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352B1 -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 Google Patents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352B1
KR100717352B1 KR1020070005331A KR20070005331A KR100717352B1 KR 100717352 B1 KR100717352 B1 KR 100717352B1 KR 1020070005331 A KR1020070005331 A KR 1020070005331A KR 20070005331 A KR20070005331 A KR 20070005331A KR 100717352 B1 KR100717352 B1 KR 100717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ing
telephone pole
distributor
winding drum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주)삼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삼삼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0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1)의 외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10)와 ; 배전기설치부(21)를 갖추고서 가이드(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승강대(20);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33)와, 제1구동모터(3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권취드럼(32)과, 와이어권취드럼(32)과 승강대(20)를 상호연결하는 와이어(31)를 구비하여 전신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대구동장치(30)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42)와, 제2구동모터(42)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이와 연동되어 배전기(2)의 전선(3)을 권취하는 전선권취드럼(41)을 구비한 전선권취장치(40) ; 전신주(1)의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반케이스(50) ; 승강대구동장치(30)와 전선권취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1)과, 제어유닛(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62)을 갖추고서 제어반케이스(50)에 내설되는 제어반(60) 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배전기의 관리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 Transformer moving along the telegraph pol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의 승강대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 가이드 20 ; 승강대
21 ; 배전기 설치부 30 ; 승강대구동장치
31 ; 와이어 32 ; 와이어권취드럼
33 ; 제1구동모터 40 ; 전선권취장치
41 ; 전선권취드럼 42 ; 제2구동모터
50 ; 제어반 60 ; 제어반
61 ; 제어유닛 62 ; 입력유닛
본 발명은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의 전선에는 송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이를 상용전압으로 낮추기 위해 변압기가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변압기는 안전한 사용을 위해 주기적인 검사가 요구되고, 또한 수명이 다할 경우 교체를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변압기의 교체 및 검사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위치까지 직접 올라가거나, 크레인과 같은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위치까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한편, 작업자는 전신주의 상부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 불편함은 물론, 추락에 대한 위험부담을 항상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져 작업능률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순간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작업자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배전기의 관리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신주의 외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와 ; 배전기설치부를 갖추고서 가이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승강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권취드럼과, 와이어권취드럼과 승강대를 상호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대구동장치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이와 연동되어 배전기의 전선을 권취하는 전선권취드럼을 구비한 전선권취장치 ; 전신주의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반케이스 ; 승강대구동장치와 전선권취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을 갖추고서 제어반케이스에 내설되는 제어반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3은 승강대구동장치의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 이동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전기 이동기구는 전신주(1)의 외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10)와 ; 배전기설치부(21)를 갖추고서 가이드(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승강대(20);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33)와, 제1구동모터(3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권취드럼(32)과, 와이어권취드럼(32)과 승강대(20)를 상호연결하는 와이어(31)를 구비하여 전신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대구동장치(30)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42)와, 제2구동모터(42)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이와 연동되어 배전기(2)의 전선(3)을 권취하는 전선권취드럼(41)을 구비한 전선권취장치(40) ; 전신주(1)의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반케이스(50) ; 승강대구동장치(30)와 전선권취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1)과, 제어유닛(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62)을 갖추고서 제어반케이스(50)에 내설되는 제어반(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10)는 수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신주(1)의 외면에 설치되며, 고정부(11)와 돌출부(12)가 구비되어, 고정부(11)의 일면이 전신주(1)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돌출부(12)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승강대(20)는 전신주(1)와 이웃하여 설치되며, 배전기(2)가 안착되는 배전기설치부(21)와 배전기설치부(21)의 하부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로드(22)로 구성되어, 전신주(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로드(22)는 가이드(10)의 돌출부(12)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승강대(20)가 정지해 있거나 승강할 시 승강대(20)의 수평을 잡아준다.
상기 승강대구동장치(30)는 승강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신주(1)의 외면에 고정되며, 승강대(20)의 배전기설치부(21)에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31)와, 일면이 와이어(31)에 연결된 와이어권취드럼(32)과, 와이어권취드럼(3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32)로 구성되어, 승강대(20)를 승강시킨다.
상기 와이어(31)는 일단이 승강대(20)의 배전기설치부(21)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와이어권취드럼(32)의 일면에 고정되며, 와이어(31)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방사형으로 승강대(20)의 배전기설치부(21)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권취드럼(32)은 원형의 바 형상으로 일단이 제1구동모터(33)에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구동모터(33)의 출력축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권취드럼(32)의 외면에는 와이어이탈방지부재(32a)가 설치되는데, 와이어이탈방지부재(32a)는 환형상으로, 와이어권취드럼(32)이 회전할 시 회전력에 의해 와이어(31)가 와이어권취드럼(3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33)는 통상의 모터로서 전신주(1)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4)에 안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브라켓(34)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4)은 제1구동모터(33)가 안착고정되는 안착부(34a)와, 환 형상의 체결부(34b)로 이루어져, 체결부(34b)가 전신주(1)의 외주면을 감싸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신주(1)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34)은 전선권취장치(40)의 고정브라켓(43)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므로, 도 3를 참조하길 바란다.
상기 전선권취장치(40)는 승강대(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신주(1)의 외면에 고정되며, 고정브라켓(43)을 통해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42)와, 제2구동모터(42)에 연결되는 전선권취드럼(41)으로 이루어져, 승강대(20)가 상하로 이동할 시 배전기(2)에 연결된 전선을 감고 푼다.
상기 전선권취드럼(41)은 제2구동모터(42)에 일단이 연결되며, 애자를 지나 내려온 하강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구(41a)와, 인입된 전선이 인출되는 인출구(41b)와, 환형상으로 전선권취드럼(41)의 외면에 설치되어 회전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부재(41c)로 구성되어, 늘어지는 전선을 감고 푼다.
상기 제2구동모터(42)는 통상의 모터로서 전신주(1)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3)에 안착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브라켓(4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3)은 제2구동모터(42)가 안착고정되는 안착부(43a)와, 환형상의 체결부(43b)로 이루어져, 체결부(43b)가 전신주(1)의 외주면을 감싸고 볼트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전신주(1)에 고정된다.
상기 제어반케이스(50)는 전신주(1)의 하부외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유닛(61)과 입력유닛(62)이 외력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반(60)은 제어유닛(61)과 입력유닛(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61)은 제어반(50)에 내설되며, 제1구동모터(33)와, 제2구동모터(42)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제1구동모터(33)와 제2구동모터(42)가 와이어(31)와 전선(3)을 감고 풀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유닛(62)은 제어반(50)에 내설되며, 입력유닛(62)은 제1작동스위치(62a)와, 제2작동스위치(62b)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입설된 전신주(1)에 배전기(2)는 도 1과 같이 설치된다.
상기 배전기(2)의 보수 또는 교체가 필요할 시 작업자는 제어반(50)의 도어를 열고 입력유닛(62)의 제1작동스위치(62a)와 제2작동스위치(62b)를 누른다.
상기 제1작동스위치(62a)와 제2작동스위치(62b)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은 제어유닛(61)은 제1구동모터(33)와 제2구동모터를 작동시켜 와이어권취드럼(32)과 전선권취드럼(41)을 회전시킨다.
이때 와이어권취드럼(32)과 전선권취드럼(41)은 일정한 비율의 회전속도를 가져, 와이어(31)와 전선(3)이 같은 길이로 풀리고 감기게 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33)는 회전하며 감겨있던 와이어(32)를 풀면서 배전기(2)가 안착된 승강대(20)를 하강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2구동모터(42) 또한 감겨있던 전선(3)을 푼다. 이때 와이어이탈방지부재(32a)와 전선이탈방지부재(41c)는 와이어(31)와 전선(3)이 와이어권취드럼(32)과 전선권취드럼(4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선권취드럼(41)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3)은 전선권취드럼(41)의 회전시 헛돌지 않도록 전선권취드럼(41) 내부에 고정된다.
하강하는 승강대(20)는 연결로드(22)가 가이드(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없이 전신주(1)와 일정간격을 이루며 하강한다.
도 4와 같이 작업이 용이한 위치까지 배전기(2)를 내린 후 배전기(2)를 보수하거나 교체를 할 수 있다. 배전기(2)의 보수 또는 교체가 완료된 후 제어유닛(60)의 제1작동스위치(62a)와 제2작동스위치(62b)를 누르면 제어유닛(61)은 신호를 받아 제1구동모터(33)와 제2구동모터(42)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와이어(31)와 전선(3)이 다시 감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1)의 외면에 가이드(10)와 ; 가이드(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승강대(20); 승강대(20)를 왕복이동시키는 승강대구동장치(30) ; 전선(3)을 감고 푸는 전선권취장치(40) ; 제 어반케이스(50) ; 제어반케이스(50)에 내설되는 제어반(60)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배전기의 관리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신주(1)의 외면에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10)와 ; 배전기설치부(21)를 갖추고서, 가이드(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되는 승강대(20);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33)와, 제1구동모터(3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이와 연동되는 와이어권취드럼(32)과, 와이어권취드럼(32)과 승강대(20)를 상호연결하는 와이어(31)를 갖추고서, 전신주(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대구동장치(30) ;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전신주(1)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42)와, 제2구동모터(42)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이와 연동되어 배전기(2)의 전선(3)을 권취하는 전선권취드럼(41)을 구비한 전선권취장치(40) ; 전신주(1)의 하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반케이스(50) ; 승강대구동장치(30)와 전선권취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1)과, 제어유닛(6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62)을 갖추고서 제어반케이스(50)에 내설되는 제어반(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 이동기구.
KR1020070005331A 2007-01-17 2007-01-17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KR10071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31A KR100717352B1 (ko) 2007-01-17 2007-01-17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31A KR100717352B1 (ko) 2007-01-17 2007-01-17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352B1 true KR100717352B1 (ko) 2007-05-11

Family

ID=3827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31A KR100717352B1 (ko) 2007-01-17 2007-01-17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1B1 (ko) 2008-08-26 2009-02-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2153719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07Y1 (ko) 2005-12-08 2006-03-10 (주)한동엔지니어링 이송시설을 갖춘 전신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907Y1 (ko) 2005-12-08 2006-03-10 (주)한동엔지니어링 이송시설을 갖춘 전신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1B1 (ko) 2008-08-26 2009-02-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0914936B1 (ko) * 2009-06-01 2009-09-01 주식회사 이린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2153719B1 (ko) * 2020-04-17 2020-09-09 주식회사 안성감리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2949B2 (ja) エレベータ
CN205558622U (zh) 一种用于箱式变电站的升降门机构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EP0106506A1 (en) Vertically movable working platform
CN202561384U (zh) 摄像头升降装置
CN107269476A (zh) 一种风电机组塔架升降式维护平台系统
US20220196226A1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KR100717352B1 (ko)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KR100713146B1 (ko) 지주의 승강식 변압배전장비
CN106524015B (zh) 一种带有自动升降系统的路灯装置
CN107833543A (zh) 一种升降式广告牌立柱
GB2476704A (en) An elevator safety system
CN111392630A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吊装装置及其实施方法
CN209371177U (zh) 一种高杆灯升降装置
CN209620545U (zh) 一种建筑电气施工安全防护装置
KR101165622B1 (ko)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CN108928763B (zh) 用于轨道车辆耐压试验的电缆升降装置和试验设备
CN105645290A (zh) 吊起风力涡轮机部件的装置
JP5976394B2 (ja) 昇降式足場装置
CN101486426A (zh) 施工升降机电缆小车保护器
KR102338934B1 (ko) 격납건물의 돔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CN208401377U (zh) 一种用于水电站高压开关站的检修平台
CN208280181U (zh) 一种检修孔封盖装置
CN217281758U (zh) 一种检修电源箱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