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514B1 -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 Google Patents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514B1
KR101595514B1 KR1020140037714A KR20140037714A KR101595514B1 KR 101595514 B1 KR101595514 B1 KR 101595514B1 KR 1020140037714 A KR1020140037714 A KR 1020140037714A KR 20140037714 A KR20140037714 A KR 20140037714A KR 101595514 B1 KR101595514 B1 KR 10159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block
cover
cover block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353A (ko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ublication of KR2015001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353A/ko
Priority to CN201510135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9535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베이스블럭 및, 이와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베이스블럭과 겹침가능토록 구성되는 커버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배전선의 동선이 함입되는 메인함입홈과 분기선의 동선이 함입되는 보조함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상기 베이스블럭에 분기선이 임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거치수단은 베이스블럭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보조함입부의 전후단에 각각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록킹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과, 커버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걸림후크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후크의 패널부 외측에는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을 겹쳐서 록킹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커버블럭의 누름조작이 용이토록 하는 누름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수작업만으로 용이하고 안정되게 배전선과 분기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과 분기선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cramp for power cable connecting}
본 발명은 전력선을 구성하는 배전선과 분기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로부터 각 사용처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이른바 송배전구조는 발전소로부터 이어지는 배전선(10)과, 배전선(10)에서 분기되어 각 사용처로 연결되는 분기선(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배전선(10)과 분기선(12)을 연결하기 위해서 분기슬리브(5)가 사용되었는데, 분기슬리브(5)는 대략 S 자 형태로서 한쌍의 함입부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분기슬리브(5)의 일측 함입부에 배전선(10)의 동선(101)(배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함입되도록 하고, 타측 함입부에 분기선(12)의 동선(121)이 함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압착지그(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분기슬리브(5)를 압착함으로써 배전선(10)과 분기선(12)의 동선(101)(121)이 압착변형된 분기슬리브(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배전선(10)과 분기선(12)이 분기슬리브(5)에 의해 강하게 결속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기슬리브(5)를 이용하여 배전선(10)과 분기선(12)을 연결하는 방법은 압착지그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고공의 전신주 위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착지그를 이용한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선 연결에 따른 작업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베이스블럭 및, 상기 베이스블럭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베이스블럭과 겹침가능토록 구성되는 커버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배전선의 동선(銅線)이 함입되는 메인함입홈과 분기선의 동선(銅線)이 함입되는 보조함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함입홈과 상기 보조함입홈은 베이스블럭와 커버블럭을 가로지르는 채널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상기 베이스블럭에 분기선이 임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럭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보조함입부의 전후단에 각각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블럭과 상기 커버블럭에 각각 형성된 메인함입홈과 보조함입홈의 바닥면에는 동선(銅線)의 꼬임방향와 동일한 방향의 강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는,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록킹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과, 상기 커버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후크의 패널부 외측에는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을 겹쳐서 록킹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커버블럭의 누름조작이 용이토록 하는 누름손잡이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수작업만으로 용이하고 안정되게 배전선과 분기선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과 분기선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선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에 배전선과 분기선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에 의해 배전선과 분기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4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20)는 베이스블럭(22) 및, 상기 베이스블럭(22)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베이스블럭(22)과 겹침가능토록 구성되는 커버블럭(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배전선(10)과 분기선(12)의 동선(銅線)(101)(121)이 함입되도록 하는 메인함입홈(22a)(24a)과 보조함입홈(22b)(24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함입홈(22a)(24a)과 보조함입홈(22b)(24b)은 상기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함입홈(22a)(24a)과 상기 보조함입홈(22b)(24b)은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을 가로지르는 반원채널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베이스블럭(22)의 메인함입홈(22a) 및 보조함입홈(22b)과, 커버블럭(24)의 메인함입홈(24a) 및 보조함입홈(24b)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에 각각 형성된 메인함입홈(22a)(24a)은 서로 조합되어 함입홀을 형성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보조함입홈(22b)(24b) 역시 서로 조합되어 함입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각 함입홀의 직경은 배전선(10)의 동선(101) 및 분기선(12)의 동선(121)의 직경보다 그 직경이 약간 작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20)는 상기 베이스블럭(22)에 분기선(12)이 임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럭(22)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보조함입부(22a)의 전후단에 각각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걸림링(22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링(221)은 베이스블럭(22)의 일측에 한 개만 구비될 수 도 있으나, 분기선(12)의 안정된 거치를 위해서는 한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블럭(22)과 상기 커버블럭(24)에 각각 형성된 메인함입홈(22a)(24a)과 보조함입홈(22b)(24b)의 바닥면에는 각 동선(銅線)(101)(121)의 꼬임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강선이 형성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20)는, 상기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겹쳐진 상태에서 록킹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럭(22)의 일단에 구비되어 외향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26)과, 상기 커버블럭(24)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26)을 감싸는 형태로 걸림턱(26)과 걸리는 걸림후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26)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대략 반원주형태이며, 걸림턱(26)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형태의 걸림홈(26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28)는 패널부(281)와 상기 패널부(281)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8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럭(22)와 커버블럭(24)이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282)가 걸림턱(26)의 걸림홈(26a)에 압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후크(28)의 돌기부(282)는 상기 걸림턱(26)의 걸림홈(26a)과 형합되는 반원주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후크(28)의 패널부(281) 외측에는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을 겹쳐서 록킹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커버블럭(24) 누름조작이 용이토록 하는 누름손잡이(29)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20)를 이용하여 배전선(10)과 분기선(12)을 연결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겹쳐지지 않은 상태 즉, 열린상태에서 배전선(10)의 동선(101)이 베이스블럭(22)의 메인함입홈(22a)에 거치되도록 하고, 분기선(12)의 동선(121)이 베이스블럭(22)의 보조함입홈(22b)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기선(12)의 동선(121)은 양 걸림링(221)을 통과하여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분기선(12)을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베이스블럭(22)에서 이탈되지 않는 비교적 안정된 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링(221)이 없는 상태를 가정하여 보면, 배전선(10)은 베이스블럭(22)을 가로질러서 거치되므로, 작업자가 지지하지 않아도 거치상태에서 이탈될 우려가 거의 없지만, 분기선(12)의 경우에는 그 일측선단에서 동선(121)이 드러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별도로 지지하지 않으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블럭(22)에 배전선(10)의 동선(101)과 분기선(12)의 동선(121)을 거치한 다음에는, 커버블럭(24)과 베이스블럭(22)을 겹치도록 함과 더불어 록킹수단을 이용하여 커버블럭(24)과 베이스블럭(22)이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하게 된다.
록킹과정에서는 작업자가 누름손잡이(29)를 이용하여 커버블럭(24)을 눌러서 베이스블럭(22)의 걸림턱(26)과 커버블럭(24)의 걸림후크(28)가 결합되도록 하는데, 걸림후크(28)의 돌기부(282)와 걸림턱(26)이 모두 반원주형으로 이루어진 특성상, 상기 돌기부(282)가 걸림턱(26)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때 상기 패널부(281)는 탄성적으로 젖혀지게 된다.
돌기부(282)가 걸림홈(26a)에 다다르면, 탄성적으로 젖혀진 패널부(281)의 탄발력에 의해 돌기부(282)가 걸림홈(26a)측으로 강하게 압박됨으로써, 돌기부(282)가 걸림홈(26a)에 압입되어 걸림턱(26)과 걸림후크(28)가 결합된 이른바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돌기부(282)가 걸림홈(26a)에 압입되어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전술한바와 같이 각 함입홀의 직경이 배전선(10)의 동선(101)과 분기선(12)의 동선(121)보다 직경이 작은 특성상, 베이스블럭(22)과 커버블럭(24)에 의해 각 동선(101)(121)이 압박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함입홈(22a)(24a)과 보조함입홈(22b)(24b)의 바닥면에 강선이 형성된 특성상 배전선(10)과 분기선(12)의 동선(101)(121)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기구 기구없이 작업자가 수작업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배전선(10)과 분기선(12)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10: 배전선 101: 동선
12: 분기선 121: 동선
20: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22: 베이스블럭
221: 걸림링 22a: 메인함입홈
22b: 보조함입홈 24: 커버블럭
24a: 메인함입홈 24b: 보조함입홈
26: 걸림턱 26a: 걸림홈
28: 걸림후크 281: 패널부
282: 돌기부 29: 누름손잡이

Claims (9)

  1. 베이스블럭 및,
    상기 베이스블럭과 그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베이스블럭과 겹침가능토록 구성되는 커버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배전선의 동선(銅線)이 함입되는 메인함입홈과 분기선의 동선(銅線)이 함입되는 보조함입홈이 형성되어,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서로 겹쳐짐으로써
    상기 메인함입홈에 함입된 배전선의 동선(銅線)을 감싸서 고정하고,
    상기 보조함입홈에 합입된 분기선의 동선(銅線)을 감싸서 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블럭에 분기선이 임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블럭의 양측단에 구비되며, 보조함입부의 전후단에 각각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록킹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과, 상기 커버블럭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럭와 커버블럭이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부가 걸림턱의 걸림홈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림후크의 패널부 외측에는 베이스블럭과 커버블럭을 겹쳐서 록킹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커버블럭의 누름조작이 용이토록 하는 누름손잡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함입홈과 상기 보조함입홈은 베이스블럭와 커버블럭을 가로지르는 채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과 상기 커버블럭에 각각 형성된 메인함입홈과 보조함입홈의 바닥면에는 동선(銅線)의 꼬임방향와 동일한 방향의 강선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37714A 2013-07-31 2014-03-31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KR10159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35554.7A CN104953526B (zh) 2014-03-31 2015-03-26 用于连接电力线的分支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922 2013-07-31
KR20130090922 201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53A KR20150015353A (ko) 2015-02-10
KR101595514B1 true KR101595514B1 (ko) 2016-02-19

Family

ID=5257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714A KR101595514B1 (ko) 2013-07-31 2014-03-31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193B1 (ko) 2018-08-08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7659A (zh) * 2016-06-24 2016-09-28 苏州华徕光电仪器有限公司 固定稳定的电缆联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6B1 (ko) * 2006-12-01 2008-03-06 이병노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0851249B1 (ko) * 2008-05-09 2008-08-08 (주)한화종합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224847B1 (ko) *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43B1 (ko) * 2007-11-30 2010-11-16 최청희 전선 연결 및 분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6B1 (ko) * 2006-12-01 2008-03-06 이병노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0851249B1 (ko) * 2008-05-09 2008-08-08 (주)한화종합기술단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224847B1 (ko) * 2012-11-05 2013-01-22 (주)신명이앤씨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193B1 (ko) 2018-08-08 2018-11-20 삼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353A (ko)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038B1 (ja) 電線接続具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TW201909486A (zh) 用於連接電線之連接器裝置
KR101595514B1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JP2016101063A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JP2013198180A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KR101042000B1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
KR200480016Y1 (ko) 공용화 공체 클립
KR101920193B1 (ko) 가공배전용 애자설치를 위한 쇄클기구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JP2011514951A (ja) ケーブル結束具
WO2010131793A1 (ko) 용접봉 홀더
KR200435325Y1 (ko) 전력선 고정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JP3172922U (ja) 電線接続用圧着工具
JP2011146310A (ja) ネジ締め構造の導線圧入コネクター
KR101899319B1 (ko) 배전선로 분기슬리브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JP6513821B2 (ja) 切開型ケーブルタイ
JP20161039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US11942766B2 (en) Clamp apparatus
JP2011150935A (ja) コネクタ
JP2013102630A (ja) 引留クランプ
KR101820141B1 (ko) 커넥터
KR101952672B1 (ko) 선재 빠짐 방지 장치가 구비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