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081B1 -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081B1
KR101732081B1 KR1020170014939A KR20170014939A KR101732081B1 KR 101732081 B1 KR101732081 B1 KR 101732081B1 KR 1020170014939 A KR1020170014939 A KR 1020170014939A KR 20170014939 A KR20170014939 A KR 20170014939A KR 101732081 B1 KR101732081 B1 KR 10173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fixing
support
nut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주
Original Assignee
동재감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재감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재감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지선지지대를 보호하고, 점퍼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 설비의 유지보수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완철(1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의 삽입홈(11)이 구비되어, 전주(P)에 설치되는 제1완철(10)과;
제2완철(2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제1완철(10)의 삽입홈(11)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호 형상의 삽입홈(21)을 갖추고서, 제1완철(10)과 대향되게 전주(P)에 설치되는 제2완철(2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31)과, 상기 이동공간(3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3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3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33)과, 제1커버패널(3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1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34,35) 및, 제1커버패널(3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36)를 갖추고서, 제1커버패널(30)의 하단이 제1완철(10)의 삽입홈(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커버패널(3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41)과, 상기 이동공간(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4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4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4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43) 및, 제2커버패널(4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2완철(2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44,45)을 갖추고서, 제2커버패널(40)의 하단이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이 연통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이 연통되게 배치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커버패널(40)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51a)을 구비하여 제1완철(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1)와, 상기 지지대(51)의 나사홀(5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에 삽입되는 고정체(52)를 갖춘 제1고정기구(50)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61a)을 구비하여 제2완철(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나사홀(6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에 삽입되는 고정체(62)를 갖춘 제2고정기구(60)와;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 제1커버패널(30)의 연결공간(3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71a), 상기 볼트부(7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1커버패널(3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71b)를 구비한 지지체(71)와,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72) 및,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7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73)를 갖춘 제1지지기구(70)와;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 제2커버패널(40)의 안착부(42), 제2커버패널(40)의 연결공간(4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81a), 상기 볼트부(8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2커버패널(4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81b)를 구비한 지지체(81)와,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82) 및,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8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83)를 갖춘 제2지지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Equipment For Fixing A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지선지지대를 보호하고, 점퍼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 설비의 유지보수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를 통해 가공배전선이 가설된다.
또한, 전주의 상단에는 피뢰침의 역할을 하는 가공지선지지대가 설치되고, 각각의 전주에 설치된 가공지선지지대 사이는 가공배전선의 상방에 가설되는 가공지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종래에는 완철에 가공지선지지대 커버(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5637호 참조)가 설치되어, 가공배전 관련 설비를 유지보수관리(전설이설, 애자교체, 기기신설 및 기기교체 등)할 시, 가공배전선과 가공지선지지대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유지보수관리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완철에서 점퍼선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 이런 점퍼선은 상기 유지보수관리를 할 시 작업 공간을 차지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방해하고 작업시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공배전선로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가공지선지지대를 보호하고, 점퍼선의 고정위치를 임시로 바꿈으로써 점퍼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상기 유지보수관리를 할 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5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지선지지대를 보호하고, 점퍼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가공배전선로 설비의 유지보수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완철(1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의 삽입홈(11)이 구비되어, 전주(P)에 설치되는 제1완철(10)과;
제2완철(2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제1완철(10)의 삽입홈(11)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호 형상의 삽입홈(21)을 갖추고서, 제1완철(10)과 대향되게 전주(P)에 설치되는 제2완철(2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31)과, 상기 이동공간(3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3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3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33)과, 제1커버패널(3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1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34,35) 및, 제1커버패널(3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36)를 갖추고서, 제1커버패널(30)의 하단이 제1완철(10)의 삽입홈(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커버패널(3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41)과, 상기 이동공간(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4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4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4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43) 및, 제2커버패널(4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2완철(2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44,45)을 갖추고서, 제2커버패널(40)의 하단이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이 연통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이 연통되게 배치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커버패널(40)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51a)을 구비하여 제1완철(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1)와, 상기 지지대(51)의 나사홀(5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에 삽입되는 고정체(52)를 갖춘 제1고정기구(50)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61a)을 구비하여 제2완철(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나사홀(6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에 삽입되는 고정체(62)를 갖춘 제2고정기구(60)와;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 제1커버패널(30)의 연결공간(3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71a), 상기 볼트부(7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1커버패널(3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71b)를 구비한 지지체(71)와,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72) 및,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7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73)를 갖춘 제1지지기구(70)와;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 제2커버패널(40)의 안착부(42), 제2커버패널(40)의 연결공간(4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81a), 상기 볼트부(8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2커버패널(4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81b)를 구비한 지지체(81)와,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82) 및,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8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83)를 갖춘 제2지지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에 점퍼선(J)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가공배전설비를 유지보수관리할 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중 점퍼선(J)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지선지지대(S)를 보호하는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에 제1지지기구(70) 및 제2지지기구(80)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점퍼선(J)의 길이에 상관없이 점퍼선(J)을 전주(P)에 가깝게 고정할 수 있어, 상기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제1완철(10)의 삽입홈(11) 및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어,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의 표시부(36) 확인을 통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을 연통시키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을 연통시킬 수 있어, 제1고정기구(50) 및 제2고정기구(60)를 통해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제1완철(10) 및 제2완철(20)에 고정할 시 고정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기구(70) 및 제2지지기구(80)를 통해 점퍼선(J)을 고정할 시, 점퍼선(J)의 굵기에 상관없이 점퍼선(J)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통해 가공지선지지대(S)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제1커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제2커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제1커버패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는 도 9에 대응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에 점퍼선을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제1커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제2커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Z-Z선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는 제1완철(10)과, 제2완철(20)과, 제1커버패널(30)과, 제2커버패널(40)과, 제1고정기구(50)와, 제2고정기구(60)와, 제1지지기구(70) 및, 제2지지기구(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완철(10)은 제1완철(1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의 삽입홈(11)이 구비되어, 전주(P)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완철(10)은 전체적으로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완철(20)은 제2완철(2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제1완철(10)의 삽입홈(11)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호 형상의 삽입홈(21)을 갖추고서, 제1완철(10)과 대향되게 전주(P)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완철(20)은 전체적으로 사각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은 이동공간(31)과, 안착부(32)과, 연결공간(33)과, 제1,2고정홀(34,35) 및, 표시부(36)를 갖추고서, 제1커버패널(30)의 하단이 제1완철(10)의 삽입홈(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커버패널(3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커버패널(30)은 상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은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32)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연결공간(33)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공간(33)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은 제1커버패널(30)의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제1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은 제1커버패널(30)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제1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커버패널(30)의 표시부(36)는 제1커버패널(30)의 양측 단부 표면에 구비된다. 도면상에 상기 표시부(36)는 부피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굵은 직선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은 이동공간(41)과, 안착부(42)와, 연결공간(43)과, 제1,2고정홀(44,45)을 갖추고서, 제2커버패널(40)의 하단이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이 연통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이 연통되게 배치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커버패널(4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커버패널(40)은 상면이 호 형상을 이루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2커버패널(40)은 제1커버패널(30)보다 크며, 제2커버패널(40)의 단부가 제1커버패널(30)의 표시부(36)에 위치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의 안착부(42)는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42)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의 연결공간(43)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41)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공간(43)은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은 제2커버패널(34)의 좌측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제2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은 제2커버패널(40)의 우측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제2완철(20)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고정기구(50)는 지지대(51)와, 고정체(52)를 갖춘다.
상기 제1고정기구(50)의 지지대(51)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51a)을 구비하여 제1완철(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기구(50)의 고정체(52)는 제1고정기구(50)의 지지대(51)의 나사홀(5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에 삽입된다.
상기 제2고정기구(60)는 지지대(61)와, 고정체(62)를 갖춘다.
상기 제2고정기구(60)의 지지대(61)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61a)을 구비하여 제2완철(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기구(60)의 고정체(62)는 제2고정기구(60)의 지지대(61)의 나사홀(6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에 삽입된다.
상기 제1지지기구(70)는 지지체(71)와, 제1너트(72) 및, 제2너트(73)를 갖춘다.
상기 제1지지기구(70)의 지지체(71)는 볼트부(71a)와, 걸림부(71b)를 갖춘다.
상기 제1지지기구(70)의 볼트부(71a)는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 제1커버패널(30)의 연결공간(3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지지기구(70)의 걸림부(71b)는 제1지지기구(70)의 볼트부(7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1커버패널(3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지지기구(70)의 제1너트(72)는 제1지지기구(70)의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제1지지기구(70)의 제2너트(83)는 제1지지기구(70)의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1지지기구(70)의 제1너트(72)와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2지지기구(80)는 제1지지체(81)와, 제1너트(82) 및, 제2너트(83)를 갖춘다.
상기 제2지지기구(80)의 제1지지체(81)는 볼트부(81a)와, 걸림부(81b)를 갖춘다.
상기 제2지지기구(80)의 볼트부(81a)는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 제2커버패널(40)의 안착부(42), 제2커버패널(40)의 연결공간(4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지지기구(80)의 걸림부(81b)는 제2지지기구(80)의 볼트부(8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2커버패널(4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지지기구(80)의 제1너트(82)는 제2지지기구(80)의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제2지지기구(80)의 제2너트(83)는 제2지지기구(80)의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2지지기구(80)의 제1너트(82)와 이격되게 위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에서 점퍼선이 제1커버패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는 도 9에 대응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에 점퍼선을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제1완철(10) 및 제2완철(20)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제1커버패널(30)의 양단 하부를 제1완철(10)의 삽입홈(11) 및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각각 삽입하고, 제2커버패널(30)의 양단 하부를 제1완철(10)의 삽입홈(11) 및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각각 삽입한 후, 제1커버패널(30)의 표시부(36)를 보면서 제2커버패널(30)의 양측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이 연통하게 위치시키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이 연통하게 위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1고정기구(50)의 고정체(52)를 회전시켜 제1고정기구(50)의 고정체(52)를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에 삽입시키고, 제2고정기구(60)의 고정체(62)를 회전시켜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에 삽입시켜,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고정시킨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선(L)은 가공배전선애자(I1)에 지지되고, 각각의 가공배전선(L)은 점퍼선애자(I2)에 지지되는 점퍼선(J)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가공배전선애자(I1)는 제1,2완철(10,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점퍼선애자(I2)는 제1완철(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가공배전선애자(I1)와 전주(P)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공배전 관련 설비를 유지보수관리 하기 위해 전주(P)에 접근할 시, 점퍼선(J)이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차지해,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가 불편하다.
이때, 작업자는 점퍼선(J)의 길이를 가만하여, 제1지지기구(70)의 지지체(71)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 8과 같이 제1지지기구(70)를 배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지지기구(70)의 지지체(71)의 볼트부(71a)를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에 안착시킨 후, 제1지지기구(70)의 제1너트(72)를 조여 제1지지기구(70)를 제1커버패널(30)에 고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점퍼선(J)을 잡아당겨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점퍼선(J)을 제1지지기구(70)에 건다.
여기서, 작업자는 점퍼선(J)의 굵기에 따라 제1지지기구(70)의 제2너트(73)를 회전시켜 도 12와 같이 제1지지기구(70)의 제2너트(73)와 제1지지기구(70)의 제1너트(72)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바람 등이 불어 점퍼선(J)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을 시, 제1지지기구(70)의 제2너트(73)를 회전시켜 제1지지기구(70)의 제2너트(73)를 점퍼선(J)에 밀착시킴으로써 제1지지기구(70)에 점퍼선(J)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에 점퍼선(J)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가공배전설비를 유지보수관리할 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중 점퍼선(J)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지선지지대(S)를 보호하는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에 제1지지기구(70) 및 제2지지기구(80)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점퍼선(J)의 길이에 상관없이 점퍼선(J)을 전주(P)에 가깝게 고정할 수 있어, 상기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제1완철(10)의 삽입홈(11) 및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어,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이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의 표시부(36) 확인을 통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을 연통시키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을 연통시킬 수 있어, 제1고정기구(50) 및 제2고정기구(60)를 통해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제1완철(10) 및 제2완철(20)에 고정할 시 고정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기구(70) 및 제2지지기구(80)를 통해 점퍼선(J)을 고정할 시, 점퍼선(J)의 굵기에 상관없이 점퍼선(J)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버패널(30) 및 제2커버패널(40)을 통해 가공지선지지대(S)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설비를 유지보수관리할 시, 가공배전선로 중 하나인 점퍼선(J)의 위치를 변화시켜, 유지보수관리 작업 중 가공배전선로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로 정의하였다.
10; 제1완철 20; 제2완철
30; 제1커버패널 40; 제2커버패널
50; 제1고정기구 60; 제2고정기구
70; 제1지지기구 80; 제2지지기구

Claims (1)

  1. 제1완철(1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의 삽입홈(11)이 구비되어, 전주(P)에 설치되는 제1완철(10)과;
    제2완철(20)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되 제1완철(10)의 삽입홈(11)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호 형상의 삽입홈(21)을 갖추고서, 제1완철(10)과 대향되게 전주(P)에 설치되는 제2완철(2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31)과, 상기 이동공간(3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3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3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3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33)과, 제1커버패널(3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1완철(1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34,35) 및, 제1커버패널(3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표시부(36)를 갖추고서, 제1커버패널(30)의 하단이 제1완철(10)의 삽입홈(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커버패널(30)과;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이동공간(41)과, 상기 이동공간(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간(41)과 연통되는 다수의 안착부(42)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공간(41)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공간(43) 및, 제2커버패널(40)의 좌우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게 각각 구비되며 제2완철(2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제1,2고정홀(44,45)을 갖추고서, 제2커버패널(40)의 하단이 제2완철(20)의 삽입홈(2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과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이 연통되고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과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이 연통되게 배치되며, 전주(P)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S)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커버패널(40)과;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51a)을 구비하여 제1완철(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1)와, 상기 지지대(51)의 나사홀(5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1고정홀(34)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1고정홀(44)에 삽입되는 고정체(52)를 갖춘 제1고정기구(50)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홀(61a)을 구비하여 제2완철(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나사홀(6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커버패널(30)의 제2고정홀(35) 및 제2커버패널(40)의 제2고정홀(45)에 삽입되는 고정체(62)를 갖춘 제2고정기구(60)와;
    제1커버패널(30)의 이동공간(31), 제1커버패널(30)의 안착부(32), 제1커버패널(30)의 연결공간(3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71a), 상기 볼트부(7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1커버패널(3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71b)를 구비한 지지체(71)와,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72) 및, 상기 지지체(71)의 볼트부(7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1커버패널(3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7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73)를 갖춘 제1지지기구(70)와;
    제2커버패널(40)의 이동공간(41), 제2커버패널(40)의 안착부(42), 제2커버패널(40)의 연결공간(4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부(81a), 상기 볼트부(81a)의 후단에 구비되며 전주(P)와 제2커버패널(40)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부(81b)를 구비한 지지체(81)와,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너트(82) 및, 상기 지지체(81)의 볼트부(81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제2커버패널(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너트(82)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너트(83)를 갖춘 제2지지기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고정장치.
KR1020170014939A 2017-02-02 2017-02-02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KR10173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39A KR101732081B1 (ko) 2017-02-02 2017-02-02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39A KR101732081B1 (ko) 2017-02-02 2017-02-02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081B1 true KR101732081B1 (ko) 2017-05-04

Family

ID=5874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939A KR101732081B1 (ko) 2017-02-02 2017-02-02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18B1 (ko) 2017-03-27 2017-08-04 (주)경원엔지니어링 가공배전용 가공 배전선 설치대
KR102045749B1 (ko) * 2019-05-16 2019-11-18 김경현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179110B1 (ko) * 2020-01-20 2020-11-16 이정국 가공배전선로의 화재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035B1 (ko)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의 전주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 볼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035B1 (ko) 2014-10-21 2014-12-1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의 전주에 설치되는 가공지선지지대 볼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18B1 (ko) 2017-03-27 2017-08-04 (주)경원엔지니어링 가공배전용 가공 배전선 설치대
KR102045749B1 (ko) * 2019-05-16 2019-11-18 김경현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179110B1 (ko) * 2020-01-20 2020-11-16 이정국 가공배전선로의 화재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081B1 (ko)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KR101624726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식 애자
KR101764918B1 (ko) 가공배전용 가공 배전선 설치대
KR101764917B1 (ko) 화재방지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연결대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2333247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10890715A (zh) 一种用于输电线路地电位法带电安装的旁路引流工具及其处理缺陷作业方法
CN202712456U (zh) 一种可调角度电气接地线操作杆
CN105811306A (zh) 一种带电作业绝缘横担
KR101041732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791973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20070104760A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CN106285167A (zh) 一种杆塔下引电缆支撑横担
US11349229B2 (en) Grounding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kits and methods
CN104538888A (zh) 一种配网线路直线杆横担带电更换方法
KR20160052103A (ko) 양면복합 배전용 분전반에서의 전기 배선장치
CN106785942B (zh) 高压熔断器作业保护装置以及高压熔断器防触电作业方法
CN217669336U (zh) 一种便于取用工具的辅助工具架
CN205248737U (zh) 一种调节式环控柜母线座
CN204834898U (zh) 一种野外高压设备用快速接地装置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CN204597269U (zh) 一种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