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101A - 아크 용접봉 홀더 - Google Patents

아크 용접봉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101A
KR20230006101A KR1020210086842A KR20210086842A KR20230006101A KR 20230006101 A KR20230006101 A KR 20230006101A KR 1020210086842 A KR1020210086842 A KR 1020210086842A KR 20210086842 A KR20210086842 A KR 20210086842A KR 20230006101 A KR20230006101 A KR 2023000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od
tongs
arc welding
rod holder
insul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채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주)나노원
이봉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원, 이봉채 filed Critical (주)나노원
Priority to KR102021008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101A/ko
Publication of KR2023000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7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 또는 낙하 시 절연커버가 아크 용접봉 홀더로부터 쉽게 분해되지 않는 아크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집게식으로 힌지 설치된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용접봉을 원활하게 집을 수 있도록 상부 전방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집게부를 구비하는 용접봉 홀더 바디와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집게부와 결합부가 없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된 일체형 손잡이철판과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 상부와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와샤유닛과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 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삽입되는 삽입통로와 상기 삽입통로 상부에 상기 와샤유닛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상부 절연커버와 상기 하부 집게부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하부 절연커버와 상기 상부 집게부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형 레버와 상기 고정형 레버 하부 일측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 및 상기 하부 집게부와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를 포함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 용접봉 홀더{Arc welding rod holder}
본 발명은 아크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 또는 낙하 시 절연커버가 아크 용접봉 홀더로부터 쉽게 분해되지 않는 아크 용접봉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arc)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압을 걸고 용접봉의 선단을 모재에 가볍게 접촉시켰다 떼는 순간 방전으로 강한 빛과 고열을 내는 원호모양의 불꽃을 말하며, 아크용접은 피용접물과 용접봉을 고정하는 용접봉 홀더에 각각 전극을 가하고 상기 피용접물과 전극봉 사이에 아크(arc)를 발생시켜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클립타입의 용접봉 홀더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9511호는 홀더본체 상부에 집개식으로 힌지설치되며 한 장의 금속판재로 성형된 상부손잡이본체의 상부집개부에 절연커버가 설치되고 후방에 절연체의 누름손잡이가 설치된 용접봉홀더의 상부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개부의 상부에는 몸체 상부에 확장홈을 형성한 리벳의 머리부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절연커버의 삽입구멍을 리벳에 삽입시킨 뒤에 리벳의 선단부를 리벳팅하여 벌어짐부가 단턱부에 걸려서 상부집개부의 상부에 절연커버가 리벳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를 개시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4390호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의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용접봉 삽입홈이 형성되는 접속판을 포함하며, 접속판의 후방에는 후방 단부에 탭홈이 함몰되게 형성된 접속봉이 일체로 형성되는 전도체인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하부와 양측을 감싸고, 후방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부 반원통관이 형성되며, 비전도체로 구성되는 하부 커버부와 상기 홀더몸체와 하부 커버부의 후방 상부를 감싸고, 후방에는 상기 하부 반원통관의 상부에 포게지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 반원통관이 형성되며, 비전도체로 구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상부에 중간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고 후방에는 상기 연결몸체의 상부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장착된 용접봉 고정 조작레버와 전선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봉의 내부에 형성된 탭홈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연결부와 상기 전선 케이블과 접속 연결부를 감싸며 상기 상ㅇ하부 반원통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 결합되는 손잡이관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홀더몸체와 하부 커버부의 후방 상부를 감싸며 후방에는 상기 상부 반원통관이 형성된 반원통체와 상기 반원통체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후방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판과 상기 반원통체의 상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하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스프링 삽입관을 포함하는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용접 작업 시, 용접기 홀더 바디에 전기 부여 및 용접 작업을 통해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나사 결합 또는 용접을 통해 리벳을 상부집개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하므로 작업자가 작업 시, 용접봉 홀더에 충격을 가하거나 떨어뜨릴 경우에 나사 결합부 또는 용접결합부가 잘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사탭 또는 스팟 용접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함으로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게식으로 결합된 홀더본체와 상부손잡이의 힌지결합부 후방에 스프링이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용접봉을 잡기 위해 용접봉 홀더를 사용할 경우 보다 많은 양의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9511호 (2005.01.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390호 (2018.07.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절연커버와 상부 집게부 결합을 위해 일체형 손잡이 철판와 와샤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부 절연커버와 상부 집게부 간의 내구성이 강화된 아크 용접봉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절연커버에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열 배출을 할 수 있는 아크 용접봉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집게식으로 힌지 설치된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용접봉을 원활하게 집을 수 있도록 상부 전방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집게부를 구비하는 용접봉 홀더 바디와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집게부와 결합부가 없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된 일체형 손잡이철판과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 상부와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와샤유닛과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 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삽입되는 삽입통로와 상기 삽입통로 상부에 상기 와샤유닛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상부 절연커버와 상기 하부 집게부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하부 절연커버와 상기 상부 집게부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형 레버와 상기 고정형 레버 하부 일측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 및 상기 하부 집게부와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은 상기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절연커버와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진 상기 와샤유닛 상부로 돌출된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에 압력을 가해 압착시켜 상기 상부 절연커버와 체결되도록 하여 프레스 공정 시, 상기 상부 절연커버가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는 전방에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에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와샤유닛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외형을 가다듬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와샤유닛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커버는 상기 하부 집게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1개 이상의 통기공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집게부 후방을 감싸도록 결합된 손잡이관이 더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관은 작업 중 작업자 보호 및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낙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Glass 함유량을 35%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레버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상기 고정형 레버 상부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는 종래의 방식인 스팟용접 또는 나사탭 공정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구비됨으로써, 상부절연커버와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와샤유닛이 더 구비되어, 프레스 공정을 이용해 상부 절연커버와 결합되어진 일체형 손잡이철판을 압착 체결시킬 경우 와샤유닛으로 인해 상부 절연커버에 프레스 압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부 절연커버가 쉽게 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는 하부 절연커버에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열이 쉽게 배출되어 과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절연커버과 일체형 손잡이철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상부 절연커버와 체결되는 과정 단면 개략도 및 상부집게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부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절연커버과 통기공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 용접봉 홀더는 용접봉 홀더 바디(10), 일체형 손잡이철판(20), 와샤유닛(30), 상부 절연커버(40), 하부 절연커버(50), 고정형 레버(60),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용접봉 홀더 바디(10)는 상기 상부 집게부(12)와 상기 하부 집게부(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 집게부(12)와 하부 집게부(14)는 집게식으로 힌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집게부(12)와 하부 집게부(14)는 맞닿아 있으며, 용접봉을 집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집게부(1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용접봉을 원활하게 집을 수 있도록 상부의 전방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은 하나의 철판으로 형성됨으로 종래의 용접 및 나사결합으로 구성되어있는 기존의 손잡이철판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은 상기 상부 집게부(12)의 상부에'П'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집게부(12)와 이음 또는 결합부가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상기 상부 집게부(12)와 이음 또는 결합부가 없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절연커버(40)와 결합 시 별도의 나사탭 공정 또는 스팟용접 작업이 불필요하며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상부 절연커버(40)의 결합 방법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내지 4(d)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와샤유닛(30)은 중심부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삽입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삽입홀(3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샤유닛(3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된 와샤보다 외형을 가다듬기 위한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보다 많은 양의 와샤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각형으로 돌출 형성되어진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대응되도록 상기 와샤유닛(30)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원형으로 형성된 와사유닛보다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부 절연커버(40)는 상기 상부 집게부(12) 상부의 전방 및 양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절연커버(40)는 상부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삽입되는 삽입통로(42)와 상기 삽입통로(42) 상부에 상기 와샤유닛(30)이 안착되도록 안착부(44)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삽입통로(42)는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삽입되는 통로이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으로 제작된 상기 상부 집게부(12)가 알맞게 삽입될 수 있는 4각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44)는 상기 삽입통로(42)를 통해 삽입되어진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 상부에 상기 와샤유닛(30)을 안착시킨 다음 상기 와샤유닛(30) 상부로 돌출되어진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압력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이 상기 와샤유닛(30)과 함께 결합되는 공간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집게부(12)의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와의 보다 구체적인 체결방법은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부 절연커버(50)는 상기 하부 집게부(14) 하부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집게부(14) 하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집게부(14)와 상기 하부 절연커버(50) 하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와 상기 하부 절연커버(50)는 비전도체인 BMC 사출부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BMC는 Bulk Molding Compound의 약자로써 1차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충진제 등을 니더기(Kneader)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2차적으로 그 원료에 6mm의 유리섬유를 합침하여 생산되는 원료를 일정 기간 숙성하여 생산된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형 레버(60)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집게부(12) 후방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고정형 레버(50)을 누를 경우 집게식으로 힌지 설치된 용접봉 홀더 바디(10)가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부 집게부(12)와 하부 집게부(14)에 물린 용접봉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형 레버(60) 하부 일측에는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가 구비되며, 스프링(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는 상기 하부 집게부(14)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어진 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 집게부(14) 일측에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는 전방에 일정한 크기의 홈을 가지며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 보다 큰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집게부(14)에서 상부로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 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는 전방에'┗┛'형상으로 된 절개부(74)가 형성됨으로써,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가 완전히 삽입되어 보다 많이 벌어지게 되므로 용접봉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고정형 레버(60)를 누름으로써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가 곡선으로 이동함에 따라 절개부(74)에 의해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 전방과 부딪히지 않고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용접봉 홀더 바디(10)의 전면부가 충분히 벌어지게 됨에 따라 용접봉을 더욱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고정형 레버(50)을 누름 시,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62)가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7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스프링(60)을 안전하게 보호함에 따라 스프링(60)의 역할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형 레버(60)은 용접봉 홀더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짐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용 돌기(64)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64)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상기 고정형 레버(60)의 상부 끝단에 일자형의 복수 개의 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상부 절연커버와 체결되는 과정 단면 개략도 및 상부집게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집게부(12)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의 체결과정은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을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의 삽입통로(42)에 삽입한 후 상기 와샤유닛(30)을 상기 안착부(44)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와샤유닛(30)의 상기 삽입홀(3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진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에 압력을 가해 압착시켜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와 체결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12) 상부에 'П'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은 상기 절연커버(40)의 삽입통로(42)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와샤유닛(30) 상부로 돌출되어진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의 상부를 프레스를 이용해 압착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은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의 삽입통로(42)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와 결합된 다음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와샤유닛(30)이 상기 안착부(44)에 더해져 압착 체결됨으로써, 종래 방식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 절연커버(40)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용접봉 홀더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방식인 나사 결합 또는 용접 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번거로움 또한 해소시켜 조립 관련 작업 공수가 줄어듬에 따른 자재 절감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 용접봉 홀더는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20)과 상기 상부 절연커버(40) 결합 시, 사각형으로 형성된 와샤유닛(30)을 더 구비함으로써, 프레스의 압력이 상기 상부 절연커버(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 절연커버(40)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크용접봉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크 용접봉 홀더는 상기 하부 집게부 후방을 감싸도록 결합된 손잡이관(8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관(80)은 용접봉을 집기 위해 상기 고정형 레버(50)과 동시에 움켜쥠으로써, 맞닿아 있는 상기 상부 집게부(12)와 상기 하부 집게부(14)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관(80)은 상기 하부 집게부(14)의 후방을 감싸는 것으로 볼트를 통해 상기 하부 집게부(14)와 결합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관(80)은 용접 시, 아크 용접봉 홀더에서 직접적으로 노출 및 취급되는 부분으로 작업 중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낙하에 따른 파손 및 작업자 보호를 위해 개선이 필요하다.
일 예로, 상기 손잡이관(80)의 Glass 함유량을 높일 경우, 손잡이관(80)의 내구성 강화 및 열 전도율이 소폭 상승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작업 중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낙하에 따른 파손 및 작업자 보호를 위해 상기 손잡이관(80)의 재질을 기존의 Glass 함유량 30%에서 35%로 높여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관(80)의 색상을 일반적인 검정색이 아닌, 파란계열의 군청색(RAL 5013)을 적용함으로써 시원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시각적인 요소를 반영해 기존의 제품들과 비교하여 차별화를 주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절연커버(50)는 작업자가 용접 시, 용접봉 홀더 전체로 과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개 이상의 통기공(52)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집게부(14)는 황동으로 제작함으로써 전기부여 및 용접작업에 따라 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열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절연커버(14)에 소정의 크기의 구멍인 통기공(52)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집게부(14)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열을 하부 절연커버(50)의 하부 방향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기공(52)은 3개의 타원형과 1개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1개 이상의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용접봉 홀더 바디
12: 상부 집게부
14: 하부 집게부
20: 일체형 손잡이철판
30: 와샤유닛
32: 삽입홀
40: 상부 절연커버
42: 삽입통로
44: 안착부
50: 하부 절연커버
52: 통기공
60: 고정형 레버
62: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
64: 미끄럼 방지용 돌기
70: 스프링
72: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
74: 절개부
80: 손잡이관

Claims (7)

  1. 집게식으로 힌지 설치된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용접봉을 원활하게 집을 수 있도록 상부 전방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집게부를 구비하는 용접봉 홀더 바디;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집게부와 결합부가 없도록 일체형으로 구비된 일체형 손잡이철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 상부와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와샤유닛;
    상기 상부 집게부 상부 전방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이 삽입되는 삽입통로와 상기 삽입통로 상부에 상기 와샤유닛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상부 절연커버;
    상기 하부 집게부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하부 절연커버;
    상기 상부 집게부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형 레버;
    상기 고정형 레버 하부 일측에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 및
    상기 하부 집게부와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를 포함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은 상기 삽입통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상부 절연커버와 결합되되,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진 상기 와샤유닛 상부로 돌출된 상기 일체형 손잡이철판에 압력을 가해 압착시켜 상기 상부 절연커버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절연커버가 쉽게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용접봉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는 전방에 '┗┛'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 삽입용 하부가이드에 상기 스프링 삽입용 상부가이드가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샤유닛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외형을 가다듬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와샤유닛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커버는 상기 하부 집게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1개 이상의 통기공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집게부 후방을 감싸도록 결합된 손잡이관이 더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관은 작업 중 작업자 보호 및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한 낙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Glass 함유량을 35%로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레버는 작업자의 손이 닿는 상기 고정형 레버 상부 끝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 용접봉 홀더.
KR1020210086842A 2021-07-02 2021-07-02 아크 용접봉 홀더 KR20230006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42A KR20230006101A (ko) 2021-07-02 2021-07-02 아크 용접봉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42A KR20230006101A (ko) 2021-07-02 2021-07-02 아크 용접봉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101A true KR20230006101A (ko) 2023-01-10

Family

ID=8489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42A KR20230006101A (ko) 2021-07-02 2021-07-02 아크 용접봉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68B1 (ko) * 2023-08-24 2023-10-24 (주)나노원 아크 용접봉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511B1 (ko) 2001-11-30 2005-01-29 성주경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KR101884390B1 (ko) 2017-01-06 2018-08-01 주식회사 성우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511B1 (ko) 2001-11-30 2005-01-29 성주경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KR101884390B1 (ko) 2017-01-06 2018-08-01 주식회사 성우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68B1 (ko) * 2023-08-24 2023-10-24 (주)나노원 아크 용접봉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29351A (ja) バッテリクランプ装置
KR20230006101A (ko) 아크 용접봉 홀더
KR101865851B1 (ko) 활선작업기구
US20120279049A1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WO2011064639A1 (en) Screw terminal and receptacle including same
KR101884390B1 (ko) 아크 용접용 용접봉 홀더
CN105940568B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JP2011113679A (ja) 刃受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KR20100102330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
KR102188730B1 (ko) 송전선 접지 장치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KR20120076045A (ko) 편방향 스폿 용접건용 전극체
KR101042000B1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
US7828613B2 (en) Cable terminal connector
CN104475945A (zh) 一种电焊钳
KR200455268Y1 (ko) 탄산가스 용접토치용 그립
JP2023048063A (ja) プラズマトーチのハンドル
KR102362745B1 (ko) 곡면 용접용 접지장치
KR101939067B1 (ko) 접속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KR200444663Y1 (ko) 원터치 소켓을 구비한 용접기
KR200427432Y1 (ko) 램프홀더조립체
KR101352268B1 (ko) 아크 용접용 접지장치
KR101997628B1 (ko) 용접봉 홀더
CN217589441U (zh) 一种导线连接器
KR20100129396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