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343A -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343A
KR20210091343A KR1020217021248A KR20217021248A KR20210091343A KR 20210091343 A KR20210091343 A KR 20210091343A KR 1020217021248 A KR1020217021248 A KR 1020217021248A KR 20217021248 A KR20217021248 A KR 20217021248A KR 20210091343 A KR20210091343 A KR 2021009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latching
circular plug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213B1 (ko
Inventor
마틴 뤽케마이어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9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메이팅 커넥터(2)가 장착 소켓으로서 장치 하우징 벽부에 매립된 상태로 장착될 때에도, 특히 견고하게 조합된 나사 체결부 및 푸시-풀 래칭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에서는, 절연체(100)의 플러그인 영역(14, 74)과 접촉 캐리어 섹션(10) 또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의 베이스 섹션(70) 사이에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13, 513)가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메이팅 커넥터(2)는 자신의 나사부 섹션(23)의 플러그인 측에, 주연부를 둘러싸거나 중단되는 내부로 배향된 래칭 러그(22)를 갖는다. 이에 따라, 래칭 아암(13, 513)은 나사부 섹션(23)을 통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래칭 아암(13, 513)은 특히 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나사부는 연속적으로(세그먼트화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킹/나사 체결의 홀딩력이 매우 높고, 래칭 아암(13)은 단순화된 제조를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절연체(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그와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및 생산이 본 발명에 의해 상당히 단순화된다.

Description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4항의 전제부에 따른 메이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및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메이팅 커넥터로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6항의 전제부에 따른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및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메이팅 커넥터로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및 관련 메이팅 커넥터는, 전원 및/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서로 삽입 연결되고, 안정적인 삽입 연결의 보장을 위해 견고하게 서로 나사 체결되며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로킹되기 위해 필요하다. 이 경우, 메이팅 커넥터도 상술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와의 나사 체결 가능성 및 플러그인 호환성으로 인해 마찬가지로 원형 커넥터의 일반적 유형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더 양호한 구분을 위해 하기에 오로지 "메이팅 커넥터"로 불린다.
종래 기술에는, 세그먼트화된 나사부 및 푸시-풀 래칭 메커니즘(push-pull latching mechanism)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및 상응하는 플러그인 시스템이 공보 DE 10 2015 015 202 B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보적 플러그인 요소의 하나 이상의 래칭 수단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나사부없는 섹션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러한 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수많은 테스트와 시뮬레이션에서, 이러한 구조 형상에서의 나사부의 홀딩력이 복수의 적용예를 위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사부없는 섹션 내의 홈은 생산이 복잡하고, 그에 상응하게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로킹 해제 과정에서는 많은 경우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로킹 해제력이 발생한다. 메이팅 커넥터에 대한 코딩이 더욱 어려워지는데, 이는 매우 정밀한 생산의 필요성과 이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비용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홀딩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을 통해 해결된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접촉 캐리어 섹션 및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을 구비한 절연체를 포함한다. 접촉 캐리어 섹션에는 외부측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래칭 아암이 배열되고, 더 자세히 말하자면 그에 장착된다. 특히 래칭 아암은 탄력적으로 그에 홀딩된다.
래칭 아암은 자신의 자립형 단부에 메이팅 커넥터 내의 래칭을 위한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를 갖는다. 그에 이어서, 래칭 아암은 외부로 배향된 작용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접촉 캐리어 섹션을 둘러싸는 로킹 해제 슬리브를 갖는다.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를 로킹 해제할 목적으로 상술한 작용 경사부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로킹 해제 슬리브는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절연체에 홀딩된다. 특히, 상술한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은 플러그인 측에서 접촉 캐리어 섹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래칭 후크는 플러그인 영역으로부터 접촉 캐리어 섹션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절연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촉 캐리어 섹션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연결 영역에 플러그인 접촉부를 홀딩하는데 사용된다. 플러그인 접촉부의 플러그인 영역이 일반적으로 내부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은 메이팅 커넥터와의 플러그인 측 연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큰 추가 장점은 제조가 단순화되며,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메이팅 커넥터의 내부 나사부의 나사부없는 영역에 홈을 제공함으로써 래칭 아암들이 이를 통해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에 대한 필요성이 생략된다. 이와 관련하여, 메이팅 커넥터에 대한 코딩도 또한 단순화되는데,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단순화된, 이에 따라 더 저렴한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특별한 장점은, 래칭 핀들이 반경 방향 외부로, 즉 서로 멀어지도록 배향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메이팅 커넥터의 하우징은 장착 하우징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장치의 측면부에 매립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형 장착은 많은 적용예들에서 일반적이며, 때로는 호환성을 이유로 고객으로부터 요청되기도 한다. 따라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핀은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주연부를 둘러싸거나 중단되는, 내부로 배향된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에 내부측에서 래칭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이팅 커넥터는, 이러한 나사 체결부의 견고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연속적인, 즉 세그먼트화되지 않은 내부 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선택적으로 상술한 (소위 "푸시-풀") 래칭도 구현할 수 있다. 래칭 후크가 플러그인 영역으로부터 접촉 캐리어 섹션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절연체에 배열되기 때문에, 이러한 래칭 후크는 플러그인 과정에서 메이팅 커넥터의 내부 나사부를 통과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특히 짧게 그리고/또는 특히 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많은 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장점은, 밀봉부, 예를 들어 밀봉 링, 특히 O-링 또는 사출 성형된 성형 밀봉부가, 일반적 유형에 따라 조합된 나사 래칭 연결에도 불구하고, 반경 방향 밀봉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즉 플러그인 과정에서,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방향으로 압축되어야 하는 대신에,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인 시스템을 특히 잘 밀봉할 수 있다.
특히, 이에 따라 단 하나의 밀봉부, 예를 들어 단 하나의 밀봉 링만이 필요한데, 이는 이러한 일반적 유형에 대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당한 구조적 장점을 나타낸다. 밀봉부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특히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플러그인 영역,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의 접촉 캐리어 섹션측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연체는 이러한 지점에서 밀봉 링의 고정을 위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장점은, 이러한 구조 형상의 높은 홀딩력으로 인해, 재료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다소 덜 단단할/견고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생산 기술, 공차 및 이에 따라 제조 비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래칭 아암은 절연체와 함께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측에서 접촉 캐리어 섹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의 간단한 기계적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절연체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 형상과 더불어, 플라스틱의 조성을 통해서도 래칭 아암의 탄성이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에 따라 절연체는 전체적으로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도,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적어도 래칭 아암이 접촉 캐리어 섹션에 장착되는 연결 섹션에서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래칭 아암과 접촉 캐리어 섹션 사이의 이동 가능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이러한 경우에 탄성적인, 필요한 연결부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복잡도가 낮은 자동화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플라스틱/플라스틱 부품으로 생산하도록 규정하는 철학을 따르는데, 이는 특히 자동화된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탄성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메이팅 커넥터의 내부 나사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즉 세그먼트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높은 홀딩력을 갖는다. 래칭 아암은 단지 짧은 레버를 형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짧고, 이에 따라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칭 아암의 수는, 래칭 아암이 메이팅 커넥터의 사전 결정된 수의, 일반적으로 최대 3개 또는 4개로 제한됨이 자명한 나사부없는 영역에 결합해야 한다는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래칭 아암은 분리형 래칭 장치의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래칭 아암의 탄성은 용이하게 그 재료 및/또는 형상을 통해 절연체의 탄성과는 별도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래칭 아암은 판금, 특히 스프링 탄성을 갖는 판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판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중 기능의 장점을 갖는데, 래칭 아암이 동시에 차폐 기능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래칭 아암은 천공-만곡 가공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인체 공학적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부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인 영역은 자신의 접촉 캐리어 섹션측 단부에, 절연체에 밀봉부를 고정하기 위한 원주 방향 홈을 가질 수 있다.
밀봉부는 O자형 밀봉 링일 수 있거나, 절연체에 사출 성형된 성형 밀봉부일 수 있다.
메이팅 커넥터는, 내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나사부 섹션을 구비한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다.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에는, 주연부를 둘러싸거나 중단되는 래칭 러그가 내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칭 러그는 내부 나사부의 플러그인 측에서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래칭 러그는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의 플러그인 측 단부에 배열된다.
플러그인 상태에서, 이와 같이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플러그인 영역은 메이팅 커넥터의 나사부 섹션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반면, 이와 동시에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후크는 메이팅 커넥터의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에 래칭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베이스 섹션을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베이스 섹션에는 베이스 섹션을 둘러싸는 분리형 래칭 장치가 외부측에 장착된다. 분리형 래칭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래칭 아암을 포함하며, 래칭 아암은 자신의 자립형 단부에 메이팅 커넥터 내의 래칭을 위한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를 갖는다. 그에 이어서, 래칭 아암은 외부로 배향된 작용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접촉 캐리어 섹션을 둘러싸는, 상술한 또는 대안적이지만 유사하게 작용하는 로킹 해제 슬리브를 갖는다. 로킹 해제 슬리브는,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를 로킹 해제할 목적으로 래칭 아암의 상술한 작용 경사부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홀딩된다. 또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플러그인 측에서 베이스 섹션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 원통형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구조 형상에서의 래칭 후크는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섹션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에 배열된다.
분리형 래칭 장치는 스프링 탄성을 갖는 재료, 특히 스프링 탄성을 갖는 판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판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천공-만곡 가공 부품일 수 있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특히 단단한 재료로, 예를 들어 아연 다이캐스팅 공정에서의 아연 합금으로 생산될 수 있다.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부를 가질 수 있다.
자신의 접촉 캐리어 섹션측 단부에서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은 밀봉부의 고정을 위한 원주 방향 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는 O자형 밀봉 링("O-링")일 수 있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술한 장점은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에도 계속 적용된다.
플러그인 상태에서,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은 메이팅 커넥터의 나사부 섹션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반면, 이와 동시에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칭 후크는 메이팅 커넥터의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에 래칭된다. 이에 따라, 래칭 아암은 내부 나사부를 통과할 필요가 없고, 더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나사부는 세그먼트화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나사 체결부의 로킹력과 홀딩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고,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메이팅 커넥터와 삽입 연결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이전 도면으로부터 래칭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c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d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분리형 래칭 장치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의 대안적 절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천공 가공되었지만 만곡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분리형 래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도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된다. 유사한 요소들의 다양한 관점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및 메이팅 커넥터(2)로 구성된 시스템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는 메이팅 커넥터(2)와 삽입 연결되고, 그에 래칭된다. 도 1b는 도 1a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도를 확대 도시한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는 도면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케이블의 삽입, 고정 및 밀봉을 위해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절연체(100)의 케이블 나사 체결용 나사부(16)에 나사 체결되는 케이블 나사 체결부(6)를 갖는다.
이러한 케이블 나사 체결용 나사부(16)에는 접촉 캐리어 섹션(10)이 이어진다. 이러한 접촉 캐리어 섹션은 플러그인 접촉부(17)의 수용을 위한 통과 개구(15)들을 가지며, 접촉 캐리어 개구(15)의 시야를 드러내기 위해 이러한 플러그인 접촉부들 중 하나의 플러그인 접촉부는 본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연속적으로 도시되고, 다른 플러그인 접촉부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된다. 이와 같이 접촉 캐리어 섹션(10) 내에 홀딩되는 플러그인 접촉부(17)들은 플러그인 측에서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14) 내로 돌출되고, 이러한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은 마찬가지로 절연체의 구성 요소이고,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이어진다.
외부측에서 접촉 캐리어 섹션(10)에는 복수의 래칭 아암(13)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칭 아암(13)들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더 자세히 말하자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절연체(100) 상에 홀딩된다. 이는, 본 도면에 도시된 두 래칭 아암(13)들에 대하여, 이러한 래칭 아암들이 본 도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함을 의미하고, 더 자세히 말하자면 탄성적으로, 즉 자신의 편향에 상응하는 복원력의 인가 하에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대해 편향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래칭 아암(13)들은 절연체(100)와 단일편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되며, 더 자세히 말하자면 연결 섹션(18)을 통해 그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체 절연체(10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래칭 아암(13)들의 반경 방향 이동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이러한 연결 섹션(18)이 탄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단순한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체 절연체(100)는 단일 재료, 더 자세히 말하자면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4개의 래칭 아암(13)들이 제공되지만, 각각 다른 갯수도 고려 가능하다는 것이 물론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래칭 아암(13)은 자신의 자립형 단부에, 메이팅 커넥터(2)에 대한 로킹을 위한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12)를 포함한다. 그에 이어서, 래칭 아암은 각각 외부로 배향된 작용 경사부(12)를 갖고, 이러한 작용 경사부의 기능은 접촉 캐리어 섹션(10)을 둘러싸는 로킹 해제 슬리브(3), 더 정확하게는 그 로킹 해제 경사부(3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설명된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로킹 해제 슬리브(3)가 로킹 해제 방향으로, 즉 메이팅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즉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손으로 당겨지면, 그 로킹 해제 경사부(31)가 두 래칭 아암(13)들을 그 작용 경사부(11)에서 내부를 향해, 즉 도면에서 서로를 향해 모이도록 가압한다. 특히, 래칭 아암(13)들은 자신의 탄성 및 그와 연관된 복원력을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로킹 해제 슬리브(3)를 재차 그 로킹 위치로, 즉 메이팅 커넥터(2) 상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도 있다.
로킹 해제 슬리브를 그 로킹 해제 방향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으로 당김에 따라, 도 1b에서 특히 잘 볼 수 있는 래칭 후크(12)는 메이팅 커넥터(2)의 원주 방향 래칭 러그(22)로부터 래칭 해제되며, 이러한 원주 방향 래칭 러그는 플러그인 측으로 그리고 내부로 배향된 상태로 메이팅 커넥터(2), 더 자세히 말하자면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21)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래칭 후크(12)는, 메이팅 커넥터(2)의, 명확성을 위해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플러그인 개구 내로 돌출한다.
또한, 밀봉부는 본 도면에서 플러그인 영역(14)에 사출 성형된 성형 밀봉부(4')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플러그인 개구의 영역에서,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21)은 연속적인, 즉 세그먼트화되지 않은 내부 나사부를 구비한 나사부 섹션(23)을 갖는다. 원주 방향 래칭 러그(22)는 나사부 섹션(23)으로부터 플러그인 측에(도면의 우측에) 배열된다. 플러그인 커넥터(1)의 래칭 후크(12)는 플러그인 영역(14)으로부터 접촉 캐리어 섹션(10)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절연체(100)에 배열된다. 플러그인 상태에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플러그인 영역(14)은 메이팅 커넥터(2)의 나사부 섹션(23) 내에 삽입되는 반면, 이와 동시에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래칭 후크(12)는 메이팅 커넥터(2)의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22)에 래칭된다.
도 1c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를 분해도로 도시한다. 플러그인 영역(14)은 중공 실린더 형상을 갖고, 접촉 캐리어측에 밀봉 링(4)의 고정을 위한 홈(140)을 포함하는 것이 잘 나타난다. 또한, 4번째 래칭 아암이 절연체(100)에 의해 가려지므로 3개의 래칭 아암만이 도면에 보여짐에도 불구하고,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00)가 4개의 래칭 아암(13)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쉽게 상상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로킹 해제 슬리브(3)의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의 기본 형상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밀봉부는 밀봉 링(4)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접촉 캐리어 섹션측에서 플러그인 영역(14)에 배열된 홈(140) 내에 고정된다.
도 1d는 절연체(100)를 마찬가지로 3D 도면으로 확대 도시한다. 이 경우, 다른 래칭 아암들을 대신하여 하나의 래칭 아암(13)의 래칭 후크(12) 및 작용 경사부(11)에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12)는 플러그인 영역(14)으로부터 접촉 캐리어 섹션(10)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절연체(100)에 배열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는, 비교적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다이캐스팅용 아연으로 구성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을 갖는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 내에는 플러그인 접촉부(17)의 수용 및 홀딩을 위한 미도시된 분리형 접촉 캐리어가 삽입된다.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은 분리형 래칭 장치(5)가 장착되는 베이스 섹션(70)을 갖는다. 분리형 래칭 장치는 베이스 섹션(70)을 둘러싸고, 제1 홀딩 텝(51) 및 제2 홀딩 텝(52)에 의해 그에 고정된다. 분리형 래칭 장치는 래칭 핀 및 작용 경사부(512)를 구비한 래칭 아암(513)을 포함하며, 이러한 래칭 아암은 상술한 래칭 아암(13)과 유사하게, 상술한 로킹 해제 슬리브(3)와 또는 미도시된, 이러한 구조 형상에 특히 잘 매칭되는 로킹 해제 슬리브와 상호 작용한다.
또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은 밀봉 링(4)의 형상을 갖는 밀봉부의 수용을 위하여, 베이스 섹션(70)에 접하는, 즉 베이스 섹션측에서 그에 배열된 하우징 홈(740)을 구비한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74)을 갖는다.
이에 따라, 탄성 래칭 아암(513)은 분리형 래칭 장치의 구성 요소이다. 도 2b의 추가의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래칭 아암은 천공-만곡 가공 부품으로서 별도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칭 아암이 스프링 탄성을 갖는 판금으로부터 펀칭 가공되고, 베이스 영역 주변에 놓여지며, 자신의 홀딩 텝(51, 52)들에 의해 그에 고정되고,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도브테일 연결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 구조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은 특히 단단하고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래칭 아암(513)의 필요한 탄성은 분리형 래칭 장치의 재료, 예를 들어 스프링 판금을 통해 결정된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나타나더라도,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이 아님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서로 상응하는 단위체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절연체에 상술한 분리형 래칭 장치(5)를 장착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1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10 접촉 캐리어 섹션
100 절연체
11 래칭 후크
12 작용 경사부
13 래칭 아암
14 플러그인 영역
140 홈
15 통과 개구
16 케이블 나사 체결용 나사부
17 플러그인 접촉부
18 연결 섹션
2 메이팅 커넥터
21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
22 래칭 러그
23 나사부 섹션
3 로킹 해제 슬리브
31 로킹 해제 경사부
4, 4' 밀봉부(O자형 밀봉 링/사출 성형된 성형 밀봉부)
5 분리형 래칭 장치
511 래칭 후크
512 작용 경사부
513 래칭 아암
514 플러그인 영역
51, 52 제1, 제2 홀딩 텝
6 케이블 나사 체결부
7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700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70 베이스 섹션
74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
740 하우징 홈

Claims (22)

  1. 접촉 캐리어 섹션(10) 및 중공 원통형 플러그인 영역(14)을 구비한 절연체(100)를 포함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로서, 접촉 캐리어 섹션(10)에는 외부측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래칭 아암(13, 513)이 장착되고, 자립형 단부에 의해 플러그인 영역(14)의 방향으로 배향되며, 래칭 아암(13, 513)은 자신의 자립형 단부에 메이팅 커넥터(2) 내의 래칭을 위한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12, 512)를 갖고, 그에 이어서 외부 작용 경사부(11, 511)를 포함하며, 또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는 접촉 캐리어 섹션(10)을 둘러싸는 로킹 해제 슬리브(3)를 갖고, 메이팅 커넥터(2)로부터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를 로킹 해제할 목적으로 상술한 작용 경사부(11, 511)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절연체(100)에 홀딩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래칭 후크(12, 512)는 플러그인 영역(14)으로부터 접촉 캐리어 섹션(10)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절연체(10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2.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13)은 절연체(100)와 함께 단일편으로 형성되고, 외부측에서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3. 제2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13)과 접촉 캐리어 섹션(10) 사이의 이동 가능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절연체(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적어도 래칭 아암(13)이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 섹션(18)에서 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인,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5.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513)은 접촉 캐리어 섹션(10)에 고정되는 분리형 래칭 장치(5)의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6. 제5항에 있어서, 분리형 래칭 장치(5)는 탄성을 갖는 판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7. 제6항에 있어서, 분리형 래칭 장치(5)는 천공-만곡 가공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부(4, 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9. 제8항에 있어서, 플러그인 영역(14)은 자신의 접촉 캐리어 섹션측 단부에, 밀봉부(4)의 고정을 위한 원주 방향 홈(1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밀봉부는 O자형 밀봉 링(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사출 성형된 성형 밀봉부(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절연체(10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13)은 절연체(100) 상에 탄성 회복식으로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14. 내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나사부 섹션(23)을 구비한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21)과;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래칭 아암(13, 513)과의 래칭을 위한, 주연부를 둘러싸거나 중단되는, 나사부 섹션(23)의 플러그인 측에서 메이팅 커넥터 하우징(24)에 일체로 형성된, 내부로 배향된 래칭 러그(22);를 포함하는 메이팅 커넥터(2).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 및 제14항에 따른 메이팅 커넥터(2)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플러그인 상태에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플러그인 영역(10)은 메이팅 커넥터(2)의 나사부 섹션(23) 내에 삽입되는 반면, 이와 동시에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1)의 래칭 후크(12)는 메이팅 커넥터(2)의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22)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로 구성된 시스템.
  16. 베이스 섹션(70)을 둘러싸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래칭 아암(513)을 포함하는 분리형 래칭 장치(5)가 외부측에 장착되는 베이스 섹션(70)을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을 포함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로서, 래칭 아암(513)은 자신의 자립형 단부에 메이팅 커넥터(2) 내의 래칭을 위한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래칭 후크(512)를 갖고, 그에 이어서, 외부로 배향된 작용 경사부(511)를 포함하며, 또한,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는, 접촉 캐리어 섹션(10)을 둘러싸고, 메이팅 커넥터(2)로부터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를 로킹 해제할 목적으로 상기 작용 경사부(511)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에 홀딩되는 로킹 해제 슬리브(3)를 갖고, 또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은, 플러그인 측에서 베이스 섹션(70)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 원통형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74)을 포함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래칭 후크(512)는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74)으로부터 베이스 섹션(70)으로의 전이부 부근에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700)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17. 제16항에 있어서, 분리형 래칭 장치(5)는 판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18. 제17항에 있어서, 분리형 래칭 장치(5)는 천공-만곡 가공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밀봉부(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20. 제19항에 있어서,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74)은 자신의 접촉 캐리어 섹션측 단부에, 밀봉부(4)의 고정을 위한 원주 방향 홈(7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밀봉부는 O자형 밀봉 링(4)("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 및 제14항에 따른 메이팅 커넥터(2)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플러그인 상태에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의 하우징 플러그인 영역(70)은 메이팅 커넥터(2)의 나사부 섹션(23) 내에 삽입되는 반면, 이와 동시에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7)의 래칭 후크(512)는 메이팅 커넥터(2)의 플러그인 측 래칭 러그(22)에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안적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및 메이팅 커넥터로 구성된 시스템.
KR1020217021248A 2018-12-11 2019-12-03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KR102640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31720.4A DE102018131720A1 (de) 2018-12-11 2018-12-11 Rund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
DE102018131720.4 2018-12-11
PCT/DE2019/101034 WO2020119854A1 (de) 2018-12-11 2019-12-03 Rund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43A true KR20210091343A (ko) 2021-07-21
KR102640213B1 KR102640213B1 (ko) 2024-02-27

Family

ID=6915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248A KR102640213B1 (ko) 2018-12-11 2019-12-03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11174B2 (ko)
EP (1) EP3895256B1 (ko)
KR (1) KR102640213B1 (ko)
CN (1) CN113196582A (ko)
DE (1) DE102018131720A1 (ko)
WO (1) WO20201198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419B1 (ko) * 2022-09-08 2023-03-29 장문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8592B1 (de) * 2020-09-09 2022-04-04 Phoenix Contact Gmbh & Co Steckverbindersystem mit modularer Schnelltrennverbindung
DE102021119868A1 (de) 2021-07-30 2023-02-02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hülse
DE102022134301A1 (de) 2022-12-21 2024-06-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ormd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237A (en) * 1991-07-22 1992-06-09 Fussell Don L Snap on cable connector
JP2004079425A (ja) * 2002-08-21 2004-03-11 Hirose Electric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構成品
JP2007538360A (ja) * 2004-05-17 2007-12-27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同軸プラグとソケットの接続器のためのバルクヘッドソケット
KR20170106484A (ko) * 2015-03-04 2017-09-20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삽입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4313B1 (ko) * 1987-12-02 1990-05-11 Europ Agence Spatiale
US4941846A (en) * 1989-05-31 1990-07-17 Adams-Russell Electronic Company, Inc. Quick connect/disconnect microwave connector
US6267612B1 (en) * 1999-12-08 2001-07-31 Amphenol Corporation Adaptive coupling mechanism
JP2004319374A (ja) 2003-04-18 2004-11-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WO2006120624A1 (fr) 2005-05-06 2006-11-16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Securite pour connecteurs
DE102005034497A1 (de) * 2005-07-20 2007-02-01 Ims Connector Systems Gmbh Steckverbinder und Gegenstecker
DE102007009947B4 (de) * 2007-03-01 2016-11-24 Techpointe S.A. Steckerelement
FR2923956B1 (fr) * 2007-11-21 2010-06-04 Souriau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ensemble de connexion a desaccouplement rapide et connecteurs equipes d'un tel dispositif.
US7892004B2 (en) * 2008-04-17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CN101656380B (zh) * 2008-08-22 2012-07-25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快速锁紧和分离机构的大功率射频连接器
DE102012100615B4 (de) * 2012-01-25 2014-08-14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CN102593620B (zh) 2012-03-26 2014-11-19 安德鲁公司 快速自锁螺纹耦合接口连接器机构
CN203193047U (zh) 2013-02-18 2013-09-11 正凌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推拉自锁式连接器
US9559459B2 (en) 2013-10-18 2017-01-31 Woodhead Industries, Inc. Push-lock electrical connector
DE202015009708U1 (de) 2015-11-24 2019-05-27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system
DE102016101506A1 (de) * 2016-01-28 2017-08-03 Harting Ag & Co. Kg USB-Einrichtung und USB-System
JP6451729B2 (ja) 2016-12-28 2019-01-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237A (en) * 1991-07-22 1992-06-09 Fussell Don L Snap on cable connector
JP2004079425A (ja) * 2002-08-21 2004-03-11 Hirose Electric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構成品
JP2007538360A (ja) * 2004-05-17 2007-12-27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同軸プラグとソケットの接続器のためのバルクヘッドソケット
KR20170106484A (ko) * 2015-03-04 2017-09-20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삽입 포지셔닝 수단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419B1 (ko) * 2022-09-08 2023-03-29 장문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폐용 전원플러그
KR102561623B1 (ko) * 2022-09-08 2023-07-28 장문석 스프링 전원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11174B2 (en) 2023-03-21
KR102640213B1 (ko) 2024-02-27
US20220013956A1 (en) 2022-01-13
CN113196582A (zh) 2021-07-30
EP3895256A1 (de) 2021-10-20
WO2020119854A1 (de) 2020-06-18
EP3895256B1 (de) 2024-08-21
DE102018131720A1 (de)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1343A (ko) 로킹부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인 커넥터
US642835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vermold housing
KR102328771B1 (ko)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KR102468665B1 (ko)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KR20060026857A (ko) 전기커넥터
EP2369691A1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11600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794958B (zh) 机动车辆领域中用于传送高压电流的连接装置
CN110998984B (zh) 具有锁止元件的插式连接器部件
EP2532055B1 (en) Socket housing
JP2014212110A (ja) 弾性ラッチ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14731015A (zh) 用于插接连接的安装壳体
EP3457500B1 (en) Waterproof conne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nector housing
US9231350B2 (en) Connector
WO2023144655A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JP6465334B2 (ja) 電気コネクタ
CN116057784A (zh) 带有模块化快速断开连接的插接连接器系统
CN114667647A (zh) 配电自动化设备
CN110178270B (zh) 电插头,由该电插头和对应插头组成电插接连接件
JP7261858B2 (ja) 圧縮シールにより電気コネクタのケーブル開口部をシールするためのケーブルシールプラグ
JP6273030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を備えた接続装置
JP4526461B2 (ja) コネクタ
CN216563809U (zh) 接插件定位锁定装置和机电设备
CN111492539A (zh) 没有形锁合的壳体卡锁装置的用于蓄电池充电接口的插接连接装置
CN116895971A (zh) 插接连接器、制造插接连接器的辅助锁定件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