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50B1 - 용접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용접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50B1
KR100921350B1 KR1020090041907A KR20090041907A KR100921350B1 KR 100921350 B1 KR100921350 B1 KR 100921350B1 KR 1020090041907 A KR1020090041907 A KR 1020090041907A KR 20090041907 A KR20090041907 A KR 20090041907A KR 100921350 B1 KR100921350 B1 KR 10092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essing
body connecting
connecting termin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숙희
Original Assignee
정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숙희 filed Critical 정숙희
Priority to KR102009004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350B1/ko
Priority to PCT/KR2009/003180 priority patent/WO20100679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접속단자에 케이블을 가압시킬 수 있는 가압수단을 구성하여, 본체접속단자에 케이블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를 현격하게 줄임으로써, 제품단가를 하락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기용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접속단자는 일단이 용접기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전선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용접기의 외측에 마련되되 내측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접속단자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압수단이 본체접속단자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기용 커넥터{a connector of welder}
본 발명은 용접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접속단자에 케이블을 가압시킬 수 있는 가압수단을 구성하여, 본체접속단자에 케이블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부품수를 현격하게 줄임으로써, 제품단가를 하락시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기는 일정위치에 용접기를 설치하고, (-)극성의 연결선과 (+)극성의 용접홀더 연결선을 인출시켜 (-)연결선은 작업대위에 위치되는 철판에 고정하거나 집게를 부착하여 철판에 집어서 연결하고, 용접홀더에 용접봉을 물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기의 케이블 접속단자가 본체 접속단자에 결합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기의 케이블 접속단자가 본체 접속단자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용접기(1)의 일측에 용접기(1)의 출력 전원과 연결된 본체 접 속단자(100)가 구비되고, 이 본체 접속단자(100)는 용접기(1)의 일측에 결합 고정된다. 본체 접속단자(100)의 내측에는 결합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110)의 내주면 일측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 접속단자(100)의 자유단부분에는 결합공(110) 및 가이드공(120)과 연통된 절개홈(130)이 형성된다.
본체 접속단자(100)의 결합공(110)에 삽입 고정되어 작업대위에 위치되는 철판(미도시) 및 용접홀더(미도시)로 용접기(1)의 출력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접속단자(200)가 구비되어 지고, 이 케이블 접속단자(200)의 일측에는 결합공(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20)을 통하여 절개홈(130)의 일측벽에 결합 고정되는 걸림돌기(21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접속단자(200)의 타측에는 케이블이 결합 고정된다.
또한, 본체 접속단자(100)는 용접기(1)의 전면패널(2)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의 고정은 중앙에 본체 접속단자(10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외측 패널고정구(230)의 삽입공에 본체 접속단자(100)를 삽입한 후 상기 용접기(1)의 전면패널(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를 삽입시키면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의 일단이 삽입된 외측 패널고정구(230)이 상기 용접기(1)의 전면패널(2)의 외주연에 구성되며, 이러한 외측 전면패널(230)은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를 보호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용접기(1)의 전면패널(2)에 삽입된 본체 접속단자(100)의 타단은 전면패널(2)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단부에 내측 패널고정구(220)를 삽 입한 후 그 후방으로 풀림방지용 와셔(260) 및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에 형성된 나사산(150)에 체결되는 너트(250)를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 접속단자(100)의 나사산(150)에 체결된 너트(250)의 조임에 따라 내측 패널고정구(220)를 밀게 됨에 따라, 전면패널(2)의 내, 외측에 마련된 내, 외측 패널고정구(220)(230)가 상호 밀착됨에 따라 상기 용접기(1)에 본체접속단자(1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외측 패널고정구(220)(230)는 전면패널(2) 사이에 마련됨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도록 헐거움끼워맞춤 공차를 가지고 조립된다.
그러나, 용접기(1)의 전면패널(2)에 본체 접속단자(100)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내, 외측 패널고정구(220)(230)의 끼워맞춤 공차로 인해 본체접속단자(100)를 통해 케이블접속단자(200)로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상기 내, 외측 패널고정구(220)(230)의 끼워맞춤 공차의 공간으로 통해 용접기(1)로 흘러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전면패널(2)의 내, 외측에 마련되는 내, 외측 패널고정구(220)(230) 사이의 끼워맞춤을 위한 공간으로 전류가 통전되고, 이렇게 통전된 전류를 전면패널(2) 및 용접기(1)로 통전됨에 따라 용접기(1)를 작업자 또는 일반인들이 만졌을 경우 감전된다.
물론, 용접기는 일반적으로 고전류(10~2,000A)이면서 저항값이 높으므로 저전압(10~50V)을 가지게 됨에 따라 신체가 건강한 일반인들이 감전이 되었다 하더라 도 감전에 의한 사망사고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본체접속단자에 케이블접속단자를 끼워맞춤에 의한 결합구조를 가짐에 따라 끼워맞춤의 단점이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틈새는 스파크가 일어나 결국 본체접속단자와 케이블접속단자 상호가 가 용접되어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접속단자 및 케이블접속단자의 구성이 복잡하여, 그 가공에 있어서,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특히, 상기 케이블접속단자에 별도의 수단에 의해 케이블을 연결시켜야하는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작업공수의 추가 및 반복 사용에 의해 헐거움으로 상기 케이블접속단자에서 케이블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접속단자에 가압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시켜 고정함에 따라 본체접속단자에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연결부와 케이블 사이에서 합선되거나 또는 전류의 불안정적인 전류공급을 방지함에 따라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체접속단자와 케이블을 직접연결하도록 가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스파크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스파크에 의한 본체접속단자와 케이블 사이가 가용접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을 방지하는 용접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구성이 간단하여, 그 가공에 있어서 제조단가를 하락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용접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기용 커넥터는 용접기의 어느 일측에 복수로 구성되되 상기 용접기의 내측에 마련된 (+) 및 (-)극의 전선케이블이 일단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본체 접속단자와 상기 복수의 본체 접속단자에 각각 일단이 착탈되도록 구성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용접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접속단자는 일단이 용접기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전선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타단으로 용접기의 외측에 마련되되 내측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접속단자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가압수단이 본체접속단자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수단은 가압부와 파지부가 일체인 것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접속단자의 바닥면과 가압부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압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압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홈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부의 선단면과 삽입공 사이에는 가압수단이 본체접속단자로 체결될 때 케이블의 선들에 넓은 접촉면적을 제공하여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본체접속단자의 분기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분기공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접속단자에는 용접기의 전면패널에 삽입될 때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외측패널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외측패널고정구 및 가압수단의 파지부가 맞닿는 일면에는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호 풀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세레이션을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마련된 외측패널고정구 및 가압수단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호 조임시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 사이에는 상호 조임된 후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체접속단자에 가압수단을 연결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케이블을 가압시켜 고정함에 따라 본체접속단자에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연결부와 케이블 사이에서 합선되거나 또는 전류의 불안정적인 전류공급을 방지함에 따라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체접속단자와 케이블을 직접연결하도록 가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스파크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스파크에 의한 본체접속단자와 케이블 사이가 가용접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구성이 간단하여, 그 가공에 있어서 제조단가를 하락시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결합 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종래와 동일한 구 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접기(1)의 전면패널(2)에는 (+) 및 (-)극 각각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본체접속단자(30)가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본체접속단자(30) 각각에 착탈되게 구성되어 (+)극은 용접기의 홀더에 연결되고 (-)극은 작업대(또는 모재)에 연결되도록 하는 가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접속단자(30)는 일단에 용접기(1)의 전면패널(2) 내측으로 마련되는 연결부(3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가압수단(40)의 진입방향으로 암나사공(33)이 형성된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는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하는 분기돌기(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돌기(36)는 진입되는 케이블의 선들을 분기시켜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에 넓게 분포되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끝점에서 바닥면(34)으로 넓게 퍼지는 원뿔형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수용공간(32) 바닥면(34)과 분기돌기(36) 사이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압착돌기(37)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전면패널(2)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연은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패널(2)에 삽입되는 외측패널고정구(230)의 내측에 형성된 육각형상의 홈에 삽입되어 커버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본체접속단자(30) 및 외측고정구(230)의 육각형상은 조립시 상호 슬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상 또 는 상호 슬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측패널고정구(230)의 일면 즉, 후술되는 가압수단(40)과 상호 치합됨에 따라 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1세레이션(232)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측패널고정구(230)의 일단 즉, 전면패널(2)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전면패널(2)에 삽입된 후 조립시 회전슬라이딩됨을 억제하도록 걸림돌 기(234)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연결부(31)에는 종래와 같이 전선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케이블볼트(270)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되고 또한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25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250)나 와셔(260)를 구비하지 않고 전면패널(2)에 외측패널고정구(230) 및 본체접속단자(30)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수단(40)은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암나사공(33)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412)이 형성되며, 본체접속단자(30)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는 바닥면(34)에 절곡되게 분포된 케이블 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413)이 형성된 가압부(410)와 상기 가압부(410)의 타단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파지부(4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410)의 선단면(413)에는 본체접속단자(30)의 압착돌기(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압착홈(414)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본체접속단자(30)의 바닥면(34)에 분포된 케이블 선들의 가압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압착돌기(37) 또는 압착홈(414)의 형상은 반원 내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 선들을 압착이 용이한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고, 더불어, 본체접속단자(30)와 가압수단(40)에 상호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410)의 선단면(413)에서 삽입공(412) 사이에는 본체접속단자(30)의 분기돌기(3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기공(416)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케이블의 선들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가압부(410)의 후단 외주연의 어느 일측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서트돌기(418)가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가압부(410)에 파지부(420)를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 후 가압부(410)에서 파지부(420)가 축선 방향 또는 회전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410)의 후단에는 삽입공(412)으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412)에서 후단으로 확관되는 확관공(419)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420)는 가압부(410)에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멈춤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지부(420)의 일면 즉, 본체접속단자(30) 측으로 진입되는 선단면에는 상술된 제1세레이션(232)과 상호 치합되도록 하는 제2세레이션(4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은 어느 한 방향 즉, 조임 방향으로 정회전시킬 때에는 원활하게 넘어가지만 풀림 방향으로 역회전시킬 때에는 임의의 힘 이상 즉, 성인이 좀 더 힘을 주었을 때 넘어갈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래칫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본체접속단자(30)에 가압된 가압수단(40)이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임의로 풀림됨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부(420)에는 제2세레이션(422)에 탄성이 작용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424)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홈(424)은 제1 및 제2세레이션(39)(422)이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풀려고 할 때 일정 힘 이상이 작용하면, 상기 제2세레이션(422)이 제1세레이션(39)의 홈을 타고 넘어갈 때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체결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용접기(1)의 전면패널(2) 외측에서 내측으로 본체접속단자(30)가 삽입된 외측패널고정구(230)를 삽입하고, 이렇게 삽입된 외측패널고정구(230)의 내측에서 내측패널고정구(220)을 삽입한 후 그 선단으로 와셔(260) 및 너트(25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상기 본체접속단자(30)를 고정하며, 이후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연결부(31)에 케이블볼트(270)를 체결함으로써 전선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수용공간(32)에는 피복이 벗겨져 노출된 선들이 수용공간(32)의 분기돌기(36)를 통해 분기되면서 바닥면(34)에 분포되되, 상기 분기돌기(36)와 바닥면(34)의 절곡 부위에 의해 선들도 절곡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상기 케이블에는 가압수단(40)이 이미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40)을 상기 본체접속단자(30)에 가압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접속단자(30)의 암나사공(33)과 가압부(410)의 수나사부(411)를 상호 체결하면, 상기 가압수단(40)은 본체접속단자(30) 측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40)의 가압부(410) 선단면(413)이 본체접속단자(30)의 바닥면(34)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바닥면(34)과 선단면(413)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선들을 압착하게 됨에 따라 케이블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34)과 선단면(413) 각각에는 압착돌기(37) 및 압착홈(414)이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선들의 고정력을 더욱 증폭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본체접속단자(30)와 가압수단(40)의 밀착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제1 및 제2세레이션(232)(422)이 상호 치합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이 일정 힘 이상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하여도 임의로 풀림되지 않음으로, 안정적인 작업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본체접속단자(30)에서 케이블을 제거하거나 또는 교체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술된 바의 역순으로, 일정 힘 이상으로 가압수단(40)을 풀림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제1 및 제2세레이션(232)(422)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이후 순차적으로 풀림됨에 따라 본체접속단자(30)에서 케이블의 연결 또는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의 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접속단자(30)의 분기돌기(36a)는 돌출끝점에서 바닥면(34)까지 넓게 퍼지면서 부드러운 유선형의 유선(35)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기돌기(36a)를 통해 케이블 선들이 바닥면(34)에 넓게 퍼질 때 부드럽게 유선(35)을 퍼지도록 유도하여, 이후 가압수단(40)의 선단면(413)에 가압력이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수용공간(32)의 바닥면(34)과 분기돌기(36a) 사이에는 압착돌기(37) 또는 압착홈을 더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수단(40a)는 가압부(410)와 파지부(4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가압수단(40a)은 본체접속단자(30)에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함과 더불어 케이블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므로,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가공성 및 성형성뿐만 아니라 재료 단가가 저렴하고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접속단자(30)를 커버하는 외측패널고정구(230)와 가압수단(40)의 파지부(420)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와셔(5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1 및 제2세레이션(232)(422)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와셔(50)는 일명 '스프링와셔' 또는 '파도와셔'와 같이 두 모재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모재들이 상호 밀착되었을 때 상기 모재들 사이에서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모재들이 임의 충격 또는 진동에서 쉽게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탄성와셔(50)는 본체접전속단자(30)와 가압수단(40)의 상호 풀림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접속단자(30)와 가압수단(40) 사이의 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여기에서 도시된 탄성와셔(50)는 '파도와셔'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기용 커넥터의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접기 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용접기 커넥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결합 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압수단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접기 2: 전면패널
30: 본체접속단자 32: 수용공간
33: 암나사공 34: 바닥면
35: 유선 36: 분기돌기
37: 압착돌기 40, 40a: 가압수단
410: 가압부 411: 수나사부
412: 삽입공 413: 선단면
414: 압착홈 416: 분기공
420, 420a: 파지부 422: 제2세레이션
424: 탄성홈 50: 탄성와셔
220: 내측패널고정구 230: 외측패널고정구
232: 제1세레이션 234: 걸림돌기
250: 너트 260: 와셔
270: 케이블볼트

Claims (7)

  1. 용접기의 어느 일측에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용접기의 내측에 마련된 (+) 및 (-)극의 전선케이블이 일단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으로 용접기의 외측에 마련되며 내측으로 암나사공이 형성된 수용공간에 일정높이를 가지는 분기돌기가 형성된 복수의 본체 접속단자와, 상기 본체접속단자의 암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 및 상기 분기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분기공이 형성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용접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접속단자의 분기돌기는 수용공간의 바닥면에서 양측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케이블의 선들이 분기되면서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절곡되어 분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본체접속단자로 진입되는 방향의 선단부에 분기돌기를 통해 분기되어 바닥면에 분포된 케이블 선들을 압박하도록 하는 선단면이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접속단자에는 용접기의 전면패널에 삽입될 때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외측패널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외측패널고정구 및 가압수단의 파지부가 맞닿는 일면 각각에는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호 풀림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대칭형상을 가지는 제1 및 2세레이션;
    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부와 파지부가 일체;
    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접속단자의 바닥면과 가압부의 선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일정높이로 돌출된 압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압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압착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마련된 외측패널고정구 및 가압수단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세레이션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호 조임시 밀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탄성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으로 용접기용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접속단자와 가압수단 사이에는 상호 조임된 후 임의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와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커넥터.
KR1020090041907A 2008-12-12 2009-05-13 용접기용 커넥터 KR10092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07A KR100921350B1 (ko) 2009-05-13 2009-05-13 용접기용 커넥터
PCT/KR2009/003180 WO2010067934A1 (ko) 2008-12-12 2009-06-13 기기 또는 용접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07A KR100921350B1 (ko) 2009-05-13 2009-05-13 용접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350B1 true KR100921350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07A KR100921350B1 (ko) 2008-12-12 2009-05-13 용접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9B1 (ko) 2010-08-27 2011-04-26 손보승 아크 용접기의 다기능 어댑터 및 토치 체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773Y1 (ko) * 1987-11-27 1990-10-20 유창열 용접기용 케이블 콜렉트
KR200351693Y1 (ko) * 2004-02-27 2004-06-02 황원규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KR100603150B1 (ko) 2004-11-22 2006-07-20 (주)일흥 용접용 파워 케이블 콘넥터
KR100791949B1 (ko) 2006-12-26 2008-01-04 (주)일흥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773Y1 (ko) * 1987-11-27 1990-10-20 유창열 용접기용 케이블 콜렉트
KR200351693Y1 (ko) * 2004-02-27 2004-06-02 황원규 용접케이블용 콘넥터
KR100603150B1 (ko) 2004-11-22 2006-07-20 (주)일흥 용접용 파워 케이블 콘넥터
KR100791949B1 (ko) 2006-12-26 2008-01-04 (주)일흥 용접용 케이블 콘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9B1 (ko) 2010-08-27 2011-04-26 손보승 아크 용접기의 다기능 어댑터 및 토치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2313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6088623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エルボ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213651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
US20020119692A1 (en) Securing device and method
EP303265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arrangement
US9296058B2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KR20100001043U (ko) 케이블 커넥터
KR101178898B1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20100102330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
KR100921350B1 (ko) 용접기용 커넥터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KR100808402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WO2017087046A1 (en) Power interconnects in a modular access panel
KR101042000B1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
KR102117071B1 (ko) 전선 접속장치
KR101744660B1 (ko) 컷아우트스위치의 상하 접속부 배전선로 연결체
KR200444663Y1 (ko) 원터치 소켓을 구비한 용접기
CN210576717U (zh) 可快速插接的多用途防水线
KR20100093251A (ko) 감전의 위험성을 해소하는 용접기 커넥터의 구조
KR200157223Y1 (ko) 밧데리단자 접속용 컨넥터
KR20100129396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기용 접지홀더의 구조
KR20100089458A (ko) 커넥터
KR101737759B1 (ko) 프리텐션 접속단자
KR200480859Y1 (ko)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CN211127029U (zh) 双单元夹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