정 작업을 절연손잡이를 간단히 회전시켜 케이블을 고정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과 편리성,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2)

  1. 지중 저압 선로상의 접속장치를 무정전으로 교체 시공시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있어서,
    내부에 리드선(90)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막힌 구멍(blinded hole)(26)이 하부에 형성되고 이의 외부에 수나사부(28)가 형성되며 케이블 수용부(21)를 상부에 갖는 대체로 원통형상의 도체접속부(20);
    도체접속부(20)를 감싸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절연손잡이(60);
    절연손잡이(60)와 도체접속부(20) 사이에 결합되어 절연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중공 원통형상의 승강장치(50);
    승강장치(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장치(50)에 의해 상방 또는 하강으로 이동되어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중공 원통형상의 접촉고정부(30);
    도체접속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체접속부(20)와 외부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60)와 승강장치(50)는 결합핀(70)으로 결합되어 상호 고정 되도록 절연손잡이(60)의 내측에 내측면 핀결합홈(63)이 그리고 승강장치(50)의 외측에 외측면 핀결합홈(5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통형상의 접촉고정부(30)는 하부 외주연부에 절연손잡이(60)와 결합되도록 돌출턱(32)에 의해 걸림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접속부(20)의 막힌 구멍(26)에 결합되는 리드선(90)은 원통형 압착부싱(80)이 결합되고, 무두 볼트(72)에 의해 더욱 가압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접속부(20)의 수나사부(28)에는 무두 볼트(72) 체결용 볼트 구멍(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60), 승강장치(50), 및 접촉고정부(30)는 도체 접속부(20)의 몸체(22)를 감싸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접속부(20)의 케이블 수용부(21)와 절연커버(10)는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오목부(26, 1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9. 제 1항에 있어서,
    절연커버(10)와 절연손잡이(60)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10. 지중 저압 선로상의 접속장치를 무정전으로 교체 시공시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케이블에 있어서,
    내부에 리드선(90)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몸체(22) 하부에 막힌 구멍(blinded hole)(26)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만 수나사부(28A)가 형성되며, 수나사부(28)의 직경 보다 막힌 구멍(28)의 직경이 작으며, 케이블 수용부(21)를 상부에 갖는 대체로 원통형상의 도체접속부(20A);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상측 및 하측의 2개의 단턱부(61A, 61B)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 암나사부(62A)와 단턱부(63A)가 더욱 형성된 절연손잡이(60A);
    절연손잡이(60A) 내에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되고, 중공 원통형상의 내주연부에 암나사부(51A)가 형성된 승강장치(50A);
    절연손잡이(60A)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수용되고, 승강장치(50A)에 의해 상방 또는 하강으로 이동되어 케이블을 고정 또는 해제하며, 중공원통형의 하부 외주면으로 플랜지(31A)가 돌출 형성된 접촉고정부(30A);
    승강장치(50A)를 지지하도록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부에 수나사부(111)가 돌출 형성된 지지체(110);
    도체접속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도체접속부(20)와 외부를 절연시키는 절연커버(1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60A)의 회전에 의해 접촉고정부(30A)가 상하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10)와 절연손잡이(60)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2020060032355U 2006-12-22 2006-12-22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200441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55U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6-12-22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55U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6-12-22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197U KR20080002197U (ko) 2008-06-26
KR200441978Y1 true KR200441978Y1 (ko) 2008-09-26

Family

ID=4132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55U KR200441978Y1 (ko) 2006-12-22 2006-12-22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10-09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20190034785A (ko) 2017-09-25 2019-04-03 제룡산업 주식회사 바이패스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4152B (zh) * 2020-05-26 2021-11-12 福建师范大学 一种MgB2超导电缆及其制作方法和接头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191B1 (ko) 2012-03-09 2012-10-09 주식회사조은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변전 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장치
KR20190034785A (ko) 2017-09-25 2019-04-03 제룡산업 주식회사 바이패스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197U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850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KR910007668B1 (ko) 고전압용의 스크류 조립식 접속시스템
CN104919660B (zh) 电缆连接器系统
KR200441978Y1 (ko) 지중 저압접속장치의 무정전 교체용 바이패스 케이블
KR102073864B1 (ko)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US10458641B2 (en) Hot stick light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A3111064A1 (en) Pin and sleeve devices
CN103606766B (zh) 引流线夹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200454000Y1 (ko) 절연클램프
US7897275B2 (en) Electrical rechargeable battery
KR20200039179A (ko) 케이블 혼촉 방지캡
KR20190034785A (ko) 바이패스 케이블
CN213339902U (zh) 一种绝缘子导线紧固套件
KR200445694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203607567U (zh) 引流线夹
CN202564603U (zh) 一种低压空气开关取电装置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KR101052793B1 (ko) 일체형 컷아웃스위치 체결금구
CN216451121U (zh) 一种输电导线防脱紧固装置
CN219591844U (zh) 一种变电站电缆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