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062B1 -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062B1
KR102040062B1 KR1020190059453A KR20190059453A KR102040062B1 KR 102040062 B1 KR102040062 B1 KR 102040062B1 KR 1020190059453 A KR1020190059453 A KR 1020190059453A KR 20190059453 A KR20190059453 A KR 20190059453A KR 102040062 B1 KR102040062 B1 KR 10204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distribution
arm
power distribu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0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T)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바디(110), 바디(110)에 힌지결합되는 암(120)으로 구성된 행거(100); 바디(110)에 설치되어 바디(110)와 암(120) 간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200); 암(120)에 힌지결합되어 지중배전선(1)을 떠받치는 전선안착대(300); 암(1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전선연결구(400); 바디(110)에 설치되어 암(12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지지블록(500);으로 구성되며,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1)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1)의 증설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거치공간의 확장을 통해 증설된 지중배전선(1)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중배전선(1)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Equipment for connecting an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의 공급은 배전선을 통해 생산지로부터 소비지로 공급되는 것인바, 이러한 배전선들은 도시 미관 및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장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지상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이격된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 예로, 지중에 전력구를 매설하고, 매설된 전력구에 다수의 행거를 설치하며, 이렇게 설치된 각각의 행거에 지중배전선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방식은 지중배전선을 증설하고자 할 경우 행거를 추가로 시공해야 했기 때문에 추가증설에 따른 공사비용 증가와 확장성 부분에서 큰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1462호(2015.11.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지중배전선을 자유롭게 증설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의 내부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하면으로부터 전력구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확장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력구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축소되는 지지부와, 경사부와 지지부의 경계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며 제1핀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힌지패널과, 경사부에 마련되며 내부가 일면으로 개구된 제1수용부와, 힌지패널 사이의 형성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지지블록삽입부와, 제1수용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이 인입될 수 있게 개구된 출입구, 출입구로부터 하향연장되며 출입구를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안착부를 갖춘 전선거치부로 구성된 바디,
일단부가 축대 사이에 배치되어 핀홀을 매개로 제1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런지삽입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핀을 매개로 회전시 상면이 경사부에 맞대어져 경사부에 의해 지지되거나 일단부 상면이 지지부에 맞대어져 외팔보 형태를 이루는 암으로 구성된 행거와;
지지부에 설치되어 지지부에 맞대어지는 암의 충격을 완충하는 소프트한 고무재질의 완충수단과;
제2수용부를 관통하는 제2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수용부에 삽탈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을 가압고정하는 호형부로 구성된 전선안착대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와 제2바디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1·2바디의 외주면에는 플런지삽입부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플런지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갖추고서 제1·2바디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의 도선을 고정돌기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선연결구와, 도선연결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감싸 고정하는 반원형의 탄성절연재로 구성된 전선연결구와;
지지블록삽입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암의 회전을 단속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의 증설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거치공간의 확장을 통해 증설된 지중배전선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체에 플런지를 형성해 줌으로서 제1·2바디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의 플런지를 암의 플런지삽입부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이 관체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클램핑수단이 필요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1의“A”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
도 6은 도 2의“B”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
도 7은 도 3의“C”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이용해 전선을 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이용해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는, 행거(100)와 완충수단(200), 전선안착대(300), 전선연결구(400) 및 지지블록(5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력구(T)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1)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1)의 증설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거치공간의 확장을 통해 증설된 지중배전선(1)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중배전선(1)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100)는 바디(110)와 암(120)으로 구성되어 전력구(T)의 내부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바디(110)는 고정부(111)와 경사부(112), 지지부(113), 힌지패널(114), 제1수용부(115), 지지블록삽입부(116) 및 전선거치부(117)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1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태의 플레이트로서, 전력구(T)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어 앵커볼트(anchor bolt)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경사부(112)는 고정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고정부(111)의 하면으로부터 전력구(T)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확장되는 경사진 형태를 띤다.
상기 지지부(113)는 경사부(112)와 일체를 이루며, 경사부(112)의 하단으로부터 전력구(T)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축소되는 경사진 형태를 띤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112)는 이후에 설명되는 암(120)과 맞대어져 암(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지지부(113)는 암(120)의 일단부와 맞대어져 암(12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패널(114)은 경사부(112)와 지지부(113)의 경계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며, 제1핀(P1)이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제1수용부(115)는 경사부(112)에 형성되는 내부가 일 방향(좌우방향)으로 개방된 공간부로, 제1수용부(115)에는 암(1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전선연결구(400)가 삽입되어 보관된다.
상기 지지블록삽입부(116)는 일종에 홈으로, 힌지패널(114) 사이에 배치되게 경사부(112)와 지지부(113)의 경계면에 형성되며, 지지블록삽입부(116)에는 지지블록(50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전선거치부(117)는 제1수용부(1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경사부(112)에 형성되며, 경사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어 지중배전선(1)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1의“A”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전선거치부(117)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선거치부(117)는 제1수용부(1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1)이 인입될 수 있게 개구된 출입구(117a)와, 출입구(117a)로부터 하향연장되며 출입구(117a)를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안착부(117b)로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117a)와 안착부(117b)는 서로 일체로 이루며, 제1수용부(115)와 상호 연통되게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출입구(117a)의 일단은 외부로부터 지중배전선(1)이 인입될 수 있게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안착부(117b)의 일단과 상호 연통되어 있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1)을 안내하며, 안착부(117b)의 타단은 막혀 있어 지중배전선(1)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안착부(117b)는 출입구(117a)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인입된 지중배전선(1)이 외부로의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치 안정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13)에는 내부가 하방으로 개방된 완충수단삽입부(113a)가 마련되며, 완충수단삽입부(113a)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완충수단(200)이 삽입된다.
일 예로, 상기 바디(110)의 경사부(112)는 90°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고 있어 암(120)이 경사부(112)와 동일한 경사로 맞대어져 뉘어진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블록(500)으로 받치고 있지 않아도 외력에 의해 무단으로 펼쳐지는 것(회전되는 것)을 일정부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암(120)은 일단부가 축대(140) 사이에 배치되어 핀홀(121)을 매개로 제1핀(P1)에 회전가능하게(접철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중배전선(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1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일단부에는 제1핀(P1)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핀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120)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2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한 쌍의 플런지삽입부(123)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도 2의“B”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제2수용부(122)를 설명하면, 상기 제2수용부(122)는 일종에 공간부로서, 제2수용부(122)에는 제2핀(P2)이 관통되게 끼워져 고정되고, 제2핀(P2)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전선안착대(3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선안착대(300)는 제2핀(P2)을 매개로 회동되어 일부가 제2수용부(122)에 수용(도 4 참조)된다.
도 7은 도 3의“C”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플런지삽입부(123)를 설명하면, 상기 플런지삽입부(123)는 일종에 홈으로서, 이후에 설명되는 전선연결구(400)의 플런지(411a,412a)가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된다.
일 예로, 상기 암(120)을 제1핀(P1)을 매개로 경사부(112)를 향해 회전시키게 되면, 암(120)의 상면은 경사부(112)에 맞대어지게 되고, 이때 암(120)에 고정된 전선연결구(400)는 자연스럽게 제1수용부(115)로 인입되어 은닉되게 되며, 전선안착대(300)는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어 일부가 제2수용부(122)에 수용되고 나머지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전선안착대(300)에 지중배전선(1)을 끼워 거치하면 된다.
특히, 상기 전선안착대(300)의 경우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받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선안착대(300)에 지중배전선(1)이 모두 거치된 상태에서 추가로 지중배전선(1)을 증설하고자 하거나 전선연결구(400)를 이용해 지중배전선(1)을 연결해야 할 경우, 경사부(112)에 맞대어져 있는 암(120)를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시키게 되면, 암(120)의 일단부가 지지부(113)에 맞대어지면서 외팔보형태를 이루되, 지지부(113)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암(120) 역시 이에 상응하게 경사진 형태를 띠게 되고, 제1수용부(115)에 은닉되어 있던 전선연결구(400)는 암(120)과 함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된 전선연결구(400)를 매개로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선거치부(117)에 지중배전선(1)을 인입해 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암(120)가 회전될 때 전선안착대(300)는 암(120)와 함께 이동됨과 동시에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제2수용부(122)로부터 이탈되어 연직으로 세워지므로 항시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떠받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추가증설되는 지중배전선(1)을 전선거치부(117)에 거치하거나 전선연결구(400)를 매개로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확장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특히 지중배전선(1)의 증설 및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증설작업에 따른 공사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수단(200)은 압축 및 복원력이 우수한 소프트한 재질적 특성을 갖는 고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부(113)에 마련된 완충수단삽입부(131a)에 돌출되게 삽입되어 지지부(113)에 맞대어지는 암(120)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완충수단(200)을 마련해 줌에 따라 암(120)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안착대(300)는 수직부(310)와 호형부(3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핀(P2)을 매개로 암(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1)을 안정적으로 거치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안착대(300)는 제2수용부(122)를 관통하는 제2핀(P2)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수용부(122)에 삽탈되는 수직부(310)와, 수직부(310)의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호형부(320)로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전선안착대(300)는 암(120)이 경사부(112)를 향해 회전시 함께 이동되면서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어 제2수용부(122)에 수용되고, 암(120)이 전력구(T)의 내부 하면(바닥면)을 향해 회전시 함께 이동되면서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어 제2수용부(12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안착대(300)는 제2수용부(122)에 인입되거나 제2수용부(122)로부터 이탈되더라도 항상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지중배전선(1)의 거치시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떠받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중배전선(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연결구(400)는 관체(410)와 도선연결부(420) 및 탄성절연재(4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20)의 플런지삽입부(123)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끼워져)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전선연결구(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체(410)는 절연재질의 중공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411)와 제2바디(412)로 분할형성되며, 힌지를 매개로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삽입된 지중배전선(1)의 도선(1a)과 피복(1b)을 감싸 외력 및 침투수로부터 지중배전선(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관체(410)를 구성하는 제1·2바디(411,412)의 원주면에는 플런지(411a,41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플런지(411a,412a)는 암(120)의 플런지삽입부(123)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된다(도 7 참조).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관체(410)에 플런지(411a,412a)를 형성해 줌으로서 제1·2바디(411,412)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1)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410)의 플런지(411a,412a)를 암(120)의 플런지삽입부(123)에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1)이 관체(4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클램핑수단이 필요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선연결구(42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바디(411,4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4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1)의 도선(1a)을 고정돌기(421)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고정돌기(421)는 도선연결구(420)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절연재(430)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합성고무로, 도선연결구(4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411,412)의 내면에 각각 고정되어 관체(4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1)의 피복(1b)을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절연재(430)가 지중배전선(1)의 피복(1b)을 기밀하게 감싸 고정해 줌에 따라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블록(500)는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지블록삽입부(116)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암(120)이 무단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지블록(500)이 지지블록삽입부(11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지지블록(500)의 일면이 암(120)의 일면과 맞대어져 있기 때문에 암(120)이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지지블록삽입부(116)로부터 지지블록(500)을 이탈시켜 주게 되면 비로소 암(120)은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500)에 의해 암(120)의 회전을 단속해 줌에 따라 암(120)이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암(120)이 무단으로 회전되어 작업자를 덮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행거(100)의 암(120)을 제1핀(P1)을 매개로 바디(110)의 경사부(112)를 향해 회전시키게 되면, 암(120)의 상면이 경사부(112)에 맞대어지게 되고, 이때 전선연결구(400)는 자연스럽게 제1수용부(115)로 인입되어 은닉되게 되며, 전선안착대(300)는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어 일부가 제2수용부(122)에 수용되고 나머지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그 다음 암(120)이 무단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블록(500)을 지지부(113)의 지지블록삽입부(116:도 3 참조)에 끼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해 준다.
상기와 같이 세팅한 상태에서 전선안착대(300)에 지중배전선(1)을 인입해 거치하면 되며, 특히 전선안착대(300)는 제2수용부(122)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항시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떠받치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선안착대(300)에 지중배전선(1)이 모두 거치된 상태에서 추가로 지중배전선(1)을 증설하고자 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암(120)이 회전되지 않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블록(500)을 제거한 상태에서 경사부(112)에 맞대어져 있는 암(120)을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시키게 되면, 암(120)의 일단부가 지지부(113)에 맞대어지면서 외팔보형태를 띠게 되고, 제1수용부(115)에 은닉되어 있던 전선연결구(400)는 암(120)과 함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전선거치구(117)의 출입구(117a)를 통해 지중배전선(1)을 삽입한 다음 안착부(117b)에 지중배전선(1)을 거치해 주면 된다.
한편, 상기 암(120)이 회전될 때 전선안착대(300)는 암(120)와 함께 이동됨과 동시에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제2수용부(22)로부터 이탈되어 연직으로 세워지므로 항시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떠받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이용해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상기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인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하면 되며, 이하에서는 전선연결구(400)를 이용한 지중배전선(1)의 연결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암(120)이 회전되지 않게 지지하고 있는 지지블록(500)을 제거한 상태에서 경사부(112)에 맞대어져 있는 암(120)을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시키게 되면, 암(120)의 일단부가 지지부(113)에 맞대어지면서 외팔보형태를 띠게 되고, 제1수용부(115)에 은닉되어 있던 전선연결구(400)는 암(120)과 함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연결구(400)가 노출되면, 작업자는 암(120)로부터 전선연결구(400)를 이탈시켜 준 다음 플런지(411a,412a)를 잡고 제1·2바디(411,412)를 벌려준다.
그리고 제1·2바디(411,412)의 내측으로 지중배전선(1)을 각각 인입하되, 지중배전선(1)의 도선(1a)은 도선연결구(420)에 배치되도록 하고, 지중배전선(1)의 피복(1b) 부분은 탄성절연재(430)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1)이 배치되면 작업자는 플런지(411a,412a)를 잡고 벌어져 있는 제1·2바디(411,412)가 오므려지도록 가압하여 도선연결구(420)의 고정돌기(521)에 의해 도선(1a)이 물리도록 하고, 탄성절연재(430)에 의해 피복(1b)이 가압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제1·2바디(411,412)를 구성하는 관체(41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플런지(411a,412a)를 암(120)의 플런지삽입부(123)에 끼워넣어 지중배전선(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전선연결구(400)가 암(120)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암(120)이 회전될 때 전선안착대(300)는 암(120)과 함께 이동됨과 동시에 제2핀(P2)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제2수용부(122)로부터 이탈되어 연직으로 세워지므로 항시 지중배전선(1)을 하부에 떠받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1)을 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지중배전선(1)의 증설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거치공간의 확장을 통해 증설된 지중배전선(1)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중배전선(1)을 쉽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1)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가 기밀하게 감싸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침투수에 의한 전기합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체(410)에 플런지(411a,412a)를 형성해 줌으로서 제1·2바디(411,412)의 내측으로 배치된 지중배전선(1)을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관체(410)의 플런지(411a,412a)를 암(120)의 플런지삽입부(123)에 끼워주게 되면 지중배전선(1)이 관체(4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클램핑수단이 필요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행거 110: 바디 111: 고정부
112: 경사부 113: 지지부 114: 힌지패널
115: 제1수용부 116: 지지블록삽입부 117: 전선거치부
117a: 출입구 117b: 안착부 120: 암
121: 핀홀 122: 제2수용부 123: 플런지삽입부
200: 완충수단 300: 전선안착대 310: 수직부
320: 호형부 400: 전선연결구 410: 관체
411: 제1바디 411a: 플런지 412: 제2바디
412a: 플런지 420: 도선연결구 421: 고정돌기
430: 탄성절연재 500: 지지블록 T: 전력구
1: 지중배전선 1a: 피복 1b: 도선

Claims (1)

  1. 전력구(T)의 내부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고정부(111)의 하면으로부터 전력구(T)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확장되는 경사부(112)와, 경사부(112)의 하단으로부터 전력구(T)의 내부 하면으로 갈수록 좌우가 축소되는 지지부(113)와, 경사부(112)와 지지부(113)의 경계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며 제1핀(P1)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힌지패널(114)과, 경사부(112)에 마련되며 내부가 일면으로 개구된 제1수용부(115)와, 힌지패널(114) 사이의 형성되며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지지블록삽입부(116)와, 제1수용부(115)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1)이 인입될 수 있게 개구된 출입구(117a), 출입구(117a)로부터 하향연장되며 출입구(117a)를 통해 인입된 지중배전선(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안착부(117b)를 갖춘 전선거치부(117)로 구성된 바디(110),
    일단부가 축대(140) 사이에 배치되어 핀홀(121)을 매개로 제1핀(P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2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런지삽입부(12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핀(P1)을 매개로 회전시 상면이 경사부(112)에 맞대어져 경사부(112)에 의해 지지되거나 일단부 상면이 지지부(113)에 맞대어져 외팔보 형태를 이루는 암(120)으로 구성된 행거(100)와;
    지지부(113)에 설치되어 지지부(113)에 맞대어지는 암(120)의 충격을 완충하는 소프트한 고무재질의 완충수단(200)과;
    제2수용부(122)를 관통하는 제2핀(P2)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수용부(122)에 삽탈되는 수직부(310)와, 수직부(310)의 말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중배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호형부(320)로 구성된 전선안착대(300)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바디(411)와 제2바디(4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1·2바디(411,412)의 외주면에는 플런지삽입부(123)에 삽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는 플런지(411a.412a)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410)와,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21)를 갖추고서 제1·2바디(411,4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4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1)의 도선(1a)을 고정돌기(421)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도선연결구(420)와, 도선연결구(42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제1·2바디(411,412)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어 관체(410)의 양단을 통해 삽입된 지중배전선(1)의 피복(1b)을 감싸 고정하는 반원형의 탄성절연재(430)로 구성된 전선연결구(400)와;
    지지블록삽입부(116)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암(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지지블록(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KR1020190059453A 2019-05-21 2019-05-21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KR10204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53A KR102040062B1 (ko) 2019-05-21 2019-05-21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53A KR102040062B1 (ko) 2019-05-21 2019-05-21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062B1 true KR102040062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453A KR102040062B1 (ko) 2019-05-21 2019-05-21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062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05B1 (ko) * 2019-12-05 2020-05-19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153686B1 (ko) * 2020-02-06 2020-09-09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183975B1 (ko) * 2020-02-07 2020-11-27 변석훈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183977B1 (ko) * 2020-02-07 2020-11-27 변석훈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2217142B1 (ko) * 2020-08-28 2021-02-18 (주)청송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210057376A (ko) * 2019-11-12 2021-05-21 한국전력공사 공가 케이블 관리장치
KR102433445B1 (ko) * 2021-10-2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1129B1 (ko) * 2021-10-25 2022-10-06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이상감지가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지지장치
KR102453954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다수의 지중송전선 접속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2453956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이상확인이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라인 지지기구
CN115224513A (zh) * 2022-08-17 2022-10-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沭县供电公司 一种高空电缆连接装置
KR102492927B1 (ko) * 2022-01-17 2023-01-30 김복희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전선 배치기구
KR102641475B1 (ko) * 2023-01-19 2024-02-27 주식회사 유림감리 지중배전선 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KR102641476B1 (ko) * 2023-01-19 2024-02-27 주식회사 유림감리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사고 방지형 배전함
KR102649382B1 (ko) * 2023-01-19 2024-03-19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복합기능 탑재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51B1 (ko) * 2009-05-22 2009-09-02 제이엔케이기술단(주)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20140002190U (ko) * 2012-10-09 2014-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작업선 걸이대
KR101571462B1 (ko)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전력구용 송배전케이블 지지고정판
KR101586068B1 (ko) * 2015-09-14 2016-01-15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51B1 (ko) * 2009-05-22 2009-09-02 제이엔케이기술단(주)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20140002190U (ko) * 2012-10-09 2014-04-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작업선 걸이대
KR101571462B1 (ko) 2015-04-16 2015-11-24 (주)성화이엔지 전력구용 송배전케이블 지지고정판
KR101586068B1 (ko) * 2015-09-14 2016-01-15 (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단지내 지하전력구 전기케이블 지지대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52B1 (ko) * 2019-11-12 2021-11-17 한국전력공사 공가 케이블 관리장치
KR20210057376A (ko) * 2019-11-12 2021-05-21 한국전력공사 공가 케이블 관리장치
KR102323986B1 (ko) * 2019-11-12 2021-11-09 한국전력공사 공가 케이블 관리장치
KR20210134578A (ko) * 2019-11-12 2021-11-10 한국전력공사 공가 케이블 관리장치
KR102112805B1 (ko) * 2019-12-05 2020-05-19 우주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153686B1 (ko) * 2020-02-06 2020-09-09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183975B1 (ko) * 2020-02-07 2020-11-27 변석훈 안전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2183977B1 (ko) * 2020-02-07 2020-11-27 변석훈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 트레이장치
KR102217142B1 (ko) * 2020-08-28 2021-02-18 (주)청송 배전선로 전압 실시간 감시시스템
KR102433445B1 (ko) * 2021-10-2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접속기구
KR102451129B1 (ko) * 2021-10-25 2022-10-06 주식회사 어담기술단 이상감지가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접속형지지장치
KR102453954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다수의 지중송전선 접속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2453956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이상확인이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라인 지지기구
KR102492927B1 (ko) * 2022-01-17 2023-01-30 김복희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전선 배치기구
CN115224513A (zh) * 2022-08-17 2022-10-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沭县供电公司 一种高空电缆连接装置
CN115224513B (zh) * 2022-08-17 2023-07-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临沭县供电公司 一种高空电缆连接装置
KR102641475B1 (ko) * 2023-01-19 2024-02-27 주식회사 유림감리 지중배전선 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기능 탑재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KR102641476B1 (ko) * 2023-01-19 2024-02-27 주식회사 유림감리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사고 방지형 배전함
KR102649382B1 (ko) * 2023-01-19 2024-03-19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복합기능 탑재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062B1 (ko)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KR101979416B1 (ko)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2255226B1 (ko)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043183B1 (ko) 합선방지기능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ES2584539B1 (es) Conjunto de conector con muelle de conexión a tierra
CN104254949B (zh) 插塞连接器
US11664611B2 (en)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cable tray with such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protective conductor set
CA2276639A1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US5846101A (en)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electrical equipment
KR102298331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040060B1 (ko)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US10209740B2 (en) Ejection mechanism for docked electronic device
KR102561623B1 (ko) 스프링 전원플러그
US20100151739A1 (en) Device for connecting between two plugs having a compact and simplified structure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110366798A (zh) 用于灵活地联结连接端子的电缆桥模块
CN215817341U (zh) 一种防潮性能强的电缆保护管
HUP0104887A3 (en) Device for testing cables that are provided with plug connectors
KR100892265B1 (ko) 전동차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0596225B1 (ko) 다수개의 모니터 연결구조
KR20240066579A (ko) 케이블 전원플러그
KR102179951B1 (ko)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CN210899509U (zh) 一种具有隐藏式吊装连接结构的音箱
CN208226137U (zh) 连接器及其连接器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