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178B1 -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178B1
KR101394178B1 KR1020140040642A KR20140040642A KR101394178B1 KR 101394178 B1 KR101394178 B1 KR 101394178B1 KR 1020140040642 A KR1020140040642 A KR 1020140040642A KR 20140040642 A KR20140040642 A KR 20140040642A KR 101394178 B1 KR101394178 B1 KR 10139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groove
term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균태
Original Assignee
정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균태 filed Critical 정균태
Priority to KR102014004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용접기의 본체에 형성된 출력전원과 토치를 연결하는 케이블 간의 연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접속 핀과 접속 부시로 구성되되, 상기 접속 핀은 접속 부시에 끼움 결합시 다분할로 절개된 분할홈으로 하여금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강압 밀착에 의한 면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용접 성능 및 용접 효율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Coupling cable terminal box for laser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용접기의 본체에 형성된 출력전원과 토치를 연결하는 케이블 간의 연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접속 핀과 접속 부시로 구성되되, 상기 접속 핀은 접속 부시에 끼움 결합시 다분할로 절개된 분할홈으로 하여금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강압 밀착에 의한 면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용접 성능 및 용접 효율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용접기는 일정위치에 용접기를 설치하고, -극성의 어스선과 +극성의 용접홀더 연결선을 인출시켜 어스선은 작업대 위에 위치되는 철판에 고정하거나 집게를 부착하여 철판에 집어서 접지하고, 용접홀더에 용접봉을 물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3996호에는 종래의 케이블접속단자에 대하여 게시되어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접속단자는 용접기(미도시)의 일측에 용접기의 출력전원과 연결된 본체접속단자(1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접속단자(12)는 용접기의 일측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본체접속단자(12)의 내측에 결합공(1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4)의 내주면 일측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공(16)이 형성된다.
이에, 본체접속단자(12)의 자유단 부분에는 결합공(14) 및 가이드공(16)과 연통된 절개홈(18)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접속단자(12)의 결합공(14)에 삽입고정되어 작업대위에 위치되는 철판(미도시) 및 용접홀더(미도시)로 용접기의 출력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접속단자(20)가 구비되고, 이 케이블접속단자(20)의 일측에는 결합공(14)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6)을 통하여 절개홈(18)의 일측벽에 결합고정되는 걸림돌기(22)가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며, 케이블접속단자(20)의 타측에는 케이블(24)이 결합고정된다.(도 5 내지 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접속단자가 본체접속단자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케이블접속단자(20)를 본체접속단자(12)에 결합고정할 경우, 케이블접속단자(20)를 본체접속단자(1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케이블접속단자(2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돌기(22)가 본체접속단자(12)의 가이드공(16)과 동일축상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케이블접속단자(2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돌기(22)가 본체접속단자(12)의 가이드공(16)과 동일축상에 위치되면, 케이블접속단자(20)의 일측에 돌출구성된 걸림돌기(22)를 본체접속단자(12)의 가이드공(16)을 통하여 삽입시킨 상태에서 케이블접속단자(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접속단자(20)가 본체접속단자(12)에 결합 고정된다.
즉, 본체접속단자(12)의 결합공(14) 및 가이드공(16)이 절개홈(18)과 연통되어 있음으로 케이블접속단자(20)의 걸림돌기(22)를 가이드공(16)에 삽입한 상태에서 케이블접속단자(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2)가 절개홈(18)의 일측벽에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걸림돌기(22)가 절개홈(18)의 일측벽에 결합고정됨에 따라 용접기에서 공급되는 출력전원이 본체접속단자(12) 및 케이블접속단자(20)를 통하여 작업대위에 위치되는 철판 및 용접홀더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접속단자 및 케이블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용접기에서 공급되는 출력전원을 작업대위에 위치되는 철판 및 용접홀더로 공급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케이블전속단자와 본체접속단자를 상호 결합고정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접속단자의 걸림돌기를 본체접속단자의 가이드공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케이블접속단자를 일정각도로 회전시켜야 함으로 작업자가 케이블접속단자와 본체접속단자를 결합 및 분리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케이블접속단자와 본체접속단자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작업자의 접촉이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케이블접속단자와 본체접속단자의 접촉면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출력전원공급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작업자의 접촉이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케이블접속단자가 본체접속단자에서 이탈될 경우, 용접작업의 중단 뿐만 아니라, 용접전압이 누전되어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까지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용접기의 본체에 형성된 출력전원과 토치를 연결하는 케이블 간의 연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접속 핀과 접속 부시로 구성되되, 상기 접속 핀은 접속 부시에 끼움 결합시 다분할로 절개된 분할홈으로 하여금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강압 밀착에 의한 면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용접 성능 및 용접 효율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삽입되는 측의 단부가 반구 형태를 갖는 원통체의 삽입단(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단(11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3등분 절개된 분할홈(1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용접토치의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는 접속 핀(100:Pin)과; 상기 접속핀의 삽입단(110)이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일측에 접속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타측에는 용접기의 출력전원과 연결되도록 연결단(220)이 형성되는 접속 부시(200:Bush)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단(110)은 삽입되는 측 선상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 보강면(112)이 형성되어 접속홈(210) 내주면과 강제 면접점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홈(210)은 내주연 일측에 상기 접촉 보강면(112)과 대응되는 수납홈(211)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접속 핀(100)은 결합공(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립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121)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어 케이블이 결합공(120) 내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 핀(100)과 접속 부시(200)는 일측 선상 또는 단부에 각각 육각머리 너트(130,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시 수공구로 하여금 결합,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접기의 본체에 형성된 출력전원과 토치를 연결하는 케이블 간의 연결용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접속 핀과 접속 부시로 구성되되, 상기 접속 핀은 접속 부시에 끼움 결합시 다분할로 절개된 분할홈으로 하여금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강압 밀착에 의한 면접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접속 단자의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원을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용접 성능 및 용접 효율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핀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시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종래의 케이블 접속단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암수 조립 형태를 갖는 접속 핀(100)과 접속 부시(2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접속 핀(100:Pin)은 삽입되는 측의 단부가 반구 형태를 갖는 원통체의 삽입단(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단(11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3등분 절개된 분할홈(1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용접토치의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접속 부시(200:Bush)는 상기 접속핀의 삽입단(110)이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일측에 접속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타측에는 용접기의 출력전원과 연결되도록 연결단(2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속 핀과 접속 부시는 금속 도체로서, 서로 연결시 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분할홈에 의한 삽입단과 접속홈의 내주연이 면접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접촉성 즉 전기적 통전성이 크게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단은 접속 부시의 접속홈으로 삽입시 미세 공차에 의한 압착 형태로 끼워지면서 접속홈의 내경이 삽입단의 외경보다 소정 간격 만큼 작게 형성된다.
이는 분할홈으로 인해 절개된 삽입단의 핑거(잘라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 면)가 접속홈으로 진입시 탄성으로 하여금 압착되면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관계는 내외주연 밀착에 의해 면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단(110)은 삽입되는 측 선상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 보강면(112)이 형성되어 접속홈(210) 내주면과 강제 면접점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접촉 보강면은 외측으로 미세 간격 돌출된 일종의 띠 형태로 접점성이 크게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홈(210)은 내주연 일측에 상기 접촉 보강면(112)과 대응되는 수납홈(211)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촉 보강면과 개응되는 수납홈은 삽입단이 접속홈에 삽입 후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보강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접속 핀(100)은 결합공(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립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121)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어 케이블이 결합공(120) 내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 핀(100)과 접속 부시(200)는 일측 선상 또는 단부에 각각 육각머리 너트(130,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시 수공구로 하여금 결합,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너트는 몽키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 접속 핀과 접속 부시를 강제로 분해하거나 케이블 또는 출력전원과의 조립시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접속 핀 110 ... 삽입단
111 ... 분할홈 112 ... 접촉 보강면
120 ... 결합공 121 ... 조립홈
130 ... 너트 200 ... 접속부시
210 ... 접속홈 220 ... 연결단
230 ... 너트

Claims (5)

  1. 삽입되는 측의 단부가 반구 형태를 갖는 원통체의 삽입단(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단(110)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3등분 절개된 분할홈(1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용접토치의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결합공(120)이 형성되는 접속 핀(100:Pin)과;
    상기 접속핀의 삽입단(110)이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일측에 접속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되, 타측에는 용접기의 출력전원과 연결되도록 연결단(220)이 형성되는 접속 부시(200:Bush)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110)은 삽입되는 측 선상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 보강면(112)이 형성되어 접속홈(210) 내주면과 강제 면접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홈(210)은 내주연 일측에 상기 접촉 보강면(112)과 대응되는 수납홈(211)이 형성되어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핀(100)은 결합공(1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조립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121)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어 케이블이 결합공(120) 내에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핀(100)과 접속 부시(200)는 일측 선상 또는 단부에 각각 육각머리 너트(130,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요시 수공구로 하여금 결합,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KR1020140040642A 2014-04-04 2014-04-04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KR10139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42A KR101394178B1 (ko) 2014-04-04 2014-04-04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42A KR101394178B1 (ko) 2014-04-04 2014-04-04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178B1 true KR101394178B1 (ko) 2014-05-14

Family

ID=5089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642A KR101394178B1 (ko) 2014-04-04 2014-04-04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4U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일성아이에스테크웰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200046664A (ko) * 2018-10-25 2020-05-07 (주)일흥 용접토치용 케이블 연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19Y1 (ko) * 2009-04-07 2011-05-17 이선영 전기용접기용 케이블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19Y1 (ko) * 2009-04-07 2011-05-17 이선영 전기용접기용 케이블접속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54U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일성아이에스테크웰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0480859Y1 (ko) * 2014-11-28 2016-07-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성 변환이 용이한 용접용 커넥터
KR20200046664A (ko) * 2018-10-25 2020-05-07 (주)일흥 용접토치용 케이블 연결구
KR102109923B1 (ko) * 2018-10-25 2020-05-12 (주)일흥 용접토치용 케이블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6356B2 (en) Cable connector with switch structure
AU2018205181B2 (en) Rapid installation mechanism of radio-frequency coaxial cable connector
CA2896823A1 (en) Replaceable machine-mounted male input power connections
KR101394178B1 (ko)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WO201501201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ツール交換装置
US8056867B2 (en) Position assuranc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20240162671A1 (en) Reconfigurable welding-type power sockets and power plugs
KR101858536B1 (ko) 로봇용 용접토치
KR100678538B1 (ko)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US20140342635A1 (en) Electric toy gun
CN105932481A (zh) 一种电气线路快接端子
JP2015056981A (ja) ケーブル保持装置
US20200373543A1 (en) Connector for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box, electric vehicle thereof
JP6240001B2 (ja) 雄端子
KR101744470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의 터미널
CN115036719A (zh) 一种电连接器
CN210517106U (zh) 一种带有防护壳的连接器
KR20140058235A (ko) 용접기용 파워 케이블 접속구
CN208674543U (zh) 电连接器
US2446262A (en) Wire grip for electrical fittings
CN216312199U (zh) 一种基于电控插座的高压互锁线束
CN220066153U (zh) 一种转接式劈槽插孔
CN109066174A (zh) 电连接器
CN210879522U (zh) 电动工具及其连接装置
CN217281598U (zh) 一种主电缆插头插座拆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