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977B1 -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977B1
KR102183977B1 KR1020200014980A KR20200014980A KR102183977B1 KR 102183977 B1 KR102183977 B1 KR 102183977B1 KR 1020200014980 A KR1020200014980 A KR 1020200014980A KR 20200014980 A KR20200014980 A KR 20200014980A KR 102183977 B1 KR102183977 B1 KR 10218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underground distribution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석훈
Original Assignee
변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석훈 filed Critical 변석훈
Priority to KR102020001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배전선거치유닛(100): 배전선거치유닛(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200); 진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센서(300); 솔레노이드(400);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4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진과 같은 진동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stable installation tray device}
본 발명은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진과 같은 진동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으로부터 송전된 고압이 전기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압된 후 소비지역으로 배전되며, 이와 같은 배전은 가공전선 또는 지중전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전관리는 가공전선 또는 지중전선이 배선 조정을 통해 이루고지고, 배선 조정이 빈번한 대도시 등에서는 공간활용 개선과 배선 조정 및 관리의 용이함이 있는 지중전선 배선 방식이 널리 활용된다.
지중전선의 배선조정은 지중전선들 간, 지중전선과 배전선 간, 지중전선과 배전함 간의 연결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은 연결장치(또는 커넥터)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장치(또는 커넥터)는 외팔보 형태의 트레이(행거)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지진과 같은 강한 진동이 가해질 경우 트레이(행거)가 흔들리게 되고, 결국 고정된 부분에 손상을 초래하게 되어 유지보수가 불가피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레이(행거)는 지중전선이 거치되는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지중전선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의 간격을 촘촘하게 설치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시공비용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31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진동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줄 수 있고,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편, 고정편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수평대, 수평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클립부결합공, 클립부결합공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배전선안착홈, 배전선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수평대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봉결합공으로 구성된 거치대와, 포설될 지중배전선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외주면 일측으로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수평대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디, 바디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의 삽탈을 단속하는 커버, 바디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버를 가이드하는 플런지, 바디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아이들러로 이루어진 포설용 보조기구와, 일단부가 바디의 하단부에 축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대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타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봉결합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봉, 봉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봉의 이탈을 제한하는 너트링, 봉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중배전선을 떠받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보조받침대로 구성된 배전선거치유닛;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관체의 양단부에 끼워져 관체의 벌어짐을 제한하며 클립부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를 구비하는 구속링으로 구성된 연결유닛;
수평대에 내설되어 진동이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센서;
수평대에 내설되어 지지대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진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할 경우 지지대가 수평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수평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게 지지대가 받쳐 지지함에 따라 강한 진동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에서 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연결유닛을 이용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의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장치는 배전선거치유닛(100)과 연결유닛(200), 진동감지센서(300), 솔레노이드(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L)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L)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L)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진동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강화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배전선거치유닛(100)은 거치대(110)와 포설용 보조기구(120), 지지대(130) 및 보조받침대(1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고, 이와 더불어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L)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대(110)는 고정편(111)과 수평대(112), 클립부결합공(113), 배전선안착홈(114) 및 봉결합공(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111)은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에 맞대어져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수평대(112)는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일단이 고정편(111)과 일체를 이루며, 고정편(111)을 매개로 전력구의 벽면에 외팔보 형태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대(112)의 내부에는 지지대(130)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클립부결합공(113)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평대(112)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클립부결합공(113)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연결유닛(200)의 클립부(221)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배전선안착홈(114)은 지중배전선(L)이 수용되는 반원형상의 홈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클립부결합공(113)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수평대(112)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봉결합공(115)은 원형의 구멍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전선안착홈(114)을 사이에 두고 수평대(112)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봉결합공(115)에는 보조받침대(140)의 봉(141)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포설용 보조기구(120)는 바디(121)와 커버(122), 플랜지(123) 및 아이들러(12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평대(112)의 말단(고정편의 맞은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는 작업에 이용된다.
상기 바디(121)는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외주면 일측으로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내부는 포설방향과 수평대(112)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121)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고 있고, 하면은 일측(측면의 하단)에서 타측(개구부)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므로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디(121)와 커버(122) 사이의 틈에 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2)는 호형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21)의 외주면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맞대어져 바디(1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커버(122)의 양단에는 가이드홈(122a)이 원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이드홈(122a)은 바디(121)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지(123)의 가이드돌기(123a)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바디(121)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
상기 플런지(123)는 바디(12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면서 커버(1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런지(123)의 내면에는 커버(122)의 가이드홈(122a)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23a)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122)는 플런지(123)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홈(122a)을 매개로 가이드돌기(12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아이들러(124)는 일종에 롤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12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경사진 하면에 각각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3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막대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평대(112)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되, 일단부는 바디(121)의 하단부에 축핀(P)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 상면에는 솔레노이드(400)의 로드에 의해 고정되는 걸이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대(130)의 고정상태가 해제될 경우 지지대(130)는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대(112)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며, 이탈된 지지대(130)은 전력구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외팔보 형태의 거치대(110) 말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진과 같은 진동으로부터 거치대(110)가 출렁이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해 줄 있어 거치대(110)가 손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를 줄어들게 되므로 시설물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조받침대(140)는 봉(141)과 너트링(142) 및 지지플레이트(14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수평대(112)의 양측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거치된 지중배전선(L)을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봉(141)은 수평대(112)의 봉결합공(115)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봉결합공(115)으로부터 이탈을 제한되도록 봉(141)의 일단부에는 너트링(142)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봉(141)의 타단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지지플레이트(143)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지지플레이트(143)의 상면에는 배전선안착홈(114)과 상호 연통되는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에는 지중배전선(L)에 얹혀진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장치 사이에서 지중배전선(L)의 처짐이 생길 경우 지지플레이트(143)를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봉(141)이 봉결합공(115)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너트링(142)이 수평대(112)의 내면에 맞닿게 되면 봉(141)은 이동을 멈추게 되면서 최대로 확장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받침대(140)를 최대로 확장하여 지중배전선(L)을 받치는 영역을 확장해 주게 되면 지중배전선(L)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용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장치를 촘촘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에서 연결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연결유닛을 이용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유닛(200)은 관체(210)와 구속링(22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전선거치유닛(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체(210)는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관 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감싸 고정한다.
상기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는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는 이들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의 양단부 내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다수의 가압돌기(211b,212b)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압돌기(211b,212b)는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의 상호 결합시 내측에 배치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하여 지중배전선(L)이 관체(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속링(220)은 관체(210)의 양단부에 각각 끼워져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면서 배전선거치유닛(100)과 연결유닛(200)을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이를 위해 구속링(220)의 외주면에는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돌출된 클립부(2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클립부(221)는 배전선거치유닛(100)의 클립부결합공(11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진동감지센서(300)는 수평대(112)에 내설되어 지진과 같은 진동을 감지해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400)는 수평대(112)에 내설되어 지지대(130)를 고정 및 해제하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된다. 일 예로, 상기 솔레노이드(400)는 로드를 구비하며, 이 로드의 전후(삽탈) 이동에 의해 지지대(130)의 걸이부(131)가 고정 및 해제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할 경우 지지대(130)가 수평대(112)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40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진동감지센서(300)와 솔레노이드(400) 및 제어부(500)는 외부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의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자 할 경우, 우선 일단에 피복이 제거된 지중배전선(L)을 각각 제1커버(211)에 인입하여 금속선을 서로 맞대어준다.
그 다음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감싸지도록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를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상호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의 가압돌기(211b,212b)는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은 관체(210)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를 상호 결합 이후에는 관체(210)의 양단부에 구속링(220)을 끼워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다음, 구속링(220)의 클립부(221)를 배전선거치유닛(100)의 클립부결합공(113)에 끼워넣어 배전선거치유닛(100)에 연결유닛(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될 지중배전선(L)을 포설용 보조기구(120)인 아이들러(124) 상에 얹혀지도록 바디(121)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선단부를 잡고 당기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아이들러(124)가 제자리에서 롤링되면서 지중배전선(L)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또한, 바디(121) 내부의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지중배전선(L)은 경사진 아이들러(12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배치된 아이들러(124)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바디(121)와 커버(122) 사이의 틈에 끼는 문제를 해소하면서 안정적으로 포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계획된 구간까지 지중배전선(L)이 포설되면, 작업자는 커버(122)를 슬라이드이동시켜 바디(121)의 개구부가 노출되도록 한 다음, 포설용 보조기구(120)에 수용된 지중배전선(L)을 개구부를 통해 인출한 상태에서 배전선거치유닛(100)의 배전선안착홈(114)에 거치해주면 포설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장치 사이에서 지중배전선(L)의 처짐이 생길 경우 보조받침대(140)를 확장하여 지중배전선(L)을 받치는 영역을 확장해 주게 되면 지중배전선(L)의 처짐을 보완해 줄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용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장치를 촘촘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지진과 같은 강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진동감지센서(3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0)는 기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게 되며, 이때, 기설정된 값보다 입력된 높은 값이 입력될 경우 제어부(500)는 솔레노이드(40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제어된 솔레노이드(400)는 로드가 내부로 인입되도록 잡아당기게 되고, 로드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지지대(130)는 비로소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거치대(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렇게 인출된 지지대(130)는 전력구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되어 외팔보 형태로 설치된 거치대(110)의 말단을 떠받치게 됨으로써 거치대(110)의 출렁임을 제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거치대(110)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진동발생시 수평대(112)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게 지지대(130)가 받쳐 지지함에 따라 강한 진동으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L)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받침부위에 확장을 통해 거치된 지중배전선(L)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배전선거치유닛 110: 거치대 111: 고정편
112: 수평대 113: 클립부결합공 114: 배전선안착홈
120: 포설용 보조기구 121: 바디 122: 커버
122a: 가이드홈 123: 플런지 123a: 가이드돌기
124: 아이들러 130: 지지대 140: 보조받침대
141: 봉 143: 지지플레이트 200: 연결유닛
210: 관체 211: 제1커버 211a: 결합돌기
211b: 가압돌기 212: 제2커버 212a: 결합홈
212b: 가압돌기 220: 구속링 221: 클립부
300: 진동감지센서 400: 솔레노이드 500: 제어부

Claims (1)

  1. 전력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편(111), 고정편(11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수평대(112), 수평대(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클립부결합공(113), 클립부결합공(113)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배전선안착홈(114), 배전선안착홈(114)을 사이에 두고 수평대(112)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봉결합공(115)으로 구성된 거치대(110)와,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수평대(112)를 향해 외주면 일측이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수평대(112)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바디(121), 바디(121)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배전선(L)의 삽탈을 단속하는 커버(122), 바디(12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버(122)를 가이드하는 플런지(123), 바디(12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아이들러(124)로 이루어진 포설용 보조기구(120)와, 일단부가 바디(121)의 하단부에 축핀(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대(112)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타단부에 걸이부(131)가 형성된 지지대(130)와, 봉결합공(115)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봉(141), 봉(141)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봉(141)의 이탈을 제한하는 너트링(142), 봉(14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떠받치는 지지플레이트(143)로 이루어진 보조받침대(140)로 구성된 배전선거치유닛(100);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커버(211)와 제2커버(212)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211b,212b)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210)와, 관체(210)의 양단부에 끼워져 관체(210)의 벌어짐을 제한하며 클립부결합공(11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221)를 구비하는 구속링(220)으로 구성된 연결유닛(200);
    수평대(112)에 내설되어 진동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센서(300);
    수평대(112)에 내설되어 지지대(130)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400);
    진동감지센서(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값과 상호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할 경우 지지대(130)가 수평대(112)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4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20200014980A 2020-02-07 2020-02-07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218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80A KR102183977B1 (ko) 2020-02-07 2020-02-07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80A KR102183977B1 (ko) 2020-02-07 2020-02-07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977B1 true KR102183977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80A KR102183977B1 (ko) 2020-02-07 2020-02-07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97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83B1 (ko) 2021-06-15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382982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82990B1 (ko) *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494119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용 전력구
KR102520235B1 (ko) 2022-03-25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확인이 가능한 전선접속형 154kv 지중송전라인 고정기구
KR102520236B1 (ko) 2022-03-25 2023-04-12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154kv 지중송전선 연결기기
KR102520241B1 (ko) * 2022-03-24 2023-04-12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 파손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KR102520239B1 (ko) * 2022-03-23 2023-04-12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안전한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기능성 향상 연결 접속기구
KR102521124B1 (ko) 2022-03-25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지중배전선 손상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KR102520681B1 (ko) * 2022-04-13 2023-04-13 (주)아이티이앤지 신속한 화재발생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520680B1 (ko) * 2022-04-14 2023-04-13 (주)아이티이앤지 지중배전선 훼손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커넥터
KR102526432B1 (ko) * 2022-03-18 2023-04-28 (주)경성감리단 안전한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590036B1 (ko) 2023-02-22 2023-10-17 (주)제이비씨 화재진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4B1 (ko) * 2007-03-10 2007-09-19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과 패드티알(pad tr)의 접속구조
KR101811454B1 (ko) * 2011-10-04 2017-12-21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KR102043183B1 (ko) 2019-05-17 2019-11-11 김병일 합선방지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4B1 (ko) * 2007-03-10 2007-09-19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과 패드티알(pad tr)의 접속구조
KR101811454B1 (ko) * 2011-10-04 2017-12-21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KR102043183B1 (ko) 2019-05-17 2019-11-11 김병일 합선방지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83B1 (ko) 2021-06-15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382982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82990B1 (ko) *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526432B1 (ko) * 2022-03-18 2023-04-28 (주)경성감리단 안전한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접속용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520239B1 (ko) * 2022-03-23 2023-04-12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안전한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가능한 기능성 향상 연결 접속기구
KR102520241B1 (ko) * 2022-03-24 2023-04-12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선 파손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KR102521124B1 (ko) 2022-03-25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지중배전선 손상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선 접속형 커넥터
KR102520236B1 (ko) 2022-03-25 2023-04-12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154kv 지중송전선 연결기기
KR102520235B1 (ko) 2022-03-25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확인이 가능한 전선접속형 154kv 지중송전라인 고정기구
KR102520681B1 (ko) * 2022-04-13 2023-04-13 (주)아이티이앤지 신속한 화재발생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520680B1 (ko) * 2022-04-14 2023-04-13 (주)아이티이앤지 지중배전선 훼손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커넥터
KR102494119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안정적 송전이 가능한 지중송전용 전력구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590036B1 (ko) 2023-02-22 2023-10-17 (주)제이비씨 화재진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977B1 (ko)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2183975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0920148B1 (ko) 공동주택 맨홀의 곡선부에 설치되는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장치
US4827080A (en) Multiple service fitting
CN212323626U (zh) 一种输电缆的保护装置
JP6011660B2 (ja) ケーブル支持装置
KR20180016135A (ko) 변류기
CN215004679U (zh) 一种用于快插式电线束拉拔试验夹具
KR101168061B1 (ko)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JP2008245343A (ja) 超電導ケーブル用支持治具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CN213341197U (zh) 一种电力设备的预埋式电力柜
KR200194586Y1 (ko) 인입전용 완금
KR102673111B1 (ko) 프로텍터
CN218449408U (zh) 一种光伏电缆用固定配件
KR102492927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전선 배치기구
JP3174878B2 (ja) 配線・配管材の受具の連結構造、連結具、連結部材及びシュータ形成部材
CN210041221U (zh) 一种适用于86型接线盒的穿线辅助支架
CN218242925U (zh) 穿墙套管铜排安装夹具及中压配电设备
CN217187620U (zh) 一种消防栓箱安装结构
KR20240058688A (ko) 프로텍터
RU2706255C2 (ru) Кабельный зажим
JPH0530333Y2 (ko)
KR013503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커패시터 고정블록 결합장치
KR100573989B1 (ko) 지하매설관용 공간분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