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59Y1 -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59Y1
KR200480859Y1 KR2020140008776U KR20140008776U KR200480859Y1 KR 200480859 Y1 KR200480859 Y1 KR 200480859Y1 KR 2020140008776 U KR2020140008776 U KR 2020140008776U KR 20140008776 U KR20140008776 U KR 20140008776U KR 200480859 Y1 KR200480859 Y1 KR 200480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or
welding
termina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954U (ko
Inventor
윤광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성아이에스테크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성아이에스테크웰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5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극성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 용접케이블과 접속되면서 상기 접속케넉터와 접속 가능하게 탈착되는 연결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 및 연결커넥터에 그 접속커넥터로 접속된 연결커넥터를 극성 변환 시 분리시켜 다른 극성단자와 연결된 접속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용접 작업에 따른 극성 변환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Connectors for easy welding polarity conversion}
본 고안은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극성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열, 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금속성의 모재를 접합하는 것으로서, 아크용접, 가스용접, 저항용접, 특수용접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아크용접과 가스용접이 가장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용접 중 아크용접은 열효율이 높고 열집중으로 효율적인 용접이 이루어짐은 물론 폭발의 위험이 없으며, 가스용접에 비하여 용접 변형이 적고,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여 선박이나 금속재 구조물을 용접 시 주로 사용된다.
아크용접은 전기를 이용한 즉, 두개의 전극(양극, 음극) 간에 접촉하면 가스체를 통하여 원자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튀어서 방전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용접법과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교류 또는 직류가 사용된다. 이때, 직류의 경우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정극성 또는 역극성이 사용된다.
통상 직류를 이용한 아크용접은 대부분이 용접와이어는 (+)극에 연결되고 접지(모재)에 (-)극에 연결되는 직류 역극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용접와이어는 (-)극에 연결되고 접지는 (+)극에 연결되는 직류 정극성 또한 사용된다.
아울러,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극성을 바꿔주어야 하는데 통상 용접케이블을 용접전원부와 전기접촉이 원활하고 안전을 위하여 주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바꿔주고자 할 때에는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연결은 작업자 쪼그리고 앉아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볼트와 너트를 풀기 위한 스패너나 렌지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번거롭고 오랜 작업시간이 소용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용접 시 용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555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가스호스의 내부로 용접기의 제어선이 형성된 용접용 케이블과 용접기 본체를 쉽게 결합시키며, 결합만에 의해서도 용접기 본체로의 제어선 경로와 이산화탄소의 경로가 형성되는 이산화탄소 용접케이블 커넥터와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924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크 용접기의 본체에서 토치로 전력의 공급, 가스 공급 및 용접봉 와이어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일 포트 구조의 다기능 아크 용접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5162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선소의 대다수 지역에 있는 이산화탄소 용접기에 연결된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별도의 자동용접장치용 용접기를 가지고 다녀야하는 불편함 및 이에 수반되는 시간을 절감하는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55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92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516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3은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변환시키고자 할 때, 종래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극성을 바꿔줘야 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극성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간의 고정이 더욱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케이블의 연결 고정이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류를 이용하여 용접 시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전환시키고자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에 각각의 용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 상기 용접케이블과 접속되면서 상기 접속케넉터와 접속 가능하게 탈착되는 연결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 및 연결커넥터에 그 접속커넥터로 접속된 연결커넥터를 극성 변환 시 분리시켜 다른 극성단자와 연결된 접속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연결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접속케이싱, 및 상기 접속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연결케이싱, 및 상기 연결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용접케이블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부는 접속케이싱에 삽입부까지 관통되게 연결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구, 및 상기 연결단자의 선단에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는 연결단자가 형성된 연결케이싱 또는 접속단자기 형성된 접속케이싱에 분실 방지를 위한 와이어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상기 탈착부는 접속케이싱의 삽입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안내홈과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홈, 상기 연결케이싱에 상기 안내홈으로 슬라이딩된 후 회전에 의해 고정홈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용접케이블이 삽입되어 연결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입홈, 상기 연결케이싱에 상기 용접케이블과 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연결케이싱에 인입홈까지 관통된 고정공, 상기 고정공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접케이블을 연결단자에 고정하는 결합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극성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 작업에 따른 극성 변환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넥터 간의 고정이 더욱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 간의 접속이 단시간 내에 더욱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용접케이블의 연결 고정이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접케이블의 연결 작업 또한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용접케이블을 교체함에 따라 극성 변환도 이루어질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를 이용하여 통상의 아크용접 등과 같은 용접 시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전환시키고자 용접전원부(100)의 각 극성단자(102)에 각각의 용접케이블(11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의 종류에 따라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극성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커넥터(1)는 용접전원부(100)의 각 극성단자(102)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10)와; 상기 용접케이블(110)과 접속되면서 상기 접속커넉터(10)와 접속 가능하게 탈착되는 연결커넥터(20); 및 상기 접속커넥터(10) 및 연결커넥터(20)에 그 접속커넥터(10)로 접속된 연결커넥터(20)를 극성 변환 시 분리시켜 다른 극성단자와 연결된 접속커넥터(10)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주된 기술적 사상은 용접케이블이 용접전원부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직접 연결고정되는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脫皮)하여 필요에 따라 극성 변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즉, 커넥터를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와, 용접케이블과 접속되는 연결커넥터로 분리하여 탈착부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접속커넥터는 용접전원부에 지속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용접법이이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변환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접속커넥터에 접속된 연결커넥터를 탈착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극성단자로 접속되어 있는 접속커넥터로 연결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극성을 전환시킬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다.
그로 인해 작업자로 하여금 단시간 내에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신속하게 극성을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함으로써, 용접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또한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접속커넥터(10)는 용접전원부(100)의 각 극성단자(102)와 통상의 스크류나 볼트 또는 집게 형태의 접속구 등에 의해 연결 접속되는 접속단자(12)와, 상기 접속단자(12)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접속케이싱(14), 및 상기 접속케이싱(14)의 끝단에 상기 연결커넥터(20)의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1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16)는 접속단자의 후면과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상적인 홈 형태이다. 상기 접속단자는 선단이 상기 극성단자와 접속을 위해 선단이 접속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통상적인 성형방식에 의해 인서트시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케이싱에 삽입한 다음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연결커넥터(20)는 상기 삽입부(16)로 삽입되어 접속단자(12)와 접속되는 연결단자(22)와, 상기 연결단자(22)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통상의 합성수지재의 연결케이싱(24), 및 상기 연결케이싱(24)의 끝단에 상기 용접케이블(110)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연결부(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26)는 연결단자와 용접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상의 홈 형태이다. 상기 연결단자는 선단이 상기 접속단자와 접속을 위해 선단이 연결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통상적인 성형방식에 의해 인서트시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케이승에 삽입한 다음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접속커넥터의 삽입부로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시킴으로써, 접속단자와 연결단자가 접촉되면서 접속되어, 전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접속커넥터의 삽입부와 연결커넥터의 연결단자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결커넥터의 선단은 삽입 시 긴밀하게 밀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 또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탈착부(30)는 접속케이싱(14)에 삽입부(16)까지 관통되게 연결되는 삽입공(32)과, 상기 삽입공(32)으로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상의 핀이나 스크류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34), 및 상기 연결단자(22)의 선단에 상기 삽입부(16)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홈(36)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접속커넥터의 삽입부로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한 후 탈착부의 삽입공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구에 의해 연결단자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고정 또는 분리됨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속커넥터로부터 연결커넥터의 접속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커넥터에 접소된 용접케이블의 극성을 변환시키고자 할 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연결부(26)는 용접케이블(110)이 삽입되어 연결단자(22)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입홈(26a)과, 상기 연결케이싱(24)에 상기 용접케이블(110)과 연결단자(2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6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6b)는 연결케이싱(24)에 인입홈(26a)까지 관통된 고정공(26a'), 상기 고정공(26a')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접케이블(110)을 연결단자(22)에 고정하는 통상의 핀이나 스크류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결합고정구(26a")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연결부에 접속되는 용접케이블 또한 연결케이싱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용접케이블의 접속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접속커넥터로부터 탈착부에 의해 연결커넥터를 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접속커넥터에 연결커넥터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용접케이블만을 탈착시켜 극성 변환도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탈착부에 구비되는 고정구를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구(34)는 연결단자(22)가 형성된 연결케이싱(24) 또는 접속단자(12)기 형성된 접속케이싱(14)에 분실 방지를 위한 와이어(38)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고정구에 공지된 결속방식이나 고리 등에 의해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케이싱 또는 접속케이싱에도 공지된 결속방식이나 고리 등에 의해 연결시켜 사용한다.
그에 따라 고정구를 연결케이싱이나 접속케이싱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시켜 놓으므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탈착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극성 변환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접속커넥터와 연결커넥터를 탈착시키는 탈착부를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한다.
탈착부(30)는 접속케이싱(14)의 삽입부(16) 내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안내홈(39)과 연결되는 각각의 안내고정홈(39a)과, 상기 연결케이싱(24)에 상기 안내홈(39)으로 슬라이딩된 후 회전에 의해 안내고정홈(39a)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돌기(39b)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홈과 안내고정홈은 직교되는 방향, 즉 한글 자음의 기억("ㄱ")자 또는 니은("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과 안내고정홈은 접속케이싱을 성형 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 또한 연결케이싱을 성형 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다.
그에 따라 접속커넥터의 삽입부로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할 때 접속케이싱의 안내홈 상에 연결케이싱의 고정돌기를 일치시켜 밀어 넣은 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는 안내홈 상에서 안내고정홈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접속커넥터와 연결커넥터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으로써, 탈착 작업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 커넥터
10 : 접속커넥터 12 : 접속단자
14 : 접속케이싱 16 : 삽입부
20 : 연결커넥터 22 : 연결단자
24 : 연결케이싱 26 : 연결부
26a : 인입홈 26b : 고정부재
26b' : 고정공 26b" : 결합고정구
30 : 탈착부 32 : 삽입공
34 : 고정구 36 : 고정홈
38 : 와이어 39 : 안내홈
39a : 안내고정홈 39b : 고정돌기
100 : 용접전원부 102 : 극성단자
110 : 용접케이블

Claims (8)

  1. 직류를 이용하여 용접 시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전환시키고자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에 각각의 용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
    상기 용접케이블과 접속되면서 상기 접속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탈착되는 연결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 및 연결커넥터에 그 접속커넥터로 접속된 연결커넥터를 극성 변환 시 분리시켜 다른 극성단자와 연결된 접속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연결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접속케이싱, 및 상기 접속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연결케이싱, 및 상기 연결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용접케이블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는 접속케이싱에 삽입부까지 관통되게 연결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구, 및 상기 연결단자의 선단에 상기 삽입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연결단자가 형성된 연결케이싱 또는 접속단자기 형성된 접속케이싱에 분실 방지를 위한 와이어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직류를 이용하여 용접 시 용접법이나 용접와이어에 따라 극성을 전환시키고자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에 각각의 용접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접속되는 접속커넥터;
    상기 용접케이블과 접속되면서 상기 접속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게 탈착되는 연결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 및 연결커넥터에 그 접속커넥터로 접속된 연결커넥터를 극성 변환 시 분리시켜 다른 극성단자와 연결된 접속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커넥터는 용접전원부의 각 극성단자와 연결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접속케이싱, 및 상기 접속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연결커넥터의 선단을 삽입하여 연결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커넥터는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어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연결단자, 상기 연결단자의 외측에 절연재질로 감싸져 형성되는 연결케이싱, 및 상기 연결케이싱의 끝단에 상기 용접케이블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는 접속케이싱의 삽입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안내홈과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홈, 상기 연결케이싱에 상기 안내홈으로 슬라이딩된 후 회전에 의해 고정홈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용접케이블이 삽입되어 연결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입홈, 상기 연결케이싱에 상기 용접케이블과 연결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연결케이싱에 인입홈까지 관통된 고정공, 상기 고정공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용접케이블을 연결단자에 고정하는 결합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20140008776U 2014-11-28 2014-11-28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0480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776U KR200480859Y1 (ko) 2014-11-28 2014-11-28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776U KR200480859Y1 (ko) 2014-11-28 2014-11-28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54U KR20160001954U (ko) 2016-06-08
KR200480859Y1 true KR200480859Y1 (ko) 2016-07-22

Family

ID=5613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776U KR200480859Y1 (ko) 2014-11-28 2014-11-28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5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3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KR101394178B1 (ko) * 2014-04-04 2014-05-14 정균태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568A (ja) * 1996-08-06 1998-02-20 Kawasaki Steel Corp ケーブル敷設用管路の耐震管継手
KR20090005558U (ko) 2007-12-04 2009-06-09 (주)대신전기상사 이산화탄소 용접케이블 커넥터
KR101241924B1 (ko) 2010-08-27 2013-03-11 안정노 다기능 아크 용접 장치
KR20130075162A (ko)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케이블과 자동용접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3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KR101394178B1 (ko) * 2014-04-04 2014-05-14 정균태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54U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6773B2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CA2585734C (en) Power cord system for welding-type devices
AR057230A1 (es) Terminal de conexion electrica y unidad electrica de corte que comprende un terminal tal
KR20100102330A (ko) 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용접봉 홀더
KR200480859Y1 (ko)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0487482Y1 (ko)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CN215846244U (zh) 一种电焊机器人用快捷更换的焊条的焊头
KR200412164Y1 (ko) 전기 용접기의 케이블 연결용 콘넥터
KR101070512B1 (ko) 자체 보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토치 장치
KR101394178B1 (ko)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CN207798889U (zh) 一种夹紧式电缆耐压实验快速接头
CN108544066B (zh) 铜导线焊接机及其焊接工艺
CN210281041U (zh) 一种电焊钳
KR100921350B1 (ko) 용접기용 커넥터
CN212264833U (zh) 一种二氧气体保护焊机
KR200371065Y1 (ko)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의 어댑터
JPH01118374A (ja) プラズマトーチ装置
CN207494763U (zh) 新型焊条电弧焊焊钳
KR200373353Y1 (ko) 용접기용 케이블 연결부재
CN203992781U (zh) 集成一体的电火花堆焊修复机接线柱
CN210957244U (zh) 一种推拉式单夹头快速电源电缆接电装置
CN2482477Y (zh) 一种点电焊机焊头夹
KR20160053067A (ko) 아크 용접용 접지홀더의 케이블 접지장치
KR200370386Y1 (ko)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의 어댑터
CN211213479U (zh) 一种便装牢固的电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