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719B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719B1
KR102153719B1 KR1020200046380A KR20200046380A KR102153719B1 KR 102153719 B1 KR102153719 B1 KR 102153719B1 KR 1020200046380 A KR1020200046380 A KR 1020200046380A KR 20200046380 A KR20200046380 A KR 20200046380A KR 102153719 B1 KR102153719 B1 KR 10215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nch line
band
ba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성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성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성감리
Priority to KR102020004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안전절연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는,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지지밴드(11)와; 제1지지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 완철(10)과: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되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되는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가 통과하면 이상전류신호를 출력하는 피뢰기(11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피뢰기(110)로부터 이상전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송신기(160)와:
완철바(12)에 설치되는 고정대(141)와; 고정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42)와; 회전대(142)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43);을 갖춘 반사기구(140)와:
제1지지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의 표면에 설치되는 수직반사패널(150)과: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2지지밴드(3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3지지밴드(41)와; 제3지지밴드(41)에 설치되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되는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4지지밴드(51)와; 제4지지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2);를 갖춘 분기지지기구(50)와;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되는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7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73);를 갖춘 위치조절기구(70)와: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와,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되는 탄성밴드 형상의 제1탄성기구(83)와;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와,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구비한 제2탄성기구(84)와;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스프링(85,86);을 갖춘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바(91)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감지센서(92)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를 갖춘 감지기구(90)와: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유닛(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Supporting Equipment For Over Hea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송전된 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EP) 및 완철(FR)을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배전선로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설치된 가공배전선로에 낙뢰가 칠 시, 가공배전설비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낙뢰 발생 시 이를 이를 외부 관리자가 신속하게 알 수 없어, 낙뢰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에는 완철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할 시, 조류에 의해 완철 주변의 가공배전설비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고, 변압기에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을 통해 전기가 각 수용가에 배전된다.
종래에는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을 통해 전기가 배전될 시, 인출배전라인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분기라인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분기라인을 각 수용가로 연결할 시, 분기라인이 전주 또는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설비와 간섭되어, 다양한 위치로 분기되는 분기라인의 설치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분기라인에 조류가 앉아 새집을 지어려 할 시, 이를 방지할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예를 들어 가공배전라인 지지애자)의 수리 및 교체가 쉽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61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뢰로부터 가공배전설비를 보호할 수 있고, 낙뢰 발생을 관리자가 신속하게 알 수 있으며, 완철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한편,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에서 다양한 위치로 분기라인이 분기되되 전주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분기라인 분기에 의해 발생한 공간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조류 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가 쉬운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안전절연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는,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지지밴드(11)와; 제1지지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 완철(10)과: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되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되는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가 통과하면 이상전류신호를 출력하는 피뢰기(11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피뢰기(110)로부터 이상전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송신기(160)와:
완철바(12)에 설치되는 고정대(141)와; 고정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42)와; 회전대(142)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43);을 갖춘 반사기구(140)와:
제1지지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의 표면에 설치되는 수직반사패널(150)과: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2지지밴드(3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3지지밴드(41)와; 제3지지밴드(41)에 설치되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되는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4지지밴드(51)와; 제4지지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2);를 갖춘 분기지지기구(50)와;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되는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7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73);를 갖춘 위치조절기구(70)와: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와,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되는 탄성밴드 형상의 제1탄성기구(83)와;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와,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구비한 제2탄성기구(84)와;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스프링(85,86);을 갖춘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바(91)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감지센서(92)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를 갖춘 감지기구(90)와: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유닛(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피뢰기(110) 및 송신기(160)를 통해, 가공배전선로에 낙뢰가 쳤을 시 이를 외부 관리자가 신속하게 알 수 있어 ,해당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점검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기구(140) 및 수직반사패널(150)을 통해, 완철(1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가공배전설비가 조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AL1)이 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 등의 가공배전설비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을 설치할 시,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각도에 따라 이동밴드(52)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이 바람에 흔들려 전주(EP)에 부딪히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기구(70)를 통해 연결라인(EL4)의 전후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이 전주(EP)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류가 연결라인(EL4)에 앉을 시 이동대(72)의 이동을 통해 조류를 쫓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켜, 연결라인(EL4)과 주변 구조물 사이에 조류가 안착시킨 나뭇가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 주변으로 새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탄성기구(83,84)를 통해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킬 시, 제2탄성밴드(84c)의 복원력에 제1,2스프링(85,86)의 복원력을 더하여, 제2탄성기구(84)가 연결라인(EL4)을 하방으로 더욱 강하게 가압하게 함으로써, 진동 발생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탄성기구(84)가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제1,2삽입체(84a,84b)의 손상이 쉬우나, 제1,2이탈방지체(81d,82d)가 제1,2지지바(81a,82a)에서 착탈가능하여, 제1,2삽입체(84a,84b)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분기지지기구만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진동발생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분기지지기구만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가이드진동발생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는, 완철(10)과,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피뢰기(110)와, 송신기(160)와, 반사기구(140)와, 연결바(20)와, 수직반사패널(150)과, 제2지지밴드(30)와,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분기지지기구(50)와,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위치조절기구(70)와,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감지기구(90) 및, 제어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완철(10)은, 도 2,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지지밴드(11)와, 제1지지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밴드(11)는 일측이 개구된 밴드 형상으로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완철바(12)는 직사각형 바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가 구비되어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가공배전라인(AL1)이 설치되며, 가공배전라인(AL1)에서 분기된 인입배전라인(AL2)이 변압기(TR)에 연결된다. 여기서 인입배전라인(AL2)은 가공배전라인(AL1)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고정)된다.
상기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피뢰기(11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가 통과하면 이상전류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뢰기(110)는 완철바(12)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피뢰기(110)로부터의 접지선(미도시)은 전주(EP) 내부를 통과하여 지면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16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에 설치되고, 피뢰기(110)로부터 이상전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무선 출력(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160)는 피뢰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반사기구(14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에 설치되는 고정대(141)와, 고정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42) 및, 회전대(142)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43)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기구(140)는 완철바(12)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20)는 도 2,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20)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수직반사패널(150)은 연결바(20)의 표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반사패널(150)은 반사지 타입으로 되어 연결바(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밴드(3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밴드(30)는 원형 밴드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밴드(30)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밴드(41)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 및,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다.
상기 제3지지밴드(41)는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지지밴드(41)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 밴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3지지밴드(41)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분기라인지지대(42)는 제3지지밴드(4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기라인지지대(42)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출배전라인(EL1)은 클램프(또는 분기슬리브)를 통해 제1분기라인(EL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분기지지기구(50)는 도 2,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지지밴드(51)와, 이동밴드(52)를 갖춘다.
상기 제4지지밴드(51)는,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4지지밴드(51)는 일측이 개구된 원현 밴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4지지밴드(51)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밴드(52)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4지지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밴드(52)는 내측 돌부 단면이 'T'를 이루어 제4지지밴드(5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제4지지밴드(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이동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기지지기구(50)는, 제4지지밴드(51)를 관통하여 이동밴드(52)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53)을 통해, 이동밴드(52)를 위치고정한다. 여기서 체결볼트(53)는 제4지지밴드(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밴드(52)는 제4지지밴드(51)에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다.
상기 제2분기라인지지대(61)는,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분기라인지지대(61)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분기라인(EL3)는, 인출배전라인(EL1)에서 분기된 연결라인(EL4)과 클램프(또는 분기슬리브)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위치조절기구(70)는 도 2,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1)와, 이동대(72) 및, 구동장치(73)을 갖춘다.
상기 케이스(7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상을 이루어, 구동장치(73)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대(72)는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72)는 직사각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구동장치(73)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73)를 이용한 이동대(72)의 이동방식은 볼스크류 방식이 적용되지만,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랙피니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는 도 2,5,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제1탄성기구(83)와, 제2탄성기구(84) 및, 제1,2스프링(85,86)을 갖춘다.
상기 제1,2가이드애자(81,82)는,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 및,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애자(82)가 제1가이드애자(81)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탄성기구(83)는,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기구(83)는 탄성밴드(또는 신축밴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탄성기구(84)는,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 및,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또는 신축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갖춘다.
상기 제1,2스프링(85,86)는,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지기구(90)는, 도 2,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91)와,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및, 제2초음파감지센서(93)을 갖춘다.
상기 고정바(91)는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바(91)는 원형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고정바(91)에 설치되지만,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의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레이저를 이용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고정바(91)에 설치되지만,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의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레이저를 이용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어유닛(100)는 도 2,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72)는 일정시간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뢰가 발생할 시, 피뢰기(110)로 이상전류(고전류)가 통과하고, 이때 송신기(160)가 피뢰기(110)로부터 이상전류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관리센터(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무선송출한다.
그러면, 외부 관리자는 상기 경고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가공배전선로에 낙뢰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외부 관리자는 혹시 모를 가공배전선로의 손상에 대해 신속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류가 완철(10) 주변으로 접근하려 할 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기구(140)의 반사리본(143)에 의해 빛 반사가 이루어져, 조류가 완철(10) 주변으로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때 반사리본(143)은 회전하면서 펄럭여 빛 반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은 수직반사패널(150)에서도 빛 반사가 이루어져, 조류가 가공배전설비에 접근하는 것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를 수리하거나, 주변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하기 위해 가공배전라인(AL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 상태인 가공배전라인(AL1)을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으로 옮긴 후,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를 수리하거나 주변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에 고정된 제1분기라인(EL2)과 연결된다.
이때, 인출배전라인(EL1)과 제1분기라인(EL2)의 연결지점에서 또 다른 방향으로 배전라인을 분기해야 할 시, 작업자는 상기 연결지점에서 분기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이동밴드(52)를 위치시킨다(도 8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연결지점에서 분기된 연결라인(EL4)이 제1,2가이드애자(81,82)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결라인(EL4)를 배치한 후,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에 고정된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라인(EL4)을 연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연결라인(EL4)을 당겨 연결라인(EL4)이 팽팽해지도록 하면서(필요에 따라 연결라인이 살짝 늘어지게 할 수도 있음), 연결라인(EL4)을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한다. 그러면 연결라인(EL4)은 제2가이드애자(82)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이동밴드(52)의 위치를 조절하여(도 13의 화살표 방향 참조), 제2분기라인(EL3)를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1,2가이드애자(81,82) 사이를 통과하여 제2분기라인(EL3)과 연결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면, 구동장치(73)를 구동하여 도 13과 같이 이동대(72)를 전진하여(도 13의 화살표 방향 참조),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밴드(52)의 위치이동에 따라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이 도 8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류가 집을 짓기 위해, 연결라인(EL4)에 안착할 시,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가 이를 감지하면,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제1감지신호 또는 제2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조류 2마리가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연결라인(EL4) 일지점에 거의 동시에 각각 안착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제어유닛(100)이 제1감지신호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00)은 구동장치(73)를 구동하여, 이동대(72)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72)가 후진하면서 팽팽하던 연결라인(EL4)이 하방으로 늘어짐과 동시에, 조류의 하중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기구(83)가 하방으로 늘어진다.
이때, 이동대(72)의 후진에 놀란 조류가 연결라인(EL4)에서 벗어날 시, 조류의 하중이 사라짐에 따라 제1탄성기구(83)가 원위치로 복귀하려 한다. 한편 제1탄성기구(83)가 원위치로 복귀할 시 제1탄성기구(83)은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라인(EL4)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연결라인(EL4)는 제2탄성기구(84)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상방으로 이동한 제2탄성기구(84)는, 제2탄성밴드(84c)의 복원력에, 제1,2스프링(85,86)에 의한 복원력이 더해져, 더욱 강하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결라인(EL4)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이 발생시킴으로써, 조류가 나뭇가지를 연결라인(EL4) 주변에 배치하였을 시, 배치된 나뭇가지를 연결라인(EL4) 주변에서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라인(EL4) 진동 기능의 사용을 원치 않을 시에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의 외측에 배치되게 하여,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피뢰기(110) 및 송신기(160)를 통해, 가공배전선로에 낙뢰가 쳤을 시 이를 외부 관리자가 신속하게 알 수 있어 ,해당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점검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기구(140) 및 수직반사패널(150)을 통해, 완철(10) 주변으로 조류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가공배전설비가 조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AL1)이 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 등의 가공배전설비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을 설치할 시,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각도에 따라 이동밴드(52)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이 바람에 흔들려 전주(EP)에 부딪히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기구(70)를 통해 연결라인(EL4)의 전후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이 전주(EP)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류가 연결라인(EL4)에 앉을 시 이동대(72)의 이동을 통해 조류를 쫓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켜, 연결라인(EL4)과 주변 구조물 사이에 조류가 안착시킨 나뭇가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 주변으로 새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탄성기구(83,84)를 통해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킬 시, 제2탄성밴드(84c)의 복원력에 제1,2스프링(85,86)의 복원력을 더하여, 제2탄성기구(84)가 연결라인(EL4)을 하방으로 더욱 강하게 가압하게 함으로써, 진동 발생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탄성기구(84)가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제1,2삽입체(84a,84b)의 손상이 쉬우나, 제1,2이탈방지체(81d,82d)가 제1,2지지바(81a,82a)에서 착탈가능하여, 제1,2삽입체(84a,84b)의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AL1)이 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절연되면서 가공배전라인(AL1)을 지지하는 구성(활선작업용지지애자)에, 낙뢰로부터 가공배전설비를 보호하는 구성 등, 가공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명칭을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로 정의한다.
10; 완철 20; 연결바
30; 제2지지밴드 40; 제1분기라인고정기구
50; 분기지지기구 60; 제2분기라인고정기구
70; 위치조절기구 80; 가이드진동발생기구
90; 감지기구 100; 제어유닛
110; 피뢰기 120;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
130; 활선작업용지지애자 140; 반사기구
150; 수직반사패널 160; 송신기

Claims (1)

  1.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안전절연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절연형 지지장치는,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지지밴드(11)와; 제1지지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 완철(10)과: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되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되는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이상전류가 통과하면 이상전류신호를 출력하는 피뢰기(110)와:
    완철바(12)에 설치되고, 피뢰기(110)로부터 이상전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송신기(160)와:
    완철바(12)에 설치되는 고정대(141)와; 고정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42)와; 회전대(142)에 설치되는 다수의 반사리본(143);을 갖춘 반사기구(140)와:
    제1지지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의 표면에 설치되는 수직반사패널(150)과: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2지지밴드(3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3지지밴드(41)와; 제3지지밴드(41)에 설치되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되는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지지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4지지밴드(51)와; 제4지지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2);를 갖춘 분기지지기구(50)와;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되는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7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73);를 갖춘 위치조절기구(70)와: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와,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되는 탄성밴드 형상의 제1탄성기구(83)와;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와,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구비한 제2탄성기구(84)와;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스프링(85,86);을 갖춘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바(91)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감지센서(92)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를 갖춘 감지기구(90)와: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유닛(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0200046380A 2020-04-17 2020-04-1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15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80A KR102153719B1 (ko) 2020-04-17 2020-04-1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80A KR102153719B1 (ko) 2020-04-17 2020-04-1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719B1 true KR102153719B1 (ko) 2020-09-09

Family

ID=7243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380A KR102153719B1 (ko) 2020-04-17 2020-04-17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7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727B1 (ko) * 2021-01-27 2021-08-30 김복희 가공배전라인 간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316193B1 (ko) * 2021-01-22 2021-10-25 백승훈 가공배전라인 지지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102316195B1 (ko) * 2021-01-25 2021-10-25 백승훈 전선간의 충돌 방지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20943B1 (ko) * 2022-10-24 2023-04-13 주식회사 우리감리단 낙뢰회피가능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526766B1 (ko) * 2022-10-24 2023-04-27 권순매 낙뢰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연결설비
KR102532796B1 (ko) * 2022-07-04 2023-05-16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조류퇴치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52B1 (ko) * 2007-01-17 2007-05-11 (주)삼삼이엔지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1144986B1 (ko) * 2012-03-20 2012-05-1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1522013B1 (ko) * 2014-12-19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1626141B1 (ko)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2024667B1 (ko) * 2019-07-10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52B1 (ko) * 2007-01-17 2007-05-11 (주)삼삼이엔지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1144986B1 (ko) * 2012-03-20 2012-05-1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1522013B1 (ko) * 2014-12-19 2015-05-22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1626141B1 (ko) 2015-09-17 2016-05-31 서천전기공사(주)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2024667B1 (ko) * 2019-07-10 2019-09-25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93B1 (ko) * 2021-01-22 2021-10-25 백승훈 가공배전라인 지지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102316195B1 (ko) * 2021-01-25 2021-10-25 백승훈 전선간의 충돌 방지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294727B1 (ko) * 2021-01-27 2021-08-30 김복희 가공배전라인 간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532796B1 (ko) * 2022-07-04 2023-05-16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조류퇴치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20943B1 (ko) * 2022-10-24 2023-04-13 주식회사 우리감리단 낙뢰회피가능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526766B1 (ko) * 2022-10-24 2023-04-27 권순매 낙뢰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연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71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153691B1 (ko)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US5752679A (en) Self-supporting nonconductive cable stand
KR101995327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KR101994328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422743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대
KR102337852B1 (ko) 지중배전선의 코너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US20110253675A1 (en) Three Phase Vacuum Interrupter Switch for High Voltage Distribution Systems
KR101144986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2348867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형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197105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101455281B1 (ko) 가공 송전선로용 복도체 고정장치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2094371B1 (ko) 가공배전선 설치를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294727B1 (ko) 가공배전라인 간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162504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JP2007195483A (ja) 鳥害防止装置
KR1016985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994241B1 (ko) 배전선 접지 장치
KR102153690B1 (ko) 활용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용 멀티 기능 완철기구
KR102524132B1 (ko) 조류 접근 차단이 용이한 안전형 가공배전설비
KR102463149B1 (ko) 가공배전선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