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367B1 -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367B1
KR102491367B1 KR1020220043919A KR20220043919A KR102491367B1 KR 102491367 B1 KR102491367 B1 KR 102491367B1 KR 1020220043919 A KR1020220043919 A KR 1020220043919A KR 20220043919 A KR20220043919 A KR 20220043919A KR 102491367 B1 KR102491367 B1 KR 10249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jumper wire
insulator
jump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04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트랍(70)과, 제1,2완금(10,10')과, 제1애자(20)와, 제2애자(20')와, 제1접속클램프(40)와, 제2접속클램프(40')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1분기기구(50)와, 제2분기기구(50')와, 위험알림버튼(60)을 포함하여, 전기를 다양한 위치의 수용가로 분기하기 용이하고,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외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며, 점퍼선을 지지하는 구성을 애자에 설치하여 점퍼선이 4점 지지되게 함으로써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4점 지지를 통해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Strap Equipment for Supproting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 및 점퍼선을 통해 가공배전선이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점퍼선에서 분기하는 구성이 없어, 가공배전에 따른 전기 공급을 다양한 위치(수용가)로 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가공배전설비 수리를 하던 중 신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에 즉각적으로 알릴 수 없어, 작업자의 위험상황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에는 완철(1)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선(2)들이 점퍼선(3)으로 연결되고, 상기 점퍼선(3)은 완철(1)에 설치되는 지지대(4)에 의해 지지되어 호 형상으로 늘어지게 배치된다.(도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8150호의 도 1 참조)
그러나, 종래에는 점퍼선(3) 주변에 가공배전설비가 배치될 시, 전주(5)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4) 때문에 가공배전설비 설치 공간을 충분히 마련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81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를 다양한 위치의 수용가로 분기하기 용이하고,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외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며, 점퍼선을 지지하는 구성을 애자에 설치하여 점퍼선이 4점 지지되게 함으로써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4점 지지를 통해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랍(70)과, 제1,2완금(10,10')과, 제1애자(20)와, 제2애자(20')와, 제1접속클램프(40)와, 제2접속클램프(40')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1분기기구(50)와, 제2분기기구(50')와, 위험알림버튼(60)을 포함하는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랍(70)은, 원형띠 형상을 이루어, 전주(P)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2완금(10,10')은, 스트랍(7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애자(20)는, 제1완금(10)에 설치되는 제1애자축(21); 제1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제1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1좌측가이드홈(22a) 및 제1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수평홀(22c)을 구비하여, 제1애자축(21)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1애자날개(22);를 갖추고,
상기 제2애자(20')는, 제2완금(10')에 설치되는 제2애자축(21'); 제2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돠게 형성된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제2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2좌측가이드홈(22a') 및 제2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수평홀(22c')을 구비하여, 제2애자축(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애자날개(22');를 갖추고,
상기 제1접속클램프(40)는, 제1애자(20)의 제1애자축(21) 좌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1점퍼선(J1)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클램프(40')는, 제2애자(20')의 제2애자축(21') 우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2점퍼선(J2)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점퍼선지지기구(30)는,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되는 제1좌측걸림바(31); 제1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1좌측연장바(32);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되는 제1우측걸림바(33); 제1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1우측연장바(34); 제1좌측연장바(32)와 제1우측연장바(34)를 연결하는 제1이음바(35); 제1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36);를 갖추고,
상기 제2점퍼선지지기구(30')는,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되는 제2좌측걸림바(31'); 제2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2좌측연장바(32');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되는 제2우측걸림바(33'); 제2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2우측연장바(34'); 제2좌측연장바(32')와 제2우측연장바(34')를 연결하는 제2이음바(35'); 제2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바(36');를 갖추고,
상기 제1분기기구(50)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1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분기기구본체(51);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통전체(52);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1점퍼선(J1)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좌측볼트체(53);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우측볼트체(54);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1분기선(D1)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하측볼트체(55);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J1)과 제1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1분기선(D1)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1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되며,
상기 제2분기기구(50')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2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2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2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제2분기기구본체(51');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통전체(52');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좌측볼트체(53');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2점퍼선(J2)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우측볼트체(54');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2분기선(D2)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하측볼트체(55');를 갖추고서, 제2점퍼선(J2)과 제2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2분기선(D2)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2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되며,
상기 위험알림버튼(60)은, 제1완금(10)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스트랍(70)과, 제1,2완금(10,10')과, 제1애자(20)와, 제2애자(20')와, 제1접속클램프(40)와, 제2접속클램프(40')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1분기기구(50)와, 제2분기기구(50')와, 위험알림버튼(60)을 포함하여, 전기를 다양한 위치의 수용가로 분기하기 용이하고,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외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며, 점퍼선을 지지하는 구성을 애자에 설치하여 점퍼선이 4점 지지되게 함으로써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상기 가공배전설비 설치공간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4점 지지를 통해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2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2점퍼선지지기구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2분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2분기기구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2통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2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애자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2점퍼선지지기구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2분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2분기기구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2통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 상에서의 X축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도 5 상에서의 Y축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며, 도 5 상에서 Z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는, 스트랍(70)과, 제1,2완금(10,10')과, 제1애자(20)와, 제2애자(20')와, 제1접속클램프(40)와, 제2접속클램프(40')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1분기기구(50)와, 제2분기기구(50')와, 위험알림버튼(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랍(70)은, 원형띠 형상을 이루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P)에 삽입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스트랍(70)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일단과 타단이 착탈가능하게 볼팅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완금(10,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랍(7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애자(20)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애자축(21)과, 제1애자날개(22)를 갖춘다.
상기 제1애자축(21)은, 제1완금(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완금(10)은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애자날개(22)는, 제1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돠게 형성된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제1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1좌측가이드홈(22a) 및 제1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수평홀(22c)을 구비하여, 다수 개가 제1애자축(21)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애자날개(22)는 정면의 둘레가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애자(20')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애자축(21')과, 제2애자날개(22')를 갖춘다.
상기 제2애자축(21')은, 제2완금(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2애자축(21')은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애자날개(22')는, 제2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돠게 형성된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제2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2좌측가이드홈(22a') 및 제2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수평홀(22c')을 구비하여, 다수 개가 제2애자축(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접속클램프(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애자(20)의 제1애자축(21) 좌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1점퍼선(J1)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접속클램프(40)를 매개로 가공배전선(L)과 제1점퍼선(J1)이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2접속클램프(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애자(20')의 제2애자축(21') 우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2점퍼선(J2)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접속클램프(40')를 매개로 가공배전선(L)과 제2점퍼선(J2)이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상기 제1점퍼선지지기구(30)는, 도 2, 도 3,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좌측걸림바(31)와, 제1좌측연장바(32)와, 제1우측걸림바(33)와, 제1우측연장바(34)와, 제1이음바(35)와, 제1지지바(36)를 갖춘다.
상기 제1좌측걸림바(31)는,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1좌측걸림바(3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좌측걸림바(3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좌측연장바(3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제1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1좌측연장바(3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우측걸림바(33)는,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1우측걸림바(33)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우측걸림바(3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우측연장바(3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제1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1우측연장바(34)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이음바(35)는, 제1좌측연장바(32)와 제1우측연장바(34)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제1이음바(35)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1지지바(36)은, 제1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지지바(36)는 제1이음바(35)에 연결되는 제1좌측연결대(36a)와, 제1좌측연결대(36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좌측연결대(36b)와, 제2좌측연결대(36b)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좌측연결대(36c)를 갖추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다.
상기 제2점퍼선지지기구(30')는, 도 2, 도 3,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좌측걸림바(31')와, 제2좌측연장바(32')와, 제2우측걸림바(33')와, 제2우측연장바(34')와, 제2이음바(35')와, 제2지지바(36')를 갖춘다.
상기 제2좌측걸림바(31')는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2좌측걸림바(3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좌측걸림바(3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좌측연장바(3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제2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2좌측연장바(31')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우측걸림바(33')는,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2우측걸림바(33')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우측걸림바(3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우측연장바(3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제2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된다. 본 발명에서 제2우측연장바(34')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이음바(35')는, 제2좌측연장바(32')와 제2우측연장바(34')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제2이음바(35')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2지지바(36')는, 제2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2지지바(36')는 제2이음바(35')에 연결되는 제1우측연결대(36a')와, 제1우측연결대(36a')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우측연결대(36b')와, 제2우측연결대(36b')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우측연결대(36c')를 갖추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다.
상기 제1분기기구(50)는 도 2, 도 7,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기구본체(51)와, 제1통전체(52)와, 제1좌측볼트체(53)와, 제1우측볼트체(54)와, 제1하측볼트체(55)를 갖춘다.
상기 제1분기기구본체(51)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1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분기기구본체(51)은 제2지지바(36)의 제3좌측연결대(36c)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분기기구본체(5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분기기구본체(51)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분기기구본체(51)는 제1지지바(36)에 접합방식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전체(52)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통전체(5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통전체(52)는 제1분기기구본체(51)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1좌측볼트체(53)는,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1점퍼선(J1)을 가압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1좌측볼트체(53)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우측볼트체(54)는,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1우측볼트체(54)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측볼트체(55)는,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1분기선(D1)을 가압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제1분기기구(50)는, 제1점퍼선(J1)과 제1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1분기선(D1)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1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된다. 이때 제1점퍼선(J1)과 제3점퍼선(J3)은 피복이 벗겨져 제1통전체(52)의 제1점퍼선접속홀(52a)에 삽입된다.
상기 제2분기기구(50')는, 도 2, 도 7,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기기구본체(51')와, 제2통전체(52')와, 제2좌측볼트체(53')와, 제2우측볼트체(54')와, 제2하측볼트체(55')를 갖춘다.
상기 제2분기기구본체(51')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2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2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2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2분기기구본체(51')는 제2지지바(36')의 제3우측연결대(36c')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2분기기구본체(5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분기기구본체(5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분기기구본체(51')는 제2지지바(36')에 접합방식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전체(52')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2통전체(52')는 도전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통전체(52')는 제1분기기구본체(51)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제2좌측볼트체(53')는,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2좌측볼트체(53')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우측볼트체(54')는,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2점퍼선(J2)을 가압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2우측볼트체(54')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측볼트체(55')는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2분기선(D2)을 가압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2하측볼트체(55')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분기기구(50')는, 제2점퍼선(J2)과 제2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2분기선(D2)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2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된다. 이때 제2점퍼선(J2)과 제3점퍼선(J3)은 피복이 벗겨져 제2통전체(52')의 제1점퍼선접속홀(52a)에 삽입된다.
상기 위험알림버튼(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금(10)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알림버튼(60)은 상기 위험알림신호를 별도의 관리센터로 무선송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과 같이 가공배전선 및 제1,2,3점퍼선(J1,J2,J3)이 설치되면, 제1,2분기선(D1,D2)를 통해 여러 위치의 수용가로 전기를 배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점퍼선(J1) 및 제3점퍼선(J3)를 제1분기기구(50)에 설치할 시, 도 10과 같이 제1분기기구(50)에 제1점퍼선(J1) 및 제3점퍼선(J3)이 배치된 상태에서, 충진재(F)를 제1충진재주입홀(51c)을 통해 제1점퍼선통과홀(51a)에 충진하면(도 10의 화살표 방향 참조), 제1통전체(52)에 의해 생긴 제1통전체(52)와 제1점퍼선통과홀(51a)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2점퍼선(J2) 및 제3점퍼선(J3)을 제2분기기구(50')에 설치할 시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점퍼선통과홀(51a')에 충진재(F)를 충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가공배전설비 주변에서 작업을 하던 중 몸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상황일 발생할 시, 작업자가 위험알림버튼(60)을 누르면, 위험알림신호가 별도의 관리센터로 송출되어 관리자가 이에 대해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제1점퍼선지지기구(30)를 제1애자(2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좌측연장바(32)를 좌방으로 벌리고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우측연장바(34)를 우방으로 벌려, 제1좌측걸림바(31)를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입하고, 제1우측걸림바(33)를 상기 제1애자날개(22)의 우방에 위치한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좌측연장바(32) 및 제1우측연장바(34)를 상방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면, 도 11과 같이 제1좌측연장바(32) 및 제1우측연장바(34)가 좌우방향으로 각각 벌어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좌측걸림바(31)는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좌측에 삽입되고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우측걸림바(33)는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우측에 삽입된다.
이때,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좌측연장바(32)는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입되고,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우측연장바(34)는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입된다(도 3 참조).
이때, 제1좌측연장바(32)는 탄성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를 향해 가압되고, 제1우측연장바(34)는 탄성에 의해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를 향해 가압되어, 제1점퍼선지지기구(30)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제1애자(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좌측연장바(32)는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입되고, 제1우측연장바(34)는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입되어, 제1점퍼선지지기구(3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점퍼선지지기구(30)를 제1애자(20)에 설치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제2점퍼선지지기구(30')를 제2애자(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되면,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전주(P) 주변에 가공배전설비를 설치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지지바(36) 또는 제2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2지지바(3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설비의 배치위치(또는 가공배전설비 주변에 배치되는 전선의 배치위치)에 따라 도 9와 같이 제1점퍼선지지기구(30) 및 제2점퍼선지지기구(3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 사이의 여유공간(a)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전주(P) 주변에 가공배전설비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애자(20)에 다수의 제1애자날개(22)가 구비되어 제1점퍼선지지기구(30)를 제1애자(20)에 좌우 위치 조절하여 설치가능하고, 제2애자(20')에 다수의 제2애자날개(22')가 구비되어 제2점퍼선지지기구(30')를 제2애자(20')에 좌우 위치 조절하여 설치가능하여,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 사이의 여유공간(a)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도 1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다양한 위치)로 전기를 안전하게 분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위험상황에 처할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퍼선(J)을 지지하는 제1,2점퍼선지지기구(30,30')를 제1,2애자(20,20')에 각각 설치하여, 점퍼선(J)이 제1,2접속클램프(40,40')와 제1,2애자(20,20')에서 4점 지지되게 함으로써, 가공배전설비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a)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제1,2점퍼선지지기구(30,30')를 제1,2애자(20,20')에 편리하게 설치하면서, 제1,2점퍼선지지기구(30,30')가 제1,2애자(20,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점퍼선지지기구(30,30')의 상하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고, 제1,2점퍼선지지기구(30,30')를 제1,2애자(20,20')에 각각 설치할 시 그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가공배전설비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a)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변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공배전설비 배치(또는 가공배전설비 주변의 전선 배치)를 주변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원형 띠 형상을 이루는 스트랍(70)을 통해 전주(P)에 설치되는 구조에, 전기를 분기하는 구성 및 가공배전선을 지지하는 구성 등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로 정의한다.
10,10': 제1,2완금 20,20': 제1,2애자
21,21': 제1,2애자축 22,22': 제1,2애자날개
30,30': 제1,2점퍼선지지기구 31,31': 제1,2좌측걸림바
32,32': 제1,2좌측연장바 33,33': 제1,2우측걸림바
34,34': 제1,2우측연장바 35,35': 제1,2이음바
36,36': 제1,2지지바 37,37': 제1,2점퍼선설치대
40,40': 제1,2접속클램프 50,50': 제1,2분기기구
51,51': 제1,2분기기구본체 52,52': 제1,2통전체
53,53': 제,2좌측볼트체 54,54': 제1,2우측볼트체
55,55': 제1,2하측볼트체 60: 위험알림버튼

Claims (1)

  1. 스트랍(70)과, 제1,2완금(10,10')과, 제1애자(20)와, 제2애자(20')와, 제1접속클램프(40)와, 제2접속클램프(40')와, 제1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2점퍼선지지기구(30')와, 제1분기기구(50)와, 제2분기기구(50')와, 위험알림버튼(60)을 포함하는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랍(70)은, 원형띠 형상을 이루어, 전주(P)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2완금(10,10')은, 스트랍(7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애자(20)는, 제1완금(10)에 설치되는 제1애자축(21); 제1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제1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1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1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1좌측가이드홈(22a) 및 제1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수평홀(22c)을 구비하여, 제1애자축(21)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1애자날개(22);를 갖추고,
    상기 제2애자(20')는, 제2완금(10')에 설치되는 제2애자축(21'); 제2애자날개(22')의 하부 좌측에 좌방으로 개구돠게 형성된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제2애자날개(22') 하부 우측에 우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좌측이 제2좌측가이드홈(2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제2우측가이드홈(22b')과 연통되되 제2좌측가이드홈(22a') 및 제2우측가이드홈(22b')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2수평홀(22c')을 구비하여, 제2애자축(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제2애자날개(22');를 갖추고,
    상기 제1접속클램프(40)는, 제1애자(20)의 제1애자축(21) 좌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1점퍼선(J1)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클램프(40')는, 제2애자(20')의 제2애자축(21') 우측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과 제2점퍼선(J2)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점퍼선지지기구(30)는,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되는 제1좌측걸림바(31); 제1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의 제1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1좌측연장바(32); 상기 하나의 제1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되는 제1우측걸림바(33); 제1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1애자날개(22)의 제1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1우측연장바(34); 제1좌측연장바(32)와 제1우측연장바(34)를 연결하는 제1이음바(35); 제1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36);를 갖추고,
    상기 제2점퍼선지지기구(30')는,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좌측에 삽탈되는 제2좌측걸림바(31'); 제2좌측걸림바(31')의 좌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의 제2좌측가이드홈(22a')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2좌측연장바(32'); 상기 하나의 제2애자날개(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수평홀(22c') 우측에 삽탈되는 제2우측걸림바(33'); 제2우측걸림바(33')의 우측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또 다른 제2애자날개(22')의 제2우측가이드홈(22b')에 삽탈되는 탄성재질의 제2우측연장바(34'); 제2좌측연장바(32')와 제2우측연장바(34')를 연결하는 제2이음바(35'); 제2이음바(3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지지바(36');를 갖추고,
    상기 제1분기기구(50)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1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1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1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1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분기기구본체(51);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1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1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통전체(52);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1점퍼선(J1)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좌측볼트체(53);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우측볼트체(54); 제1분기기구본체(51)의 제1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1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1분기선(D1)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1하측볼트체(55);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J1)과 제1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1분기선(D1)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1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되며,
    상기 제2분기기구(50')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충진재주입홀(51c')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좌측나사홀(51d')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 상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통과홀(51a')과 연통되는 제2우측나사홀(51e')과,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과 연통되는 제2하측나사홀(51f')을 구비하여, 제2점퍼선지지기구(30')의 제2지지바(36')의 하측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제2분기기구본체(51');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제2점퍼선접속홀(52a')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접속홀(52a')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측이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분기선통과홀(51b')의 상측과 연통되는 제2분기선접속홀(52b')을 구비하여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점퍼선통과홀(51a')에 삽입배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통전체(52');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좌측나사홀(51d')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좌측에 삽입된 제3점퍼선(J3)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좌측볼트체(53');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우측나사홀(51e')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점퍼선통과홀(51a')의 우측에 삽입된 제2점퍼선(J2)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우측볼트체(54'); 제2분기기구본체(51')의 제2하측나사홀(51f')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체결되어 제2분기선통과홀(51b')에 삽입된 제2분기선(D2)을 가압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제2하측볼트체(55');를 갖추고서, 제2점퍼선(J2)과 제2통전체(52')와 제3점퍼선(J3)와 제2분기선(D2)간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제2충진재주입홀(51c')로 절연재질의 충진재(F)가 주입되며,
    상기 위험알림버튼(60)은, 제1완금(10)에 설치되어, 작동 시 위험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KR1020220043919A 2022-04-08 2022-04-08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KR10249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19A KR102491367B1 (ko) 2022-04-08 2022-04-08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919A KR102491367B1 (ko) 2022-04-08 2022-04-08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367B1 true KR102491367B1 (ko) 2023-01-26

Family

ID=8511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919A KR102491367B1 (ko) 2022-04-08 2022-04-08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3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912A (ko) * 2006-01-20 2007-07-25 권오주 전선용 결선구
KR100898150B1 (ko) 2008-12-04 2009-05-19 (주)진주전력감리단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2073163B1 (ko) * 2019-06-11 2020-02-04 미래전기기술단(주) 철탑의 배전선로 설치구조
KR102102662B1 (ko) * 2019-11-25 2020-04-22 김춘동 배전선로 전주용 감전 경보 장치
KR102246311B1 (ko)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주에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912A (ko) * 2006-01-20 2007-07-25 권오주 전선용 결선구
KR100898150B1 (ko) 2008-12-04 2009-05-19 (주)진주전력감리단 가공배전선의 지지완철
KR102073163B1 (ko) * 2019-06-11 2020-02-04 미래전기기술단(주) 철탑의 배전선로 설치구조
KR102102662B1 (ko) * 2019-11-25 2020-04-22 김춘동 배전선로 전주용 감전 경보 장치
KR102246311B1 (ko)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주에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348872B1 (ko) * 2021-09-06 2022-01-11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간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송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1777411B1 (ko) 송배전 고압케이블의 인입장치구조
KR102333251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2491367B1 (ko)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KR102493927B1 (ko) 편의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KR101732081B1 (ko)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KR100835136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0809146B1 (ko) 통전 도체들 및 장비에 섬락 방지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
US2838595A (en) Power conductor isolator
KR101061231B1 (ko) 전기 연결 디바이스, 전기 공급 시스템 및 섬유화 설비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090060028A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KR20210135182A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CA2946380C (en) Temporary transfer bus
CN110224348B (zh) 一种隔离低压电缆分支箱内带电部位的带电接线方法
KR102397071B1 (ko)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장치
JP5794902B2 (ja)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KR102657609B1 (ko) 고정용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설치기구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CN201312079Y (zh) 插板法带电更换500kv非典型直线塔中间悬垂绝缘子的卡具
KR102472682B1 (ko) 낙뢰 보호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N205004692U (zh) 一种纺织机械电控系统中线索定向分布固定结构
CN208955525U (zh) 一种10kv一体化变台成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