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18B1 -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18B1
KR102176418B1 KR1020190057997A KR20190057997A KR102176418B1 KR 102176418 B1 KR102176418 B1 KR 102176418B1 KR 1020190057997 A KR1020190057997 A KR 1020190057997A KR 20190057997 A KR20190057997 A KR 20190057997A KR 102176418 B1 KR102176418 B1 KR 10217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lower case
upper case
mai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식
Original Assignee
신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식 filed Critical 신재식
Priority to KR102019005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피복을 탈피하지 않고도 접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주전선 접속구의 외부를 밀봉하고, 실리콘액에 의해 전기 접속부를 완전하게 절연함과 아울러 누전 및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주전선(11)과 지선(12)을 볼트(15)와 너트(16)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의 조임으로 베이스(13)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 접속부재를 통해 지선 분기되도록 하고, 전기 접속부의 둘레를 커버(14)와 베이스(13)로 감싸서 보호하는 주전선 접속구(10)와; 상하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로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전선 접속구(10)의 주전선(11)이 통과되도록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의 양쪽으로 주전선통로(25)가 구비되며, 이 주전선통로(25)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주전선 접속구(10)의 지선(12)이 일측 방향으로만 통과되도록 지선통로(26)와, 상기 상부케이스(23)에 접속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5)의 단부와 너트(16)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0c)이 구비되는 밀봉하우징(20)과; 상기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를 체결 유지하는 결합수단(30)과; 상기 밀봉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접속구(10)가 밀봉되도록 채워지는 밀봉부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Through-wire connector main wire protection cover}
본 발명은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피복을 탈피하지 않고도 접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주전선 접속구의 외부를 밀봉하고, 실리콘액에 의해 전기 접속부를 완전하게 절연함과 아울러 누전 및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교량 및 각종 옥외 건축물의 경관을 위한 조명시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주전선으로부터 지선과 접지선을 각각 분기시키게 된다.
주전선으로부터 하나의 지선을 분기시켜서 개별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흔히 사용하는 지선 분기 방법으로는, 주전선의 특정 부위를 절단한 뒤 절단된 전선의 양쪽 단부 및 접속하려는 지선의 단부의 절연 피복을 각각 탈피한 후, 탈피부를 하나로 꼬아서 결속시킨 후 절연테이프로 감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외력이 접속부에 가해질 경우 결합이 이완되거나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작업 중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차단기를 내려서 전기를 차단시켜야 하고, 이로 인해 가동 중인 다른 전기 제품의 사용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허용 전류 용량이 큰 전력 케이블에서 지선을 분기시키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절단한다든지 여러 가닥의 케이블 심선을 하나로 꼬는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건조한 실내의 저전력용 배선 작업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1135823호에서는 주전선의 전력 공급을 끊지 않은 상태에서도 감전의 우려 없이 작업이 가능한 주전선 접속구가 제안된 바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탈피시키는 예비 작업이나 접속부를 테이핑 등으로 방수 처리를 해야 하는 후작업을 배제시킴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되고 안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종래 알려진 주전선 접속구의 구성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주전선과 지선 위치로 조임에 의해 각각 전기 접속되도록 톱니부를 갖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상부와 하부에서 커버와 베이스로 감싸게 하고,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와 너트를 조임 방향으로 강하게 조여서 체결하는 것에 의해 주전선과 지선에 각각 위치되어 있던 양쪽 톱니부가 양쪽 케이블을 모두 관통하여 전선들과 접속되는 것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를 통해 주전선과 지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135823호(등록일자 2012년04월04일) 국내 등록 특허 제10-255054호(등록일자 2000년02월10일)
그러나, 종래 주전선 접속구는 주로 옥외에 위치되므로 빗물이나 기타 수분에 의한 도전성 접속부재 및 볼트와 너트 등이 쉽게 부식되어 전체적으로 사용 수명이 매우 짧다.
또, 빗물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므로 톱니부로 수분이 쉽게 침투하여 전기 접속부에서 누전과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분수대 시설과 같이 물속에 항상 잠기게 되는 전기 접속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한 주전선 접속구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설치 상태에서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수분과 공기 접촉에 의해 부식이 쉽게 발생되므로 전기 접속 상태가 불안정하여 제품 불량 및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설치상태에서 외관이 미려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전선 접속구의 둘레를 실리콘액과 케이스로 완전하게 밀봉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부에서 누전과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정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주전선(11)과 지선(12)을 볼트(15)와 너트(16)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의 조임으로 베이스(13)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 접속부재를 통해 지선 분기되도록 하고, 전기 접속부의 둘레를 커버(14)와 베이스(13)로 감싸서 보호하는 접속구(10)와;
상하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로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접속구(10)의 주전선(11)이 통과되도록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의 양쪽으로 주전선통로(25)가 구비되며,
이 주전선통로(25)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접속구(10)의 지선(12)이 일측 방향으로만 통과되도록 지선통로(26)와, 상기 상부케이스(23)에 접속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5)의 단부와 너트(16)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0c)이 구비되는 밀봉하우징(20)과;
상기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를 체결 유지하는 결합수단(30)과;
상기 밀봉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접속구(10)가 밀봉되도록 채워지는 밀봉부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부에는 끼움홈(22)을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파내고,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이 끼움홈(2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돌출 성형된다.
또, 상기 하부케이스(21)에는 받침리브(29)들이 복수개 일체로 성형되어 접속구(10)를 내측 공간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받쳐지게 한다.
상기 결합수단(30)은 하부케이스(21)의 외측에 조립구멍(31)를 성형하고,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상기 조립구멍(31)들에 끼워 결착되는 후크돌기(32)들이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지선통로(26)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선(12)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홈이 얕은 깊이로 파여진 상태로 막힘부(27)가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에 각각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주전선통로(25)와 지선통로(26)의 끝단부는 주전선(11) 및 지선(12)의 외경에 접촉되는 크기의 홀이 뚫어지는 꺽임부(28)가 성형된다.
상기 밀봉부재(40)는 젤(Gel) 상태의 실리콘액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3) 및 하부케이스(21)에 형성되는 주전선통로(25)에는 돌출턱부(50)를 설치하여 접속구(10)가 수납되기 전에 채워지는 젤 상태 실리콘액의 채움 높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전선 접속구를 밀봉케이스에 채워지는 실리콘액으로 완전히 밀봉시켜 외부 공기는 물론 수분이 전기 접속부에 접촉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시키게 되므로, 절연상태가 매우 안정되어 전기 접속부에서 누전과 감전사고 발생 염려가 없게 된다.
또, 주전선 접속구가 부식으로 인해 전기 접속 상태가 불안정하여 제품 불량 및 고장의 원인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전선 접속구를 밀봉시키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상태에서 밀봉 케이스로 감싸서 보호하게 되므로 외관도 미려하여 상품성 및 내구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개방하여 주전선 접속구가 수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D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결합수단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9는 상부 및 하부케이스에 실리콘액이 채워지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주전선 접속구(10)는 메인 주전선으로부터 가로등이나 교량 조명등 및 각종 건축물의 옥외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지선의 전기적 결선을 절연 피복을 탈피하지 않고도 접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 주전선 접속구(10)의 구성은, 거릴 유지하고 있는 주전선(11)과 지선(12) 위치로 베이스(13)의 내부로 위치되며 톱니부를 갖는 도전성 접속부재(도시없음)와, 이 도전성 접속부재의 하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베이스(13)와, 주전선(11)과 지선(12)의 상부에 덮어지는 커버(14)와, 조임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의 톱니가 절연 케이블을 관통하여 각각 전기 접속되도록 볼트(15)와 너트(16)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15)와 너트(16)를 조임 방향으로 강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주전선(11)과 지선(12)에 접촉되어 있던 양쪽 톱니부가 양쪽 케이블을 모두 관통하여 전선들과 접속되는 것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를 통해 주전선과 지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밀봉하우징(20)은 합성수지재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하 서로 대응되는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로 결합수단(30)에 의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형상으로 성형된다.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의 일측에는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케이스(23)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전선 접속구(10)가 내부로 수납시키게 된다.(도 3)
이 힌지부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23)는 힌지축(20a)을 일체로 성형하고, 하부케이스(21)에는 이 힌지축(20a)의 외측에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보스(20b)를 구비하여 힌지축(20a)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연결되는 상부케이스(23)의 이음부를 유연하게 성형하여서 된 플라스틱 힌지구조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하 대응되는 구조로 된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에는 덮어진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10)의 주전선(11)이 통과되도록 중앙 공간부의 양쪽 방향을 향해 대칭되는 구조로 주전선통로(25)가 각각 성형된다.
그리고, 이 주전선통로(25)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주전선 접속구(10)의 지선(12)이 일측 방향으로만 통과되도록 중앙 공간부의 한쪽에 지선통로(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선통로(26)는 밀봉하우징(20)의 일측으로만 형성되고 타측은 막음부(27)에 의해 막혀져 있다.
밀봉하우징(20)의 중앙으로 위치되는 공간부는 상기 접속구(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커버(14)와 베이스(13)가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접속구(10)는 주로 커버(14)의 상부를 향해 볼트(15)의 단부와 너트(16)가 상호 체결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부케이스(23)에는 중앙 공간부에 연통된 상태로 접속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5)의 단부와 너트(16)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0c)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를 결합수단(30)에 의해 체결 유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30)은 하부케이스(21)의 일측(힌지부의 타측)에 조립구멍(31)이 뚫어지도록 사출 성형하게 되며,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상기 조립구멍(31)들에 끼워 결착되는 후크돌기(3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돌기(32)를 조립구멍(31) 위치로 끼워질 때는 후크돌기(32)의 하단 외측으로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내부로 약간 오므라들면서 조립구멍(31)을 통과한 위치에서 자체 탄력으로 벌어져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상부케이스(23)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는 작업자가 강제적으로 양쪽 후크돌기(32)를 손으로 오므라들도록 가압 한 후 밀어서 걸림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하부케이스(21)로부터 상부케이스(23)를 분리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밀봉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는 접속구(10)가 밀봉되도록 밀봉부재(40)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40)는 투명하면서 젤(Gel) 상태의 실리콘액이 적합하다.
실리콘액 커버(14)와 베이스(13)의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부는 물론 접속구(10) 둘레를 완전하게 절연,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부와 각 부품들에 대해 방수성이 우수하여 누전 및 전기감전 사고등의 염려가 없어, 특히 분수대 시설과 같이 물속에 항상 잠기게 되는 접속함으로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부에는 끼움홈(22)을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파내고,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이 끼움홈(2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돌출 성형되어 밀봉하우징(20) 내부로 주로 실리콘액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40)를 채운 상태에서 실리콘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1)에는 받침리브(29)들이 복수개 일체로 성형되어 접속구(10)가 하부케이스(21)의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고 대략 중앙 공간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받쳐지게 한다.(도 3 및 도 4 참조)
따라서, 접속구(10) 밀봉을 위해 채워지는 실리콘액이 접속구(10)의 모든 둘레면에 고르게 감싸지도록 하여, 특히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선통로(26)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선(12)의 선단이 끼워 지지되도록 홈이 오목하게 파여지고, 막힘부(27)가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에 각각 일체로 성형되어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23) 및 하부케이스(21)에 형성되는 주전선통로(25)에는 반원형으로 돌출턱부(50)들을 각각 성형하게 된다.
이 돌출턱부(50)는 도 9에서와 같이 접속구(10)가 수납되기 전에 채워지는 젤 상태 실리콘액이 돌출턱부(50)의 높이까지 채워지도록 하여 그 채움 높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리콘액이 돌출턱부(50) 위치까지 채워진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접속구(10)를 내부 공간으로 위치시키게 되면, 커버(14)와 베이스(13)는 중앙 공간부에 위치되고, 주전선(11)은 양쪽 주전선통로(25)를 통해 위치된다.
또, 지선(12)은 지선통로(26)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만 배치되고, 볼트(15)의 단부와 체결되는 너트(16)는 상부케이스(23)의 수용홈(20c) 내부에 수납시킨 후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3)를 덮어지도록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동시에 결합수단(30)에 의해 자연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개방되지 못하게 밀봉하우징(20)을 체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턱부(50)의 높이까지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에 각각 채워져 있던 실리콘액은 접속구(10)의 부피에 의해 밀봉하우징(20)의 내부에 수납된 주전선 접속구(10) 외측 공간을 모두 채워서 수분 또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주전선통로(25)와 지선통로(26)의 끝단부는 주전선(11) 및 지선(12)의 외경에 접촉되는 크기의 홀이 뚫어지는 꺽임부(28)를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겔 상태의 실리콘액이 통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 도 6에서와 같이 지선통로(26)에는 꺽임부(28) 내측으로 지선(12)의 외경에 밀착되는 지지턱(28a)을 2중으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성형하여 실리콘액 유출 방지효과와 아울러, 외부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 접속부가 실리콘액에 의해 완전하게 절연되므로 방수성이 우수하여 누전 및 전기감전 사고등의 염려가 없어, 특히 분수대 시설과 같이 물속에 항상 잠기게 되는 접속함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접속구 11 - 주전선
12 - 지선 13 - 베이스
14 - 커버 20 - 하우징
21 - 하부케이스 23 - 상부케이스
25 - 주전선통로 26 - 지선통로
30 - 결합수단 40 - 밀봉부재
50 - 돌출턱부

Claims (8)

  1.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주전선(11)과 지선(12)을 볼트(15)와 너트(16)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의 조임으로 베이스(13)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 접속부재를 통해 지선 분기되도록 하고, 전기 접속부의 둘레를 커버(14)와 베이스(13)로 감싸서 보호하는 주전선 접속구(10)와;
    상하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하부케이스(21)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로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주전선 접속구(10)의 주전선(11)이 통과되도록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의 양쪽으로 주전선통로(25)가 구비되며,
    이 주전선통로(25)에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접속구(10)의 지선(12)이 일측 방향으로만 통과되도록 지선통로(26)와, 상기 상부케이스(23)에 주전선 접속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5)의 단부와 너트(16)가 수용되도록 수용홈(20c)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1)의 상부에는 끼움홈(22)을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파내고,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이 끼움홈(2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가 돌출 성형되고, 접속구(10)를 내측 공간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받쳐지게 상기 하부케이스(21)에 받침리브(29)들이 복수개 일체로 성형되며,
    지선통로(26)의 반대 방향으로는 지선(12)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홈이 얕은 깊이로 파여진 막힘부(27)가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에 각각 일체로 성형된 밀봉하우징(20)과;
    상기 하부케이스(21)와 상부케이스(23)가 덮어진 상태를 체결 유지하는 결합수단(30)과;
    상기 상부케이스(23) 및 하부케이스(21)에 형성된 주전선통로(25)에는 반원형의 돌출턱부(50)를 각각 성형하여 접속구(10)가 수납되기 전에 채워지는 젤 상태의 실리콘액의 채움 높이 기준을 돌출턱부(50)의 높이까지 설정하여 상기 밀봉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접속구(10)가 밀봉되도록 채워지는 밀봉부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은 하부케이스(21)의 외측에 조립구멍(31)를 성형하고, 상기 상부케이스(23)에는 상기 조립구멍(31)들에 끼워 결착되는 후크돌기(32)들이 구비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전선통로(25)와 지선통로(26)의 끝단부는 주전선(11) 및 지선(12)의 외경에 접촉되는 크기의 홀이 뚫어지는 꺽임부(28)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40)는 젤(Gel) 상태의 실리콘액(Resin)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8. 삭제
KR1020190057997A 2019-05-17 2019-05-17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KR10217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97A KR102176418B1 (ko) 2019-05-17 2019-05-17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97A KR102176418B1 (ko) 2019-05-17 2019-05-17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418B1 true KR102176418B1 (ko) 2020-11-09

Family

ID=7342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97A KR102176418B1 (ko) 2019-05-17 2019-05-17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184B1 (ko) * 2022-08-30 2023-05-10 한종원 도로표지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054B1 (ko) 1998-02-25 2000-05-01 이국헌 광통신 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밀봉장치
KR101135823B1 (ko) 2010-09-13 2012-04-16 김기철 지선 분기 접속구
JP2018092742A (ja) * 2016-11-30 2018-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保護ケース、防水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KR101873171B1 (ko) * 2017-11-27 2018-06-29 신재식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054B1 (ko) 1998-02-25 2000-05-01 이국헌 광통신 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밀봉장치
KR101135823B1 (ko) 2010-09-13 2012-04-16 김기철 지선 분기 접속구
JP2018092742A (ja) * 2016-11-30 2018-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保護ケース、防水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KR101873171B1 (ko) * 2017-11-27 2018-06-29 신재식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184B1 (ko) * 2022-08-30 2023-05-10 한종원 도로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563B2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US9620868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RU24845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частями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674263B1 (ko)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CN111541061A (zh) 一种线路修复装置
KR101562166B1 (ko)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ES2230456T3 (es) Elemento de acoplamiento para la aplicacion en un cable electrico apantallado y procedimiento para su aplicacion en un cable.
KR20070076912A (ko) 전선용 결선구
KR1017082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US2100824A (en) Electric cable connecter
KR101754504B1 (ko) 도로시설물용 전원 분전기
KR101873171B1 (ko) 경관조명용 전선 접속함
CN204760567U (zh) 绝缘导线l型连接端子
CN102903459B (zh) 一种预留分支口的农用地埋电缆的制造方法
KR20120004240U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BRPI0006121B1 (pt) processo para proteção de cordões de cabos
KR100659024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CN213457462U (zh) 一种防蚁光缆接头盒
CA2532289C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US11777234B1 (en) Outdoor electrical box cord and method of making an outdoor electrical box cord
KR102365262B1 (ko) 방우형 콘센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