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23B1 - 스프링 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스프링 전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23B1
KR102561623B1 KR1020230038251A KR20230038251A KR102561623B1 KR 102561623 B1 KR102561623 B1 KR 102561623B1 KR 1020230038251 A KR1020230038251 A KR 1020230038251A KR 20230038251 A KR20230038251 A KR 20230038251A KR 102561623 B1 KR102561623 B1 KR 10256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buffer
connection member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석 filed Critical 장문석
Priority to KR102023003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타입의 슬리브를 커넥터 내부에 결합하여 케이블 삽입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 전원플러그{spring power plug}
본 발명은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타입의 슬리브를 커넥터 내부에 결합하여 케이블 삽입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소켓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의 끝단 또는 장비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핀이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접속핀과 접속소켓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또는 케이블을 장비에 연결하여 소망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전력케이블의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고, 다극 커넥터와 같이 플러그 커
넥터의 구조가 다른 경우에는 그 적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케이블이 커넥터 단부측으로부터 직접 외부로 노출되며 이어지게 되어, 외부로부터 커넥터와 전력케이블간 충격시 손쉽게 전선피복이 벗겨지게 되어 누전 또는 장치, 장비에 심각한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 사용상 문제점이 지적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무선국에 사용되는 전원 커넥터는 무선국 장비(함체)에 부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정류기로부터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분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해서 푸쉬/풀 타입으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접속 단자와 접속 소켓이 결합되므로써 그것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는 일반적으로 비차폐용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낙뢰와 같은 자연현상이나 전자파로부터 시스템이 오동작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낙뢰와 같은 자연현상이나 전자파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차폐용 커넥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43266호
본 발명은 스프링을 커넥터 내부에 결합하여 케이블 삽입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낙뢰 같은 자연현상이나 전자파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폐용 리셉터클 커넥터와 차폐용 전원선과 연결할 수 있는 스프링 전원플러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낙뢰 같은 자연현상이나 전자파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폐용 리셉터클 커넥터와 차폐용 전원선과 연결할 수 있는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전원플러그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타측의 커넥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재와, 케이블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부재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연결부재와, 스프링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슬리브삽입홈과, 전원공급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일측으로 케이블고정너트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고정실링재와, 케이블고정실링재를 케이블연결부재 측으로 밀착시켜 케이블을 잡아주도록 케이블연결부재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케이블고정너트와,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중앙측으로 완충력에 의해 밀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케이블 삽입방향에서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폐역할을 하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슬리브삽입홈 내부에 삽입 또는 케이블연결부재와 일체형으로 제작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전원플러그는, 케이블연결부재 측으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의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리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완충부는,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고정관과, 진입되는 케이블 측으로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완충고정관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완충바에 의해 승하강되는 완충바에 의해 압축되거나, 이완되도록 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진입되는 케이블에 의해 완충하우징 내부로 밀어져 완충스프링을 압축시켜 케이블 상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완충하우징에 삽입되고, 타측이 밀착플레이트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고정관 측으로 진입되는 케이블과 접촉되어 완충고정관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플레이트와, 케이블의 진입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밀착플레이트 일측으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진입단과, 밀착플레이트로 진입된 케이블의 외면 측으로 고정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밀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힌지와, 고정힌지에 의해 회전되어 케이블 외면을 찍어 고정하기 위해 고정힌지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타입의 슬리브를 커넥터 내부에 결합함으로, 슬리브의 분실을 방지하고,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블의 삽입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커넥터 상에서 케이블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슬라이드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슬리브완충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돌기고정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스프링 전원플러그(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전원플러그(100)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전원플러그(100)는 전원공급부재(110), 케이블연결부재(111), 슬리브삽입홈(112), 케이블고정실링재(113), 케이블고정너트(114), 스프링슬리브(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110)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타측의 커넥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연결부재(111)는 케이블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연결부재(111)는 전원공급부재(110)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삽입홈(112)은 스프링슬리브(1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삽입홈(112)은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고정실링재(113)는 전원공급부재(110)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11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고정실링재(113)는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 일측으로 케이블고정너트(114)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고정너트(114)는 케이블고정실링재(113)를 케이블연결부재(111) 측으로 밀착시켜 케이블을 잡아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고정너트(114)는 케이블연결부재(111)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슬리브(115)는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 중앙측으로 완충력에 의해 밀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케이블 삽입방향에서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폐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슬리브(115)는 슬리브삽입홈(112) 내부에 삽입 또는 케이블연결부재(111)와 일체형으로 제작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블슬라이드부(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슬라이드부(200)는 스프링전원플러그(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블슬라이드부(200)는 케이블연결부재(111) 측으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전원공급부재(110)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111)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슬라이드부(200)는 슬라이드연결부재(210), 구동함체(211), 스프링고정관(212), 텐션스프링(213), 텐션바(214), 텐션롤러(215), 롤러지지대(216), 가이드롤러(217), 구동모터(218), 롤러대(219), 밀착롤러(220), 모터벨트(2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연결부재(210)는 일측이 케이블연결부재(111)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타측으로 케이블고정실링재(113)가 내장된 케이블고정너트(114)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함체(211)는 스프링고정관(212)과 구동모터(218)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함체(211)는 슬라이드연결부재(210) 외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관(212)은 텐션스프링(213)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관(212)은 구동함체(21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스프링(213)은 텐션롤러(215)를 거처 이동되는 케이블에 의해 케이블에 가해지는 텐션을 감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스프링(213)은 스프링고정관(212)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바(214)는 스프링고정관(212) 내부로 텐션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바(214)는 일측이 텐션스프링(213)에 의해 스프링고정관(212)에 삽입되고, 타측으로 텐션롤러(2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롤러(215)는 슬라이드연결부재(210)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이 슬라이드연결부재(210)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롤러(215)는 케이블을 텐션력으로 밀어주기 위해 텐션바(2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지지대(216)는 가이드롤러(217)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지지대(216)는 슬라이드연결부재(2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17)는 진입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17)는 롤러지지대(216) 상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218)는 밀착롤러(220)를 통해 케이블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18)는 구동함체(21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대(219)는 밀착롤러(2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대(219)는 슬라이드연결부재(2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롤러(220)는 구동모터(218)로부터 생성된 회전동력을 모터벨트(221)를 통해 제공받아 회전되어 케이블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롤러(220)는 롤러대(21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벨트(221)는 구동모터(218)에서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밀착롤러(2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벨트(221)는 구동모터(218)의 모터축과 밀착롤러(220) 간의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슬리브완충부(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완충부(300)는 스프링전원플러그(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슬리브완충부(300)는 케이블연결부재(111) 측으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111)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의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완충부(300)는 완충고정관(310), 완충하우징(311), 완충스프링(312), 완충바(313), 밀착플레이트(314), 진입단(315), 고정힌지(316), 고정돌기(31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고정관(310)은 케이블연결부재(111) 내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하우징(311)은 진입되는 케이블 측으로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스프링(312)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하우징(311)은 완충고정관(310)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312)은 완충바(313)에의해 승하강되는 완충바(313)에 의해 압축되거나, 이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312)은 완충하우징(311)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바(313)는 진입되는 케이블에 의해 완충하우징(311) 내부로 밀어져 완충스프링(312)을 압축시켜 케이블 상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바(313)는 일측이 완충하우징(311)에 삽입되고, 타측이 밀착플레이트(314)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플레이트(314)는 완충고정관(310) 측으로 진입되는 케이블과 접촉되어 완충고정관(310)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플레이트(314)는 완충바(3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입단(315)은 케이블의 진입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진입단(315)은 밀착플레이트(314) 일측으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힌지(316)는 밀착플레이트(314)로 진입된 케이블의 외면 측으로 고정돌기(317)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316)는 밀착플레이트(3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317)는 고정힌지(316)에 의해 회전되어 케이블 외면을 찍어 고정하기 위해 고정힌지(316)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돌기고정부(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고정부(400)는 스프링전원플러그(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기고정부(400)는 케이블연결부재(111) 측으로 진입된 케이블을 고정시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111) 일측으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고정부(400)는 돌기고정부재(410), 회전홈(411), 회전힌지(412), 작동바(413), 고정핀(414), 고정대(415), 와이어대(416), 빠짐방지와이어(417)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고정부재(410)는 케이블연결부재(111) 일측으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홈(411)은 작동바(4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홈(411)은 돌기고정부재(410)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힌지(412)는 작동바(413)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힌지(412)는 회전홈(411)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바(413)는 회전힌지(412)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414)은 케이블의 외면을 찍어 역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414)은 작동바(4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415)는 고정핀(414)에 의해 케이블 고정시 빠짐방지와이어(417)를 걸어 고정핀(414)이 케이블의 빠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415)는 돌기고정부재(4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대(416)는 빠짐방지와이어(417)가 걸려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대(416)는 작동바(4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빠짐방지와이어(417)는 케이블 외면에 고정핀(414)을 이용하여 고정시 역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빠짐방지와이어(417)는 일측이 고정대(415)에 연결고정되고, 타측이 와이어대(416)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프링전원플러그
110 : 전원공급부재 111 : 케이블연결부재
112 : 슬리브삽입홈 113 : 케이블고정실링재
114 : 케이블고정너트 115 : 스프링슬리브
200 : 케이블슬라이드부 210 : 슬라이드연결부재
211 : 구동함체 212 : 스프링고정관
213 : 텐션스프링 214 : 텐션바
215 : 텐션롤러 216 : 롤러지지대
217 : 가이드롤러 218 : 구동모터
219 : 롤러대 220 : 밀착롤러
221 : 모터벨트
300 : 슬리브완충부 310 : 완충고정관
311 : 완충하우징 312 : 완충스프링
313 : 완충바 314 : 밀착플레이트
315 : 진입단 316 : 고정힌지
317 : 고정돌기
400 : 돌기고정부 410 : 돌기고정부재
411 : 회전홈 412 : 회전힌지
413 : 작동바 414 : 고정핀
415 : 고정대 416 : 와이어대
417 : 빠짐방지와이어

Claims (2)

  1. 낙뢰 같은 자연현상이나 전자파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폐용 리셉터클 커넥터와 차폐용 전원선과 연결할 수 있는 스프링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전원플러그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타측의 커넥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부재와,
    케이블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공급부재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연결부재와,
    스프링슬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슬리브삽입홈과,
    전원공급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일측으로 케이블고정너트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고정실링재와,
    케이블고정실링재를 케이블연결부재 측으로 밀착시켜 케이블을 잡아주도록 케이블연결부재 일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케이블고정너트와,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중앙측으로 완충력에 의해 밀어 빠지지 않도록 하며, 케이블 삽입방향에서 케이블연결부재 내부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폐역할을 하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형성되는 슬리브삽입홈 내부에 삽입 또는 케이블연결부재와 일체형으로 제작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슬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전원플러그는,
    케이블연결부재 측으로 진입하는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부재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의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리브완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완충부는,
    케이블연결부재 내부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고정관과,
    진입되는 케이블 측으로 완충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완충고정관 내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완충하우징과,
    완충바에 의해 승하강되는 완충바에 의해 압축되거나, 이완되도록 완충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진입되는 케이블에 의해 완충하우징 내부로 밀어져 완충스프링을 압축시켜 케이블 상에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완충하우징에 삽입되고, 타측이 밀착플레이트 일측면에 연결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고정관 측으로 진입되는 케이블과 접촉되어 완충고정관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도록 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밀착플레이트와,
    케이블의 진입시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밀착플레이트 일측으로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진입단과,
    밀착플레이트로 진입된 케이블의 외면 측으로 고정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해 밀착플레이트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힌지와,
    고정힌지에 의해 회전되어 케이블 외면을 찍어 고정하기 위해 고정힌지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전원플러그는,
    케이블연결부재 측으로 진입된 케이블을 고정시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연결부재 일측으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기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고정부는,
    케이블연결부재 일측으로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기고정부재와,
    작동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돌기고정부재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홈과,
    작동바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홈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힌지와,
    회전힌지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작동바와,
    케이블의 외면을 찍어 역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하도록 작동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핀과,
    고정핀에 의해 케이블 고정시 빠짐방지와이어를 걸어 고정핀이 케이블의 빠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돌기고정부재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대와,
    빠짐방지와이어가 걸려 보관될 수 있도록 작동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대와,
    케이블 외면에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 역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고정대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와이어대에 연결 형성되는 빠짐방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전원플러그.
  2. 삭제
KR1020230038251A 2022-09-08 2023-03-23 스프링 전원플러그 KR10256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251A KR102561623B1 (ko) 2022-09-08 2023-03-23 스프링 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417A KR102515419B1 (ko) 2022-09-08 2022-09-08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KR1020230038251A KR102561623B1 (ko) 2022-09-08 2023-03-23 스프링 전원플러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417A Division KR102515419B1 (ko) 2022-09-08 2022-09-08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23B1 true KR102561623B1 (ko) 2023-07-28

Family

ID=858000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417A KR102515419B1 (ko) 2022-09-08 2022-09-08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KR1020230038251A KR102561623B1 (ko) 2022-09-08 2023-03-23 스프링 전원플러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417A KR102515419B1 (ko) 2022-09-08 2022-09-08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5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95018B (zh) * 2023-11-13 2024-04-16 广东省东昇智汇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电平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66B1 (ko) 2008-04-28 2012-05-11 솔 인더스트리 피티이 엘티디 다심 케이블 전기 접속용 커넥터
US20140045359A1 (en) * 2010-12-17 2014-02-13 China Aviation Optical-Electrical Technology Co., Ltd. Plug and power connector
KR20160032212A (ko) * 2013-07-17 2016-03-23 레오니 보르드네츠-시스테메 게엠베하 전기 케이블의 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의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장치, 및 미리-조립된 케이블
KR20210091343A (ko) * 2018-12-11 2021-07-21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KR20220147929A (ko) * 2021-04-28 2022-11-04 김미숙 원터치형 케이블 그랜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66B1 (ko) 2008-04-28 2012-05-11 솔 인더스트리 피티이 엘티디 다심 케이블 전기 접속용 커넥터
US20140045359A1 (en) * 2010-12-17 2014-02-13 China Aviation Optical-Electrical Technology Co., Ltd. Plug and power connector
KR20160032212A (ko) * 2013-07-17 2016-03-23 레오니 보르드네츠-시스테메 게엠베하 전기 케이블의 차폐부와 하우징 사이의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장치, 및 미리-조립된 케이블
KR20210091343A (ko) * 2018-12-11 2021-07-21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KR20220147929A (ko) * 2021-04-28 2022-11-04 김미숙 원터치형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419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623B1 (ko) 스프링 전원플러그
CN203225403U (zh) 导线密闭盖及插座
US8491318B2 (en) Thin socket
US5461688A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
US9564941B2 (en) Accessory for prot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0133599A1 (zh) 带新型防尘门机构的电插塞连接器及模组
US7952030B2 (en) Wire guide for electronic device
GB2586896A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US20080094774A1 (en) Grounding apparatus
CN109687245A (zh) 转接器及连接器组件
CN114069279B (zh) 一种防护型高压接地线检修装置
CN212085314U (zh) 一种室外节能防水电源
WO1995028022A1 (en) Electric plug with remote strain relief
CN108288809B (zh) 一种轨道中位安装取电装置
CN216120987U (zh) 一种连接器支撑结构
CN220382454U (zh) 插座
CN220963896U (zh) 一种便于对接的连接线
CN213242852U (zh) 一种4k电视柔性双线连接器
CN221041742U (zh) 数据组件及电子装置
CN212725697U (zh) 智能排插
CN220233657U (zh) 一种可旋转的数据线接头
CN213026666U (zh) 一种汽车插头圆形密封电连接器
CN210016032U (zh) 一种具有旋转出线的插座及具有旋转出线、卡线的插座
WO2003105954A3 (en) DEFIBRILLATOR WITH RETRACTABLE CABLE
CN209860313U (zh) 一种可旋转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