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82Y1 -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 Google Patents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82Y1
KR200487482Y1 KR2020170004092U KR20170004092U KR200487482Y1 KR 200487482 Y1 KR200487482 Y1 KR 200487482Y1 KR 2020170004092 U KR2020170004092 U KR 2020170004092U KR 20170004092 U KR20170004092 U KR 20170004092U KR 200487482 Y1 KR200487482 Y1 KR 200487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ush casing
connector
cabl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관
Original Assignee
오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관 filed Critical 오제관
Priority to KR2020170004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2Electrode holders not supplying shielding means to th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케이블이 연결되는 샤프트커넥터상에서 용접봉홀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접의 정밀도와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단선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통한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여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한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ELECTRODE HOLDER FOR ARC WELDING}
본 고안은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이 연결되는 샤프트커넥터상에서 용접봉홀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접의 정밀도와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단선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통한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여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한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 용접이라 함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압을 걸고 용접봉의 선단을 모재에 가볍게 접촉시켰다 떼는 순간 방전으로 강한 빛과 고열을 내는 원호모양의 불꽃인 아크(arc)를 이용하여 모재의 용접부를 용융시킨 후 용가재의 용적을 용접부에 첨가함으로써, 부품을 서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아크 용접은 일정 위치에 용접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접기에는 (-)극성의 접지 케이블과 (+)극성의 용접봉 케이블을 각각 인출시킨 후, 상기 접지 케이블의 끝단에 집게 형태의 용접봉홀더에 연결한 후 작업대에 상기 용접봉홀더의 집게를 물려서 연결한다. 아울러, 용접봉 케이블의 끝단에는 용접봉 홀더에 연결하여 상기 용접봉홀더에 용접봉을 물린 후 작업대에 마련된 가공물을 용접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용접봉홀더에 접지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은 일단에 집게가 마련되고 타단에 접지 케이블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반원형 또는 원형의 철편이 연장되어 있어, 상기 철편으로 접지 케이블을 삽입한 후 압착시켜 접지 케이블과 용접봉홀더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는 용접기와 용접봉홀더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는 작업조건에 따라 일반적으로 수 m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작업을 하다보면 길게 늘어진 케이블이 꼬임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이유로 작업을 완료 또는 작업 중간에 꼬임된 케이블을 풀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역회전시키는 원상 복구작업을 수행하여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블의 꼬임에 의해 케이블에 마련된 연선들 사이가 절단되고 케이블의 결선되어, 이러한 단락된 연선들 사이에서 방전에 의한 합선이 발생하고, 이러한 합선은 용접기의 수명 단축 또는 불안정한 전류공급에 따른 용접불량 등의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이 연결되는 샤프트커넥터상에서 용접봉홀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접의 정밀도와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단선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통한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여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한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전단부 저면에 용접봉물림부가 형성되는 고정집게부와,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집게부의 힌지 결합되고 전단부 상면에 용접봉고정부가 형성되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용접봉을 파지하는 가동집게부와, 상기 고정집게부와 가동집게부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집게부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아크용접봉을 탄성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고정집게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부절연커버 및 상기 가동집게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커버로 구성되는 절연커버; 상기 고정집게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축공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형의 브러쉬케이싱 및 전단부에는 상기 브러쉬케이싱의 회전축공에 끼움 결합되어 브러쉬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는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홀더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브러쉬케이싱이 상기 샤프트커넥터의 샤프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홀더본체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커넥터의 커넥터부에 결합된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집게부 및 가동집게부는 황동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케이싱은 카본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커넥터는 황동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절연커버는 상기 고정집게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집게커버부 및 상기 집게커버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케이싱의 외면을 커버하는 원통커버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케이싱은 상기 고정집게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하면에 상부회전축홈이 형성된 상부브러쉬케이싱과 상면에 하부회전축홈이 형성된 하부브러쉬케이싱으로 분할되어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 및 하부브러쉬케이싱의 결합에 의해 원통형을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전단에 형성되는 스토퍼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의 상부회전축홈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의 하부회전축홈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브러쉬케이싱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내측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커버부의 내측 하면에는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의 하면에는 상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부스프링수용홈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 가압에 의해 상기 원통커버부 내에서 상기 브러쉬케이싱이 상기 샤프트에 밀착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이 연결되는 샤프트커넥터상에서 용접봉홀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샤프트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접의 정밀도와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단선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통한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여 용접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분리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결합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결합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분리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결합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는 홀더본체(110), 절연커버(120), 브러쉬케이싱(130) 및 샤프트커넥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본체(110)는 전단부 저면에 용접봉물림부(111a)가 형성되는 고정집게부(111)와,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집게부(111)의 힌지(H) 결합되고 전단부 상면에 용접봉고정부(112a)가 형성되어 레버(112b)의 동작에 의해 용접봉을 파지하는 가동집게부(112)와, 상기 고정집게부(111)와 가동집게부(112)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집게부(112)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아크용접봉을 탄성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스프링(1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집게부(111)와 가동집게부(112)는 아크용접봉에 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도가 높은 황동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커버(120)는 상기 고정집게부(111)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부절연커버(121) 및 상기 가동집게부(112)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커버(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커버(120)는 절연체로 마련되어 인체에 접촉될 수 있는 부위인 고정집게부(111)와 가동집게부(112)의 외면을 마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절연커버(121)는 상기 고정집게부(111)의 외면을 커버하는 집게커버부(121a) 및 상기 집게커버부(121a)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브러쉬케이싱(130)의 외면을 커버하는 원통커버부(121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절연커버(121)는 전기가 흐르는 고정집게부(111) 및 브러쉬케이싱(130)을 모두 절연 마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집게부(111)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축공(13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고정집게부(111)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후술하는 샤프트커넥터(14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샤프트커넥터(140)를 통해 케이블(C)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고정집게부(111)로 공급함과 동시에 샤프트커넥터(14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홀더본체(110)가 샤프트커넥터(14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카본재질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샤프트커넥터(140)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샤프트커넥터(140)에서 공급되는 전기가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커넥터(140)는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C)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전단부에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의 회전축공(131)에 끼움 결합되어 브러쉬케이싱(1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14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케이블(C)이 삽입 고정되는 커넥터부(1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커넥터(140)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황동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샤프트커넥터(140)에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은 상기 고정집게부(111)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하면에 상부회전축홈(131a)이 형성된 상부브러쉬케이싱(130-1)과 상면에 하부회전축홈(131b)이 형성된 하부브러쉬케이싱(130-2)으로 분할되어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130-1) 및 하부브러쉬케이싱(130-2)의 결합에 의해 원통형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141)는 샤프트(141a) 및 상기 샤프트(141a)의 전단에 형성되는 스토퍼돌기(141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130-1) 및 하부브러쉬케이싱(130-2)는 샤프트(141a)에 결합되면서 원통형의 브러쉬케이싱(130)을 이루며, 상부회전축홈(131a) 및 하부회전축홈(131b)은 샤프트(141a)에 결합되면서 회전축공(131)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샤프트(141a)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130-1)의 상부회전축홈(131a)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41a)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130-2)의 하부회전축홈(131b)이 결합되어 브러쉬케이싱(130)이 샤프트(141a)에 원통형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러쉬케이싱(130)은 스토퍼돌기(141b)에 의해 샤프트(141a)의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41a)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러쉬케이싱(130)은 상부절연커버(121)의 원통커버부(121b)에 삽입 결합되어 외면이 원통커버부(121b)를 통해 마감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부(141a)에 브러쉬케이싱(130)이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커넥터부(142)는 내측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14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홈(142a)에 삽입된 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조임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공(14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142)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마감캡(150)을 통해 마감하여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통커버부(121b)의 내측 하면에는 하부스프링수용홈(121c)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130-2)의 하면에는 상부스프링수용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스프링수용홈(121c)과 상부스프링수용홈(132)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샤프트부(141)에 브러쉬케이싱(130)을 설치할 때, 상기 하부스프링수용홈(121c) 및 상부스프링수용홈(132)에 설치된 스프링(S)의 탄성 가압에 의해 상기 원통커버부(121b) 내에서 상기 브러쉬케이싱(130)이 상기 샤프트(141a)에 밀착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샤프트(141a)와 브러쉬케이싱(130)의 밀착력이 높아져 샤프트(141a)에서 브러쉬케이싱(130)으로 전기를 전도될 때 스파크를 방지하고 전기 전도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샤프트커넥터(140)의 샤프트(141a)에 브러쉬케이싱(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홀더본체(110)가 일체로 결합된 브러쉬케이싱(130)이 상기 샤프트커넥터(140)의 샤프트(141a)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샤프트커넥터(140)에 결합되는 케이블(C)에서 공급되는 전기가 브러쉬케이싱(130)을 통해 용접봉이 설치되는 홀더본체(110)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는 용접 작업시 상,하,좌,우, 측면 등 다양한 각도의 작업에 의해 홀더본체(110)가 회전하더라도, 샤프트(141a)상에서 케이블(C)과 분리되어 홀더본체(110)가 회전되기 때문에 샤프트커넥터의 커넥터부(142)에 결합된 케이블(C)이 꼬이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용접의 정밀도와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단선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통한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유지하여 용접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홀더본체 120: 절연커버
130: 브러쉬케이싱 140: 샤프트커넥터

Claims (2)

  1. 전단부 저면에 용접봉물림부가 형성되는 고정집게부와, 중앙부분이 상기 고정집게부의 힌지 결합되고 전단부 상면에 용접봉고정부가 형성되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용접봉을 파지하는 가동집게부와, 상기 고정집게부와 가동집게부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집게부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아크용접봉을 탄성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홀더본체; 상기 고정집게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부절연커버 및 상기 가동집게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커버로 구성되는 절연커버; 상기 고정집게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중앙에 회전축공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형의 브러쉬케이싱 및 전단부에는 상기 브러쉬케이싱의 회전축공에 끼움 결합되어 브러쉬케이싱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케이블이 삽입 고정되는 커넥터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홀더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브러쉬케이싱이 상기 샤프트커넥터의 샤프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홀더본체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커넥터의 커넥터부에 결합된 케이블이 꼬이는 것이 방지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집게부 및 가동집게부는 황동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케이싱은 카본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커넥터는 황동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절연커버는 상기 고정집게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집게커버부 및 상기 집게커버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케이싱의 외면을 커버하는 원통커버부로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케이싱은 상기 고정집게부의 후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되 하면에 상부회전축홈이 형성된 상부브러쉬케이싱과 상면에 하부회전축홈이 형성된 하부브러쉬케이싱으로 분할되어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 및 하부브러쉬케이싱의 결합에 의해 원통형을 이루게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전단에 형성되는 스토퍼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브러쉬케이싱의 상부회전축홈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의 하부회전축홈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부에 브러쉬케이싱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내측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케이블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커버부의 내측 하면에는 하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러쉬케이싱의 하면에는 상부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스프링수용홈과 상부스프링수용홈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 가압에 의해 상기 원통커버부 내에서 상기 브러쉬케이싱이 상기 샤프트에 밀착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2. 삭제
KR2020170004092U 2017-08-03 2017-08-03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KR200487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92U KR200487482Y1 (ko) 2017-08-03 2017-08-03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092U KR200487482Y1 (ko) 2017-08-03 2017-08-03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82Y1 true KR200487482Y1 (ko) 2018-09-21

Family

ID=6370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092U KR200487482Y1 (ko) 2017-08-03 2017-08-03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21B1 (ko) 2019-12-03 2020-07-21 임재현 모터 구동식 용접봉 홀더
KR20220161893A (ko) * 2021-05-31 2022-12-07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안전 전원 연결 장치
KR102591868B1 (ko) 2023-08-24 2023-10-24 (주)나노원 아크 용접봉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887U (ko) * 2009-01-30 2010-08-09 오태준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120048225A (ko) * 2010-11-05 2012-05-15 윤철순 아크용접봉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887U (ko) * 2009-01-30 2010-08-09 오태준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120048225A (ko) * 2010-11-05 2012-05-15 윤철순 아크용접봉 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21B1 (ko) 2019-12-03 2020-07-21 임재현 모터 구동식 용접봉 홀더
KR20220161893A (ko) * 2021-05-31 2022-12-07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안전 전원 연결 장치
KR102616781B1 (ko) 2021-05-31 2023-12-27 텔스타 주식회사 안전 전원 연결 장치
KR102591868B1 (ko) 2023-08-24 2023-10-24 (주)나노원 아크 용접봉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482Y1 (ko)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US8478115B2 (en) Rota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ic tools
RU23673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FR2802026A1 (fr) Procede de montage et ensemble formant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 outil a moteur
TWI580132B (zh) 電源插頭
CN201655994U (zh) 旋转接地装置
US8487503B2 (en) Hand power tool with brush motor
US2659062A (en) Detachable coupling for electrical cables
JP2000312456A (ja) 電動モータ
CN110474185B (zh) 一种超声波主轴的电连接结构
US1273647A (en) Brush-holder.
US294851A (en) And frank shaw
KR200482183Y1 (ko) 전원 커넥터
US2423058A (en) Electrode holder
US2128799A (en) Electrode holder
KR101750269B1 (ko) 절연커버 일체형 케이블 커넥터
KR101417632B1 (ko) 소켓의 타원형 플러그장치
US4517864A (en) Cylindrical pin wrench
US2313333A (en) Fused feeder tap
CN102896621A (zh) 电动工具
CN215509595U (zh) 一种电焊接地夹
JP3035065U (ja) 電気ハンダこて
US2922027A (en) Swing head electrode holder
RU2125774C1 (ru) Электрододержатель
KR101997628B1 (ko) 용접봉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