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91B1 -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91B1
KR102153691B1 KR1020200031294A KR20200031294A KR102153691B1 KR 102153691 B1 KR102153691 B1 KR 102153691B1 KR 1020200031294 A KR1020200031294 A KR 1020200031294A KR 20200031294 A KR20200031294 A KR 20200031294A KR 102153691 B1 KR102153691 B1 KR 10215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line
line
insulator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성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3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10)과,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와, 휴대용등(150)과, 연결바(20)와, 제2고정밴드(30)와,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분기지지기구(50)와,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위치조절기구(70)와,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감지기구(90)와, 제어유닛(100) 및, 음성경고기(110)를 포함하여,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에서 다양한 위치로 분기라인이 분기되되 전주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분기라인 분기에 의해 발생한 공간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조류 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가 쉬우며,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Equipment For Fixing Over Hea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로부터 송전된 전기는, 전주 및 완철을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배전라인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이때, 전주에는 변압기가 설치되고, 변압기에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을 통해 전기가 각 수용가에 배전된다.
한편, 종래에는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을 통해 전기가 배전될 시, 인출배전라인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분기라인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분기라인을 각 수용가로 연결할 시, 분기라인이 전주 또는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설비와 간섭되어, 다양한 위치로 분기되는 분기라인의 설치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분기라인에 조류가 앉아 새집을 지어려 할 시, 이를 방지할 수 없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예를 들어 가공배전라인 지지애자)의 수리 및 교체가 쉽지 않았으며, 주변이 어두울 경우 가공배전설비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20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에서 다양한 위치로 분기라인이 분기되되 전주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분기라인 분기에 의해 발생한 공간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조류 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가 쉬우며,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고정밴드(11)와; 제1고정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 완철(10)과: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되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되는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완철바(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본체(141)와; 본체(141)를 개폐하는 도어(142);를 갖춘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와: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의 본체(141)에 배치되는 휴대용등(150)과:
제1고정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2고정밴드(3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3고정밴드(41)와; 제3고정밴드(41)에 설치되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되는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4고정밴드(51)와; 제4고정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2);를 갖춘 분기지지기구(50)와;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되는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7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73);를 갖춘 위치조절기구(70)와: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와,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되는 탄성밴드 형상의 제1탄성기구(83)와;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와,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구비한 제2탄성기구(84)와;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스프링(85,86);을 갖춘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바(91)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감지센서(92)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를 갖춘 감지기구(90)와: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유닛(100)과:
고정바(91)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0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유닛(100)이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일정시간 후 경고음성이 출력되는 음성경고기(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변압기에서 인출된 인출배전라인에서 다양한 위치로 분기라인이 분기되되 전주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분기라인 분기에 의해 발생한 공간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조류 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가 쉬우며,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의 교체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기지지기구만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진동발생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기지지기구만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진동발생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다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는, 완철(10)과,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와, 휴대용등(150)과, 연결바(20)와, 제2고정밴드(30)와,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분기지지기구(50)와,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위치조절기구(70)와,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감지기구(90)와, 제어유닛(100) 및, 음성경고기(11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고정밴드(11)와, 제1고정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밴드(11)는 일측이 개구된 밴드 형상으로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완철바(12)는 직사각형 바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가 구비되어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가공배전라인(AL1)이 설치되며, 가공배전라인(AL1)에서 분기된 인입배전라인(AL2)이 변압기(TR)에 연결된다. 여기서 인입배전라인(AL2)은 가공배전라인(AL1)의 위치이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고정)된다.
상기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바(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본체(141)와, 본체(141)를 개폐하는 도어(1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142)는, 본체(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휴대용등(1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의 본체(141)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등(150)은 본체(141)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휴대용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20)는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바(20)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고정밴드(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밴드(30)는 원형 밴드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밴드(30)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밴드(41)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 및,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다.
상기 제3고정밴드(41)는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고정밴드(41)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 밴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3고정밴드(41)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분기라인지지대(42)는 제3고정밴드(4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기라인지지대(42)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출배전라인(EL1)은 클램프(또는 분기슬리브)를 통해 제1분기라인(EL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분기지지기구(50)는 도 1,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고정밴드(51)와, 이동밴드(52)를 갖춘다.
상기 제4고정밴드(51)는,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4고정밴드(51)는 일측이 개구된 원현 밴드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4고정밴드(51)는 전주(EP)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밴드(52)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4고정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밴드(52)는 내측 돌부 단면이 'T'를 이루어 제4고정밴드(5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제4고정밴드(5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이동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기지지기구(50)는, 제4고정밴드(51)를 관통하여 이동밴드(52)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53)을 통해, 이동밴드(52)를 위치고정한다. 여기서 체결볼트(53)는 제4고정밴드(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밴드(52)는 제4고정밴드(51)에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다.
상기 제2분기라인지지대(61)는,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분기라인지지대(61)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분기라인(EL3)는, 인출배전라인(EL1)에서 분기된 연결라인(EL4)과 클램프(또는 분기슬리브)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위치조절기구(70)는 도 1,3,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1)와, 이동대(72) 및, 구동장치(73)을 갖춘다.
상기 케이스(7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상을 이루어, 구동장치(73)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대(72)는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72)는 직사각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구동장치(73)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73)를 이용한 이동대(72)의 이동방식은 볼스크류 방식이 적용되지만,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랙피니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는 도 1,3,4,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제1탄성기구(83)와, 제2탄성기구(84) 및, 제1,2스프링(85,86)을 갖춘다.
상기 제1,2가이드애자(81,82)는,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 및,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이드애자(82)가 제1가이드애자(81)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탄성기구(83)는,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기구(83)는 탄성밴드(또는 신축밴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탄성기구(84)는,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 및,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또는 신축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갖춘다.
상기 제1,2스프링(85,86)는,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지기구(90)는, 도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91)와,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및, 제2초음파감지센서(93)을 갖춘다.
상기 고정바(91)는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바(91)는 원형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고정바(91)에 설치되지만,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의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초음파감지센서(92)는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레이저를 이용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고정바(91)에 설치되지만,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의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이동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레이저를 이용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어유닛(100)는 도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72)는 일정시간 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경고기(110)는 도 1,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91)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0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유닛(100)이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성이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경고기(110)는 경고음성으로 조류가 싫어하는 대역의 음파 또는 초음파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음성경고기(110)는 이동대(72)가 후진한 후 일정시간 후에 경고음성이 출력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음성경고기(11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를 수리하거나, 주변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하기 위해 가공배전라인(AL1)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선 상태인 가공배전라인(AL1)을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으로 옮긴 후,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를 수리하거나 주변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를 수리할 시, 별도의 손전등이 없는 상태에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지면, 작업자는 휴대용보관케이스(140)에서 휴대용등(150)을 꺼내 주변을 비추면서 가공배전설비 수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에 고정된 제1분기라인(EL2)과 연결된다.
이때, 인출배전라인(EL1)과 제1분기라인(EL2)의 연결지점에서 또 다른 방향으로 배전라인을 분기해야 할 시, 작업자는 상기 연결지점에서 분기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이동밴드(52)를 위치시킨다(도 6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연결지점에서 분기된 연결라인(EL4)이 제1,2가이드애자(81,82)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결라인(EL4)를 배치한 후,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에 고정된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라인(EL4)을 연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연결라인(EL4)을 당겨 연결라인(EL4)이 팽팽해지도록 하면서(필요에 따라 연결라인이 살짝 늘어지게 할 수도 있음), 연결라인(EL4)을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한다. 그러면 연결라인(EL4)은 제2가이드애자(82)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제2분기라인(EL3)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이동밴드(52)의 위치를 조절하여(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제2분기라인(EL3)를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1,2가이드애자(81,82) 사이를 통과하여 제2분기라인(EL3)과 연결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면, 구동장치(73)를 구동하여 도 9와 같이 이동대(72)를 전진하여(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밴드(52)의 위치이동에 따라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이 도 7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류가 집을 짓기 위해, 연결라인(EL4)에 안착할 시,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가 이를 감지하면, 제1초음파감지센서(92) 또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는 제1감지신호 또는 제2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조류 2마리가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연결라인(EL4) 일지점에 거의 동시에 각각 안착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제어유닛(100)이 제1감지신호 및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100)은 구동장치(73)를 구동하여, 이동대(72)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72)가 후진하면서 팽팽하던 연결라인(EL4)이 하방으로 늘어짐과 동시에, 조류의 하중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기구(83)가 하방으로 늘어진다.
이때, 이동대(72)의 후진에 놀란 조류가 연결라인(EL4)에서 벗어날 시, 조류의 하중이 사라짐에 따라 제1탄성기구(83)가 원위치로 복귀하려 한다. 한편 제1탄성기구(83)가 원위치로 복귀할 시 제1탄성기구(83)은 스프링백 현상으로 인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라인(EL4)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연결라인(EL4)는 제2탄성기구(84)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상방으로 이동한 제2탄성기구(84)는, 제2탄성밴드(84c)의 복원력에, 제1,2스프링(85,86)에 의한 복원력이 더해져, 더욱 강하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연결라인(EL4)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이 발생시킴으로써, 조류가 나뭇가지를 연결라인(EL4) 주변에 배치하였을 시, 배치된 나뭇가지를 연결라인(EL4) 주변에서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대(72)가 후진한 후, 일정시간 후에 음성경고기(110)의 경고음성이 출력되어, 조류가 이동대(72)의 후진에도 연결라인(EL4)을 벗어나지 않으면 조류에게 한번 더 경고가 가해지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라인(EL4) 진동 기능의 사용을 원치 않을 시에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의 외측에 배치되게 하여,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AL1)이 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 등의 가공배전설비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별도의 손전등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변이 갑자기 어두워질 경우, 휴대용등(150)을 활용하여 가공배전설비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을 설치할 시,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각도에 따라 이동밴드(52)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전주(EP)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팽팽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이 바람에 흔들려 전주(EP)에 부딪히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기구(70)를 통해 연결라인(EL4)의 전후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이 전주(EP)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분기라인(EL2) 및 제2분기라인(EL3)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라인(EL4)를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류가 연결라인(EL4)에 앉을 시 이동대(72)의 이동을 통해 조류를 쫓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켜, 연결라인(EL4)과 주변 구조물 사이에 조류가 안착시킨 나뭇가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라인(EL4) 주변으로 새집이 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탄성기구(83,84)를 통해 연결라인(EL4)에 진동을 발생시킬 시, 제2탄성밴드(84c)의 복원력에 제1,2스프링(85,86)의 복원력을 더하여, 제2탄성기구(84)가 연결라인(EL4)을 하방으로 더욱 강하게 가압하게 함으로써, 진동 발생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탄성기구(84)가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제1,2삽입체(84a,84b)의 손상이 쉬우나, 제1,2이탈방지체(81d,82d)가 제1,2지지바(81a,82a)에서 착탈가능하여, 제1,2삽입체(84a,84b)의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라인(AL1)이 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설비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가공배전라인(AL1)을 고정하는 구성(활선작업용지지애자, 완철 등)에, 가공배전설비 수리 작업 시 어두운 환경이라는 위험요소를 줄이는 구성(휴대용등, 휴대용보관케이스 등)을 포함하고, 이에 더해 다양한 가공배전설비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명칭을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로 정의한다.
10; 완철 20; 연결바
30; 제2고정밴드 40; 제1분기라인고정기구
50; 분기지지기구 60; 제2분기라인고정기구
70; 위치조절기구 80; 가이드진동발생기구
90; 감지기구 100; 제어유닛
110; 음성경고기 120;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
130; 활선작업용지지애자 140; 휴대용등보관케이스
150; 휴대용등

Claims (1)

  1. 전주(EP)에 삽입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1고정밴드(11)와; 제1고정밴드(11)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완철바(12);를 갖춘 완철(10)과:
    완철바(12)에 설치되어, 가공배전라인(AL1)이 지지되는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와:
    가공배전라인지지애자(120)에 이웃되게 완철바(12)에 설치되는 활선작업용지지애자(130)와:
    완철바(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본체(141)와; 본체(141)를 개폐하는 도어(142);를 갖춘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와:
    휴대용등보관케이스(140)의 본체(141)에 배치되는 휴대용등(150)과:
    제1고정밴드(11)의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바(2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변압기(TR)가 설치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2고정밴드(30)와:
    연결바(20)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2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3고정밴드(41)와; 제3고정밴드(41)에 설치되는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에 설치되고, 변압기(TR)로부터의 인출배전라인(EL1)이 연결된 제1분기라인(EL2)이 고정되는 제1분기라인고정애자(43);를 갖춘 제1분기라인고정기구(40)와:
    연결바(12)에 고정되어 전주(EP)에 삽입되고, 제3고정밴드(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형 밴드 형상의 제4고정밴드(51)와; 제4고정밴드(51)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이동밴드(52);를 갖춘 분기지지기구(50)와;
    이동밴드(5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분기라인지지대(61)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에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이 고정되는 제2분기라인고정애자(62);를 갖춘 제2분기라인고정기구(60)와: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72)와; 제1분기라인지지대(42)와 제2분기라인지지대(61) 사이에 위치하게 이동밴드(52)에 설치되고, 전면에 케이스(71)가 설치되며, 이동대(7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73);를 갖춘 위치조절기구(70)와:
    이동대(72)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바(81a,82a)와, 이동대(72)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와, 제1,2하측애자날개(81b,82b)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와, 제1,2상측애자날개(81c,82c)에서 상방으로 이격되게 제1,2지지바(81a,82a)의 상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이탈방지체(81d,82d),를 구비하여, 제1분기라인(EL2)과 제2분기라인(EL3)을 연결하는 연결라인(EL4)이 제1가이드애자(81)와 제2가이드애자(82) 사이를 상하로 통과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가이드애자(81,82)와; 일단이 제1하측애자날개(81b)와 제1상측애자날개(81c) 사이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하측애자날개(82b)와 제2상측애자날개(82c) 사이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설치되는 탄성밴드 형상의 제1탄성기구(83)와; 제1상측애자날개(81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1지지바(81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삽입체(84a)와, 제2상측애자날개(82c)의 상방에 위치하게 제2지지바(8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체(84b)와, 일단이 제1삽입체(84a)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삽입체(84b)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2탄성밴드(84c),를 구비한 제2탄성기구(84)와; 일단이 제1,2이탈방지체(81d,82d)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제1,2삽입체(84a,84b)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스프링(85,86);을 갖춘 가이드진동발생기구(80)와:
    케이스(71)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바(91)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분기라인(EL2)을 향해 배치되며, 제1분기라인(EL2)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초음파감지센서(92)와; 고정바(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분기라인(EL3)을 향해 배치되며, 제2분기라인(EL3) 방향에서 이동물체가 감지될 시,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초음파감지센서(93);를 갖춘 감지기구(90)와:
    케이스(71)에 설치되어 구동장치(73)를 제어하는 한편,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구동장치(73)를 제어하여, 이동대(72)가 후진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유닛(100)과:
    고정바(91)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어유닛(10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유닛(100)이 제1초음파감지센서(92)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초음파감지센서(93)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일정시간 후 경고음성이 출력되는 음성경고기(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KR1020200031294A 2020-03-13 2020-03-13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KR10215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94A KR102153691B1 (ko) 2020-03-13 2020-03-13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94A KR102153691B1 (ko) 2020-03-13 2020-03-13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91B1 true KR102153691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94A KR102153691B1 (ko) 2020-03-13 2020-03-13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9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40B1 (ko) * 2021-08-13 2022-03-23 코어엔지니어링(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KR102377142B1 (ko) * 2021-08-04 2022-03-29 코어엔지니어링(주)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413563B1 (ko) * 2021-10-07 2022-06-28 (주)삼보기술단 유해 동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CN114944631A (zh) * 2022-05-05 2022-08-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泰安供电公司 一种架空线用高空警示系统
KR102512263B1 (ko) * 2022-11-08 2023-03-22 (주)동화이엔지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548499B1 (ko) * 2022-07-04 2023-06-28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낙뢰 회피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585631B1 (ko) * 2023-05-25 2023-10-10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기설비의 낙뢰방지시스템
KR102601261B1 (ko) * 2022-10-17 2023-11-13 (주)혜광전기감리 가공배전선의 안전한 지지를 위한 애자장착고정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31A (ja) * 1997-12-31 1999-09-14 Oba Building Maintenance Kk 鳥類忌避装置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1472099B1 (ko)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20150134987A (ko) * 2014-05-23 2015-12-02 유한회사 금종 조류퇴치 및 적설방지장치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787358B1 (ko) *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31A (ja) * 1997-12-31 1999-09-14 Oba Building Maintenance Kk 鳥類忌避装置
KR100668452B1 (ko) * 2006-08-04 2007-01-16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보관함 기능을 가진 전주 디딤발판.
KR101472099B1 (ko) 2013-11-26 2014-12-16 제룡산업 주식회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20150134987A (ko) * 2014-05-23 2015-12-02 유한회사 금종 조류퇴치 및 적설방지장치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787358B1 (ko) * 2017-08-21 2017-10-18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142B1 (ko) * 2021-08-04 2022-03-29 코어엔지니어링(주)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377140B1 (ko) * 2021-08-13 2022-03-23 코어엔지니어링(주)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라인 분기장치
KR102413563B1 (ko) * 2021-10-07 2022-06-28 (주)삼보기술단 유해 동물로부터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CN114944631A (zh) * 2022-05-05 2022-08-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泰安供电公司 一种架空线用高空警示系统
KR102548499B1 (ko) * 2022-07-04 2023-06-28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낙뢰 회피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601261B1 (ko) * 2022-10-17 2023-11-13 (주)혜광전기감리 가공배전선의 안전한 지지를 위한 애자장착고정기구
KR102512263B1 (ko) * 2022-11-08 2023-03-22 (주)동화이엔지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585631B1 (ko) * 2023-05-25 2023-10-10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전기설비의 낙뢰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91B1 (ko) 위험요소를 줄인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KR10215371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안전절연형 지지장치
KR102183977B1 (ko)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1144986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2112285B1 (ko)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CN1205623C (zh) 电绝缘体套的野生生物防护装置
KR101625042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017093B1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209727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고정장치
CN101779369A (zh) 直线电动机组件
KR10183584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CN111181064A (zh) 一种带电作业的机器人系统
KR940022951A (ko) 원거리 통신 장비용 하우징
KR102153690B1 (ko) 활용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용 멀티 기능 완철기구
US8267380B1 (en) Retractable fence apparatus
KR102199147B1 (ko) 도시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시스템
KR101794296B1 (ko)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CN209105086U (zh) 一种光伏发电装置的固定支架
KR101642855B1 (ko) 양면복합 배전용 분전반에서의 전기 배선장치
CN110581478A (zh) 一种具有自动照明功能的新式电缆沟盖板
KR102260879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ATE262474T1 (de) Anordnung zum aufwickeln von kabel oder dergleichen
KR102159582B1 (ko)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KR102524132B1 (ko) 조류 접근 차단이 용이한 안전형 가공배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