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62B1 -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262B1
KR102365262B1 KR1020210109935A KR20210109935A KR102365262B1 KR 102365262 B1 KR102365262 B1 KR 102365262B1 KR 1020210109935 A KR1020210109935 A KR 1020210109935A KR 20210109935 A KR20210109935 A KR 20210109935A KR 102365262 B1 KR102365262 B1 KR 10236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cap
safety cap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야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야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야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21010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플러그에 의해 공급된 동작전원을 부하에 공급 또는 분기되도록 하는 콘센트;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결선되어 플러그로부터 콘센트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용케이블;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의 케이블연결구 내주면에 삽입 구성되어 전원용케이블을 따라 콘센트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폐캡; 밀폐캡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의 케이블연결구 외주면에 체결 구성되어 밀폐캡이 케이블연결구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캡; 체결캡을 통해 케이블연결구 외주면에 끼움 구성되어 콘센트가 해당 장소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거치용고리; 및 콘센트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우성을 제공하는 방우용 커버를 포함하는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Rain proofable type concent structure}
본 발명은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가 방우용 커버의 내부 공간에 수용 및 커버되어 야외에서 콘센트의 사용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콘센트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는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옥내,외 전기배선과 코드(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것으로, 정격전압은 통상 100V/220V이고 정격전류는 10~50A이며, 주로 벽면에 내설되는 매입형과 바닥에 설치하는 노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끼워넣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플러그삽입공은 항상 외부로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어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투 우려가 있으므로, 우천에 영향을 받는 옥외 또는 물의 사용이 빈번한 실내 등에 콘센트가 설치될 경우에는 누전사고 및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물이 비산될 가능성이 높은 욕실 등과 같은 실내에 사용되는 콘센트 뿐만 아니라 건축현장과 같이 비나 작업용수 등에 노출될 수 가능성이 높은 실외에서 사용되는 콘센트의 경우에는 빗물이나 작업용수와 같은 물기가 내부로 쉽게 침투되어 누전 및 감전에 따른 인명사고가 끊임없이 초래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실용신안 공개 20-미도시8-0002503 등에는, 물기(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방우형 콘센트에 있어서, 옥내,외에 매설된 전기배선이 연결 결합됨으로 플러그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는 콘센트본체가 후방에 결합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일면을 차단하여 완전히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유닛과, 상기 콘센트본체 및 차단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가 개시된바 있다.
또한, 특허 공개 10-2018-0025076 등에는, 콘센트의 전선이 고정되는 콘센트고정부와, 콘센트고정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콘센트를 포위하는 상태로 보호하는 콘센트보호부를 포함하며, 콘센트고정부는 콘센트의 전선이 관통되어서 고정되도록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콘센트보호부는 콘센트고정부의 단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콘센트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스커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가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등실용신안 20-0467873 등에는, 램프의 헤드 상단부에 구성된 베이스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이 수용되며 소켓이 수용된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공을 통하여 소켓에 전달된 램프 베이스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는 소켓커버와, 상기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을 커버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방열공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우용 스커트와, 상기 소켓커버의 상단 외측에 방우용 스커트와 소켓커버의 체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체결되거나 체결부위까지 체결되고 외부전선의 단부가 밀폐된 상태로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소켓에 결속되는 절연캡과, 상기 소켓커버의 하단에 램프를 수용하도록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램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방우형 콘센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우형 콘센트는, 방우형 커버 또는 스커트에 전선을 포함하는 콘센트가 일체로 제조되어야 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의 차단을 위해 별도의 패킹재 등이 요구되므로 제조공정이 더욱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가 방우용 커버에 수용 및 커버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콘센트에 구성된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가 미사용되는 경우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방우성과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플러그에 의해 공급된 동작전원을 부하에 공급 또는 분기되도록 하는 콘센트; 플러그와 콘센트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결선되어 플러그로부터 콘센트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용케이블;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의 케이블연결구 내주면에 삽입 구성되어 전원용케이블을 따라 콘센트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폐캡; 밀폐캡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의 케이블연결구 외주면에 체결 구성되어 밀폐캡이 케이블연결구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캡; 체결캡을 통해 케이블연결구 외주면에 끼움 구성되어 콘센트가 해당 장소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거치용고리; 및 콘센트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우성을 제공하는 방우용 커버를 포함하는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콘센트는, 일단에 전원용케이블의 타단이 삽입 및 결선되기 위한 케이블연결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용케이블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이 부하에 분기되도록 하는 전원분기부재가 내장 구성되는 콘센트바디; 콘센트바디의 상면에 복수개가 구성되고 부하용플러그가 삽입 체결되며 케이블연결구를 통해 삽입된 전원용케이블에 연결된 전원분기부재로부터 동작전원이 부하용플러그로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가 구성되는 콘센트바디의 일측에 단차 구성되는 안전캡회동부; 및 안전캡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플러그체결구에 부하용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플러그체결구를 커버하면서 차폐시키는 안전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캡회동부는, 플러그체결구의 일측에 구성되는 단차면에 플러그체결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캡설치벽; 복수개의 캡설치벽을 관통 위치되고 안전캡의 힌지가 회동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회동용바; 회동용바와 안전캡의 힌지 사이에 구성되고 탄성력을 제공하고 안전캡의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안전캡이 항상 플러그체결구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 및 안전캡의 힌지가 구성되는 캡설치벽 사이의 하단부 단차면에 돌출 형성되고 안전캡의 힌지에 돌출 구성된 고정턱이 강제로 걸림되도록 하여 안전캡의 회동 상태가 탄성스프링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회동고정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우용 커버)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및 절연성 재질을 가지고, 케이블연결구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의 하부가 커버되는 하부커버부; 케이블연결구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의 상부가 커버되는 상부커버부; 하부커버부와 상부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커버부와 상부커버부가 각각 콘센트바디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시 케이블연결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커버플랜지; 하부커버부의 우측과 상부커버부의 우측을 상호간 연결하여 하부커버부와 상부커버부가 상호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연결편; 연결편에 대향되도록 하부커버부의 좌측과 상부커버부의 좌측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어 하부커버부와 상부커버부가 각각 콘센트바디의 하부와 상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 결합시 콘센트바디가 완전히 커버된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암수결합수단; 및 상부커버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커버부에 콘센트바디의 상부가 커버되는 경우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 안전캡회동부 및 안전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부하용플러그가 플러그체결구에 체결되도록 하는 노출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커버부는, 콘센트바디의 길이를 4등분 할 때 1: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가 방우용 커버에 수용 및 커버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콘센트에 구성된 복수개 플러그체결구가 미사용되는 경우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통하여 방우성과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에 있어서 콘센트의 플러그 체결홈이 자동덮개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동작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와 도 6은 도 1의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에 있어서 방우용 커버를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는, 외부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미도시), 플러그(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동작전원을 전동기구나 전등 등의 부하에 공급 또는 분기되도록 하는 콘센트(120), 플러그(미도시)와 콘센트(120)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결선되어 플러그(미도시)로부터 콘센트(1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용케이블(130), 콘센트(120)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13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내주면에 삽입 구성되어 전원용케이블(130)을 따라 콘센트(120)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폐캡(140), 밀폐캡(140)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체결 구성되어 밀폐캡(140)이 케이블연결구(1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캡(150), 체결캡(150)을 통해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끼움 구성되어 콘센트(120)가 해당 장소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거치용고리(160) 및 콘센트(12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12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우성을 제공하는 방우용 커버(170) 등을 포함한다.
플러그(미도시)는, 전원용케이블(130)의 일단에 결선되고 외부의 전원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전원용케이블(130)의 타단에 구성된 콘센트(1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통체 구조의 플러그바디, 플러그바디의 하단 개구 부위에 차폐 상태로 구성되고 외부의 콘센트에 삽입되고 플러그바디의 상단 개구 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전원용케이블(120)의 전원용 전도체가 결선되는 전원공급단자 및 플러그바디의 상단 개구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전원용케이블(120)의 삽입 부분을 차폐하여 빗물 등이 플러그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캡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미도시)에 의하면, 와이어고정고리(114)를 통하여 전선 거치대 등에 간단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복수개의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가 상호간 연장되어야 하는 경우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플러그(미도시)도 전선 거치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콘센트(120)는, 전원용케이블(130)의 타단에 결선되고 플러그(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분기시키는 수단으로서, 일단에 전원용케이블(130)의 타단이 삽입 및 결선되기 위한 케이블연결구(1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용케이블(130)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이 부하에 분기되도록 하는 전원분기부재가 내장 구성되는 콘센트바디(122), 콘센트바디(122)의 상면에 복수개가 구성되고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삽입 체결되며 케이블연결구(121)를 통해 삽입된 전원용케이블(130)에 연결된 전원분기부재로부터 동작전원이 부하용플러그(미도시)로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가 구성되는 콘센트바디(122)의 일측에 단차 구성되는 안전캡회동부(125) 및 안전캡회동부(125)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플러그체결구(123)에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플러그체결구(123)를 커버하면서 차폐시켜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캡(12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캡회동부(125)는, 플러그체결구(123)의 일측에 구성되는 단차면(125a)에 플러그체결구(123)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캡설치벽(125b), 복수개의 캡설치벽(125b)을 관통 위치되고 안전캡(126)의 힌지(126a)가 회동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회동용바(125c), 회동용바(125c)와 안전캡(126)의 힌지(126a) 사이에 구성되고 탄성력을 제공하고 안전캡(126)의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안전캡(126)이 항상 플러그체결구(123)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미도시) 및 안전캡(126)의 힌지(126a)가 구성되는 캡설치벽(125b) 사이의 하단부 단차면(125a)에 돌출 형성되고 안전캡(126)의 힌지(126a)에 돌출 구성된 고정턱(126b)이 강제로 걸림되도록 하여 안전캡(126)의 회동 상태가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회동고정턱(125d)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콘센트(120)에 의하면, 플러그체결구(123)의 미사용시에는 탄성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을 통해 플러그체결구(123)에 안전캡(126)이 밀착되어 플러그체결구(123)가 항상 커버되도록 하여 방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체결구(123)의 사용시에는 플러그체결구(123)에 안전캡(126)이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안전캡(125)이 강제로 회동된 후 안전캡(125)의 고정턱(126b)이 콘센트바디(122)에 형성된 회동고정턱(125d)에 강제로 걸림되어 플러그체결구(123)의 개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용케이블(1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일단에 구성된 플러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타단에 콘센트(120)가 설치 구성되어 콘센트(120)에 연결되는 부하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 (-) 및 (접지) 전원용 전도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용 전도체는, 꼬임선이나 단일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외피에 의해 피복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밀폐캡(140)은, 콘센트(120)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13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내주면에 삽입 구성되어 전원용케이블(130)을 따라 콘센트(120)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체결캡(150)은, 밀폐캡(140)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체결 구성되어 밀폐캡(140)이 케이블연결구(1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용고리(160)는, 체결캡(150)을 통해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끼움 구성되어 콘센트(120)가 해당 장소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우용 커버(170)는, 콘센트(12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12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및 절연성 재질을 가지고, 케이블연결구(121)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122)의 하부가 커버되는 하부커버부(171), 케이블연결구(121)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122)의 상부가 커버되는 상부커버부(172),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각각 콘센트바디(122)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시 케이블연결구(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커버플랜지(173), 하부커버부(171)의 우측과 상부커버부(172)의 우측을 상호간 연결하여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상호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연결편(174), 연결편(174)에 대향되도록 하부커버부(171)의 좌측과 상부커버부(172)의 좌측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각각 콘센트바디(122)의 하부와 상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 결합시 콘센트바디(122)가 완전히 커버된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암수결합수단(175) 및 상부커버부(17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커버부(172)에 콘센트바디(122)의 상부가 커버되는 경우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 안전캡회동부(125) 및 안전캡(126)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플러그체결구(123)에 체결되도록 하는 노출공(176) 등을 포함한다.
하부커버부(171)는, 콘센트바디(122)의 하부가 보다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 보수 등을 위하여 암수결합수단(175)을 통해 상호간 결합된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암수결합수단(175)의 결합 해제가 보다 용이하도록, 콘센트바디(122)의 길이를 4등분 할 때 1: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커버부(171)가 1: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절개되는 경우에는 1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하부커버부(171)에 구성된 최소의 암수결합수단(175)의 결합 해제 동작만으로 해당 하부커버부(171)가 콘센트(120)의 하부를 커버해제하도록 함과 동시에 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하부커버부(171)에 구성된 나머지 암수결합수단(175)이 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하부커버부(171)를 간단히 상부커버부(172)로부터 잡아 당기는 것만으로 결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커버부(171)가 2:2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절개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하부커버부(171)에 구성된 암수결합수단(175)의 숫자가 동일하게 되어 암수결합수단(175)의 결합 해제 동작이 1:3의 길이 비(比)에 비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하부커버부(171)는 상기와 같이 1: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절개되어 복수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플랜지(173)는,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각각 콘센트바디(122)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시 케이블연결구(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어 밀폐캡(140)이 케이블연결구(121)의 외주면에 체결시 밀폐캡(140)에 의해 차폐되어 케이블연결구(121)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암수결합수단(175)은, 일예로, 하부커버부(171)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용고리와 삽입공이 구성되고, 상부커버부(172)에는 삽입용고리가 삽입되고 삽입공이 고정되는 고정밴드와 고정편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우용 커버(170)에 의하면, 콘센트(12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120)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 즉, 콘센트(120)가 전선 거치대 등으로부터 바닥에 추락되더라도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콘세트(12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커버부(171)가 복수개로 등분 구성됨에 따라 콘센트(120)의 수용 결합 및 결합 해제 작업을 보다 간편히 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의 조립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원용케이블(13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공지의 방법에 의해 플러그(미도시)와 콘센트(120)가 연결 구성되며, 이때, 전원용케이블(130)의 타단은 체결캡(150)과 거치용고리(160)에 관통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콘센트(120)의 외부에 방우용 커버(170)가 커버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120)의 하부에 하부커버부(171)가 커버 구성되고 콘센트(120)의 상부에 상부커버부(172)가 커버 구성된 상태에서 암수결합수단(175)을 통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상호간 결합되며, 이때,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의 커버플랜지(173)에는 콘센트바디(122)의 케이블연결구(121)가 커버 구성되고 상부커버부(172)의 노출공(176)에 플러그체결구(123), 안전캡회동부(125) 및 안전캡(126)이 노출 구성된다.
이후, 콘센트(120)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13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내주면에 밀폐캡(140)이 삽입 구성되고, 밀폐캡(140)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체결캡(150)이 체결 구성된다.
이후, 플러그(미도시)가 외부의 동작전원공급수단에 결합되고 안전캡(126)의 회동을 통해 플러그체결구(123)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체결구(123)에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체결시 부하에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120)가 방우용 커버(170)에 수용 및 커버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콘센트(120)에 구성된 다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가 미사용되는 경우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통하여 방우성과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플러그(미도시); 플러그(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동작전원을 부하에 공급 또는 분기되도록 하는 콘센트(120); 플러그(미도시)와 콘센트(120)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결선되어 플러그(미도시)로부터 콘센트(12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용케이블(130); 콘센트(120)에 연결되는 전원용케이블(13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내주면에 삽입 구성되어 전원용케이블(130)을 따라 콘센트(120)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폐캡(140); 밀폐캡(140)이 삽입 구성된 콘센트(120)의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체결 구성되어 밀폐캡(140)이 케이블연결구(1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캡(150); 체결캡(150)을 통해 케이블연결구(121) 외주면에 끼움 구성되어 콘센트(120)가 해당 장소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하는 거치용고리(160); 및 콘센트(12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빗물이 콘센트(12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우성을 제공하는 방우용 커버(170)를 포함하고,
    콘센트(120)는,
    일단에 전원용케이블(130)의 타단이 삽입 및 결선되기 위한 케이블연결구(1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용케이블(130)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이 부하에 분기되도록 하는 전원분기부재가 내장 구성되는 콘센트바디(122); 콘센트바디(122)의 상면에 복수개가 구성되고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삽입 체결되며 케이블연결구(121)를 통해 삽입된 전원용케이블(130)에 연결된 전원분기부재로부터 동작전원이 부하용플러그(미도시)로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가 구성되는 콘센트바디(122)의 일측에 단차 구성되는 안전캡회동부(125); 및 안전캡회동부(125)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플러그체결구(123)에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플러그체결구(123)를 커버하면서 차폐시키는 안전캡(126)을 포함하며,
    안전캡회동부(125)는,
    플러그체결구(123)의 일측에 구성되는 단차면(125a)에 플러그체결구(123)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캡설치벽(125b); 복수개의 캡설치벽(125b)을 관통 위치되고 안전캡(126)의 힌지(126a)가 회동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회동용바(125c); 회동용바(125c)와 안전캡(126)의 힌지(126a) 사이에 구성되고 탄성력을 제공하고 안전캡(126)의 회동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안전캡(126)이 항상 플러그체결구(123)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미도시); 및 안전캡(126)의 힌지(126a)가 구성되는 캡설치벽(125b) 사이의 하단부 단차면(125a)에 돌출 형성되고 안전캡(126)의 힌지(126a)에 돌출 구성된 고정턱(126b)이 강제로 걸림되도록 하여 안전캡(126)의 회동 상태가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복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회동고정턱(125d)을 포함하고,
    방우용 커버(17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및 절연성 재질을 가지고,
    케이블연결구(121)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122)의 하부가 커버되는 하부커버부(171); 케이블연결구(121)가 일측에 형성된 콘센트바디(122)의 상부가 커버되는 상부커버부(172);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각각 콘센트바디(122)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시 케이블연결구(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커버플랜지(173); 하부커버부(171)의 우측과 상부커버부(172)의 우측을 상호간 연결하여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상호간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연결편(174); 연결편(174)에 대향되도록 하부커버부(171)의 좌측과 상부커버부(172)의 좌측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어 하부커버부(171)와 상부커버부(172)가 각각 콘센트바디(122)의 하부와 상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대면 결합시 콘센트바디(122)가 완전히 커버된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암수결합수단(175); 및 상부커버부(17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커버부(172)에 콘센트바디(122)의 상부가 커버되는 경우 복수개의 플러그체결구(123), 안전캡회동부(125) 및 안전캡(126)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부하용플러그(미도시)가 플러그체결구(123)에 체결되도록 하는 노출공(176)을 포함하며,
    하부커버부(171)는,
    콘센트바디(122)의 길이를 4등분 할 때 1:3의 길이 비(比)에 해당되는 부분이 폭방향으로 절개되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9935A 2021-08-20 2021-08-20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KR10236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35A KR102365262B1 (ko) 2021-08-20 2021-08-20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35A KR102365262B1 (ko) 2021-08-20 2021-08-20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262B1 true KR102365262B1 (ko) 2022-02-23

Family

ID=8049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35A KR102365262B1 (ko) 2021-08-20 2021-08-20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26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397U (ko) * 1990-03-23 1991-10-28 동흥찬 콘센트의 전선 연결 장치
JPH1050394A (ja) * 1996-05-31 1998-02-20 Soc Exploit Procedes Marechal (Sepm) 防水電気接続装置
KR20040035650A (ko) * 2004-04-06 2004-04-29 이기곤 방수콘센트
KR200365114Y1 (ko) * 2004-03-27 2004-10-16 이기곤 방수콘센트
KR100771505B1 (ko) * 2006-12-28 2007-10-30 (주)펄스일렉트로닉스 220v용 콘센트의 결합구조
KR100827747B1 (ko) * 2007-11-22 2008-05-07 (주)부흥이앤씨 공공주택의 실내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구조
KR20110091233A (ko) * 2010-02-05 2011-08-11 김성숙 콘센트 보호커버
KR200459008Y1 (ko) * 2011-04-13 2012-03-21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의 코드 인출구 가변구조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397U (ko) * 1990-03-23 1991-10-28 동흥찬 콘센트의 전선 연결 장치
JPH1050394A (ja) * 1996-05-31 1998-02-20 Soc Exploit Procedes Marechal (Sepm) 防水電気接続装置
KR200365114Y1 (ko) * 2004-03-27 2004-10-16 이기곤 방수콘센트
KR20040035650A (ko) * 2004-04-06 2004-04-29 이기곤 방수콘센트
KR100771505B1 (ko) * 2006-12-28 2007-10-30 (주)펄스일렉트로닉스 220v용 콘센트의 결합구조
KR100827747B1 (ko) * 2007-11-22 2008-05-07 (주)부흥이앤씨 공공주택의 실내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구조
KR20110091233A (ko) * 2010-02-05 2011-08-11 김성숙 콘센트 보호커버
KR200459008Y1 (ko) * 2011-04-13 2012-03-21 곽판수 콘센트 보호커버의 코드 인출구 가변구조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5725B1 (en) Weatherproof and restrain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lugs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7425677B2 (en) Closed electrical enclosure
US7993040B2 (en) Spike for outdoor lighting fixture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6133531A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8415561B2 (en) Electrical enclosure
US5931702A (en) Electrical outlet in-line tap
US7109416B1 (en) Electrical wiring access box
CA2255443C (en) Remote power inlet box for an auxiliary power supply system
US20060112981A1 (en) Powered patio pole umbrella
US20100022106A1 (en) Extension Cord Lock and In Line Tap
US7285014B2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CA2280218A1 (en) Weatherproof outlet cover
US7766695B1 (en) Power inlet box with removable socket mounting member
KR102365262B1 (ko)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US20090084601A1 (en) Weatherproof chamber for a receptacle with GFI capability
KR200489862Y1 (ko) 전선 구조체
US11710953B2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KR200369057Y1 (ko) 방우 및 휴대가 가능한 멀티 콘센트 박스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CA3080376C (en) Insulator insert for service entrance cap
KR200490758Y1 (ko) 방우형 콘센트 보호커버
KR20110008576U (ko) 다중 소켓 전등케이블
US9648767B2 (en) Emergency lighting enclosure with integrated electrical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