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67B1 -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67B1
KR102024667B1 KR1020190083273A KR20190083273A KR102024667B1 KR 102024667 B1 KR102024667 B1 KR 102024667B1 KR 1020190083273 A KR1020190083273 A KR 1020190083273A KR 20190083273 A KR20190083273 A KR 20190083273A KR 102024667 B1 KR102024667 B1 KR 10202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e
branch line
groov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8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4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서포팅애자(5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피뢰기(6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피뢰기(600)를 통과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센서(7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낙뢰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발광유닛(9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고정대(910); 고정대(91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920)을 갖추고서, 발광유닛(9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기구(10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1100),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본선 안착홈(111)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112)와, 제1플랜지(1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1관통공(113)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의 타단에 형성되는 너트홈(115)과, 저면(110a)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16)으로 구성되고, 저면(11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110b)으로 이루어진 본선 지지용 하체(110);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의 상부를 덮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본선 안착홈(121)과, 제1플랜지(112)와 접합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플랜지(122)와, 제1관통공(113)과 연통하도록 제2플랜지(1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2관통공(123)과,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연통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상체 결착홈(124, 124')가 구성된 본선 지지용 상체(120);를 구비한 제1커넥터(100),
상하로 개구된 나사홀(811)을 구비하며,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체(810); 하방으로 개구된 나사홈(821)을 구비하여 지지체(810)의 나사홀(8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상방가압체(820); 상방가압체(820)의 나사홈(8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하방가압체(83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상방가압체(8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방안착체(84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하방가압체(8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안착체(850);를 갖춘 전선굴곡기구(800),
가공송전분기선(D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분기선 안착홈(211)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3플랜지(212)와, 제3플랜지(2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공(213)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하체 결착홈(214, 214')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의 상부를 덮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분기선 안착홈(221)과, 제3플랜지(212)와 접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4플랜지(222)와, 제3관통공(213)과 연통하도록 제4플랜지(2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4관통공(223)과, 제1하체 결착홈(114)과 연통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2상체 결착홈(224, 224')과, 제2커넥터(200)의 회전에 따라 너트홈(115)으로 인입하며 볼팅 체결되도록 상면(220a)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볼트(226)와, 걸림홈(116)과 마주하도록 상면(220a)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27)과, 삽입홈(227)에 삽입되는 스프링(228)과, 저면(110a)과의 맞물림 시에 삽입홈(227)으로 삽입되도록 노출면이 사면을 이루고 삽입홈(227)이 걸림홈(116)과의 연통 시에 스프링(228)에 의해 탄발하여 걸림홈(116)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스토퍼(229)으로 구성되고, 상면(22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의 저면(110a)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상면(22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220b)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을 구비하여, 지지패널(1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넥터(200), 및
일렬로 상호 연통하는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에 삽입해 맞물려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와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일체로 결속하고,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의 상단과 제2하체 결착홈(214, 21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도록 양단이 절곡되어 'ㄷ' 형상을 이루는 서포터(300, 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Supporting Equipment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송전되고, 변전소의 전기는 가공송전선로를 통해 또 다른 변전소로 송전된다.
종래의 가공송전본선(AL)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1)을 통과하면서 애자(2)를 매개로 가설되고, 가공송전본선(AL)에서 분기된 전기가 변전소로 송전되거나 다른 가공송전라인으로 송전된다.
종래에는 낙뢰가 발생할 시, 가공송전선로에 이상 전류가 발생하여, 가공송전선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공송전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송전선로에 낙뢰가 친 후, 이 사실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없어, 낙뢰 발생 후 안전 점검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송전탑(1)에 설치되는 가공설비 중 전기를 사용하는 가공설비에 전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의 고정성이 매우 취약해,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간의 결속력이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공송전본선(AL)에서 분기가 이루어질 시,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간의 접속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46372호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뢰 발생으로부터 가공송전선로를 보호하여 가공송전본선 및 가공송전분기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낙뢰 발생을 외부로 알려 낙뢰 발생에 따른 신속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공설비에 대한 전기 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제1,2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간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되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에 이중 굴곡을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가공송전선과 가공송전분기선을 연결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전탑(4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서포팅애자(5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피뢰기(6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피뢰기(600)를 통과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센서(7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낙뢰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발광유닛(9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고정대(910); 고정대(91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920)을 갖추고서, 발광유닛(9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기구(10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1100),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본선 안착홈(111)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112)와, 제1플랜지(1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1관통공(113)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의 타단에 형성되는 너트홈(115)과, 저면(110a)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16)으로 구성되고, 저면(11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110b)으로 이루어진 본선 지지용 하체(110);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의 상부를 덮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본선 안착홈(121)과, 제1플랜지(112)와 접합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플랜지(122)와, 제1관통공(113)과 연통하도록 제2플랜지(1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2관통공(123)과,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연통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상체 결착홈(124, 124')가 구성된 본선 지지용 상체(120);를 구비한 제1커넥터(100),
상하로 개구된 나사홀(811)을 구비하며,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체(810); 하방으로 개구된 나사홈(821)을 구비하여 지지체(810)의 나사홀(8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상방가압체(820); 상방가압체(820)의 나사홈(8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하방가압체(83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상방가압체(8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방안착체(84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하방가압체(8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안착체(850);를 갖춘 전선굴곡기구(800),
가공송전분기선(D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분기선 안착홈(211)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3플랜지(212)와, 제3플랜지(2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공(213)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하체 결착홈(214, 214')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의 상부를 덮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분기선 안착홈(221)과, 제3플랜지(212)와 접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4플랜지(222)와, 제3관통공(213)과 연통하도록 제4플랜지(2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4관통공(223)과, 제1하체 결착홈(114)과 연통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2상체 결착홈(224, 224')과, 제2커넥터(200)의 회전에 따라 너트홈(115)으로 인입하며 볼팅 체결되도록 상면(220a)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볼트(226)와, 걸림홈(116)과 마주하도록 상면(220a)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27)과, 삽입홈(227)에 삽입되는 스프링(228)과, 저면(110a)과의 맞물림 시에 삽입홈(227)으로 삽입되도록 노출면이 사면을 이루고 삽입홈(227)이 걸림홈(116)과의 연통 시에 스프링(228)에 의해 탄발하여 걸림홈(116)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스토퍼(229)으로 구성되고, 상면(22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의 저면(110a)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상면(22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220b)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을 구비하여, 지지패널(1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넥터(200), 및
일렬로 상호 연통하는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에 삽입해 맞물려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와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일체로 결속하고,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의 상단과 제2하체 결착홈(214, 21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도록 양단이 절곡되어 'ㄷ' 형상을 이루는 서포터(300, 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은, 낙뢰 발생으로부터 가공송전선로를 보호하여 가공송전본선 및 가공송전분기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낙뢰 발생을 외부로 알려 낙뢰 발생에 따른 신속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공설비에 대한 전기 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제1,2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간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되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에 이중 굴곡을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가공송전선과 가공송전분기선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피뢰기, 지지애자, 낙뢰감지센서, 발광유닛, 태양광전지기구, 지지패널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피뢰기, 낙뢰감지센서, 발광유닛, 태양광전지기구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2커넥터, 전선굴곡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1,2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선굴곡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2커넥터가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을 분기해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가 가공송전본선과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커넥터가 가공송전분기선과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1,2커넥터가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전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피뢰기, 지지애자, 낙뢰감지센서, 발광유닛, 태양광전지기구, 지지패널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피뢰기, 낙뢰감지센서, 발광유닛, 태양광전지기구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2커넥터, 전선굴곡기구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1,2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선굴곡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2커넥터가 가공송전본선과 가공송전분기선을 분기해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가 가공송전본선과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커넥터가 가공송전분기선과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1,2커넥터가 결합하는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전탑(400)과, 서포팅애자(500)와, 피뢰기(600)와, 낙뢰감지센서(700)와, 발광유닛(900)과, 태양광전지기구(1000)와, 지지패널(1100)과, 제1커넥터(100)와, 전선굴곡기구(800)와, 제2커넥터(200)와, 서포터(300,300')를 포함한다.
상기 송전탑(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송전탑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송전탑(400)는 가공송전(AL)을 가설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된다.
상기 서포팅애자(5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송전본선(AL)이 가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팅애자(500)는 송전탑(400)에 구비되는 경완금(LF)를 매개로 송전탑(400)에 설치된다.
상기 피뢰기(6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4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뢰기(500)는 경완금(LF)에 설치되고, 피뢰기(600)와 연결된 접지라인이 지면과 접지된다.
상기 낙뢰감지센서(7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피뢰기(600)를 통과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낙뢰감지센서(700)는 경완금(LF)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유닛(9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낙뢰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유닛(900)은 경완금(LF)에 설치된다.
상기 태양광전지기구(10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고정대(910)와 고정대(91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920)을 갖추고서, 발광유닛(9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대(1001)는 경완금(LF)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패널(11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4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패널(1100)는 송전탑(400)의 측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패널(1100)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커넥터(100)는, 도 5,6,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본선 안착홈(111)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112)와, 제1플랜지(1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1관통공(113)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의 타단에 형성되는 너트홈(115)과, 저면(110a)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16)으로 구성되고, 저면(11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110b)으로 이루어진 본선 지지용 하체(110);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의 상부를 덮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본선 안착홈(121)과, 제1플랜지(112)와 접합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플랜지(122)와, 제1관통공(113)과 연통하도록 제2플랜지(1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2관통공(123)과,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연통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상체 결착홈(124, 124')가 구성된 본선 지지용 상체(120);를 구비한다.
제1커넥터(100)의 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선 지지용 하체(110)는 가공송전본선(AL)을 얹기 위한 받침 기능을 하며, 상면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이 이탈하지 않도록 제1본선 안착홈(111)을 포함한다. 이때, 제1본선 안착홈(111)은 상하로 굴곡진 형태로 되어서,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은 제1본선 안착홈(111)의 굴곡을 따라 굴곡진 자세를 이룬다.
한편,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제1플랜지(112)가 형성되어서,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2플랜지(122)와 접합한다. 이때, 제1,2플랜지(112, 122)에는 각각 제1,2관통공(113, 123)이 형성되어서, 제1,2관통공(113, 123)을 관통하는 제1볼트핀(B1)을 매개로 상호 결착한다. 따라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하체 결착홈(114, 11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해서,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은 상호 연통하게 일렬로 연결되며, 제2하체 결착홈(214, 214') 및 제2상체 결착홈(224, 224')과도 상호 연통된다.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 타단에는 너트홈(115)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다수의 걸림홈(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너트홈(115)은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 폭에 근접한 길이의 직경으로 형성되어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에 형성된 체결볼트(226)와 상호 볼팅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볼트(226)를 매개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상호 결속된다.
또한,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계속해서,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110b)으로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226)를 매개로 상호 체결되며, 이를 위해서는 제1커넥터(100)를 기준으로 제2커넥터(200)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제2커넥터(200)의 회전 과정에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 모서리가 제1커넥터(100)의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모서리에 걸리면 제2커넥터(200)의 회전에 간섭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에 사면(110b)을 형성시켜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가 사면(110b)을 따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선 지지용 상체(120)는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의 상부를 덮도록, 제2본선 안착홈(121)이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제2본선 안착홈(121)은 제1본선 안착홈(111)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서, 제1,2본선 안착홈(111, 121)이 이루는 제1통공(H1; 도 6 참조)을 따라 배선되는 것이다. 결국, 제1통공(H1)에 배선된 가공송전본선(AL)은 굴곡진 형태로 제1커넥터(100)에 내설되고, 따라서 가공송전본선(AL)과 제1커넥터(100)는 넓은 접촉면을 통해 통전한다. 또한,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진 형태를 이루므로, 외부 장력에 대해서도 가공송전본선(AL)은 제 위치를 유지하며 제1커넥터(100)에 안정하게 내설될 수 있다.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제2플랜지(122)와 제2관통공(123)과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부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전선굴곡기구(800)는 도 2,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810)와, 상방가압체(820)와, 하방가압체(830)와, 상방안착체(840)과, 하방안착체(850)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굴곡기구(80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선굴곡기구(800)는 제1,2커넥터(100,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2커넥터(100,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체(810)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홀(811)을 구비하며,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810)는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방가압체(820)는 하방으로 개구된 나사홈(821)을 구비하여 지지체(810)의 나사홀(8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하방가압체(830)는 상방가압체(820)의 나사홈(8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상방안착체(840)는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상방가압체(8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방안착체(850)는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하방가압체(8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커넥터(200)는 도 5,6,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하측에는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체결볼트(226)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고정바(미인출)가 구비된다.
상기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는 가공송전분기선(DL)을 얹기 위한 받침 기능을 하며, 상면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이 이탈하지 않도록 제1분기선 안착홈(211)을 포함한다. 이때, 제1분기선 안착홈(211)은 상하로 굴곡진 형태로 되어서,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은 제1분기선 안착홈(211)의 굴곡을 따라 굴곡진 자세를 이룬다.
한편,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제3플랜지(212)가 형성되어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4플랜지(222)와 접합한다. 이때, 제3,4플랜지(212, 222)에는 각각 제3,4관통공(213, 223)이 형성되어서, 제3,4관통공(213, 223)을 관통하는 제2볼트핀(B2)을 매개로 상호 결착한다. 따라서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는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2하체 결착홈(214, 21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해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2상체 결착홈(224, 22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2하체 결착홈(214, 214')과 제2상체 결착홈(224, 224')은 상호 연통하게 일렬로 연결된다.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부가 설명을 생략한다.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의 기능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는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의 상부를 덮도록, 제2분기선 안착홈(221)이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즉, 제2분기선 안착홈(221)은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서, 제1,2분기선 안착홈(211, 221)이 이루는 제2통공(H2; 도 6 참조)을 따라 배선되는 것이다. 결국, 제2통공(H2)에 배선된 가공송전분기선(DL)은 굴곡진 형태로 제2커넥터(200)에 내설되고, 따라서 가공송전분기선(DL)과 제2커넥터(200)는 넓은 접촉면을 통해 통전한다. 또한, 가공송전분기선(DL)이 굴곡진 형태를 이루므로, 외부 장력에 대해서도 가공송전분기선(DL)은 제 위치를 유지하며 제2커넥터(200)에 안정하게 내설될 수 있다.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제4플랜지(222)와 제4관통공(223)과 제2상체 결착홈(224, 224')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부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는 상면(220a) 타단에 체결볼트(226)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볼트(226)는 너트홈(115)과 볼팅 체결되어서, 접속기구(100)와 제2커넥터(200)를 상호 결속시킨다. 또한, 체결볼트(226)는 볼팅 방식으로 너트홈(115)에 결속하므로, 볼팅 과정에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이 긴밀히 접면하게 한다. 즉, 볼팅을 통해 체결볼트(226)가 너트홈(115)으로 인입되면서 상면(220a)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 간의 거리는 점차 좁아지고, 이를 통해 상면(220a)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은 체결볼트(226)가 볼팅될 수록 긴밀히 접면하는 것이다.
한편,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에는 걸림홈(116)과 마주하도록 다수의 삽입홈(227)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227)에는 스프링(228)이 삽입되고, 스프링(228)의 상단에는 스토퍼(229)가 연결된다. 스토퍼(229)를 좀 더 설명하면, 스토퍼(229)는 저면(110a)과의 맞물림 시에 삽입홈(227)으로 삽입되도록 노출면이 사면을 이루고 삽입홈(227)이 걸림홈(116)과의 연통 시에 스프링(228)에 의해 탄발하여 걸림홈(116)으로 삽입되어 걸린다. 스토퍼(229)의 사면은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진입 방향을 향해 형성되므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으로 본선 지지용 하체(110)가 진입하면,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밀림에 의해서 스토퍼(229)는 삽입홈(227) 안으로 인입한다. 본선 지지용 하체(110)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으로 계속해 진입해서 삽입홈(227)이 걸림홈(116)과 마주하면, 삽입홈(227)에 인입된 스토퍼(229)는 스프링(228)의 탄발력에 의해 인출되어서 걸림홈(116)으로 삽입된다. 결국, 삽입홈(227)과 걸림홈(116)에 공유된 스토퍼(229)에 의해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제 위치를 유지하며 상호 결착된다.
계속해서,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의 저면(110a)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상면(22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220b)으로 이루어진다. 오목한 곡면 형상의 상면(220a)과 볼록한 곡면 형상의 저면(110a) 간의 접면에 대해서는 제1,2커넥터(100,2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300, 300')를 더 포함한다. 서포터(300, 300')는 일렬로 상호 연통하는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에 삽입해 맞물려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와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일체로 결속하고,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의 상단과 제2하체 결착홈(214, 21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도록 양단이 절곡되어 'ㄷ' 형상을 이룬다. 결국,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체결볼트(226)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저지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상하 벌어짐도 저지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낙뢰가 발생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뢰에 의한 고전압이 피뢰기(600)를 통해 대지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뢰기(600)를 통해, 낙뢰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가공송전선로(가공송전본선, 가공송전분기선)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낙뢰감지센서(700)는 피뢰기(600)를 통과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고, 발광유닛(900)이 낙뢰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그러면, 지상에서 가공송전라인을 육안 점검하던 관리자가 발광유닛(900)의 점등을 확인하면, 낙뢰에 의해 혹시라도 가공송전설비가 손상되었는지를 정밀 점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평상시에는 태양광전지기구(1000)에 의해 생산된 전기가 발광유닛(900)으로 송전되어, 발광유닛(900)이 충전상태를 이룬다.
한편, 제1,2커넥터(100,2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을 함께 가설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가공송전본선(AL)이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현장에서 가공송전분기선(DL)을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가공 현장에서 도 8과 같이 제1커넥터(100)를 설치한다. 즉, 작업자는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 사이에 가공송전본선(AL)을 삽입하고, 제1,2플랜지(112, 122)의 제1,2관통공(113, 123)에 제1볼트핀(B1)을 볼팅 체결해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가공송전본선(AL)은 굴곡진 형상의 제1,2본선 안착홈(111, 121)에 맞물리므로, 가공송전본선(AL) 역시 굴곡진 형태로 내설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지상 현장 또는 기타 공장 등에서,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 사이에 가공송전분기선(DL)을 삽입하고, 제3,4플랜지(212, 222)의 제3,4관통공(213, 223)에 제2볼트핀(B2)을 볼팅 체결해서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가공송전분기선(DL)은 굴곡진 형상의 제1,2분기선 안착홈(211, 221)에 맞물리므로, 가공송전분기선(DL) 역시 굴곡진 형태로 내설된다.
한편, 제2커넥터(200)의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에는 전술한 대로 체결볼트(226)가 구성되고, 스프링(228)과 스토퍼(229) 역시 제작 과정에서 설치된다.
가공송전본선(AL)에 제1커넥터(100)를 설치한 가공 현장으로 작업자가 가공송전분기선(DL)이 설치된 제2커넥터(200)와 서포터(300, 300')를 운반하고, 제1커넥터(100)의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에 구성된 너트홈(115)으로 도 13의 (a)도면과 같이 체결볼트(226)를 맞춰 끼운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체결볼트(226)의 볼팅 체결을 위해서 도 13의 (b)도면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 결합 과정을 통해 체결볼트(226)는 너트홈(115)으로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과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은 점차 근접한다. 더욱이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은 볼록한 곡면 형상이고,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은 오목한 곡면 형상이므로, 저면(110a)과 상면(220a)이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 상면(220a) 가장자리는 저면(110a)과 상대적으로 무리하게 밀접한다. 따라서 도 13의 (c)도면까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나란히 마주한 상태가 되면, 탄성에 의해 저면(110a)과 상면(220a)은 밀착한다. 또한 오목한 형상에 의해서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면(220a)에서는 제2커넥터(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저면(110a)과 상면(220a)이 더욱 밀착됨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되고, 시계 방향으로도 그 회전이 저지된다. 결국,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는 현 자세를 유지한다. 참고로, 너트홈(115)의 깊이(D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110a)과 상면(220a)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체결볼트(226)의 높이(D2)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한편,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에 설치된 스토퍼(229)는, 제1,2커넥터(100, 200)가 도 13의 (c)도면과 같이 배치되면,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에 형성된 걸림홈(116)으로 삽입된다. 결국, 제2커넥터(200)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다단에 걸쳐 저지되므로, 제1,2커넥터(100, 200)은 현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서 저면(110a)과 상면(220a)은 통전을 위한 긴밀한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제1,2커넥터(100, 200)의 결속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ㄷ' 형상의 서포터(300, 300')를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에 압입해 끼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은 상호 일렬로 연통하게 연결되므로, 서포터(300, 300')를 압입해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속을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의 상단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20)의 제2하체 결착홈(224, 224')의 하단은 각각 구배된 걸림턱을 형성하므로, 양단이 절곡된 서포터(300, 300')가 걸려 끼워지면서 제1,2커넥터(100, 200)의 상하 이격을 저지한다. 결국, 저면(110a)과 상면(220a) 간의 긴밀한 접면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커넥터(100,200)가 설치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굴곡기구(800)의 상하방에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이 배치된다.
이때,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굴곡기구(800)의 상방가압체(8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안착체(840)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된다.
이후,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전선굴곡기구(800)의 하방가압체(83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안착체(850)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이 굴곡된다.
여기서,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은 호 형상의 상방안착체(840) 및 하방안착체(850)에 안착되어 있어, 굴곡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을 굴곡하면, 제1,2커넥터(100,200)에 따른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의 굴곡에 더해, 제1,2커넥터(100,200) 외부에서 가공송전본선(Al)을 한번 더 굴곡하여,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2커넥터(100,200)가 설치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제1,2커넥터(100,200)에 굴곡되게 배치된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이 제1,2커넥터(100,200)에서 미끄러지면서 조금씩 이탈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송전탑(400)에서 작업 중 우연히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의 이동을 확인할 시,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의 활선 상태에서 전선굴곡기구(800)를 통해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을 더욱 굴곡시켜, 정밀 검사 전까지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의 이동이 임시로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전선굴곡기구(800)의 상방가압체(820) 및 하방가압체(830)를 상하 이동하여,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을 굴곡시킴으로써,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선굴곡기구(800)는 상방가압체(820) 및 하방가압체(830)의 상하방 이동이 가능하여, 회전 방식으로 제1,2커넥터(100,200)를 결합 시, 제1,2커넥터(100,200)에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은 하중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가공송전본선(AL) 및 가공송전분기선(DL)을 작업자가 간단히 굴곡시킬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선굴곡기구(800)를 이용하여 굴곡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어, 본 발명의 구성이 상기 커버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송전본선(AL)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 기능을 하는 송전탑(400)에, 가공송전본선(AL)이 낙뢰로부터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피뢰기(60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해 가공송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더 포함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으로 정의한다.
100; 제1커넥터 200; 제2커넥터
300,300'; 서포터 400; 송전탑
500; 서포팅애자 600; 피뢰기
700; 낙뢰감지센서 800; 전선굴곡기구
900; 발광유닛 1000; 태양광전지기구
1100; 지지패널

Claims (1)

  1. 송전탑(4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서포팅애자(5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피뢰기(6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피뢰기(600)를 통과하는 이상 전류를 감지하는 낙뢰감지센서(700),
    송전탑(400)에 설치되어, 낙뢰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발광유닛(9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고정대(910); 고정대(91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920)을 갖추고서, 발광유닛(9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전지기구(1000),
    송전탑(40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1100),
    가공송전본선(A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본선 안착홈(111)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112)와, 제1플랜지(1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1관통공(113)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본선 지지용 하체(110)의 저면(110a)의 타단에 형성되는 너트홈(115)과, 저면(110a)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16)으로 구성되고, 저면(11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저면(11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110b)으로 이루어진 본선 지지용 하체(110); 제1본선 안착홈(111)에 안착된 가공송전본선(AL)의 상부를 덮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본선 안착홈(121)과, 제1플랜지(112)와 접합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플랜지(122)와, 제1관통공(113)과 연통하도록 제2플랜지(1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2관통공(123)과, 제1하체 결착홈(114, 114')과 연통하도록 본선 지지용 상체(12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1상체 결착홈(124, 124')가 구성된 본선 지지용 상체(120);를 구비한 제1커넥터(100),
    상하로 개구된 나사홀(811)을 구비하며, 가공송전본선(AL)과, 가공송전분기선(DL)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체(810); 하방으로 개구된 나사홈(821)을 구비하여 지지체(810)의 나사홀(8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상방가압체(820); 상방가압체(820)의 나사홈(8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하방가압체(83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상방가압체(8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방안착체(840); 일방으로 개구된 호 형상으로 하방가압체(8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방안착체(850);를 갖춘 전선굴곡기구(800),
    가공송전분기선(DL)이 굴곡 형태로 안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1분기선 안착홈(211)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3플랜지(212)와, 제3플랜지(21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3관통공(213)과,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의 상면과 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하체 결착홈(214, 214')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 제1분기선 안착홈(211)에 안착된 가공송전분기선(DL)의 상부를 덮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120)의 저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제2분기선 안착홈(221)과, 제3플랜지(212)와 접합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4플랜지(222)와, 제3관통공(213)과 연통하도록 제4플랜지(222)를 따라 다수 개가 관통하게 형성된 제4관통공(223)과, 제1하체 결착홈(114)과 연통하도록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의 상면(220a)과 저면에서 개구되며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2상체 결착홈(224, 224')과, 제2커넥터(200)의 회전에 따라 너트홈(115)으로 인입하며 볼팅 체결되도록 상면(220a)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볼트(226)와, 걸림홈(116)과 마주하도록 상면(220a)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227)과, 삽입홈(227)에 삽입되는 스프링(228)과, 저면(110a)과의 맞물림 시에 삽입홈(227)으로 삽입되도록 노출면이 사면을 이루고 삽입홈(227)이 걸림홈(116)과의 연통 시에 스프링(228)에 의해 탄발하여 걸림홈(116)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스토퍼(229)으로 구성되고, 상면(220a)은 돌출된 곡면 형상의 저면(110a)과 긴밀히 맞물리도록 오목한 곡면 형상을 이루며, 상면(220a)의 양측 가장자리는 사면(220b)으로 이루어진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을 구비하여, 지지패널(1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넥터(200), 및
    일렬로 상호 연통하는 제1,2하체 결착홈(114, 114', 214, 214') 및 제1,2상체 결착홈(124, 124', 224, 224')에 삽입해 맞물려서 본선 지지용 하체(110)와 본선 지지용 상체(120)와 분기선 지지용 하체(210)와 분기선 지지용 상체(220)를 일체로 결속하고, 제1상체 결착홈(124, 124')의 상단과 제2하체 결착홈(214, 21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도록 양단이 절곡되어 'ㄷ' 형상을 이루는 서포터(300, 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KR1020190083273A 2019-07-10 2019-07-10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KR10202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73A KR102024667B1 (ko) 2019-07-10 2019-07-10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273A KR102024667B1 (ko) 2019-07-10 2019-07-10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67B1 true KR102024667B1 (ko) 2019-09-25

Family

ID=6806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73A KR102024667B1 (ko) 2019-07-10 2019-07-10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19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243946B1 (ko) * 2020-09-17 2021-04-26 (주)원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KR102381232B1 (ko) * 2021-08-23 2022-04-01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520320B1 (ko) * 2022-05-19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송전을 위한 지지송전탑
KR102690940B1 (ko) * 2023-12-27 2024-08-05 주식회사 본엔지니어링 낙뢰 감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53B2 (ko) * 1982-01-28 1991-09-19 Fuji Photo Film Co Ltd
KR101585656B1 (ko) * 2015-06-22 2016-01-14 이수기술단(주) 가공송전선 처짐 방지용 애자구조물
KR101746372B1 (ko) 2016-11-24 2017-06-14 윤은수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KR101791973B1 (ko) *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253B2 (ko) * 1982-01-28 1991-09-19 Fuji Photo Film Co Ltd
KR101585656B1 (ko) * 2015-06-22 2016-01-14 이수기술단(주) 가공송전선 처짐 방지용 애자구조물
KR101746372B1 (ko) 2016-11-24 2017-06-14 윤은수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KR101791973B1 (ko) * 2017-05-17 2017-11-01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719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243946B1 (ko) * 2020-09-17 2021-04-26 (주)원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 설치가 가능한 철탑 고정기구
KR102381232B1 (ko) * 2021-08-23 2022-04-01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520320B1 (ko) * 2022-05-19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공송전을 위한 지지송전탑
KR102690940B1 (ko) * 2023-12-27 2024-08-05 주식회사 본엔지니어링 낙뢰 감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67B1 (ko)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US8512070B2 (en) Spring loaded clamp
KR101121768B1 (ko) 태양전지판넬 지지대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KR200426811Y1 (ko) 와이어 하네스 설치용 지그
KR20210135435A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US6454591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omprising it
WO2001037400A2 (en) Electric device grounding system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CZ285934B6 (cs) Nosič montážních skupin
US5661453A (en) Wire harness assembly fixture retainer holder and detector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061058B1 (ko)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송전탑
KR102032558B1 (ko) 가공배전라인용 분기슬리브
WO2023082761A1 (zh) 一种充电桩
KR102032557B1 (ko)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지지기구
KR102243314B1 (ko) 케이블 고정장치
US7142412B2 (en) Bypass connector for a socket assembly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KR102545139B1 (ko)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용 트레이기구
KR102438891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KR102451634B1 (ko) 클램프 활용 가공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1837757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