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485B1 - 용접봉 홀더 - Google Patents

용접봉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485B1
KR100921485B1 KR1020090041880A KR20090041880A KR100921485B1 KR 100921485 B1 KR100921485 B1 KR 100921485B1 KR 1020090041880 A KR1020090041880 A KR 1020090041880A KR 20090041880 A KR20090041880 A KR 20090041880A KR 100921485 B1 KR100921485 B1 KR 10092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essing
cable connection
electrode holder
pr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숙희
Original Assignee
정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숙희 filed Critical 정숙희
Priority to KR102009004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485B1/ko
Priority to PCT/KR2009/003138 priority patent/WO20101317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2Electrode holders not supplying shielding means to th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블연결부에 케이블을 압착시킬 수 있는 접속부를 구성하여, 용접봉 홀더에 케이블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몸체와 절연손잡이 사이에 금속성 연결소자들이 구성되어 있지않으므로 방전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배제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용접봉 홀더는 일단에 용접봉이 물림되도록 물림집게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케이블이 결합되도록 하는 케이블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케이블의 진입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에 삽입되어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압수단이 용접봉홀더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봉 홀더{An electrode holder for arc welding}
본 발명은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봉 홀더의 일측에 마련된 케이블연결부에 케이블을 가압시킬 수 있는 가압수단을 구성하여, 용접봉 홀더에 케이블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몸체와 절연손잡이 사이에 금속성 연결소자들이 구성되어 있지않으므로 방전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배제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arc)란 용접봉과 모재사이에 전압을 걸고 용접봉의 선단을 모재에 가볍게 접촉시켰다 떼는 순간 방전으로 강한 빛과 고열을 내는 원호모양의 불꽃을 말하며, 아크용접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발생하는 이러한 아크열을 이용하여 모재의 용접부를 용융시킨 후 용가재의 용적을 용접부에 첨가하므로써 부품을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크용접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용접봉홀더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접봉홀더(20)는 상면에 용접봉이 물리게 되는 용접봉물림홈(2a)이 형성되며 하면에 절연커버고정볼트(6)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2b)이 관통형성된 용접봉물림부(2)와, 전단부상면에 용접봉물림집게가 힌지결합되는 집게결합편(3a)이 돌출형성되며 하면 일측에 절연커버고정볼트(7)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3b)이 관통형성된 집게결합부(3)와, 전단부에 절연손잡이고정볼트(8)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4a)이 관통형성되며 후단부에 케이블삽입홈(4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단부하면에 케이블연결용 조임볼트(9)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4c)이 관통형성된 케이블연결부(4)로 이루어진 몸체(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용접봉물림부(2)와 집게결합부(3)의 하부에는 절연커버고정볼트(6)(7)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커버(10)가 설치되고, 상기 집게결합부(3)의 상면 일측에는 집게지지용 코일스프링이 설치되는 절연커버(11)가 안착되며, 상기 몸체(1)의 집게결합부(3)의 상부에 형성된 집게결합편(3a)에는 전단부에 절연커버(12)가 설치되며 후단부에 용접봉물림해제용 절연레버(13)가 설치된 용접봉물림집게(14)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용접봉물림집게(14)의 용접봉물림해제용 절연레버(13)와 상기 집게결합부(3)의 상면일측에 안착된 절연커버(11)사이에는 스프링커버(16)가 구비된 코일스프링(17)이 설치되며, 상기 몸체(1)의 케이블연결부(4)에는 절연손잡이고정볼트(8)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손잡이(18)가 삽입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용접봉홀더(20)는 대부분 용접케이블을 통해 전 달되는 전류가 용접봉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 및 용접봉물림집게(14)를 전기전도도가 높고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황동재질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몸체의 일단에 구성된 케이블연결부에 케이블을 삽입 한 후 케이블연결용 조임볼트를 상기 케이블연결부를 통해 상기 케이블 일단을 조임함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해 회전을 하는 케이블조임용 조임볼트의 끝단이 케이블의 일단을 절단시키는 절단력으로 변환되어, 결국 케이블에 마련된 연선들을 절단시킴으로써 용접봉 홀더의 몸체와 케이블의 연결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은 조임볼트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에 마련된 연선들 사이가 절단되고, 이러한 단락된 연선들 사이에서 방전에 의한 합선이 발생하고, 이러한 합선은 용접기의 수명 단축 또는 불안정한 전류공급에 따른 용접불량 등의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용접기와 용접봉홀더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는 작업조건에 따라 일반적으로 수 m의 길이를 가지어, 작업을 하다보면 길게 늘어진 케이블이 꼬임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이러한 이유로 작업을 완료 또는 작업 중간에 꼬임된 케이블을 풀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과 용접봉 홀더사이에 체결된 케이블연결용 조임볼트의 조임력의 약화로 케이블이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용접봉 홀더에는 몸체에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절연커버가 마련되나, 이들 절연커버와 몸체의 고정은 상기 절영커버에 형성된 사입 공을 통해 상기 몸체에 일단이 조임되도록 조임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 조임볼트는 몸체와 접촉됨에 따라 통전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특히 습기가 많은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는 날에 작업함에 있어서, 몸체와 통전된 조임볼트가 절연커버의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방전됨에 따라 작업자가 감전될 수 있다는 위험성에 노출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연결부에 가압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시켜 고정함에 따라 케이블연결부에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연결부와 케이블 사이에서 합선되거나 또는 전류의 불안정적인 전류공급을 방지함에 따라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봉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연결에 있어서, 별도의 조임볼트를 사용하지않고, 또한 케이블연결부가 마련된 몸체 중 어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없으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전류방전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감전 등과 같은 위험성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는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용접봉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봉 홀더는 일단에 용접봉이 물림되도록 물림집게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케이블이 결합되도록 하는 케이블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블연결부는 케이블의 진입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에 삽입되어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압수단이 용접봉홀더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수단은 가압부와 파지부가 일체인 것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연결부의 바닥면과 가압부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압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압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홈을 더 포함하고, 가압부의 선단면과 삽입공 사이에는 가압수단이 용접봉홀더로 체결될 때 케이블의 선들에 넓은 접촉면적을 제공하여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케이블연결부의 분기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분기공을 더 포함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연결부의 외주연에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연결부의 커버 및 가압수단의 파지부가 맞닿는 일면에는 일정 힘 이하의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호 풀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세레이션을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마련된 케이블연결부 및 가압수단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호 조임시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 사이에는 상호 조임된 후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케이블연결부에 가압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케이블연결부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시켜 고정함에 따라 케이블연결부에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연결부와 케이블 사이에서 합선되거나 또는 전류의 불안정적인 전류공급을 방지함에 따라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연결에 있어서, 별도의 조임볼트를 사용 하지않고, 또한 케이블연결부가 마련된 몸체 중 어느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없으므로, 외부요인에 의해 전류방전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감전 등과 같은 위험성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는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연결부와 케이블의 연결할 때 종래와 같이 별도에 다수의 조임볼트를 사용하지않고 가압수단에 의해 케이블 연결 고정이 이루어져 케이블연결 작업성을 단순화시켜 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결합 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접봉 홀더(20)는 일단에 용접봉이 물림되도록 물림집게(14)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케이블이 결합되도록 하는 케이블연결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연결(30)에는 상기 케이블연결부(30)에 삽입되어, 용접봉홀더(20)에 케이블이 안정적인 고정 및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수단(40)이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연결부(30)는 케이블의 진입방향으로 암나사공(33)이 형성된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돌기(36)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선들을 분기시켜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 넓게 분포되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끝점에서 바닥면(34)으로 넓게 퍼지는 원뿔형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연결부(30)의 수용공간(32) 바닥면(34)과 분기돌기(36) 사이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압착돌기(37)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블연결부(30)의 외주연에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커버(38)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38)는 케이블연결부(30)에 인서트사출성형에 의한 고정 또는 멈춤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한 고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38)의 일면 즉, 후술되는 가압수단(40)과 상호 치합됨에 따라 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세레이션(39)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케이블연결부(30)의 암나사공(33)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며, 가압수단(40)이 용접봉홀더(20)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34)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 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413)이 형성된 가압부(410)와 상기 가압부(410)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4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410)의 선단면(413)에는 케이블연결부(30)의 압착돌기(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압착홈(414)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케이블연결부(30)의 바닥면(34)에 분포된 케이블 선들의 가압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압착돌기(37) 또는 압착홈(414)의 형상은 반원 내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 선들을 압착이 용이한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더불어, 케이블연결부(30)와 가압수단(40)에 상호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410)의 선단면(413)과 삽입공(412) 사이에는 케이블연결부(30)의 분기돌기(3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기공(416)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케이블의 선들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가압부(410)의 후단 외주연의 어느 일측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서트돌기(418)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가압부(410)에 파지부(420)를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 후 가압부(410)에서 파지부(420)가 축선 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410)의 후단에는 삽입공(412)으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412)에서 후단으로 확관되는 확관 공(419)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420)는 가압부(410)에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멈춤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지부(420)의 일면 즉, 케이블연결부(30) 측으로 진입되는 선단면에는 상술된 제1세레이션(39)과 상호 치합되도록 하는 제2세레이션(4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은 어느 한 방향 즉, 조임 방향으로 정회전시킬 때에는 원활하게 넘어가지만 풀림 방향으로 역회전시킬 때에는 임의의 힘 이상 즉, 성인이 좀 더 힘을 주었을 때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래칫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용접봉홀더(20)에 가압된 가압수단(40)이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임의로 풀림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부(420)에는 제2세레이션(422)에 탄성이 작용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424)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홈(424)은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이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풀려고 할 때 일정 힘 이상이 작용하면, 상기 제2세레이션(422)이 제1세레이션(39)의 홈을 타고 넘어갈 때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접봉홀더와 가압수단의 체결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접봉홀더(20)의 케이블연결부(30)의 수용공간(32)에 케이블의 일단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피복이 벗겨져 노출된 선들이 수용공간(32)의 분기돌기(36)를 통해 분기되면서 바닥면(34)에 분포되며, 상기 분기돌기(36)와 바닥면(34)의 절곡 부위에 의해 선들도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상기 케이블에는 가압수단(40)이 이미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40)을 상기 케이블연결부(30)에 가압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연결부(30)의 암나사공(33)과 가압부(410)의 수나사부(411)를 상호 체결하면, 상기 가압수단(40)은 케이블연결부(30) 측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40)의 가압부(410) 선단면(413)이 케이블연결부(30)의 바닥면(34)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바닥면(34)과 선단면(413)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선들을 압착하게 됨에 따라 케이블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34)과 선단면(413) 각각에는 압착돌기(37) 및 압착홈(414)이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선들의 고정력을 더욱 증폭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케이블연결부(30)와 가압수단(40)의 밀착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이 상호 치합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이 일정 힘 이상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풀림되지 않으로써, 안정적인 작업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용접봉홀더(20)에서 케이블을 제거하거나 또는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 는 상술된 바의 역순으로, 일정 힘 이상으로 가압수단(40)을 풀림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풀림됨에 따라 용접봉홀더(20)에서 케이블의 연결 또는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블연결부(30)의 분기돌기(36a)는 돌출끝점에서 바닥면(34)까지 넓게 퍼지면서 부드러운 유선형의 유선(35)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기돌기(36a)를 통해 케이블 선들이 바닥면(34)에 넓게 퍼질 때 부드럽게 유선(35)을 퍼지도록 유도하여, 이후 가압수단(40)의 선단면(413)에 가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과 분기돌기(36a) 사이에는 압착돌기(37) 또는 압착홈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수단(40a)는 가압부(410)와 파지부(4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가압수단(40a)은 용접봉홀더(20)의 케이블연결부(30)에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함과 더불어 케이블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므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가공성 및 성형성뿐만 아니라 재료 단가가 저렴하고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접봉홀더(20)의 케이블연결부(30) 커버(38)와 가압수단(40)의 파지부(420)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와셔(5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와셔(50)는 일명 '스프링와셔' 또는 '파도와셔'와 같이 두 모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재들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 상기 모재들 사이에서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모재들이 임의 충격 또는 진동에서 쉽게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탄성와셔(50)는 케이블연결부(30)와 가압수단(40)의 상호 풀림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블연결부(30)와 가압수 단(40) 사이의 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여기에서 도시된 탄성와셔(50)는 '파도와셔'이다.
(제5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수단(40)의 파지부(420a)의 일단은 케이블연결부(30)의 외주면까지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연결부(30)에 마련되었던 커버(38)는 생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케이블연결부(30)에 가압 고정되는 가압수단(40)의 파지부(420a)에 의해 케이블연결부(30)의 외주연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봉 홀더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용접봉홀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결합 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홀더의 케이블연결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용접봉 홀더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케이블연결부 32: 수용공간
33: 암나사공 34: 바닥면
35: 유선 36: 분기돌기
37: 압착돌기 38: 커버
39: 제1세레이션 40, 40a: 가압수단
410: 가압부 411: 수나사부
412: 삽입공 413: 선단면
414: 압착홈 416: 분기공
420, 420a: 파지부 422: 제2세레이션
424: 탄성홈 50: 탄성와셔

Claims (8)

  1. 일단에 용접봉이 물림되도록 물림집게가 형성되고 타단으로 케이블의 진입방향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분기돌기가 형성된 케이블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 및 분기돌기와 대응되는 분기공이 형성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용접봉 홀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분기돌기는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케이블연결부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 분기돌기를 통해 분기되어 바닥면에 분포된 케이블 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외주연에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커버 및 가압수단의 파지부가 맞닿는 일면 각각에는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호 풀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대칭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세레이션;
    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부와 파지부가 일체;
    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홀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의 바닥면과 가압부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압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압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홀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마련된 케이블연결부 및 가압수단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호 조임시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부와 가압수단 사이에는 상호 조임된 후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홀더.
KR1020090041880A 2009-05-13 2009-05-13 용접봉 홀더 KR10092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880A KR100921485B1 (ko) 2009-05-13 2009-05-13 용접봉 홀더
PCT/KR2009/003138 WO2010131793A1 (ko) 2009-05-13 2009-06-11 용접봉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880A KR100921485B1 (ko) 2009-05-13 2009-05-13 용접봉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485B1 true KR100921485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880A KR100921485B1 (ko) 2009-05-13 2009-05-13 용접봉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1485B1 (ko)
WO (1) WO20101317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16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성우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KR101997628B1 (ko) 2018-04-10 2019-07-08 고철환 용접봉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4423B (zh) * 2012-02-16 2014-08-20 沈丽 一种新型电焊把
CN107052541B (zh) * 2017-05-31 2019-09-24 牛茂纯 一种多端面、多角度焊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183U (ko) * 1981-04-30 1982-11-08
KR200351693Y1 (ko) * 2004-02-27 2004-06-02 황원규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KR100791949B1 (ko) 2006-12-26 2008-01-04 (주)일흥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6529B2 (ja) * 1998-08-21 2008-03-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可撓性チューブの端末保持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183U (ko) * 1981-04-30 1982-11-08
KR200351693Y1 (ko) * 2004-02-27 2004-06-02 황원규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KR100791949B1 (ko) 2006-12-26 2008-01-04 (주)일흥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216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성우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KR101884390B1 (ko) * 2017-01-06 2018-08-01 주식회사 성우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KR101997628B1 (ko) 2018-04-10 2019-07-08 고철환 용접봉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1793A1 (ko)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3651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KR101059051B1 (ko) 어스케이블 클램프
MX2008005066A (es) Dispositivo conector de cable para bateria.
KR20100102330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
KR101963733B1 (ko) 힌지 덮개형 인장클램프
CA2618334A1 (en) Electrical wiring
KR101224847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042000B1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
CN101453064A (zh) 电瓶快接防酸的线鼻子
US2462247A (en) Electrical snap-on wire connector
KR100853687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4475945B (zh) 一种电焊钳
KR100921350B1 (ko) 용접기용 커넥터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KR20230006101A (ko) 아크 용접봉 홀더
US1982212A (en) Solderless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ductors
KR200455268Y1 (ko) 탄산가스 용접토치용 그립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101159186B1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의 구조
KR200412164Y1 (ko)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
US2428083A (en) Electrode holder
KR200401403Y1 (ko) 전차선로용 직선클램프
JP2002056942A (ja) 間接活線作業用引下線コネクタ及び引下線の離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