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319B1 -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319B1
KR101899319B1 KR1020180066638A KR20180066638A KR101899319B1 KR 101899319 B1 KR101899319 B1 KR 101899319B1 KR 1020180066638 A KR1020180066638 A KR 1020180066638A KR 20180066638 A KR20180066638 A KR 20180066638A KR 101899319 B1 KR101899319 B1 KR 10189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branching
line
bran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연
Original Assignee
이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연 filed Critical 이경연
Priority to KR102018006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완철(A)에 고정되는 연결구(10); 연결구(10)에 설치되는 절연체(20); 절연체(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L)과 분기선(L')을 가압고정하는 배전선분기구(30); 배전선분기구(30)에 설치되어 배전선(L)과 분기선(L')의 이탈을 제한하는 분기구커버(40); 분기구커버(40)에 설치되어 배전선분기구(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0); 분기구커버(40)에 설치되어 절연체(20)와 배전선분기구(30) 및 분기구커버(40) 그리고 스토퍼(5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너트(6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전선 및 분기선의 자중에 의해 밴딩부가 벌어지려는 것을 밴딩부를 감싸고 있는 분기구커버의 밴딩부 변형방지부가 제한하므로(잡아주므로) 배전선 및 분기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선고정돌기가 배전선 및 분기선을 물고 있기 때문에 이탈의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 분기슬리브{Branch sleeve of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전선 및 분기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분기구커버로 배전선분기구를 감싸 줌으로서 배전선분기구의 밴딩부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배전선 및 분기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도체는 재질에 따라서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로 되어 있으며, 그 외부를 둘러싼 부분은 절연물질인 고무 등의 피복으로 되어 있다.
전선과 전선의 연결과 분기를 위해서는 전선을 분리하여 절단 후, 전선 상호간 외부 피복을 벗겨낸 후 분리슬리브로 접속을 한다.
분기슬리브는 구리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압착부위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빗물이나 분기슬리브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누전으로 이어지는 감전사고나 선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배전선과 연결부위 간의 고정성이 매우 취약해 인장력에 매우 약했으며, 이에 따라 분기슬리브 내에서 배전선이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4785호(2015.04.17)
본 발명은 배전선 및 분기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분기구커버로 배전선분기구를 감싸 줌으로서 배전선분기구의 밴딩부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배전선 및 분기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선의 길이에 따라 배전선분기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배전선로 분기슬리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된 완철에 축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구;
연결구에 고정되어 배전선과 완철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공이 형성된 분기구가이더가 단부에 형성된 절연체;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가압에 의해 밴딩되는 밴딩부를 갖추고서 일측면이 나란하게 개구된 배전선수용부 및 분기선수용부와, 배전선수용부와 분기선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며 요철공과 상호 연통되는 결합부와, 배전선수용부와 분기선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기구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배전선분기구;
배전선분기구의 일측면에 맞대어져 개구부를 막는 밀착부와, 제1걸림턱에 맞물리는 제2걸림턱을 갖추고서 밀착부의 양단부에 만곡되게 형성되어 밴딩부를 감싸 밴딩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딩부 변형방지부와, 밀착부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 및 요철공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볼트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분기구커버;
볼트가 관통되게 끼워지고 요철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배전선분기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
볼트에 체결되어 스토퍼가 요철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며, 배전선분기구로부터 분기구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너트로 구성되어,
배전선수용부 및 분기선수용부에 피복이 제거된 배전선 및 분기선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밴딩부를 가압하여 밴딩부에 의해 배전선과 분기선이 가압고정되도록 하고, 레일을 분기구가이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결합부와 요철공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며, 밴딩부 변형방지부에 의해 밴딩부가 감싸지도록 배전선분기구의 일측면으로 분기구커버를 밀착시켜 볼트를 결합부 및 요철공에 관통되게 끼우고 제1걸림턱에 제2걸림턱이 맞물리게 결합하며, 관통된 볼트에 스토퍼를 끼운 다음 요철공에 삽입하여 배전선분기구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분기구커버와 배전선분기구 및 분기구가이더 그리고 스토퍼를 상호 고정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전선 및 분기선의 자중에 의해 밴딩부가 벌어지려는 것을 밴딩부를 감싸고 있는 분기구커버의 밴딩부 변형방지부가 제한하므로(잡아주므로) 배전선 및 분기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선고정돌기가 배전선 및 분기선을 물고 있기 때문에 이탈의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전선분기구와 분기구커버는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에 의해 1차적으로 상호 결합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2차적으로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며, 절연체의 요철공에 끼워진 볼트에 의해 3차적으로 절연체와 배전선분기구 상호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절연체와 배전선분기구 및 분기구커버 상호 간의 결합력 및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배전선분기구와 분기구커버가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는 배전선분기구와 분기구커버를 잡지 않고도 볼트에 스토퍼 및 너트를 결합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전선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는 연결구(10)와 절연체(20) 배전선분기구(30), 분기구커버(40), 스토퍼(50) 및 너트(6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배전선(L) 및 분기선(L')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분기구커버(40)로 배전선분기구(30)를 감싸 줌으로서 배전선분기구(30)의 밴딩부(31a,32a)가 벌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배전선(L) 및 분기선(L')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선(L)의 길이에 따라 배전선분기구(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10)는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쇄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완철(A)에 끼워져 완철(A)과 연결구(10)를 관통하는 축핀(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절연체(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축핀(11)은 장볼트와 너트의 조립체를 의미하며, 연결구(10)는 축핀(1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20)는 완철(A)과 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는 현수애자로서, 연결구(10)에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절연체(20)의 타단에는 배전선분기구(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구가이더(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구가이더(21)는 단면이‘C’형상인 관으로 배전선분기구(30)의 레일(35)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분기구가이더(2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공(21a)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요철공(21a)에는 스토퍼(50)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분기구커버(40)와 함께 배전선분기구(3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철공(21a)은 배전선분기구(30)의 결합부(33:볼트가 끼워지는 구멍)와 상호 연통된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배전선분기구(30)는 타원형의 바로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성형하기 쉬운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상기 배전선분기구(30)에는 피복이 제거된 배전선(L) 및 분기선(L')이 각각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나란하게 개구된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의 양단부(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밴딩부(31a,32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밴딩부(31a,32a)는 가압용 기구(예:펜치)에 의해 밴딩되어(구부러져)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의 내측으로 수용된 배전선(L) 및 분기선(L')을 강하게 가압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의 내면에는 배전선(L) 및 분기선(L')의 내측으로 파고들어 배전선(L) 및 분기선(L')이 외력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전선고정돌기(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 사이에는 결합부(33)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결합부(33)는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의 개구된 방향으로 배전선분기구(30)를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후에 설명될 분기구커버(40)의 볼트(43)가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배전선분기구(30)에는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를 사이에 두고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걸림턱(34)은 결합부(33)를 기준으로 배전선분기구(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밴딩부(31a,32a)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걸림턱(34)은 이후에 설명될 분기구커버(40)의 제2걸림턱(42a)과 상호 맞물리며, 이에 의해 배전선분기구(30)로부터 분기구커버(4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배전선분기구(30)의 타측면에는 레일(35)이 일체로 형성되며, 레일(35)은 분기구가이더(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상기 분기구가이더(21)에 레일(35)을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배전선분기구(30)는 볼트(43)에 끼워져 요철공(21a)에 삽입되는 스토퍼(5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구커버(40)는 밀착부(41)와 밴딩부 변형방지부(42) 및 볼트(43)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부재이다.
상기 밀착부(41)는 배전선분기구(30)의 일측면에 맞대어져 개구부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딩부 변형방지부(42)는 밀착부(41)의 양단부에 만곡되게 형성되어 밴딩부(31a,32a)를 감싸 밴딩부(31a,32a)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밴딩부 변형방지부(42)에는 제1걸림턱(34)에 맞물리는 제2걸림턱(4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43)는 밀착부(41)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33) 및 요철공(21a)에 관통되게 끼워지며, 이 볼트(43)에는 스토퍼(50)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너트(60)가 체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전선(L) 및 분기선(L')의 자중에 의해 밴딩부(31a,32a)가 벌어지려는 것을 밴딩부(31a,32a)를 감싸고 있는 분기구커버(40)의 밴딩부 변형방지부(42)가 제한하므로(잡아주므로) 배전선(L) 및 분기선(L')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선고정돌기(36)가 배전선(L) 및 분기선(L')을 물고 있기 때문에 이탈의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전선분기구(30)와 분기구커버(40)는 제1걸림턱(34)과 제2걸림턱(42a)에 의해 1차적으로 상호 결합되고, 볼트(43)와 너트(50)에 의해 2차적으로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며, 절연체(20)의 요철공(21a)에 끼워진 볼트(43)에 의해 3차적으로 절연체(20)와 배전선분기구(30) 상호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절연체(20)와 배전선분기구(30) 및 분기구커버(40) 상호 간의 결합력 및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배전선분기구(30)와 분기구커버(40)가 제1걸림턱(34)과 제2걸림턱(42a)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작업자는 배전선분기구(30)와 분기구커버(40)를 잡지 않고도 볼트(43)에 스토퍼(50) 및 너트(60)를 결합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2와 도 3 및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5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블록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볼트(43)에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요철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배전선분기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와 도 3 및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너트(60)는 볼트(43)에 체결되어 스토퍼(50)가 요철공(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며, 배전선분기구(30)로부터 분기구커버(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슬리브의 전선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전선연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배전선분기구(30)의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로 각각 피복이 제거된 배전선(L)과 분기선(L')을 삽입한다.
그 다음 가압용 공구(예:펜치)를 이용하여 배전선분기구(30)의 밴딩부(31a,32a)를 가압하게 되면, 이에 의해 밴딩부(31a,32a)가 구부러지면서 배전선(L)과 분기선(L')을 가압고정하게 되며, 이때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 내에 형성된 전선고정돌기(36)는 배전선(L)과 분기선(L')의 외주면을 통해 내측으로 파고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분기구(30)에 의해 배전선(L)과 분기선(L')이 가압고정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분기구(30)를 레일(35)을 이용해 절연체(20)의 분기구가이더(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준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선분기구(30)의 일측면(배전선수용부와 분기선수용부가 형성된 면)으로 분기구커버(40)를 밀착시켜 주게 되면, 분기구커버(40)의 볼트(43)는 배전선분기구(30)의 결합부(33)를 지나 요철공(21a)에 관통되게 끼워지고, 배전선분기구(30)의 제1걸림턱(34)에 분기구커버(40)의 제2걸림턱(42a)이 맞물리면서 밴딩부 변형방지부(42)가 밴딩부(31a,32a)를 감싸게 되며, 최종적으로 배전선분기구(30)와 분기구커버(40)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선분기구(30)를 관통한 볼트(43)에 스토퍼(50)를 끼워준 다음 스토퍼(50)를 요철공(21a)에 삽입하여 배전선분기구(30)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너트(6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배전선분기구(3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요철공(21a)으로부터 스토퍼(50)가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만 너트(60)를 풀어준 다음 원하는 위치에 배전선분기구(30)가 배치되면 스토퍼(50)를 요철공(21a)에 삽입한 다음 너트(60)로 조여주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연결구 11: 축핀 20: 절연체
21: 분기구가이더 21a: 요철공 30: 배전선분기구
31: 배전선수용부 32: 분기선수용부 31a,32a: 밴딩부
33: 결합부 34: 제1걸림턱 35: 레일
36: 전선고정돌기 40: 분기구커버 41: 밀착부
42: 밴딩부 변형방지부 42a: 제2걸림턱 43: 볼트
50: 스토퍼 60: 너트 L: 배전선
L': 분기선 A: 완철

Claims (1)

  1. 전주에 고정된 완철(A)에 축핀(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구(10);
    연결구(10)에 고정되어 배전선(L)과 완철(A)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공(21a)이 형성된 분기구가이더(21)가 단부에 형성된 절연체(20);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가압에 의해 밴딩되는 밴딩부(31a,32a)를 갖추고서 일측면이 나란하게 개구된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와,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 사이에 형성되며 요철공(21a)과 상호 연통되는 결합부(33)와, 배전선수용부(31)와 분기선수용부(32)를 사이에 두고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턱(34)과, 타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기구가이더(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35)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배전선분기구(30);
    배전선분기구(30)의 일측면에 맞대어져 개구부를 막는 밀착부(41)와, 제1걸림턱(34)에 맞물리는 제2걸림턱(42a)을 갖추고서 밀착부(41)의 양단부에 만곡되게 형성되어 밴딩부(31a,32a)를 감싸 밴딩부(31a,32a)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딩부 변형방지부(42)와, 밀착부(41)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부(33) 및 요철공(21a)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볼트(43)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분기구커버(40);
    볼트(43)가 관통되게 끼워지고 요철공(2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배전선분기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50);
    볼트(43)에 체결되어 스토퍼(50)가 요철공(2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며, 배전선분기구(30)로부터 분기구커버(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너트(60)로 구성되어,
    배전선수용부(31) 및 분기선수용부(32)에 피복이 제거된 배전선(L) 및 분기선(L')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밴딩부(31a,32a)를 가압하여 밴딩부(31a,32a)에 의해 배전선(L)과 분기선(L')이 가압고정되도록 하고, 레일(35)을 분기구가이더(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결합부(33)와 요철공(21a)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며, 밴딩부 변형방지부(42)에 의해 밴딩부(31a,32a)가 감싸지도록 배전선분기구(30)의 일측면으로 분기구커버(40)를 밀착시켜 볼트(43)를 결합부(33) 및 요철공(21a)에 관통되게 끼우고 제1걸림턱(34)에 제2걸림턱(42a)이 맞물리게 결합하며, 관통된 볼트(43)에 스토퍼(50)를 끼운 다음 요철공(21a)에 삽입하여 배전선분기구(30)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볼트(43)에 너트(60)를 체결하여 분기구커버(40)와 배전선분기구(30) 및 분기구가이더(21) 그리고 스토퍼(50)를 상호 고정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20180066638A 2018-06-11 2018-06-11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189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38A KR101899319B1 (ko) 2018-06-11 2018-06-11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38A KR101899319B1 (ko) 2018-06-11 2018-06-11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319B1 true KR101899319B1 (ko) 2018-09-17

Family

ID=6372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638A KR101899319B1 (ko) 2018-06-11 2018-06-11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558B1 (ko) 2019-05-31 2019-10-15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지 가공배전라인용 분기슬리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45B1 (ko) 2003-10-28 2005-11-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KR100851249B1 (ko) 2008-05-09 2008-08-08 (주)한화종합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JP5564317B2 (ja) 2010-04-12 2014-07-30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大容量電線の接続装置
KR101684313B1 (ko) 2016-09-29 2016-12-0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KR101791973B1 (ko)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045B1 (ko) 2003-10-28 2005-11-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켓 절연 커버와 자켓 레일 커버를 이용하는 분기 슬리브결합구조
KR100851249B1 (ko) 2008-05-09 2008-08-08 (주)한화종합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JP5564317B2 (ja) 2010-04-12 2014-07-30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大容量電線の接続装置
KR101684313B1 (ko) 2016-09-29 2016-12-08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KR101791973B1 (ko)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558B1 (ko) 2019-05-31 2019-10-15 주식회사 넥스트이엔지 가공배전라인용 분기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869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99319B1 (ko)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JP3016117U (ja) ひずみ解放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JPS63260771A (ja) 可撓性の連続した材料を移動させるための掴み具
US2200380A (en) Electrical connector
FI70098B (fi) Kabelklaemma
FR2516315A1 (fr) Dispositif d'attache pour relier un cable a un support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US1948845A (en) Cable clamp
FR2704467A1 (fr) Elément de raccordement pour l'alimentation des équipements de soudage ou de découpage à arc électrique.
PL363970A1 (en) Anchor clamp for the termination of an overhead cable
CA2922175C (en) Fastening device
KR101704575B1 (ko) 케이블 변형 방지구 및 차폐 연결부를 구비한 전기 전도성 하우징
US3144500A (en) Terminal clamp for messengrer cable
KR101595514B1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US20180294582A1 (en) Armored Cable Ground Clamp
US3130261A (en) Dead end clamp
US4334726A (en) Bonding device
KR20110005129A (ko) 밴드케이블
PL226071B1 (pl) System mocowania dla izolowanego kabla elektrycznego, zawierajacy uchwyt mocujacy i lacznik dla polaczenia elektrycznego kabla elektrycznie izolowanego z uchwytem mocujacym
KR20140002002U (ko) 활선클램프장치
KR101667806B1 (ko) 전선 분기부 고정용 조인트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