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002U - 활선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활선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002U
KR20140002002U KR2020120008765U KR20120008765U KR20140002002U KR 20140002002 U KR20140002002 U KR 20140002002U KR 2020120008765 U KR2020120008765 U KR 2020120008765U KR 20120008765 U KR20120008765 U KR 20120008765U KR 20140002002 U KR20140002002 U KR 201400020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ve
support
connection
clam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학중
노희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20008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002U/ko
Publication of KR20140002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활선클램프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배전선로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본체부; 및 전선의 절연부와 활선부가 함께 본체부에 지지되도록 본체부에 결합되어 활선부를 본체부에 연결시키는 전선장악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의 절연부와 활선부를 함께 지지하여 강풍 등과 같이 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활선부 부분이 단선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배전선로의 고장 및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 파급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선클램프장치{CLAMP FOR FIXING LIVE WIRE}
본 고안은 활선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하용 전선을 배전선로에 연결하기 위한 활선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클램프는 인하용 전선을 배전선로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활선클램프는 인하용 전선의 활선 부분과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분기고리에 장착됨으로써 인하용 전선을 배전선로에 연결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9717호(2005년 12월 22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분기고리)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인하용 전선을 배전선로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활선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는: 배전선로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본체부; 및 전선의 절연부와 활선부가 함께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활선부를 상기 본체부에 연결시키는 전선장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연결고리연결부; 및 상기 전선장악부와 결합되어 상기 활선부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가 안착되어 연결되는 안착부와; 상기 연결고리를 상기 안착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연결고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를 지지하는 절연지지부; 및 상기 절연지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활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장악부는, 상기 전선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 및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기 전선연결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부는, 상기 절연지지부와 함께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제1전선지지부; 및 상기 절연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제2전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홀부는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장악부는 상기 제2전선지지부가 상기 삽입홀부 내부에서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고리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전선지지부는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활선지지부와 동일 직선 상에서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활선클램프장치에 따르면, 전선의 절연부와 활선부를 함께 지지하여 강풍 등과 같이 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활선부 부분이 단선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배전선로의 고장 및 배전선로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 파급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전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장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전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전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장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의 전선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300)는 본체부(100) 및 전선장악부(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배전선로(1)에 연결된 연결고리(2)와 연결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연결고리연결부(110) 및 전선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연결고리연결부(110)는 연결고리(2)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고리연결부(110)는 안착부(111)와, 가압부(113) 및 이동부(115)를 포함한다.
안착부(111)는 연결고리(2)가 안착되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안착부(111)는 연결고리(2)와의 걸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크(Hook)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13)는 안착부(111)와의 사이에 개구부(부호생략)가 형성되도록 안착부(111)와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부(113)는 연결고리(2)를 안착부(1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연결고리(2)가 안착부(111)와 가압부(113)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이동부(115)는 연결고리연결부(110)의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115)는 연결고리연결부(100)의 몸체와 나사 결합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이동부(115)는 회전 조작에 의해 이동되어 가압부(113)를 이동시키되, 가압부(113)가 연결고리(2)를 가압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가압부(113)를 이동시킨다.
전선연결부(120)는 전선장악부(200)와 결합되어 전선(10)의 활선부(1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10)의 절연부(11)는 도선의 외측에 피복이 덮여진 부분, 전선(10)의 활선부(13)는 전선(10)의 피복이 제거되어 도선이 노출된 부분인 것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연결부(120)는 연결몸체부(121)와, 절연지지부(123)와, 활선지지부(125) 및 삽입홀부(127)를 포함한다.
연결몸체부(121)는 연결고리연결부(1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몸체부(121)는 연결고리연결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절연지지부(123)는 연결몸체부(121)에 형성되되, 후술할 전선장악부(200)와 마주보는 연결몸체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절연부(11)를 지지한다. 이러한 절연지지부(123)는 연결몸체부(121)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절연지지부(123)는 절연부(1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절연부(11)는 이러한 절연지지부(123)의 오목한 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지지부(123)는 "U"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활선지지부(125)는 절연지지부(123)와 연통되도록 연결몸체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활선부(13)를 지지한다. 이러한 활선지지부(125)는 절연지지부(123)와 마찬가지로 연결몸체부(121)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활선지지부(125)는 활선부(13)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활선부(13)는 이러한 활선지지부(125)의 오목한 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활선지지부(125)는 "U"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절연지지부(123)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절연지지부(123)와 활선지지부(125)는 전선(10)의 길이 방향 형상에 대응되도록,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지지부(123)와 활선지지부(125)는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절연지지부(123)와 활선지지부(125)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10)에 외력을 가하거나 전선(10)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전선(10)의 절연부(11)와 활선부(13)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삽입홀부(127)는 연결몸체부(121)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홀부(127)는 활선지지부(125)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삽입홀부(127)가 활선지지부(125) 사이에서 연결몸체부(121)에 관통되게 형성됨에 따라, 활선지지부(125)는 삽입홀부(127)를 사이에 두고 두 부분으로 나뉘어 배치된다. 이러한 활선지지부(125)에 지지되는 활선부(13)는, 삽입홀부(127) 내부를 절연지지부(123)와 활선지지부(125)의 연결 방향으로 통과하며, 두 부분으로 나뉜 활선지지부(125)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전선장악부(200)는 전선(10)의 절연부(11)와 활선부(13)가 함께 본체부(100)에 지지되도록 본체부(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선장악부(2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활선부(13)를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장악부(200)는,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지부(210)와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전선지지부(210)는 전선연결부(120)와 결합되어 전선연결부(120)와 함께 전선(10)을 지지한다. 이러한 전선지지부(210)는 제1전선지지부(211)와 제2전선지지부(2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선지지부(211)는 본체부(100)의 전선연결부(120)와 마주보는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전선지지부(211)는 절연부(1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절연부(11)는 이러한 제1전선지지부(211)의 오목한 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선지지부(211)는 "U"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전선지지부(211)는, 전선장악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절연지지부(123)와 함께 절연부(11)를 둘러싸며 지지한다.
제2전선지지부(213)는 절연부(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활선부(13)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선지지부(213)는 그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처럼 관통되게 형성된 제2전선지지부(213)의 내부는 제1전선지지부(211)와 연통되며, 활선부(13)는 관통되게 형성된 제2전선지지부(2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제2전선지지부(213)는, 전선장악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홀부(127) 내부에서 활선지지부(125)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2전선지지부(213)는, 두 부분으로 나뉜 활선지지부(125) 사이에서 활선지지부(125)와 동일 선상에서 활선부를 지지하게 된다.
결합부(220)는 전선지지부(210)를 전선연결부(120)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결합부(220)는 본체부(100)와 전선장악부(200) 간의 결합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삽입홀부(127)에 삽입되어 연결몸체부(121)를 관통한다.
이러한 결합부(220)는 연결몸체부(121)의 타측면 측에서 체결부재(230)와 결합됨으로써, 전선지지부(210)를 전선연결부(120) 측으로 가압하며 전선연결부(120)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전선장악부(200) 전체를 본체부(100)에 결합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선클램프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활선클램프장치(100)는 인하용 전선(10)을 배전선로(1)에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활선클램프장치(100)에 따르면, 본체부(100)가 연결고리(2)를 매개로 배전선로(1)와 연결되고, 본체부(100)에 전선(10)을 연결시킴으로써, 인하용 전선(10)을 배전선로(1)에 연결시킨다.
본체부(100)는 연결고리연결부(110)와 연결고리(2) 간의 연결을 매개로 연결고리(2)에 연결된다. 연결고리연결부(110)와 연결고리(2) 간의 연결은, 연결고리(2)가 가압부(113)에 의해 안착부(111) 측으로 가압되어 안착부(111)와 가압부(113) 사이에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와 전선(10) 간의 연결은, 전선연결부(120)와 전선(10) 간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선연결부(120)와 전선(10) 간의 연결은, 결합부(220)를 매개로 한 전선장악부(200)와 본체부(100) 간의 결합에 의해, 전선지지부(210)가 전선(10)을 전선연결부(120) 측으로 가압하면서 전선연결부(120)에 결합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선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전선(10)은, 전선연결부(120)와 전선지지부(210)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연결부(120)와 전선지지부(210)는 전선(10)의 절연부(11) 부분과 활선부(13) 부분을 함께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활선클램프장치(300)는, 전선(10)의 활선부(13) 뿐 아니라 절연부(11)와 활선부(13)를 함께 지지하여 전선(10)에 대한 지지 면적을 확장시키는 한편 전선(10) 장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활선클램프장치(300)는, 강풍 등과 같이 전선(1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활선부(13) 부분이 단선되어 전선(10)이 그 연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배전선로(1)의 고장 및 배전선로(1)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 파급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연결고리연결부
111 : 안착부 113 : 가압부
115 : 이동부 120 : 전선연결부
121 : 연결몸체부 123 : 절연지지부
125 : 활선지지부 127 : 삽입홀부
200 : 전선장악부 210 : 전선지지부
211 : 제1전선지지부 213 : 제2전선지지부
220 : 결합부 300 : 활선클램프장치

Claims (8)

  1. 배전선로에 설치된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본체부; 및
    전선의 절연부와 활선부가 함께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활선부를 상기 본체부에 연결시키는 전선장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연결고리연결부; 및
    상기 전선장악부와 결합되어 상기 활선부와 연결되는 전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가 안착되어 연결되는 안착부;
    상기 연결고리를 상기 안착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연결고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몸체부;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를 지지하는 절연지지부; 및
    상기 절연지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활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장악부는,
    상기 전선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부; 및
    상기 전선지지부를 상기 전선연결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몸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부는,
    상기 절연지지부와 함께 상기 절연부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제1전선지지부; 및
    상기 절연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제2전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부는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장악부는 상기 제2전선지지부가 상기 삽입홀부 내부에서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고리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전선지지부는 상기 활선지지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활선지지부와 동일 직선 상에서 상기 활선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클램프장치.
KR2020120008765U 2012-09-27 2012-09-27 활선클램프장치 KR201400020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65U KR20140002002U (ko) 2012-09-27 2012-09-27 활선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65U KR20140002002U (ko) 2012-09-27 2012-09-27 활선클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02U true KR20140002002U (ko) 2014-04-04

Family

ID=5244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65U KR20140002002U (ko) 2012-09-27 2012-09-27 활선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0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930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CN201623427U (zh) 线缆固定装置
CN106575843B (zh) 外壳和组件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JP5946892B2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KR20140002002U (ko) 활선클램프장치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20100002797A (ko) 활선 클램프
CN205211981U (zh) 电力系统中电力设备与输电线路连接用安装线夹
KR20170043075A (ko) 라인포스트 애자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JP5944628B2 (ja) 分岐線支持具
KR200469444Y1 (ko)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CN204441518U (zh) 一种临时用电接线夹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101595514B1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KR101899319B1 (ko)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KR101154025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KR101107587B1 (ko) 애자용 전력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046444B1 (ko)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