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912A - 전선용 결선구 - Google Patents

전선용 결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912A
KR20070076912A KR1020060006396A KR20060006396A KR20070076912A KR 20070076912 A KR20070076912 A KR 20070076912A KR 1020060006396 A KR1020060006396 A KR 1020060006396A KR 20060006396 A KR20060006396 A KR 20060006396A KR 20070076912 A KR20070076912 A KR 2007007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filling
wires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465B1 (ko
Inventor
권오주
Original Assignee
권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주 filed Critical 권오주
Priority to KR102006000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465B1/ko
Priority to PCT/KR2006/004877 priority patent/WO2007083881A1/en
Publication of KR2007007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두부분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힌지수단(112)으로 연결시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결선몸체(111)를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타측에 힌지수단(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고정수단(113)을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통전되도록 결선부(2)가 구비된 전선(1)을 양측에서 삽입하는 전선삽입구(122)를 결선몸체(111)의 양단부에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1)을 수납시키는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통공형태의 충진구(131)를 형성하고, 충진구(132)로 내부에 주입되어 결선된 전선(1)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1)에 충진되는 충진물(131)을 형성한 충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선구, 결선몸체, 수납공간, 분기구, 단자결합구, 충진물

Description

전선용 결선구 {Connection Tool for Electric Wires}
도 1은 일반적인 전선의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선 결선부 실링 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선 결선부 실링 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전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의 내부로 전선을 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실리콘수지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 2 : 결선부
3 : 결선단자 100 : 결선구
110 : 몸체부 111 : 결선몸체
112 : 힌지수단 113 : 고정수단
114 : 분기구 115 : 분기삽입구
120 : 수납부 121 : 수납몸체
122 : 전선삽입구 123 : 단자결합구
130 : 충진부 131 : 충진구
132 : 충진물
본 발명은 전선용 결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송전하는 전선의 전기흐름을 위해서 결선연결하는 결선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난 충진물을 충진하여 외부를 보호하도록 결선구를 형성하여 외부 압력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고 노후로 인한 합선과 스파크 현상을 방지함으 로써,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의 불공급과 합선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방지하면서 결선수명을 연장시키는 전선용 결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電線, electric wire)은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류(線類)의 총칭을 말하는 것으로, 나선(裸線)과 절연전선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모양의 전선이 있다.
상기 나선은 일반적으로 전선 재료로서는 구리가 가장 우수하나 가격, 인장강도(引張强度)의 점에서 알루미늄선, 강선(鋼線) 등도 사용되며, 구리의 나선에는 단선(單線)과 연선(撚線)이 있으며 단선은 단면적이 커지면 구부리기 힘든 결점이 있으며 송배전선(送配電線)의 나선도 단면이 큰 것에는 나연선(裸撚線)이 사용된다. 유력한 송전선로용의 전선에는 인장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 강선을 심(芯)으로 한 강심(鋼芯)알루미늄 연선이나 구리합금선 등이 사용된다. 또한 배전선 등에 사용되는 나선은 경동선(硬銅線)이라 하며, 전기기기(電氣機器)의 권선(捲線) 등에 사용되는 연동선(軟銅線)에 비해 인장강도가 크다.
또한, 절연전선은 단선 또는 연선에 절연물을 피복(被覆)한 것이다. 절연물로는 고무, 에나멜, 비닐, 면(綿) 등이 사용되며 옥내용, 옥외용이 있다. 전기기구 등에 부속해서 사용되는 전선은 특히 구부러지기 쉬워야 하는데, 가는 단선을 여러 가닥을 꼰 것을 심선(芯線)으로 하여 이것을 절연한 것으로서 코드라고 한다. 또 외상(外傷)을 받기 쉬운 장소,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코드에는 절연물을 보호하기 위한 외장(外裝)을 한 것을 사용한다. 변압기나 발전기, 전동기 등의 권선에 사용하는 절연전선은 연동선으로서 단면이 원형인것, 직사각형인 것이 있으며, 절연에 는 비닐, 종이, 면 등이 사용되는데 기기(機器)의 전압에 따라서 다시 절연을 추가하고 있다. 전선을 땅 속에 묻고 사용하기 위해 사용전압에 따라서 절연하고 다시 기계적인 보호를 가한 것을 케이블이라 하는데, 이것에는 단심(單芯), 2심, 3심 등이 있으며 사용전압이 10만 V 이상의 고전압용도 있다. 전선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만으로는 오랜 세월이 경과해도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특성의 변화는 없다고 보아도 되나 반복해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는 곳에서는 피로해서 단선(斷線)될 때가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전선은 피복에 재질과 피복의 형태를 변위하면서 절연율을 향상시키고 노후화에 따른 피복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전선을 연결시키는 일반적인 전선의 결선상태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기를 공급시키는 전기선(5)이 결합된 전기공급부(4)의 일측으로 연결선(6)을 형성하고, 전기를 소비하는 소비수단(7)에 전기를 공급시키는 공급선(8)을 형성하여 연결선(6)과 공급선(8)을 결선시켜 전기선(5)으로 전기공급부(4)에 공급된 전기가 연결된 연결선(6)과 공급선(8)을 통하여 소비수단(7)으로 공급하여 소비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전기가 공급되도록 결선되는 연결선과 공급선은 외부에 전선을 권선한 상태로 결선하고 외측에 전기의 통전을 방지하도록 절연되는 절연테이프를 외측에 권선하여 사용하였으나, 물에 의해 통전되는 전기의 특성에 의해 습기에 약한 절연부에 전기가 통전되어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전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인근에 사람이나 동물이 지나가면 전력에 의한 부상이나 심하게는 사망사고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선부가 노후화 되면 통전되는 연결선과 공급선의 결선력이 약해지면서 스파크 현상이나 누전이 발생하여 대형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결선부의 절연을 위해서 권선되는 절연테이프는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감는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으로써, 설치공간이 좁을 때는 정확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결선부의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9564호에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 실링 수단이 개시된 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중앙부(10)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며 두개가 구비되어 상기 중앙부(10)의 양측말단에 각각 하나씩 일측말단이 외삽되는 열수축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앙부(10)가 고압선의 결선부를 둘러싸게되며 상기 열수축튜브(20)가 상기 고압선의 피복에 결합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절연재로 구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열수축 튜브를 형성하여 열수축튜브에 열을 가하여 결속된 전선에 결합시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결선부에 열수축튜브를 고정하기 위해서 가열체로 가열하여 녹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열로 결선된 전선의 피복 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합성수지재인 전선의 피복과 열수축튜브가 유사한 재질로 열에 약함에 따라 가열하여 융착 시에 전선의 피복도 같이 녹아서 내부에 도선에 손상이 생겨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전선에 직접적으로 열수축튜브를 가열 융착시키는 것으로 전선의 유동과 압력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전선이 노후화 되면 결선부도 같이 노후화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열수축튜브와 중앙부를 결선부분에 결합함으로써, 결선된 전선이 일정한 압력이나 유동이 발생하면 합성수지의 튜브형태로 형성된 결선부가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므로 단지 결선에 습기만을 차단할 뿐 다른 형태의 기능을 할 수 없어 자재비용의 사용과 설치 난해성에 비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중공형태의 열수축튜브와 중앙부에 전선을 삽입하여 가열융착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전선의 유동을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결선부분에 유동에 의해 누전 및 스파크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고압선 결선부는 열로 융착되는 열수축튜브로 부착하는 것으로 전선에 합선이나 스파크 현상에 의해 화재가 발화되는 위험성을 내재 되어 있음으로써,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단부에 고정수단이 구비된 결선몸체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는 충진물을 결선몸체의 내부에 충진시켜 결선부분을 보호하면서 투습에 의한 누전과 방전을 차단시켜 고정력과 절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상하로 두부분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힌지수단으로 연결시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결선몸체를 형성하고, 결선몸체의 타측에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고정수단을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통전되도록 결선부가 구비된 전선을 양측에서 삽입하는 전선삽입구를 결선몸체의 양단부에 형성하고, 결선몸체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을 수납시키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앙에 통공형태의 충진구를 형성하고, 충진구로 내부에 주입되어 결선된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형성한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결선되는 전선이 복수로 추가되면 추가되는 형태에 따라 분기되는 분기구를 형성하고, 분기구에 단부에 통공형태로 추가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결선되도록 분기삽입구를 형성하여 복수로 추가되는 전선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삽입 결선하여 충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는 전기가 통전되도록 결선되는 전선에 일측에 결선단자 가 형성되어 연결되는 전선을 전선삽입구로 삽입시키고 결선단자가 수납되는 측으로 단자결합구를 형성하여 결선단자가 수납된 상태에서 충진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충진부의 충진물은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면서 절연과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내부에 방전 및 통전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사용상태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전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의 내부로 전선을 결선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실리콘수지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결선구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100)는 전선(1)이 내부에 수납되어 개폐되도록 결선몸체(111)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전기를 통전하도록 결선부(2)가 구비된 전선(1)이 수납되는 수납몸체(121)가 형성된 수납부(120)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충진물이 주입되어 전선을 고정하면서 내부에 수분과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충진하는 충진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상하로 두부분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힌지수단(112)으로 연결시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결선몸체(111)를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타측에 힌지수단(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고정수단(113)을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결선되는 전선(1)이 복수로 추가되면 추가되는 형태에 따라 분기되는 분기구(114)를 형성하고, 분기구(114)에 단부에 통공형태로 추가되는 전선(1)이 삽입되어 결선되도록 분기삽입구(115)를 형성하여 복수로 추가되는 전선(1)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삽입 결선하여 충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통전되도록 결선부(2)가 구비된 전선(1)을 양측에서 삽입하는 전선삽입구(122)를 결선몸체(111)의 양단부에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1)을 수납시키는 수납공간(121)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120)는 전기가 통전되도록 결선되는 전선(1)에 일측에 결선단자(3)가 형성되어 연결되는 전선을 전선삽입구(122)로 삽입시키고 결선단자(3)가 수납되는 측으로 단자결합구(123)를 형성하여 결선단자(3)가 수납된 상태에 서 충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충진부(130)는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통공형태의 충진구(131)를 형성하고, 충진구(132)로 내부에 주입되어 결선된 전선(1)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1)에 충진되는 충진물(131)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충진부(130)의 충진물(132)은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면서 절연과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내부에 방전 및 통전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으로 힌지수단(112)으로 결합된 결선몸체(111)를 개방하는 위치로 형성하여 양측단부에 형성된 수납부(120)의 전선삽입구(122) 측으로 결선될 전선을 삽입시키면 결선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21)에 결선될 전선이 삽입된다.
이렇게, 결선된 전선(1)을 수납공간(121)의 내부에 전선삽입구(122)를 통하여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선(1)에 결선부(2)가 형성되도록 결선시킨 상태에서 결선몸체(111)를 폐쇄하도록 힌지수단(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타측에 형성된 고정수단(113)으로 결선몸체(111)를 폐쇄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선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21)에 결선부(2)가 구비되어 상호 결선된 전선(1)을 전선삽입구(122)에 삽입시키고, 결선몸체(111)를 힌지수단(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수단(113)에 의해 폐쇄 고정한 상태로 상부 중앙에 통공형태로 형성된 충진구(131)에 충진물(132)을 주입시킨다.
이때, 상기 충진부(130)의 충진물(132)은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면서 절연과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내부에 방전 및 통전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1)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한 충진물(132)이 액체상태로 충진구(131)를 통하여 결선부(2)가 구비된 전선(1)이 수납된 결선몸체(111) 내부의 수납몸체(111)로 충진물(132)이 충만되도록 주입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지체되면 고형화 되면서 유동을 방지하고 내부에 습윤이나 이물질의 혼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110)는 결선되는 전선(1)이 복수로 추가되면 추가되는 형태에 따라 분기되는 분기구(114)를 형성하고, 분기구(114)에 단부에 통공형태로 추가되는 전선(1)이 삽입되어 결선되도록 분기삽입구(115)를 형성하여 복수로 추가되는 전선(1)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삽입 결선하여 충진물(132)로 충진시켜 복수로 추가되는 전선의 수량에 관계없이 필요한 결선 량에 따라 분기구(114)를 형성하여 결속구(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수납부(120)는 전기가 통전되도록 결선되는 전선(1)에 일측에 결선단자(3)가 형성되어 연결되는 전선을 전선삽입구(122)로 삽입시키고 결선단자(3)가 수납되는 측으로 단자결합구(123)를 형성하여 결선단자(3)가 수납된 상태에서 충진물(132)을 충진하는 것으로, 결선단자(3) 형태의 결선부분도 단자결합구(123)에 삽입시켜 결속되도록 결속구(100)를 설치한다.
따라서, 결속부(2)를 구비한 전선(1)을 수납공간(121)에 수납한 상태로 결선몸체(111)를 폐쇄시키고 내측에 충진물(132)을 충진시켜 고착화함에 따라 결속력을 강화시키고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며 유동에 의한 화재 및 누전의 위험성을 감소함과 동시에 복수의 추가 결합되는 전선(1)을 분기구(114)로 결합하고 단자결합형태도 단자결합구(123)로 결합하여 결합형태의 변위에도 용이하게 적용함으로써, 범용성을 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전기를 통전하기 위해서 전선을 결선시킨 결선부를 상하로 양분되어 일측을 힌지수단으로 결합시키고,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결선몸체를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수단에 의해 개폐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공간의 양단부에 결선부가 형성된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를 형성하며, 결선몸체의 상부 중앙으로 통공형태의 충진구를 형성하여 수납공간에 결선시킨 전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분된 결선몸 체를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수단으로 폐쇄시키고, 결선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충진구로 충진물을 삽입하여 내부에 충진시키는 것으로, 결선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외부를 결선몸체로 고정하고 내부에 충진물을 인입시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되어 결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전기 공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양분된 결선몸체의 일측으로 힌지수단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고정수단을 형성하며,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구를 형성하여 전선삽입구에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내부에 수납공간에서 전선을 결선한 상태로 한번의 조작으로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 폐쇄하여 조립하고 상부에 충진구에 충진물을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한번의 조작으로 내부에 결선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액체상태의 충진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결선몸체에 결선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상부에 통공형태로 형성된 충진구에 주입되는 충진물은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면서 절연과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내부에 방전 및 통전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결선몸체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을 형성한 상태에서 충진물을 액체 상태로 주입하여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고형화 됨으로써, 전선의 결선부분의 유동을 최소화 하고 결선부분에 하중에 변위에 따른 영향이 전혀 없으므로 유동에 의한 단락이나 누전 및 스파크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누전사고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의 발생을 차단함에 따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결선몸체와 실리콘 수지의 충진물로 형성된 결선구가 내부식성 소재로 형성하여 내부에 결선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로 고형화 하는 것으로, 노후화에 따른 결선부분의 부식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결선된 전선를 결선몸체에 삽입한 상태로 충진물을 충진시키는 것으로, 결선된 위치가 다른 절연물로 결합하기 어렵거나 좁은 지역에서도 조립과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선용 결선구는 복수의 전선이 결선되면 분기구를 형성하거나, 연결핀이 결합되는 형상으로 결합몸체를 변형하여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선의 결선형태와 전선의 결선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상하로 두부분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힌지수단(112)으로 연결시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결선몸체(111)를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타측에 힌지수단(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도록 고정수단(113)을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통전되도록 결선부(2)가 구비된 전선(1)을 양측에서 삽입하는 전선삽입구(122)를 결선몸체(111)의 양단부에 형성하고, 결선몸체(111)의 내부에 결선된 전선(1)을 수납시키는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중앙에 통공형태의 충진구(131)를 형성하고, 충진구(132)로 내부에 주입되어 결선된 전선(1)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1)에 충진되는 충진물(131)을 형성한 충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결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결선되는 전선(1)이 복수로 추가되면 추가되는 형태에 따라 분기되는 분기구(114)를 형성하고, 분기구(114)에 단부에 통공형태로 추가되는 전선(1)이 삽입되어 결선되도록 분기삽입구(115)를 형성하여 복수로 추가되는 전선(1)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삽입 결선하여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전선용 결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0)는 전기가 통전되도록 결선되는 전선(1)에 일측에 결선단자(3)가 형성되어 연결되는 전선을 전선삽입구(122)로 삽입시키고 결선단자(3)가 수납되는 측으로 단자결합구(123)를 형성하여 결선단자(3)가 수납된 상태에서 충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결선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130)의 충진물(132)은 방수, 점착, 절연성이 뛰어나 액체상태로 주입되어 고형화되면서 결선된 전선을 고착화 시키는 소재인 실린콘수지를 사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을 유지하면서 절연과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내부에 방전 및 통전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결선구.
KR1020060006396A 2006-01-20 2006-01-20 전선용 결선구 KR10076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96A KR100767465B1 (ko) 2006-01-20 2006-01-20 전선용 결선구
PCT/KR2006/004877 WO2007083881A1 (en) 2006-01-20 2006-11-20 Connection tool for electric wi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96A KR100767465B1 (ko) 2006-01-20 2006-01-20 전선용 결선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874U Division KR200413827Y1 (ko) 2006-01-20 2006-01-20 전선용 결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912A true KR20070076912A (ko) 2007-07-25
KR100767465B1 KR100767465B1 (ko) 2007-10-17

Family

ID=3828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396A KR100767465B1 (ko) 2006-01-20 2006-01-20 전선용 결선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7465B1 (ko)
WO (1) WO20070838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95B1 (ko) * 2008-11-26 2011-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연결용 커넥터
WO2013183894A1 (ko) * 2012-06-05 2013-12-12 Choi Cheong Hee 경화성 젤 코팅 튜브가 내장된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
KR102491367B1 (ko) * 2022-04-08 2023-01-26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081A1 (en) * 2020-06-18 2021-12-2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ressure isolation across a conductor
EP4075617A1 (en) * 2021-04-15 2022-10-19 HENSOLDT Sensors GmbH Hol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hold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5268A (en) * 1983-06-13 1984-11-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Seal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therefor
GB9414039D0 (en) * 1994-07-11 1994-09-28 Raychem Ltd Electrical interconnection
US5696351A (en) * 1995-03-10 1997-12-09 Ericsson Raynet Cable retention and sealing device
US5684274A (en) * 1995-12-04 1997-11-04 Kmd Technologies, Inc. Enclosure for cable splice assembly
JP2003229184A (ja) * 2002-02-05 2003-08-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食を防止するアルミ電線の接続構造
KR200357979Y1 (ko) 2004-04-21 2004-08-02 김은정 케이블 클로우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95B1 (ko) * 2008-11-26 2011-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연결용 커넥터
WO2013183894A1 (ko) * 2012-06-05 2013-12-12 Choi Cheong Hee 경화성 젤 코팅 튜브가 내장된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
KR102491367B1 (ko) * 2022-04-08 2023-01-26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3881A1 (en) 2007-07-26
KR100767465B1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5824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waterproofing method and wire harness
KR100767465B1 (ko) 전선용 결선구
US9620868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2016119821A (ja) 止水構造、ワイヤハーネス、及び止水方法
CN203967716U (zh) 电缆中间接头
KR200413827Y1 (ko) 전선용 결선구
KR200433351Y1 (ko) 전선용 결선구
KR100674263B1 (ko) 전기 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US10498049B2 (en) Assembly as a junction box replac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assembly
US20120125655A1 (en) Seal for anode connection to cable and method of use
CN214588141U (zh) 一种密封结构及充电装置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CN111370203B (zh) 一种高ip防护等级的电压互感器
JP6687093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止水具を備えた止水構造
CN209948061U (zh) 地灾监测设备的电线接头防水结构
KR101191752B1 (ko) 매설형 지중 배전선 보호를 위한 절연 커넥터
CN206820447U (zh) 一种35kV预制式电缆中间接头
CN215007644U (zh) 一种用于防水的线缆
CN216794099U (zh) 一种组合式防折断线束
KR100896748B1 (ko) 전선 밀폐 결선방법 및 그 장치
CN215868828U (zh) 一种电缆热缩套管
CN214204908U (zh) 充油电缆终端的密封结构
KR102532797B1 (ko)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CN216161513U (zh) 一种矿物绝缘分支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