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82A - 전주용 완금구조물 - Google Patents

전주용 완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182A
KR20210135182A KR1020210147887A KR20210147887A KR20210135182A KR 20210135182 A KR20210135182 A KR 20210135182A KR 1020210147887 A KR1020210147887 A KR 1020210147887A KR 20210147887 A KR20210147887 A KR 20210147887A KR 20210135182 A KR20210135182 A KR 20210135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pole
wanggeum
integrate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278B1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4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연결안내부에 의해 완금의 내측에서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피뢰기의 접지선이 통합선과 통합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조류 둥지로 인한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는 전주용 완금구조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주용 완금구조물은 전주의 둘레면에 장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중케이블과 피뢰기를 지지하는 완금 및 상기 완금에 형성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상기 피뢰기의 접지선을 상기 완금의 내측에서 전주로부터 배선되는 통합선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연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용 완금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완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안내부에 의해 완금의 내측에서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피뢰기의 접지선이 통합선과 통합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조류 둥지로 인한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는 전주용 완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고압선은 옥외에 설치되는 전주에 부설되는 완금을 통하여 배선되고, 고압선이 배선된 전주의 완금은 까치나 제비 등의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조류가 전주의 완금을 이용하여 나뭇가지나 철선 토막으로 둥지를 틀어 고압선을 합선시킴에 따라 정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고압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전하는데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정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위적으로 전주의 완금에 조류들이 둥지를 틀지 못하도록 퇴치하거나 이미 지어놓은 조류둥지를 철거하여 왔으나, 조류둥지가 철거된 전주의 완금을 이용하여 조류가 다시 둥지를 트는 악순환이 반복되었으며, 조류둥지를 철거하는데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어 엄청난 예산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47호(2009.02.17. 등록, 명칭: 조류둥지로 인한 정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주의 완금구조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결안내부에 의해 완금의 내측에서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피뢰기의 접지선이 통합선과 통합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조류 둥지로 인한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는 전주용 완금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은 전주의 둘레면에 장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중케이블과 피뢰기를 지지하는 완금 및 상기 완금에 형성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상기 피뢰기의 접지선을 상기 완금의 내측에서 전주로부터 배선되는 통합선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연결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밴드부의 둘레면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완금을 지지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는 접지클램프가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고정 배치되어 상기 통합선의 처짐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안내부는 상기 완금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성선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부 및 상기 완금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선이 유입되는 제2유입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클램프는 볼트를 풀면 상기 통합선이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도록 사이 공간이 벌어지고, 볼트를 조이면 상기 통전선을 이탈 방지 가능하게 가압하도록 사이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은 연결안내부에 의해 완금의 내측에서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피뢰기의 접지선이 전주로부터 배선되는 통합선과 통합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류 둥지의 축조로 인한 전기적 사고가 예방되어 사후 복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류 둥지의 순시로 인한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이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완금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0), 지지브라켓(20), 완금(30) 및 연결안내부(40)를 포함한다.
밴드부(10)는 전주(3)의 둘레면에 장착되고, 지지브라켓(20)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밴드부(10)는 전주(3)의 둘레면 일측을 커버하는 반원형의 제1커버부재(11)와, 전주(3)의 둘레면 타측을 커버하도록 반원형의 제2커버부재(12) 및 제1커버부재(11)와 제2커버부재(12)의 양단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착탈연결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커버부재(11)에 형성된 착탈연결부(13)와 제2커버부재(12)에 형성된 착탈연결부(13)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제1커버부재(11)와 제2커버부재(12)는 상호 마주하도록 전주(3)를 커버시 단부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된다. 이로써, 제1커버부재(11)에 형성된 착탈연결부(13)와 제2커버부재(12)에 형성된 착탈연결부(13)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간격을 줄이면 제1커버부재(11)와 제2커버부재(12)는 전주(3)를 가압하여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20)은 밴드부(10)에 T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완금(3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커버부재(11)와 제2커버부재(12) 중 어느 하나의 둘레면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21) 및 연장부재(2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완금(30)을 지지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이때, 연장부재(21)의 상측면에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둥지의 조성을 방지하도록 반호형의 볼록부가 하나 이상으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지지부재(22)에는 연결안내부(40)의 제1유입홀부(41)와 연통되어 중성선(5a)의 유입을 허용하는 연통홀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수용지지부재(22)에 수용되는 완금(30)이 연장부재(21)에 의해 밴드부(10)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조류의 둥지 조성을 위한 축조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완금(30)에 설치되는 설비의 고장 및 정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완금(30)은 지지브라켓(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중케이블(5)과 피뢰기(7)를 지지한다. 이러한 완금(3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개구되어 ㄷ자 형태를 가진 관으로 형성되어 수용지지부재(22)에 수용된다. 이러한 완금(30)은 개구 부위가 전주(3)를 향하도록 수용지지부재(22)에 수용되고, 수용지지부재(22)에 수용시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지중케이블(5)을 수직하게 지지하는 제1고정브라켓(31)이 완금(30)의 개구 부위 반대편에 고정 결합되고, 피뢰기(7)를 지지하는 제2고정브라켓(32)이 완금(30)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결합된다. 물론, 제1고정브라켓(31)과 제2고정브라켓(32)의 위치는 완금(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변시키도록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안내부(40)는 완금(30)에 형성되어 지중케이블(5)의 중성선(5a)과 피뢰기(7)의 접지선(7a)이 완금(30)의 내측에서 전주(3)로부터 배선되는 통합선(3a)과 연결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연결안내부(40)는 완금(3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중성선(5a)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부(41) 및 완금(3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접지선(7a)이 유입되는 제2유입홀부(4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중성선(5a)과 접지선(7a)은 완금(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구획되게 배선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완금(30)의 내측에서 꼬이거나 얽히게 배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성선(5a)과 접지선(7a)은 완금(30)의 내측에 배선된 부위가 제2고정브라켓(32)에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완금(30)의 개구 부위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중성선(5a) 및 접지선(7a)은 완금(30)의 내측에 정렬 가능하게 배선되고, 완금(30)의 외부로 돌출 방지됨에 따라 조류가 완금(30)을 이용하여 나뭇가지나 철선 조각으로 둥지를 틀더라도 합선으로 인한 고장을 효과적으로 예방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유입홀부(41)와 제2유입홀부(42)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21)에는 관통홀부(21a)가 형성되고, 관통홀부(21a)에는 접지클램프(22)가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고정 배치되어 통합선(3a)의 처짐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지클램프(22)는 볼트를 풀면 사이 공간을 벌려 통합선(3a)을 개재시키고, 볼트를 조이면 접지클램프(22)의 사이를 좁혀 통전선(3a)을 고정 가능하게 가압한다.
이로써, 통합선(3a)을 중성선(5a)과 접지선(7a)에 연결하는 배선 작업시 접지클램프(22)가 통합선(3a)을 처짐 없이 연장부재(21)의 측면으로 경유시키면서 완금(30)의 개구 부위로 진입되도록 안내하기 때문에 통합선(3a)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바인딩 작업을 생략시킬 수 있어 배선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밴드부 11: 제1커버부재
12: 제2커버부재 13: 착탈연결부
20: 지지브라켓 21: 연장부재
22: 수용지지부재 23: 접지클램프
30: 완금 31: 제1고정브라켓
32: 제2고정브라켓 40: 연결안내부
41: 제1유입홀부 42: 제2유입홀부

Claims (2)

  1. 전주의 둘레면에 장착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중케이블과 피뢰기를 지지하는 완금; 및
    상기 완금에 형성되어 상기 지중케이블의 중성선과 상기 피뢰기의 접지선을 상기 완금의 내측에서 전주로부터 배선되는 통합선과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연결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밴드부의 둘레면에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완금을 지지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재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부에는 접지클램프가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고정 배치되어 상기 통합선의 처짐을 방지시키고,
    상기 접지클램프는 볼트를 풀면 상기 통합선이 분리 가능하게 개재되도록 사이 공간이 벌어지고, 볼트를 조이면 상기 통합선을 이탈 방지 가능하게 가압하도록 사이 공간이 좁아지며,
    상기 연장부재의 상측면에는 둥지의 조성을 방지하도록 반호형의 볼록부가 하나 이상으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완금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안내부는,
    상기 완금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성선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부; 및
    상기 완금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선이 유입되는 제2유입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7A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36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887A KR102365278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507A KR102322645B1 (ko) 2019-10-08 2019-10-08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7A KR102365278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07A Division KR102322645B1 (ko) 2019-10-08 2019-10-08 전주용 완금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82A true KR20210135182A (ko) 2021-11-12
KR102365278B1 KR102365278B1 (ko) 2022-02-23

Family

ID=7574360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07A KR102322645B1 (ko) 2019-10-08 2019-10-08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6A KR102365277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7A KR102365278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8A KR102365279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507A KR102322645B1 (ko) 2019-10-08 2019-10-08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10147886A KR102365277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888A KR102365279B1 (ko) 2019-10-08 2021-11-01 전주용 완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22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46B1 (ko) * 2021-11-16 2022-05-17 주식회사 백두 낙뢰피해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756Y1 (ko) * 2000-05-03 2000-11-01 한보공업주식회사 전주의 배전선로 가설용 경완금
KR200299518Y1 (ko) * 2002-09-18 2002-12-31 한국전력공사 배전자재의 cos 완금 편출 지지대
KR200431117Y1 (ko) * 2006-09-07 2006-11-1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점퍼선 내장형 완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756Y1 (ko) * 2000-05-03 2000-11-01 한보공업주식회사 전주의 배전선로 가설용 경완금
KR200299518Y1 (ko) * 2002-09-18 2002-12-31 한국전력공사 배전자재의 cos 완금 편출 지지대
KR200431117Y1 (ko) * 2006-09-07 2006-11-1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점퍼선 내장형 완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277B1 (ko) 2022-02-23
KR102365278B1 (ko) 2022-02-23
KR20210041825A (ko) 2021-04-16
KR102365279B1 (ko) 2022-02-23
KR102322645B1 (ko) 2021-11-09
KR20210135183A (ko) 2021-11-12
KR20210135181A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53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2365277B1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51522B1 (ko) 접지선 연결기구
US3180920A (en) Terminal device for underground cable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KR102344312B1 (ko) 전선방호용 커버장치
US3309456A (en) Above ground terminal tap enclosure for subterranean cables
KR20200142659A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JP6565582B2 (ja) 引込線の途中支持工法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CN208955523U (zh) 10kv一体化变台成套设备
KR20210001355U (ko) 전기 케이블 보호관의 체결구조
CN213905780U (zh) 一种智能高压电缆终端的联锁保护装置
CN204720922U (zh) 用于配电线路直线电杆支柱瓷瓶的绝缘保护装置
KR102491367B1 (ko) 분기기능이 마련된 가공배전선 지지용 스트랍장치
KR102590561B1 (ko) 가공배전선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한 가공배전기기
KR102417971B1 (ko) 전주용 완금 밴드
CN103149653B (zh) 光缆固定分支器
CN203849480U (zh) 光缆固定保护架
CN214280873U (zh) 一种可快速安装的集成式高强度绝缘横担
CN113782994A (zh) 一种用于架空线缆的多位接地装置
KR102045755B1 (ko) 가공배전라인 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