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73B1 -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73B1
KR101791973B1 KR1020170061262A KR20170061262A KR101791973B1 KR 101791973 B1 KR101791973 B1 KR 101791973B1 KR 1020170061262 A KR1020170061262 A KR 1020170061262A KR 20170061262 A KR20170061262 A KR 20170061262A KR 101791973 B1 KR101791973 B1 KR 10179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nching line
bolt
branch sleeve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06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완철(F)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A1a)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A1b1)을 갖추고서 지지부(A1a)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탱부(A1b)를 갖춘 지지체(A1)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탱부(A1b)의 관통홀(A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A2a1)을 구비하여 지탱부(A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A2a)와, 상기 삽입체(A2a)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볼트체(A2b)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가까워지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멀어지도록 양단이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에 각각 나사산 결합되는 길이조절너트체(A2c) 및, 길이조절너트체(A2c)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체(A2d)를 갖춘 길이조절기구(A2) 및; 지지체(A1)의 관통홀(A1b1) 및 길이조절기구(A2)의 고정홀(A2a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A3a)와, 고정볼트(A3a)에 나사산 결합되며, 고정볼트(A3a)의 헤드부에 대향되도록 지탱부(A1b)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너트(A3b)를 갖춘 고정기구(A3)를 구비한 지지기구(A),
지지기구(A)의 제2볼트체(A2d)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커버(B),
분기선삽입부(11)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1a)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며 상기 안착홀(11a)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삽입홈(11b)과, 우측이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삽입홈(11c)과, 분기선삽입부(11)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는 삽입홀(11d)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상기 제1삽입홈(11b)과 연통되며 제1중간부재(2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나사홀(11e)과,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3삽입홈(11g) 및,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 우측부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상기 제3삽입홈(11g)과 연통되며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어 제2중간부재(3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나사홀(11f)을 갖춘 분기선삽입부(11)와; 점퍼선삽입부(12)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2a)과, 우측이 개구되어 점퍼선삽입부(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2b)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삽입홈(12b)과 연통되는 삽입홀(12c)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퍼선삽입부(12)를 갖춘 분기슬리브본체(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2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로부터 연장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2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1나사홀(11e) 및 상기 제1판재(21)의 걸림홀(21a1)과 연통되는 걸림홀(2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로부터 연장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2b)를 구비하며, 제1판재(2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22)를 갖춘 제1중간부재(20)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3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기 삽입부(31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3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2나사홀(11f) 및 상기 제1판재(31)의 걸림홀(31a1)과 연통되는 걸림홀(3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2a)와, 상기 삽입부(32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2b)를 구비하며, 제1판재(3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32)를 갖춘 제2중간부재(30)와: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고정밴드(41)와; 돌기(42a)를 구비하여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제1연결체(42)와; 고정밴드(41)의 좌측에 구비되는 볼트체(43)와; 고정밴드(4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44) 및; 좌측이 제2연결체(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측이 볼트체(43)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체(45)를 갖춘 밴딩기구(40) 및: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삽입홀(51)과, 상기 제1삽입홀(51)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삽입홀(52)을 갖추고서,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에 각각 삽입되어,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의 곡판부(21b) 및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의 곡판부(31b)를 각각 가압하는 탄성재질인 각각의 가압기구(50)를 갖추고서,
분기슬리브커버(B)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C),
분기슬리브커버(B)의 상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Rack Equipment For Aerial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배전시 22.9㎸의 특고압을 배전전압으로 하여 전기공급 장소의 주상변압기까지 공급하여 배전용 주상변압기에서 220V, 380V의 저압으로 변환한 다음 일반 가정이나 산업체 등의 전기 수요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에서 가공배전선은 또 다른 가공배전선인 점퍼선을 통해 연결되고 분기슬리브를 통해 점퍼선에서 분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분기슬리브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어, 점퍼선이 흔들릴시 점퍼선과 점퍼선과 연결되는 가공배전선 간이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분기슬리브가 다른 전선의 배치 위치 또는 가공배전라인 상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 설치 위치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분기슬리브에 고정된 점퍼선에 외력이 강하게 작용할 경우 분기슬리브에서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04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슬리브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가공배전선로 상의 케이블(점퍼선) 이탈을 방지하고, 완철 부분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외력이 작용할 시 분기슬리브본체에 고정된 점퍼선이 분기슬리브본체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조류에 의해 가공배전선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철(F)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A1a)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A1b1)을 갖추고서 지지부(A1a)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탱부(A1b)를 갖춘 지지체(A1)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탱부(A1b)의 관통홀(A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A2a1)을 구비하여 지탱부(A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A2a)와, 상기 삽입체(A2a)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볼트체(A2b)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가까워지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멀어지도록 양단이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에 각각 나사산 결합되는 길이조절너트체(A2c) 및, 길이조절너트체(A2c)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체(A2d)를 갖춘 길이조절기구(A2) 및; 지지체(A1)의 관통홀(A1b1) 및 길이조절기구(A2)의 고정홀(A2a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A3a)와, 고정볼트(A3a)에 나사산 결합되며, 고정볼트(A3a)의 헤드부에 대향되도록 지탱부(A1b)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너트(A3b)를 갖춘 고정기구(A3)를 구비한 지지기구(A),
지지기구(A)의 제2볼트체(A2d)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커버(B),
분기선삽입부(11)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1a)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며 상기 안착홀(11a)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삽입홈(11b)과, 우측이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삽입홈(11c)과, 분기선삽입부(11)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는 삽입홀(11d)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상기 제1삽입홈(11b)과 연통되며 제1중간부재(2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나사홀(11e)과,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3삽입홈(11g) 및,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 우측부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상기 제3삽입홈(11g)과 연통되며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어 제2중간부재(3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나사홀(11f)을 갖춘 분기선삽입부(11)와; 점퍼선삽입부(12)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2a)과, 우측이 개구되어 점퍼선삽입부(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2b)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삽입홈(12b)과 연통되는 삽입홀(12c)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퍼선삽입부(12)를 갖춘 분기슬리브본체(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2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로부터 연장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2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1나사홀(11e) 및 상기 제1판재(21)의 걸림홀(21a1)과 연통되는 걸림홀(2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로부터 연장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2b)를 구비하며, 제1판재(2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22)를 갖춘 제1중간부재(20)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3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기 삽입부(31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3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2나사홀(11f) 및 상기 제1판재(31)의 걸림홀(31a1)과 연통되는 걸림홀(3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2a)와, 상기 삽입부(32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2b)를 구비하며, 제1판재(3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32)를 갖춘 제2중간부재(30)와: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고정밴드(41)와; 돌기(42a)를 구비하여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제1연결체(42)와; 고정밴드(41)의 좌측에 구비되는 볼트체(43)와; 고정밴드(4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44) 및; 좌측이 제2연결체(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측이 볼트체(43)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체(45)를 갖춘 밴딩기구(40) 및: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삽입홀(51)과, 상기 제1삽입홀(51)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삽입홀(52)을 갖추고서,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에 각각 삽입되어,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의 곡판부(21b) 및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의 곡판부(31b)를 각각 가압하는 탄성재질인 각각의 가압기구(50)를 갖추고서,
분기슬리브커버(B)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C),
분기슬리브커버(B)의 상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기구(A)를 통해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지지기구(A)의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절을 할 수 있어, 점퍼선(JL)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발생기(D)를 통해 조류가 점퍼선(JL)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의해 고정된 점퍼선(JL)이 조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슬리브(C)를 통해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가 완철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슬리브본체, 제1중간부재, 제2중간부재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슬리브본체, 제1중간부재, 제2중간부재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밴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가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점퍼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분기슬리브본체가 압착된 상태에서 밴딩기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가 완철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슬리브본체, 제1중간부재, 제2중간부재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슬리브본체, 제1중간부재, 제2중간부재의 결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밴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가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점퍼선 및 분기선이 설치된 분기슬리브본체가 압착된 상태에서 밴딩기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는 지지기구(A)와, 분기슬리브커버(B)와, 분기슬리브(C) 및, 초음파발생기(D)를 갖춘다.
상기 지지기구(A)는 지지체(A1)와, 길이조절기구(A2) 및, 고정기구(A3)를 갖춘다.
상기 지지체(A1)는 지지부(A1a)와, 지탱부(A1b)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A1a)는 전주(P)에 설치된 완철(F)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에에서 지지부(A1a)는 볼팅 작업을 통해 완철(F)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탱부(A1b)는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A1b1)을 갖추고서 지지부(A1a)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탱부(A1b)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기구(A2)는 삽입체(A2a)와, 제1볼트체(A2b)와, 길이조절너트체(A2c) 및, 제2볼트체(A2d)를 갖춘다.
상기 삽입체(A2a)는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탱부(A1b)의 관통홀(A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A2a1)을 구비하여, 지탱부(A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볼트체(A2b)는 상기 삽입체(A2a)의 상단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볼트체(A2b)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너트체(A2c)는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가까워지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멀어지도록, 양단이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에 각각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너트체(A2c)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볼트체(A2d)는 길이조절너트체(A2c)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볼트체(A2d)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구(A3)는 고정볼트(A3a)와, 고정너트(A3b)를 갖춘다.
상기 고정볼트(A3a)는 지지체(A1)의 관통홀(A1b1) 및 길이조절기구(A2)의 고정홀(A2a1)을 관통하여, 길이조절기구(A2)의 삽입체(A2a)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고정너트(A3b)는 고정볼트(A3a)에 나사산 결합되며, 고정볼트(A3a)의 헤드부에 대향되도록 지탱부(A1b)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분기슬리브커버(B)는 지지기구(A)의 제2볼트체(A2d)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슬리브커버(B)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나뉘어져, 분기슬리브(C)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기슬리브커버(B)의 내부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를 구비하여, 분기슬리브(C)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기슬리브(C)는 분기슬리브본체(10)와, 제1중간부재(20)과, 제2중간부재(30)과, 밴딩기구(40) 및, 가압기구(50)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슬리브본체(10)는 분기선삽입부(11)와,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퍼선삽입부(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슬리브본체(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체 재질인 것이면 다양한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는 안착홀(11a)과, 제1삽입홈(11b)과, 제2삽입홈(11c)과, 삽입홀(11d)과, 제1나사홀(11e)과, 제3삽입홈(11g) 및, 제2나사홀(11f)을 갖춘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은 분기선삽입부(11)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개구된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은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며, 상기 안착홀(11a)의 하방에 구비된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은 우측이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삽입홈(11c)은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은 분기선삽입부(11)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11d)은 밴딩기구(40)의 제1연결체(42)가 삽입될 시 유격 공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1연결체(42)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11d)은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제1나사홀(11e)은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상기 제1삽입홈(11b)과 연통되며, 제1중간부재(2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B)는 별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1중간부재(20)을 분기선삽입부(11)에 임시 고정할 때 사용된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은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나사홀(11f)은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 우측부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상기 제3삽입홈(11g)과 연통되며,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어, 제2중간부재(3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B)는 별물로 구비되는 것으로, 제2중간부재(30)을 분기선삽입부(11)에 임시 고정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점퍼선삽입부(12)는 안착홀(12a)과, 삽입홈(12b) 및, 삽입홀(12c)을 갖춘다.
상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은 점퍼선삽입부(12)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개구된다.
상기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은 우측이 개구되어, 점퍼선삽입부(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12b)는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은 점퍼선삽입부(12)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삽입홈(12b)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12c)은 밴딩기구(40)의 제2연결체(43)가 삽입될 시 유격 공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2연결체(43)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12c)은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간부재(20)은 제1판재(21)와, 상기 제1판재(2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제2판재(22)를 갖춘다.
상기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2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로부터 연장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1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재(21)는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간부재(20)의 제2판재(22)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1나사홀(11e) 및 상기 제1판재(21)의 걸림홀(21a1)과 연통되는 걸림홀(2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로부터 연장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2b)를 구비하며, 제1판재(21)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판재(22)는 전선과 동일한 재질인 구리(동)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 및 제2판재(22)는 폭발 용접 등을 통해 서로 재질이 다른 제1판재(21) 및 제2판재(22)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슬리브본체(10)와 접촉하고, 제1중간부재(20)의 제2판재(22)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선(BL)과 접촉하여, 분기슬리브본체(10)와 분기선(BL)의 직접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부재(30)은 제1판재(31)와, 제1판재(3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제2판재(32)를 갖춘다.
상기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3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기 삽입부(31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1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재(31)는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중간부재(30)의 제2판재(32)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2나사홀(11f) 및 상기 제1판재(31)의 걸림홀(31a1)과 연통되는 걸림홀(3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2a)와, 상기 삽입부(32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2b)를 구비하며, 제1판재(31)의 내측에 고정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판재(32)는 전선과 동일한 재질인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재(31) 및 제2판재(32)는 폭발 용접 등을 통해 서로 재질이 다른 제1판재(31) 및 제2판재(32)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슬리브본체(10)와 접촉하고, 제1중간부재(30)의 제2판재(32)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선(BL)과 접촉하여, 분기슬리브본체(10)와 점퍼선(JL)의 직접 접촉에 의한 전해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밴딩기구(40)는 고정밴드(41)와, 제1연결체(42)와, 볼트체(43)와, 제2연결체(44) 및, 너트체(45)를 갖춘다.
상기 고정밴드(41)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41)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41)는 탄성재질 및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체(4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돌기(42a)를 구비하여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체(42)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체(42)는 탄성재질 및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체(43)는 고정밴드(41)의 좌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체(43)는 고정밴드(41)에 융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체(44)는 고정밴드(41)의 우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체(44)는 고정밴드(41)에 융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너트체(45)는 좌측이 제2연결체(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측이 볼트체(4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가압기구(50)는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삽입홀(51)과, 상기 제1삽입홀(51)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삽입홀(52)을 갖추고서,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에 각각 삽입되어,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의 곡판부(21b) 및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의 곡판부(31b)를 각각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기구(5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압기구(50)는 절연 및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가압기구(50)는 나사산 체결 방식을 통해 밴딩기구(40)의 제1연결체(4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지만, 단순한 압입고정 방식을 통해 밴딩기구(40)의 제1연결체(42)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기(D)는 조류가 싫어하는 대역의 초음파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의 주파수 영역은 20~27㎑의 주파수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발생기(D)는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 초음파를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점퍼선(JL)의 길이,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도 1과 같이 지지기구(A)에 분기슬리브커버(B)를 설치하여, 분기슬리브(C)가 지지기구(A)에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조절너트체(A2c)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1과 같이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를 늘리거나,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조절너트체(A2c)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를 줄여,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를 조절한 후, 지지기구(A)를 완철(F)에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길이조절기구(A2)를 회전시킨 후, 고정기구(A3)를 통해 길이조절기구(A2)를 지지체(A1)에 고정시켜, 도 12와 같이 길이조절기구(A2)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기구(A2)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면, 점퍼선(JL)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점퍼선(JL) 주변을 지나가는 또 다른 배전선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전주(P)에서 가공배전라인의 설비를 수리할 시 점퍼선(JL)의 위치를 임시로 옮겨 수리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발생기(D)에서 도 13과 같이 조류가 싫어하는 주파수를 주기적으로 출력하여, 조류가 지지기구(A)에 접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지지기구(A)에 고정된 점퍼선(JL)이 조류에 의해 분기슬리브(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작업자는 분기슬리브본체(10)에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볼트(B)를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제1나사홀(11e) 및 제2나사홀(11f)에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각각의 볼트(B)는 도 14와 같이 제1중간부재(20)의 걸림홀(21a1,22a1) 및 제2중간부재(30)의 걸림홀(31a1,32a1)에 각각 삽입되어,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임시고정한다. 그리고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분기슬리브본체(10)에 임시고정한 후, 점퍼선(JL)을 제2중간부재(30)에 삽입하고 분기선(BL)을 제1중간부재(20)에 삽입한다.
이때,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이 제2중간부재(30) 및 제1중간부재(20)에 각각 삽입될 시,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이 각각의 볼트(B)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이 분기슬리브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후, 볼트(B)를 분기슬리브본체(10)에서 분리한 후, 분기슬리브본체(10)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압착하면,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이 분기슬리브본체(10)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가 분기슬리브본체(10)의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 및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에 삽입되고, 가압기구(50)가 분기슬리브본체(10)의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 및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에 삽입되도록, 밴딩기구(40)를 분기슬리브본체(10)에 설치한다.
이때, 밴딩기구(40)의 제1연결체(42)가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때문에, 분기슬리브본체(10)의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과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 간의 간격, 또는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 간의 간격에 따라, 제1연결체(4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압기구(50)의 위치를 조절하여 밴딩기구(40)를 분기슬리브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의 표면에는 스크래치가 형성되어, 제1연결체(42)의 위치를 조절할 시, 이동 및 고정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기슬리브본체(10)에 밴딩기구(4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밴딩기구(40)의 양단을 당긴 후, 밴딩기구(40)의 너트체(45)와 볼트체(43)를 체결하여, 밴딩기구(40)의 양단을 고정한다.
그러면,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에 의해 분기슬리브본체(10)가 더욱 조여져,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이 분기선(BL) 및 점퍼선(JL)에 각각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분기선(BL) 및 점퍼선(JL)에 발생할 수 있는 전해 부식과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압기구(50)는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각각 가압하여, 분기선(BL) 및 점퍼선(JL)이 분기슬리브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가압기구(5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분기선(BL) 및 점퍼선(JL)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분기선(BL) 및 점퍼선(JL)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밴딩기구(40)의 너트체(45)를 도 15와 같이 회전시켜 너트체(45)의 회전량을 조절하면, 밴딩기구(40)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밴딩기구(40)의 고정력을 조절하여 밴딩기구(40)를 분기슬리브본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분기슬리브본체(10)를 교체할 시 새로운 분기슬리브본체(10)에 사용했던 밴딩기구(4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가압기구(50)는 클램핑본체(10)와 직접적으로 닿아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가압기구(50)만 교체하여 분기슬리브본체(10)에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압기구(50)의 양측에 제1삽입홀(51) 및 제2삽입홀(52)이 구비되어, 가압기구(50)의 위치만 바꾸면 가압기구(50)를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의 유지 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지기구(A)를 통해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지지기구(A)의 길이조절기구(A2)의 길이 및 설치 각도를 조절을 할 수 있어, 점퍼선(JL)의 설치 환경에 따라 점퍼선(JL)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발생기(D)를 통해 조류가 점퍼선(JL)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의해 고정된 점퍼선(JL)이 조류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재질인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를 통해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을 분기슬리브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탄성재질인 가압기구(50)를 통해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한번 더 가압 고정하여, 점퍼선(JL) 및 분기선(BL)을 분기슬리브본체(10)에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기구(5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기구(50)가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각각 가압할 시,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기구(40)를 재사용할 시 가압기구(50)의 효율적인 재활용 및 교체를 통해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의 유지 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B)를 통해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임시고정한 후, 분기선(BL) 및 점퍼선(JL)을 분기슬리브본체(10)의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 및 분기슬리브본체(10)의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각각 삽입하면, 분기선(BL) 및 점퍼선(JL)의 삽입력에 의해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이 분기슬리브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볼트(B)가 제1중간부재(20)의 걸림홀(21a1,22a1) 및 제2중간부재(30)의 걸림홀(31a1,32a1)에 각각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임시 고정할 수 있으며,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의 배치위치를 정확하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기구(40)의 너트체(45)를 회전하여 너트체(45)와 볼트체(43)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밴드(41)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기구(40)의 제1연결체(42)가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밴딩기구(40)가 분기슬리브본체(10)를 감은 상태에서 밴딩기구(40)의 너트체(45)를 풀어 밴딩기구(40)의 고정밴드(41)의 고정을 느슨하게 한 후, 제1연결체(42)의 위치 조절하여 가압기구(50)를 제1중간부재(20) 및 제2중간부재(30)을 가압하기 최적의 위치에 배치한 다음, 밴딩기구(40)의 너트체(40)를 다시 조여 밴딩기구(40)를 분기슬리브본체(10)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상에 위치하는 케이블의 일종인 점퍼선(JL)을 고정하여, 풍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점퍼선(JL)이 가공배전선로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로 정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점퍼선)을 받치도록 설치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로 정의하였다.
A; 지지기구 A1; 지지체
A2; 길이조절기구 A3; 고정기구
B; 분기슬리브커버 C; 분기슬리브
10; 분기슬리브본체 11; 분기선삽입부
12; 점퍼선삽입부 20; 제1중간부재
21; 제1판재 22; 제2판재
30; 제2중간부재 31; 제1판재
32; 제2판재 40; 밴딩기구
41; 고정밴드 42; 제1연결체
43; 볼트체 44; 제2연결체
45; 너트체 50; 가압기구
51; 제1삽입홀 52; 제2삽입홀
D; 초음파발생기 JL; 점퍼선
BL; 분기선 B: 볼트

Claims (1)

  1. 완철(F)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A1a)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관통홀(A1b1)을 갖추고서 지지부(A1a)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탱부(A1b)를 갖춘 지지체(A1)와; 원호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지탱부(A1b)의 관통홀(A1b1)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A2a1)을 구비하여 지탱부(A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체(A2a)와, 상기 삽입체(A2a)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볼트체(A2b)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가까워지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가 멀어지도록 양단이 제1볼트체(A2b) 및 제2볼트체(A2d)에 각각 나사산 결합되는 길이조절너트체(A2c) 및, 길이조절너트체(A2c)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볼트체(A2d)를 갖춘 길이조절기구(A2) 및; 지지체(A1)의 관통홀(A1b1) 및 길이조절기구(A2)의 고정홀(A2a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A3a)와, 고정볼트(A3a)에 나사산 결합되며, 고정볼트(A3a)의 헤드부에 대향되도록 지탱부(A1b)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정너트(A3b)를 갖춘 고정기구(A3)를 구비한 지지기구(A),
    지지기구(A)의 제2볼트체(A2d)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커버(B),
    분기선삽입부(11)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1a)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며 상기 안착홀(11a)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삽입홈(11b)과, 우측이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삽입홈(11c)과, 분기선삽입부(11)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1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는 삽입홀(11d)과, 분기선삽입부(11)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상기 제1삽입홈(11b)과 연통되며 제1중간부재(2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나사홀(11e)과,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되는 제3삽입홈(11g) 및,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 우측부에 좌우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좌측이 상기 제3삽입홈(11g)과 연통되며 우측이 상기 제2삽입홈(11c)과 연통되어 제2중간부재(30)을 가압하기 위한 볼트(B)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나사홀(11f)을 갖춘 분기선삽입부(11)와; 점퍼선삽입부(12)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우측이 개구되는 안착홀(12a)과, 우측이 개구되어 점퍼선삽입부(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2b)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우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좌측이 상기 안착홀(12a)과 연통되고 우측이 상기 삽입홈(12b)과 연통되는 삽입홀(12c)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퍼선삽입부(12)를 갖춘 분기슬리브본체(10)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2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와, 상기 삽입부(21a)로부터 연장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2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1나사홀(11e) 및 상기 제1판재(21)의 걸림홀(21a1)과 연통되는 걸림홀(2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1삽입홈(11b)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2a)와, 상기 삽입부(22a)로부터 연장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안착홀(11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22b)를 구비하며, 제1판재(2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22)를 갖춘 제1중간부재(20)과:
    좌우 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홀(31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1a)와, 상기 삽입부(31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1b)를 구비하며, 분기슬리브본체(1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제1판재(31)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어 분기선삽입부(11)의 제2나사홀(11f) 및 상기 제1판재(31)의 걸림홀(31a1)과 연통되는 걸림홀(32a1)을 구비하여 분기선삽입부(11)의 제3삽입홈(11g)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32a)와, 상기 삽입부(32a)로부터 연장되며 점퍼선삽입부(12)의 안착홀(12a)에 삽입되는 곡판 형상의 곡판부(32b)를 구비하며, 제1판재(31)의 내측에 고정배치되는 구리 재질의 제2판재(32)를 갖춘 제2중간부재(30)와: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분기선삽입부(11)의 제2삽입홈(11c)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홈(12b)에 삽입되는 탄성재질의 고정밴드(41)와; 돌기(42a)를 구비하여 고정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제1연결체(42)와; 고정밴드(41)의 좌측에 구비되는 볼트체(43)와; 고정밴드(4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44) 및; 좌측이 제2연결체(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우측이 볼트체(43)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체(45)를 갖춘 밴딩기구(40) 및: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1삽입홀(51)과, 상기 제1삽입홀(51)과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1연결체(42)의 돌기(4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제2삽입홀(52)을 갖추고서, 분기선삽입부(11)의 삽입홀(11d) 및 점퍼선삽입부(12)의 삽입홀(12c)에 각각 삽입되어, 제1중간부재(20)의 제1판재(21)의 곡판부(21b) 및 제2중간부재(30)의 제1판재(31)의 곡판부(31b)를 각각 가압하는 탄성재질인 각각의 가압기구(50)를 갖추고서,
    분기슬리브커버(B)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C),
    분기슬리브커버(B)의 상부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기(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1020170061262A 2017-05-17 2017-05-17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10179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62A KR101791973B1 (ko) 2017-05-17 2017-05-17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62A KR101791973B1 (ko) 2017-05-17 2017-05-17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73B1 true KR101791973B1 (ko) 2017-11-01

Family

ID=6038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262A KR101791973B1 (ko) 2017-05-17 2017-05-17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19B1 (ko) 2018-06-11 2018-09-17 이경연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2024667B1 (ko) * 2019-07-10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800B1 (ko) *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625040B1 (ko) * 2016-03-21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800B1 (ko) *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101625040B1 (ko) * 2016-03-21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319B1 (ko) 2018-06-11 2018-09-17 이경연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2024667B1 (ko) * 2019-07-10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973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KR101625042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US8426773B2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CA2754830C (en)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KR200453840Y1 (ko) 부스바 가공기의 하부펀칭금형다이 고정장치
JP2015107526A (ja) 溶接トーチのための結合装置及びプラグ要素を有する接続システム
CN112186687A (zh) 一种单槽夹板与吊线抱箍装配体
KR101732081B1 (ko) 배전선로 보호가 가능한 배전선 고정장치
KR101041732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180917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1151875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787087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US10144086B2 (en) Wire feeder drive assembly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JP2012060720A (ja) 間接活線把持工具
KR101777402B1 (ko) 배전선 클램핑 장치
CN102758223A (zh) 在线测量铝电解槽阳极电流分布的装置
KR101777401B1 (ko) 배전 선로 분기슬리브
CN208548480U (zh) 多角度方向可调式高压接地杆
CN102255268A (zh) 母线绝缘子支撑结构
KR101618802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JP2007533112A (ja) 大電流ケーブル(hsケーブル)と水平面内に延び給電を行う母線との着脱自在な統合系
JP4550121B2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CN108933067B (zh) 轨道客车蓄电池箱熔断器总成
CN202150675U (zh) 一种母线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