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94Y1 -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94Y1
KR200445694Y1 KR2020070016810U KR20070016810U KR200445694Y1 KR 200445694 Y1 KR200445694 Y1 KR 200445694Y1 KR 2020070016810 U KR2020070016810 U KR 2020070016810U KR 20070016810 U KR20070016810 U KR 20070016810U KR 200445694 Y1 KR200445694 Y1 KR 20044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interface
plug
interfa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24U (ko
Inventor
박상규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래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래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래칸
Priority to KR2020070016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9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선소 등과 같은 중공업분야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장비에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이 구비된 플러그부와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로 구성된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플러그본체의 전면에 접속아답터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아답터는 전면부쪽으로 다수개의 축단자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관통 삽입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는 인터페이스봉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에는 인터페이스봉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형성된 일측 끝단부분에는 접속아답터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인터페이스봉안착홈에 삽입된 인터페이스봉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잠금체결되도록 하는 잠금조절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는 소켓본체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관형상의 관단자가 다수개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가 각각 관단자의 내측에 부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플러그부의 인터페이스봉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삽입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접속장치, 플러그부, 소켓부, 접속아답터, 인터페이스봉, 잠금조절구, 전원연결케이블

Description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An industrial cable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조선소 등과 같은 중공업분야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장비에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이 구비된 플러그부와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에 플러그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장착되어 외부전원이 플러그부를 통해 해당 장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플러그본체의 전면에 접속아답터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아답터는 전면부쪽으로 다수개의 축단자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관통 삽입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사용되는 외부전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봉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에는 인터페이스봉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형성된 일측끝단부분에는 접속아답터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인터페이스봉안착홈에 삽입된 인터페이스봉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잠금체결되도록 하는 잠금조절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는 소켓본체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관형상의 관단 자가 다수개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가 각각 관단자의 내측에 부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플러그부의 인터페이스봉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삽입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등과 같은 중공업분야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비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야 하며 상기 전원연결케이블과 각종 장비의 접속시 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 접속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케이블 접속장치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소켓부와 일측에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이 구비된 플러그부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에 플러그부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장착되어 외부 전원이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을 거쳐 해당 장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165191호의 "대전류용 케이블 접속구"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366482호의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에서는 플러그부와 소켓부의 접촉이 강화되면서도 접속이 용이하도록 하고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여 감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접속장치들은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에 연결장착되는 해당 장비가 220V용 장비에서 440V용 장비로 교체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부에 구비된 접속아답터를 이와 함께 알맞는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가 외부전원을 구분하지 못하고 실수로 220V용 장비와 연결된 플러그부를 고전압인 440V와 연결된 소켓부에 연결하게 되면 과전압의 공급으로 장비가 단락되거나 소손(燒損)되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연결케이블이 삽입 연결되는 부분은 고무패킹과 고정캡에 의해 빗물이나 습기 등이 플러그부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나 고정캡을 완전히 조여도 전원연결케이블이 고무패킹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누전의 우려가 있고, 상기 플러그부의 축단자 및 소켓부의 관단자에 각각 연결된 전원연결케이블 및 외부전원케이블의 각 전선이 러그(lug)작업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장비의 사용시 전원연결케이블 및 외부전원케이블이 갑자기 잡아당겨질 경우 러그작업된 부분이 축단자 및 관단자로부터 쉽게 빠져나오면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켓부의 경우 하부 전후좌우에 각각 외부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전원케이블은 이 중 한군데로만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나머지 개구부를 통해 각종 이물질 및 빗물이나 습기가 인입되어 누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부에 220V용 장비 또는 440V용 장비에 모두 사용 가능하면서 사용전압의 구분이 용이한 접속어답터가 구비되어 있어 장비의 교체시 플러그부에 구비된 접속아답터를 교체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접속어답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봉을 수직, 수평전환하여 220V 또는 440V에 모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봉의 수직전환시에는 220V용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수평전환시에는 440V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사용전압의 구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으로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연결케이블이 완전히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부분을 통해 빗물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플러그부의 축단자와 소켓부의 관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전원연결케이블 및 외부전원케이블의 각 전선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소켓부에 외부전원케이블이 용이하게 연결되면서도 이물질이나 빗물 등에 의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이 구비된 플러그부와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에 플러그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장착되어 외부전원이 플 러그부를 통해 해당 장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플러그본체의 전면에 접속아답터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아답터는 전면부쪽으로 다수개의 축단자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관통삽입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사용되는 외부전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봉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에는 인터페이스봉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안착홈이 형성된 일측끝단부분에는 접속아답터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인터페이스봉안착홈에 삽입된 인터페이스봉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잠금체결되도록 하는 잠금조절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는 소켓본체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관형상의 관단자가 다수개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가 각각 관단자의 내측에 부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플러그부의 인터페이스봉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삽입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부에 220V용 장비 또는 440V용 장비에 모두 사용 가능한 접속어답터가 구비되어 있어 장비의 교체시 플러그부에 구비된 접속아답터를 교체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접속어답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봉을 수직, 수평전환하여 220V 또는 440V에 모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봉의 수직전환시에는 220V용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수평전환시에는 440V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사용전압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연결케이블이 완전히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결합부분을 통해 빗물 등이 누수되지 않아 누전 등의 위험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부의 축단자와 소켓부의 관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전원연결케이블 및 외부전원케이블의 각 전선이 러그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원연결케이블 및 외부전원케이블이 갑자기 잡아당겨질 경우에도 축단자와 관단자로부터 각 전선이 분리 이탈되지 않고, 상기 소켓부에 외부전원케이블이 용이하게 연결되면서도 이물질이나 빗물 등에 의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선소 등과 같은 중공업분야 및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장비에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3)이 구비된 플러그부(2)와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2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22)에 플러그부(2)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2)의 전원연결케이블(3)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장착되어 외 부전원이 플러그부(2)를 통해 해당 장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부(2)는 도 1 내지 5,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2)로부터의 외부전원을 전원연결케이블(3)을 통해 해당 장비로 공급하는 부분으로, 원통형으로 된 플러그본체(4)의 전면에 짧은 원통형으로 된 접속아답터(5)가 통상의 고정볼트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아답터(5)는 전면부쪽으로 다수개의 축단자(6)의 선단부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관통 삽입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사용되는 외부전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봉(7)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5)에는 인터페이스봉(7)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이 형성된 일측끝단부분에는 접속아답터(5)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면서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에 삽입된 인터페이스봉(7)의 일측끝단을 잠금체결하는 잠금조절구(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봉(7)은 도 1,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끝단에 고정핀(9)이 관통삽입된 상태로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의 타측끝단에 위치한 접속아답터(5)의 가운데부분 내측에 삽입 개재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9)을 축으로 인터페이스봉(7)이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에는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6)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부(2)가 220V용 장비와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7)이 수평으로 눕혀진 경우에는 플러그부(2)가 440V용 장비와 연결되어 사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 수평으로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연결되는 장비의 사용전압에 따라 용이하게 해당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22)에 플러그부(2)를 구분하여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잠금조절구(10)는 그 단면이 "ㄷ"자형상으로 절곡된 상태로 접속아답터(5)의 외주면과 동일한 호형상으로 라운드져 있어 접속아답터(5)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5)의 일측 전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弧)형상의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1)의 내측에는 잠금조절구(10)의 전면판(35) 끝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이탈방지턱(34)이 삽입 개재(介在)되어 있어 상기 잠금조절구(1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접속아답터(5)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조절구(10)의 전면판(35) 가운데부분 타측에는 반원형의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조절구(10)의 위치조절에 따라 수용홈(12)이 접속아답터(5)의 인터페이스봉안착홈(8) 일측끝단에 일치되게 위치될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봉(7)의 일측끝단이 수용홈(12)을 통해 수직,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속아답터(5)는 외주면에 수직으로 가이드판(13)이 둘러싸고 있어 상기 플러그부(2)와 소켓부(22)가 결합시 결합부분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판(13)은 잠금조절구(10)가 위치된 일측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잠금조절구(10)가 일정간격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접속아답터(5)의 잠금조절구(10)가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는 양측 외주면에는 지시선과 함께 "220V" 또는 "440V"의 문자를 각각 표기하여 육안으로 구분가능하도록 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조절구(10)의 수용홈(12)이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의 일측끝단에 일치되게 위치되어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잠금조절구(10)의 한쪽 끝단과 일치되는 부분의 접속아접터(5) 외주면에는 붉은색의 지시선과 "220V"라는 문자를 함께 표기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봉(7)도 붉은색으로 색칠하여 사용자가 220V용으로 사용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조절구(10)가 반대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인터페이스봉(7)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상기 잠금조절구(10)의 다른 한쪽 끝단과 일치되는 부분의 접속아접터(5) 외주면에는 다른 색상의 지시선과 "440V"라는 문자를 함께 표기하여 사용자가 440V용으로 사용됨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본체(4)는 타측면에 연결구(14)가 일체로 연통설치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후면덮개판(1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구(14)의 내측을 통해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3)이 플러그본체(4)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덮개판(15)을 개방한 상태에서 플러그부(2)의 후면쪽을 통해 도 5 및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케이블(3)의 각 전선을 플러그본체(4)의 내측에 위치된 다수개의 축단자(6)의 종단부에 각각 연결장착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6)는 종단부 일측에 축단자관통홀(16a)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축단자관통홀(16a)을 통해 전원연결케이블(3)의 각 전선 끝단의 피복을 벗긴 상태로 내측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단자(6)의 종단부 끝단에 천공된 축단자암나사공(17a)을 통해 축단자고정볼트(18a)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축단자관통홀(16a)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끝단을 축단자고정볼트(18a)로 조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본체(4)의 연결구(14)는 끝단 내측에 고무패킹(19)이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고정캡(20)이 나사체결되어 상기 전원연결케이블(3)이 고정캡(20)과 고무패킹(19)의 내측을 관통하여 연결구(14)를 통해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수밀(水密)하게 결합 장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고무패킹(19)은 링형상으로 고정캡(20)쪽에 맞닿는 타측에 다수개의 조임편(21)이 테이퍼지게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고무패킹(19)의 내측에 전원연결케이블(3)이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이 연결구(14)의 끝단에 나사체결되면서 다수개의 조임편(21)이 점점 조여져 전원연결케이블(3)과 고무패킹(19) 사이가 더욱 수밀(水密)하게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22)는 도 1, 2, 6,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0V 또는 440V의 외 부전원이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끼움 결합되는 플러그부(2)에 해당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원통형으로 된 소켓본체(23)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관형상의 관단자(24)가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부(2)의 다수개의 축단자(6)가 각각 관단자(24)의 선단부 내측에 부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켓본체(23)의 가운데부분에는 인터페이스봉삽입공(2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소켓부(22)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이 220V일 경우에는 플러그부(2)의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인터페이스봉삽입공(25)에 삽입되어 플러그부(2)에 전원연결케이블(3)로 연결된 해당 장비에 220V의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켓부(22)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이 440V일 경우에는 소켓본체(23)의 가운데부분에 인터페이스봉삽입공(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플러그부(2)의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끼움 체결되지 않고 접속아답터(5)의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에 인터페이스봉(7)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22)와 플러그부(2)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소켓부(22)의 형상을 보고 용이하게 사용전압을 구분하여 플러그부(2)에 전원연결케이블(3)로 연결된 해당 장비에 440V의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본체(23)는 외주면 일측에 탄성스프링(26)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힌지식으로 작동되면서 소켓본체(23)의 상면부를 개폐하는 상부뚜껑(27)이 구 비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부(2)와 소켓부(22)가 결합될 경우에는 상부뚜껑(27)을 들어올려 소켓본체(23)의 상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각 관단자(24)의 내측에 플러그부(2)의 각 축단자(6)가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부(2)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뚜껑(27)이 닫혀져 상기 각 관단자(24)의 내측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뚜껑(27)은 접속아답터(5)에서 가이드판(1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플러그부(2)와 소켓부(22)의 끼움 결합시 접속아답터(5)의 가이드판(1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소켓본체(23)의 상부뚜껑(27)이 형성된 부분이 끼움결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본체(23)는 하부에 하부베이스몸체(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는 단면이 사각형형상으로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모서리부분에 다수개의 체결공(29)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의 고정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지면이나 벽면 등에 소켓부(22)를 고정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의 전후좌우에는 각각 절취용인입구(3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각 절취용인입구(30)는 절취선(31)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절취선(31)을 따라 절취용인입구(30)를 절취하게 되면 하부베이스몸체(28)의 내측으로 외부전원케이블(32)이 인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는 전후좌우측 절취용인입구(30)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절취용인입구(30)만 절취하여 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를 통해 통상의 외부전원케이블(32)을 인입하여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다른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의 절취용인입구(30)에 의해 형성된 입구를 통해 220V 또는 440V의 외부전원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케이블(32)이 하부베이스몸체(28)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의 개방된 저면부를 통해 도 6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을 다수개의 관단자(24)의 종단부에 각각 연결장착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다수개의 관단자(24)는 종단부 끝단에 관단자관통홀(16b)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관단자관통홀(16b)을 통해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 끝단의 피복을 벗긴 상태로 내측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단자(24)의 종단부 일측에 천공된 관단자암나사공(17b)을 통해 관단자고정볼트(18b)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관단자관통홀(16b)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끝단을 관단자고정볼트(18b)로 조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저면부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패여진 전선포설홈(33)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이 상기 전선포설홈(33)을 통해 용이하게 포설되며 상기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설치면적이 감소되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플러그부와 소켓부가 끼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플러그부와 소켓부가 끼움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서 플러그부의 인터페이스봉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전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서 플러그부의 인터페이스봉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의 전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서 플러그부의 후면부쪽을 절개한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의 소켓부의 저면부를 도시한 단면개략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서 축단자의 단면개략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서 관단자의 단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2. 플러그부
3. 전원연결케이블 4. 플러그본체
5. 접속아답터 6. 축단자
7. 인터페이스봉 8. 인터페이스봉안착홈
9. 고정핀 10. 잠금조절구
11. 가이드홈 12. 수용홈
13. 가이드판 14. 연결구
15. 후면덮개판
16a. 축단자관통홀 16b. 관단자관통홀
17a. 축단자암나사공 17b. 관단자암나사공
18a. 축단자고정볼트 18b. 관단자고정볼트
삭제
19. 고무패킹 20. 고정캡
21. 조임편 22. 소켓부
23. 소켓본체 24. 관단자
25. 인터페이스봉삽입공 26. 탄성스프링
27. 상부뚜껑 28. 하부베이스몸체
29. 체결공 30. 절취용인입구
31. 절취선 32. 외부전원케이블
33. 전선포설홈 34. 이탈방지턱
35. 전면판

Claims (5)

  1.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이 구비된 플러그부와 외부전원이 연결된 소켓부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소켓부에 플러그부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전원연결케이블에는 해당 장비가 연결장착되어 외부전원이 플러그부를 통해 해당 장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는 플러그본체(4)의 전면에 접속아답터(5)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아답터(5)는 전면부쪽으로 다수개의 축단자(6)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관통 삽입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사용되는 외부전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봉(7)이 장착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5)에는 인터페이스봉(7)이 수평으로 눕혀질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이 형성된 일측끝단부분에는 접속아답터(5)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에 삽입된 인터페이스봉(7)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잠금체결되도록 하는 잠금조절구(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부(22)는 소켓본체(23)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관형상의 관단자(24)가 다수개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6)가 각각 관단자(24)의 내측에 부합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플러그부(2)의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삽입되는 인터페이스봉삽입공(2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봉(7)은 타측끝단에 고정핀(9)이 관통삽입된 상태로 인터페이스봉안착홈(8)의 타측끝단에 위치한 접속아답터(5)의 가운데부분 내측에 삽입 개재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9)을 축으로 인터페이스봉(7)이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봉(7)이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에는 상기 다수개의 축단자(6)보다 더 길게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조절구(10)는 그 단면이 "ㄷ"자형상으로 절곡된 상태로 접속아답터(5)의 외주면과 동일한 호형상으로 라운드져 있어 접속아답터(5)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접속아답터(5)의 일측 전면부에는 호형상의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11)의 내측에는 잠금조절구(10)의 전면판(35) 끝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된 이탈방지턱(34)이 삽입 개재되어 있어 상기 잠금조절구(10)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조절구(10)의 전면판(35) 가운데부분 타측에는 반원형의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조절구(10)의 위치조절에 따라 수용홈(12)이 접속아답터(5)의 인터페이스봉안착홈(8) 일측끝단에 일치되게 위치될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봉(7)의 일측끝단이 수용홈(12)을 통해 수직, 수평으로 방향전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본체(4)는 타측면에 연결구(14)가 일체로 연통 설치되어 있고 후면부에는 후면덮개판(15)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구(14)의 내측을 통해 통상의 전원연결케이블(3)이 플러그본체(4)의 내측으로 장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플러그본체(4)의 연결구(14)는 끝단 내측에 고무패킹(19)이 삽입된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고정캡(20)이 나사체결되어 상기 전원연결케이블(3)이 고정캡(20)과 고무패킹(19)의 내측을 관통하여 연결구(14)를 통해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수밀하게 결합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패킹(19)은 링형상으로 고정캡(20)쪽에 맞닿는 타측에 다수개의 조임편(21)이 테이퍼지게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고무패킹(19)의 내측에 전원연결케이블(3)이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이 연결구(14)의 끝단에 나사체결되면서 다수개의 조임편(21)이 점점 조여져 전원연결케이블(3)과 고무패킹(19) 사이가 더욱 수밀하게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23)는 하부에 하부베이스몸체(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는 단면이 사각형형상으로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전후좌우에는 각각 절취용인입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절취용인입구(30)는 절취선(31)을 따라 절취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절취선(31)을 따라 절취용인입구(30)를 절취하게 되면 하부베이스몸체(28)의 내측으로 외부전원케이블(32)이 인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베이스몸체(28)의 개방된 저면부의 내측면에는 안쪽으로 패여진 전선포설홈(33)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이 전선포설홈(33)을 통해 포설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2)의 다수개의 축단자(6)는 종단부 일측에 축단자관통홀(16a)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축단자관통홀(16a)을 통해 전원연결케이블(3)의 각 전선 끝단의 피복을 벗긴 상태로 내측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단자(6)의 종단부 끝단에 천공된 축단자암나사공(17a)을 통해 축단자고정볼트(18a)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축단자관통홀(16a)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끝단을 축단자고정볼트(18a)로 조임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켓부(22)의 다수개의 관단자(24)는 종단부 끝단에 관단자관통홀(16b)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관단자관통홀(16b)을 통해 외부전원케이블(32)의 각 전선 끝단의 피복을 벗긴 상태로 내측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단자(24)의 종단부 일측에 천공된 관단자암나사공(17b)을 통해 관단자고정볼트(18b)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관단자관통홀(16b)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끝단을 관단자고정볼트(18b)로 조임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20070016810U 2007-10-17 2007-10-17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044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10U KR200445694Y1 (ko) 2007-10-17 2007-10-17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10U KR200445694Y1 (ko) 2007-10-17 2007-10-17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24U KR20090003724U (ko) 2009-04-22
KR200445694Y1 true KR200445694Y1 (ko) 2009-08-26

Family

ID=4128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10U KR200445694Y1 (ko) 2007-10-17 2007-10-17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40B1 (ko) 2013-09-2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핀 홀 변경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밀커넥터
KR102409709B1 (ko) 2021-11-30 2022-06-16 박정민 케이블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4B1 (ko) * 2018-10-22 2020-09-21 주식회사 지아이엘 디귿자형 몸체를 갖는 플러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91Y1 (ko) 1999-07-21 2000-02-15 이승용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200183920Y1 (ko) 1999-11-27 2000-06-01 한덕물산주식회사 전기접속용 터미널
KR200366482Y1 (ko) 2004-07-24 2004-11-10 이수황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KR200425649Y1 (ko) 2006-05-26 2006-09-19 이종하 대전류용 케이블 접속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191Y1 (ko) 1999-07-21 2000-02-15 이승용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200183920Y1 (ko) 1999-11-27 2000-06-01 한덕물산주식회사 전기접속용 터미널
KR200366482Y1 (ko) 2004-07-24 2004-11-10 이수황 산업용 케이블 접속구
KR200425649Y1 (ko) 2006-05-26 2006-09-19 이종하 대전류용 케이블 접속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40B1 (ko) 2013-09-2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핀 홀 변경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밀커넥터
KR102409709B1 (ko) 2021-11-30 2022-06-16 박정민 케이블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24U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5425C (en) Closure cap with gasket for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RU23013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екцией щитовой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крепи
US6036536A (en) Different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al outlet
KR200445694Y1 (ko) 산업용 케이블 접속장치
KR200422905Y1 (ko)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EP1714363B1 (de) Elektro-installationseinheit
KR100689983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N210668175U (zh) 一种开关柜断电装置
KR200454000Y1 (ko) 절연클램프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102013257B1 (ko) 분전반용 콘센트
CN115513689A (zh) 一种锁线防护罩
KR200165190Y1 (ko) 산업용콘넥트
CN219351039U (zh) 一种配电箱
KR20060006750A (ko) 매립형 콘센트에 장착하는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KR200300594Y1 (ko) 배선용 차단기와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
US20230056858A1 (en) Power assembly
CN219040368U (zh) 开关电器的壳体结构
KR200165191Y1 (ko) 고(高)암페어용케이블접속구
KR102365262B1 (ko)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CN216488588U (zh) 连接装置
CN215343075U (zh) 一种锁线防护罩
KR200241504Y1 (ko) 이동식 전선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