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665B1 -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8665B1 KR102468665B1 KR1020207017603A KR20207017603A KR102468665B1 KR 102468665 B1 KR102468665 B1 KR 102468665B1 KR 1020207017603 A KR1020207017603 A KR 1020207017603A KR 20207017603 A KR20207017603 A KR 20207017603A KR 102468665 B1 KR102468665 B1 KR 1024686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connector
- latching
- lockable
- plug
- connecto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의 콤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넓은 면 상에서 상기 넓은 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되어 있는 푸시-풀 래칭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를 위해,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래칭 후크(113)를 갖는 복수의 래칭 아암(111)을 구비한다. 이때, 잠금 해제를 위해 필요한 동작은 래칭 아암(111)의 수에 반비례하며, 나아가 탄성은 래칭 아암의 형상, 특히 래칭 아암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출발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는 약간의 수고로 상대 플러그(mating plug)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종래 기술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소위 "푸시-풀(push-pull)" 플러그 커넥터가 잘 알려져 있다. 조작 컨셉은 일반적으로, 잠금 해제를 위해 상대 플러그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슬리브를 잡아당김으로써, 잠금 해제 장치의 조작뿐만 아니라 상대 플러그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하는 것도 단일 동작 방향으로 그리고 이로써 단 한 번의 손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통상, 상대 플러그가 부착 하우징을 구비하고, 예컨대 하우징 벽에 부착될 수 있음으로써,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한 손으로 수행된다.
공보 EP 1 841 016 B1호는, 거칠고 습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금속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금속 플러그 커넥터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데, 예컨대 한 편으로는 상응하는 잠금 해제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그 내부에 플러그 커넥터 인서트가 고정되어 있는, 아연 사출 성형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는 잠금 해제 슬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플러그-인 과정 동안 상대 플러그로써 잠금을 야기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다. 잠금 해제 슬리브가 뒤로 당겨지면, 잠금을 위해 제공된 잠금 장치의 잠금 후크가 상대 플러그 상에 있는 래칭 리세스로부터 "바깥쪽으로" 빼내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은, 이와 같은 메커니즘이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구조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킴에 따라, 공지된 푸시-풀 플러그 커넥터가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많은 용례에서 지나치게 큰 횡단면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다음의 선행 기술, 즉, DE 10 2013 222 411 A1호 및 DE 197 14 459 A1호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가급적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잠금 상태에서 충분히 높은 파지력을 보장하는 푸시-풀 래칭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는 다음 부재들을 포함한다:
- 각각 평평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면을 가진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적어도 고정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인서트,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둘러싸고,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파지되어 있는 잠금 해제 슬리브, 및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제1 면과 잠금 해제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로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파지되어 있고,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
상기와 같은 구조는 특별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파지력이 높은 동시에 공간 수요가 적은 잠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횡단면으로 볼 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4개의 면, 특히 2개의 넓은 면 및 2개의 좁은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중 각각 2개의 동일한 면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 놓여 있다. 그에 상응하게, 잠금 해제 슬리브도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는 자신의 가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는, 특히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가 국부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특히 심지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비용 효율적인 제조에 있어 특별히 유리하다.
잠금 요소 상에는 복수의 래칭 후크가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잠금 요소는 복수의 래칭 아암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래칭 아암은 제1 단부, 즉, 고정 단부와, 제2 단부, 즉, 가동 단부를 가지며, 이 경우 각각의 래칭 아암은 자신의 제1(고정) 단부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래칭 아암의 제2(가동) 단부는 전술한 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칭 아암들은 각자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크로스 브레이스(cross brace)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 전체 잠금 요소, 다시 말해 특히 잠금 요소의 래칭 아암들을 함께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 잠금 해제 슬리브와 상호 작용하는 데 이용되는 단 하나의 맞물림 또는 접촉 장치만 있으면 된다.
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복수의 래칭 아암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상에 파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특히 공간 절약적이며, 그러므로 작은 소형 구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와 상관없이, 이 변형예는, 특히 잠금 해제 및/또는 잠금 시 발생하는 힘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및/또는 잠금 해제 슬리브에 걸쳐 대칭적으로 분포한다는 장점도 있다.
잠금 요소가 정확히 2개의 래칭 아암을 갖는 경우, 이들 2개의 래칭 아암은 바람직하게 반대 방향들로부터 단 하나의 공통 래칭 스피곳(latching spigot) 상에서 래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잠금 요소는 짝수의 래칭 아암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상대 플러그의 복수의 또는 각각 하나의 공통 래칭 스피곳 상에서 바람직하게 쌍으로 래칭된다.
상대 플러그의 개별 래칭 스피곳과의 래칭을 위해 래칭 후크가 각각의 래칭 아암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후크가 각각 관련 래칭 아암의 제2 단부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지점에서 가동성이 최대이기 때문이다.
각각의 래칭 후크는 상대 플러그의 개별 래칭 스피곳 상에 래칭되기 위해,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된 래칭 면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잠금 상태에서는 각각의 래칭 후크와 관련 래칭 스피곳 사이에 공통 접촉 면이 나타난다. 전체 접촉 면의 총합은, 잠금 파지력에 기여하는 전체 접촉 면적을 도출한다. 하지만, 잠금 해제에 기여하기 위해 각각의 래칭 아암이 겪어야 하는 편향은 전적으로, 전체 접촉면보다 당연히 작은 개별 접촉면의 크기에 좌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약간의 편향은 잠금 해제를 위해 필요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 전체의 편향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의 필요한 편향, 특히 변형은 래칭 후크의 수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구성이 특히 바람직한 이유는, 이를 통해 고정력이 높은 잠금 장치가 가능하고, 이와 같은 잠금 장치에서는 동시에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약간의 운동만이, 특히 변형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발생하는 스프링 복원력은 구조적으로 래칭 아암의 형상에 의해, 예컨대 래칭 아암의 폭에 의해 그리고 재료의 탄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래칭 후크는 상대 플러그의 개별 래칭 스피곳 상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 경사면 또는 슬라이딩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래칭 스피곳도 슬라이딩 경사면 또는 슬라이딩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래칭 후크는 슬라이딩 경사면 또는 슬라이딩 곡면부에 의해 래칭 아암의 제2 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다.
또한, 래칭 아암들이 특히 자신의 각각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크로스 브레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특히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래칭 아암들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잠금 해제 슬리브와의 전술한 상호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 전체 잠금 요소를 위해 단 하나의 맞물림 또는 접촉 장치만이 필요하게 된다. 결국, 상기 상호 작용은, 래칭 후크의 래칭 면을 상대 플러그의 래칭 스피곳(들)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잠금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변형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맞물림 또는 접촉 장치는 잠금 요소의 성형 몰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이 성형 몰드는,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슬리브의 잠금 해제 스피곳과 상호 작용하는 접촉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로 잠금 해제 슬리브가 접촉 경사면을 구비하고, 잠금 요소가 잠금 해제 스피곳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칭 아암은 자신의 제1 단부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부착 베이스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가 간단하게 그리고 그럼으로써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래칭 아암 및 부착 베이스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함께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잠금 요소 또는 잠금 요소들과 함께 일체형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한 편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응하는 기하 구조에서 래칭 아암으로 하여금 충분한 스프링 탄성을 갖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재료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 강화 PBT("Polybutylene terepht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일체로 형성된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위한 재료로서 소위 "PBT 33", 즉, 33%의 유리 섬유를 함유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잠금 요소를 갖는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면에서 상대 플러그와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잠금 해제 슬리브도, 서로 대응되고 평행하게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측벽의 내측에, 상응하는 래칭 해제 수단,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스피곳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잠금 해제 슬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유사한,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의 다른 모습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되었을 수 있다.
도 1a는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잠금 해제 슬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상대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제2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유사한,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의 다른 모습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요소(11)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보여준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서 케이블 연결 측에는, 이하의 도 2b에 도시 및 표시되어 있는 케이블 스크루 연결부(13)의 나사부(18)를 갖는 케이블 인입 영역(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에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부착 베이스(112)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서로 직각으로 그리고/또는 평행하게 배치된 4개의 면, 즉, 편의상 참조 부호가 부여되지 않는 2개의 넓은 면 및 2개의 좁은 면을 갖는다. 이 경우, 2개의 넓은 면과 2개의 좁은 면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 놓여 있다. 2개의 서로 마주 놓인 넓은 면에 잠금 요소(11)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하지만 이 관점에서는, 맞은 편의 넓은 면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2개의 잠금 요소(11) 중 하나만 보인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3개의 래칭 아암(111)을 가지며, 이들 래칭 아암의 제1 단부가 부착 베이스(112)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단부는 플러그-인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래칭 아암(111)의 제1 단부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고정되어 있고, 자체 탄성으로 인해 각각의 넓은 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파지된다. 래칭 아암들은 제2 가동 단부에 래칭 후크(113)를 갖는다. 래칭 후크(113)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각각 래칭 면(114)을 갖는다. 플러그-인 방향으로 래칭 후크(113)는 각각 슬라이딩 곡면부(115)을 갖는다.
또한, 잠금 및 잠금 해제 장치의 래칭 아암들(111)은 공통 크로스 브레이스(1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래칭 아암들은 함께 해당 측벽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서로 마주 놓인 양측 좁은 면에, 이하에서 기술되는 잠금 해제 슬리브(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브리지(14)를 갖는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각각의 좁은 면에 래칭 러그(15)를 구비한다. 래칭 러그는, 그 위에 한 번 래칭된 잠금 해제 슬리브(2)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잠금 요소(11) 상에 결합 장치(1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결합 장치는 잠금 해제를 위해 잠금 해제 슬리브(2)의 잠금 해제 스피곳(227)과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된다.
도 1b는 상기 잠금 해제 슬리브(2)를 보여준다. 잠금 해제 슬리브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이로써 서로 직각으로 그리고/또는 평행하게 배열된 4개의 측벽, 즉, 서로 각각 평행하게 마주 놓인 2개의 좁은 측벽 및 2개의 넓은 측벽을 갖는다. 편의상 측벽들에는 참조 기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잠금 해제 슬리브(2)는 2개의 넓은 측벽에 잠금 해제 스피곳(217)을 각각 하나씩 가지며, 이 잠금 해제 스피곳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맞물림 장치(117)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잠금 해제 경사면을 갖는다. 하지만 본 도면에서는 사시도이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측벽 중 한 측벽의 내부면만 보이고, 그에 따라 잠금 해제 스피곳(217)도 하나만 보인다. 2개의 좁은 측벽 상에는 안내 홈(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시도이기 때문에 이들 두 측벽 중 단 하나의 내부면만 보이며, 그에 따라 단 하나의 안내 홈(24)만 보인다. 2개의 안내 홈(24)은, 잠금 해제 슬리브(2)를 플러그-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파지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안내 브리지(14)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잠금 해제 슬리브(2)는 수동 작동을 위한 작동 성형부(28)를 갖는다.
도 1c는, 상대 플러그의 하우징, 다시 말해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을 보여준다. 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은 주연 하우징 프레임(31)을 가지며, 그 형상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일치한다. 그에 직각으로,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은 나사 구멍을 구비한 부착 플랜지(312)를 가지며, 이로 인해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은 예를 들어 전기 장치의 하우징 벽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하우징 프레임(31)은, 서로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긴 프레임 측 및 이 프레임 측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서로 마주 놓인 2개의 짧은 프레임 측을 가지며, 이들 프레임 측에는 편의상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은, 2개의 긴 프레임 측에 각각 2개의 래칭 스피곳(313)을 구비한다.
도 2a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파지된 잠금 해제 슬리브(2)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및 상대 플러그 하우징(3)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상기 부품들(1, 2, 3)의 기계적인 상호 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잠금 해제 슬리브(2)의 넓은 측벽이 가려져 있는데, 다시 말해 본 도면에서는 그 내부에 배치된 잠금 해제 스피곳(217)만 볼 수 있다. 상기 잠금 해제 스피곳(217)은 경사면을 통해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의 맞물림 장치(117)와 기계적으로 접촉한다.
슬리브(2)를 케이블 나사 결합부 쪽으로 당김으로써, 다시 말해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김으로써, 래칭 후크(113)가 래칭 스피곳(313)으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잠금 해제 스피곳(217)이 맞물림 장치에 작용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필요한 변형은 넓은 면에 대해 평행하게 수행되고, 극히 작다는 것도 명백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변형이 오직 개별 래칭 면(114)의 크기에만 상응하기 때문이다. 그와 달리,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의 전체 래칭 면은 관련 개별 래칭 면(114)의 총합으로부터 도출되며, 즉, 이 경우 각각의 개별 래칭 면(114)의 크기의 3배가 되는데, 그 이유는 본 실시예에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가 3개의 래칭 후크(113)를 갖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상기 구조 형상은 매우 콤팩트하다. 또한, 필요한 변형도 매우 작으며, 이는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일체형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넓은 면과 잠금 해제 슬리브(2)의 넓은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잠금 및 잠금 해제 시 그에 평행하게 움직인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래칭 후크(113)는 슬라이딩 곡면부를 가지며, 이 슬라이딩 곡면부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이 상대 플러그 하우징(3)과 함께 삽입될 때, 래칭 후크가 상대 플러그 하우징의 래칭 스피곳(313) 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그곳에 래칭된다. 대안적인 또는 보완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래칭 스피곳(313)도 동일한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응하는 슬라이딩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마주 놓인 측에 상기 시스템은 동일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도 2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의 래칭 아암들(111')은 잠금 및 잠금 해제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즉,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한 편으로는 특히 공간 절약적이기 때문에 소형 구조에 특히 유리하다. 그와 무관하게 본 변형예는 나아가, 특히 잠금 해제 및/또는 잠금 시 발생하는 힘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및 잠금 해제 슬리브(2)에 걸쳐 특히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대 플러그 하우징(3) 상에 삽입 시, 2개의 래칭 아암(111')은 차후 삽입 상태에서 그 위에 래칭되도록, 자신의 래칭 후크(113')의 슬라이딩 곡면부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공통 래칭 스피곳(313')의 슬라이딩 곡면부에 의해서도 서로 벌어지도록 가압된다.
잠금 해제를 위해 잠금 해제 슬리브(2)는 자신의 넓은 측벽에, 2개의 래칭 아암(111') 각각에 배치된 각각의 맞물림 장치(117')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2개의 잠금 해제 스피곳(217')을 갖는다. 잠금 해제 시, 잠금 해제 슬리브(2)가 상대 플러그 하우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로 인해, 2개의 래칭 아암(111')은 자신의 개별 맞물림 장치(117')에 의해 서로 벌어지도록 당겨진다. 이때, 이들의 래칭 후크(113')가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의 공통 래칭 스피곳(313')으로부터 래칭 해제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은 상대 플러그 하우징(3)으로부터 잠금 해제되어 빼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슬리브(2)는 이 잠금 해제 슬리브(2)가 당겨질 때 2개의 래칭 아암(111') 사이에 맞물리고 이들 2개의 래칭 아암(111')을 추가로 서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또 다른 잠금 해제 스피곳(217")을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두 가지 변형예 중 하나가 기능성을 위해 충분하고, 도면부에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별도로 개시된 것으로서 이해된다 하더라도, 잠금 해제 시, 2개의 래칭 아암(111')은 잠금 해제 슬리브(2)의 2개의 잠금 해제 스피곳(217')에 의해 서로 벌어지도록 당겨질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잠금 해제 스피곳(217")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가압되기도 한다.
각각의 도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더라도,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통상의 기술자는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들이 유일한 가능성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의 서로 상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11, 11':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
111, 111': 래칭 아암
112: 부착 베이스
113, 113': 래칭 후크
114: 래칭 면
115: 슬라이딩 곡면부
116: 크로스 브레이스
117, 117': 결합 장치
13: 케이블 스크루 연결부
14: 안내 브리지
15: 래칭 러그
17: 케이블 인입 영역
18: 나사부
2: 잠금 해제 슬리브
217, 217': 잠금 해제 스피곳
217": 추가 잠금 해제 스피곳
24: 안내 홈
28: 작동 성형부
3: 상대 플러그 하우징
31: 하우징 프레임
312: 부착 플랜지
313, 313': 래칭 스피곳
11, 11':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
111, 111': 래칭 아암
112: 부착 베이스
113, 113': 래칭 후크
114: 래칭 면
115: 슬라이딩 곡면부
116: 크로스 브레이스
117, 117': 결합 장치
13: 케이블 스크루 연결부
14: 안내 브리지
15: 래칭 러그
17: 케이블 인입 영역
18: 나사부
2: 잠금 해제 슬리브
217, 217': 잠금 해제 스피곳
217": 추가 잠금 해제 스피곳
24: 안내 홈
28: 작동 성형부
3: 상대 플러그 하우징
31: 하우징 프레임
312: 부착 플랜지
313, 313': 래칭 스피곳
Claims (16)
- - 각각 평평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면을 가진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적어도 고정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인서트,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을 둘러싸고,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파지되어 있는 잠금 해제 슬리브(2), 및
-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제1 면과 잠금 해제 슬리브(2)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 11')를 포함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 11')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파지되어 있고,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고,
잠금 요소(11, 11')가 복수의 래칭 아암(111, 111')을 가지며, 각각의 래칭 아암(111, 111')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이때 각각의 래칭 아암(111, 111')은 자신의 제1 단부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고정되고, 래칭 아암(111, 111')의 제2 단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고,
래칭 아암들(11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 상에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잠금 및 잠금 해제 요소(11, 11')가, 자신의 가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의 래칭 스피곳(313, 313')과의 래칭을 위해 래칭 후크(113, 113')가 각각의 래칭 아암(111, 111')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래칭 후크(113, 113')가 각각 관련 래칭 아암(111, 111')의 제2 단부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칭 후크(113, 113')가 래칭 아암(111, 111')에 직각으로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래칭 면(1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래칭 후크(113, 113')가 상대 플러그 하우징(3)의 개별 래칭 스피곳(313, 313') 상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슬라이딩 경사면 또는 슬라이딩 곡면부를 가지며, 이로 인해 래칭 후크는 자신의 제2 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111, 111')이 자신의 제1 단부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부착 베이스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래칭 아암(111, 111') 및 부착 베이스가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과 함께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11, 11') 상에는, 잠금 요소(11, 11')를 이동시키기 위해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잠금 해제 슬리브(2)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또는 접촉 장치(117, 11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맞물림 또는 접촉 장치(117, 117')가 잠금 요소(11, 11')의 성형 몰드 내에 존재하며, 이 성형 몰드는, 잠금 해제 슬리브(2)의 잠금 해제 스피곳(217, 217', 217")과 상호 작용하는 접촉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가 2개의 이상의 잠금 요소(11, 11')를 구비하며, 이들 잠금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이 잠금 요소(11, 11') 또는 잠금 요소들(11, 11')과 함께 일체형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제15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 섬유 강화 PBT("Polybutylene terephtal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7127991.1 | 2017-11-27 | ||
DE102017127991.1A DE102017127991B4 (de) | 2017-11-27 | 2017-11-27 | Ver- und entriegelbarer Steckverbinder |
PCT/DE2018/100931 WO2019101269A1 (de) | 2017-11-27 | 2018-11-14 | Ver- und entriegelbarer steckverbin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3613A KR20200083613A (ko) | 2020-07-08 |
KR102468665B1 true KR102468665B1 (ko) | 2022-11-21 |
Family
ID=6466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7603A KR102468665B1 (ko) | 2017-11-27 | 2018-11-14 |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978830B2 (ko) |
EP (1) | EP3718176B1 (ko) |
KR (1) | KR102468665B1 (ko) |
CN (1) | CN111386634B (ko) |
DE (1) | DE102017127991B4 (ko) |
WO (1) | WO20191012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104017A1 (de) * | 2018-02-22 | 2019-08-22 | HARTING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er mit Polarisationselement sowie ein System und ein Verfahren zum Montieren, zum Stecken und zum Trennen dieses Steckverbinders |
CN111740272B (zh) * | 2019-03-25 | 2021-11-26 | 珠海保税区光联通讯技术有限公司 | 连接器 |
CN113948913B (zh) * | 2020-07-15 | 2023-12-22 | 正凌精密工业(广东)有限公司 | 具有直接锁固与旋转预顶出功能的连接器 |
KR102418546B1 (ko) * | 2020-10-23 | 2022-07-08 |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 모터용 방수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N112490774A (zh) * | 2020-12-16 | 2021-03-12 |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 线端连接器和连接器组件 |
DE102021107646A1 (de) | 2021-03-26 | 2022-09-29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aufsteckbarem Verriegelungselement |
LU102725B1 (de) | 2021-03-26 | 2022-09-26 | Phoenix Contact Gmbh & Co | Steckverbinder mit aufsteckbarem Verriegelungselement |
DE102022113144A1 (de) | 2022-05-24 | 2023-11-30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teckverbinder mit einer rastein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r steckverbindung mit einem gegensteckverbinder, gegensteckverbinder sowie anordnung mit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m gegensteckverbin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1094141Y (zh) * | 2007-06-28 | 2008-07-30 | 敬岩松 | 新型连接器 |
JP2010532542A (ja) * | 2007-07-06 | 2010-10-07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 差込みコネクタ |
WO2016012006A1 (de) * | 2014-07-24 | 2016-01-28 | HARTING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er mit verschleissarmer dichtfunktion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43509A (en) * | 1944-03-22 | 1948-06-15 | Railroad Accessories Corp | Connector |
US3933406A (en) | 1974-01-04 | 1976-01-20 | Ford Motor Company | Electrical connector block assembly having overcenter locking |
US4017139A (en) * | 1976-06-04 | 1977-04-12 | Sealectro Corporation | Positive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
FR2624313B1 (ko) * | 1987-12-02 | 1990-05-11 | Europ Agence Spatiale | |
FR2638292B1 (fr) * | 1988-10-24 | 1990-12-07 | Labinal | Perfectionnements aux boitiers de connexions electriques |
US5004431A (en) * | 1989-02-06 | 1991-04-02 | Molex Incorporated | Reinforced connector latch |
JP2570376Y2 (ja) * | 1992-08-04 | 1998-05-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
DE19714459C2 (de) * | 1997-04-08 | 2001-11-29 | Framatome Connectors Int | Steckverbinder mit einer Gehäuseverriegelung |
US6250942B1 (en) * | 1999-08-30 | 2001-06-26 | Berg Technology, Inc. |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bined shield and latch |
US7040911B1 (en) * | 2002-03-11 | 2006-05-09 | Samuel Ho | Transceiver module with cam-based delatching actuator |
DE10230465B3 (de) * | 2002-07-06 | 2004-01-29 |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DE10324794B3 (de) * | 2003-05-31 | 2004-12-09 | Woodhead Connectivity Gmbh | Elektrische Steckverbindung |
DE202006005177U1 (de) | 2006-03-31 | 2006-06-08 |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 Metallischer Steckverbinder |
CN201051586Y (zh) * | 2007-05-08 | 2008-04-23 |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 一种连接器的卡座结构 |
US7892004B2 (en) * | 2008-04-17 | 2011-02-22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
CN201266724Y (zh) * | 2008-04-30 | 2009-07-0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7722379B2 (en) * | 2008-07-30 | 2010-05-25 | Aliner Industries, Inc. | Quick release connector device |
DE102009058616B4 (de) * | 2009-12-17 | 2011-11-10 |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 Leiterplatten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
US8690591B2 (en) * | 2011-06-09 | 2014-04-08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Electric vehicle with secondary charge cord release mechanism |
DE102012100615B4 (de) | 2012-01-25 | 2014-08-14 | HARTING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
US8944838B2 (en) * | 2013-04-10 | 2015-02-03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or with locking ring |
DE102013222411A1 (de) * | 2013-11-05 | 2015-05-07 | Tyco Electronics Amp Gmbh | Steckverbinder |
CN106099529B (zh) * | 2016-08-09 | 2018-11-30 | 四川瑞可达连接系统有限公司 | 一种具有二次锁紧及二次解锁功能的连接器 |
DE102017108430B4 (de) | 2017-04-20 | 2021-09-30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Halterahmen für einen schweren Steckverbinder sowie System |
-
2017
- 2017-11-27 DE DE102017127991.1A patent/DE102017127991B4/de active Active
-
2018
- 2018-11-14 EP EP18815509.7A patent/EP3718176B1/de active Active
- 2018-11-14 US US16/760,163 patent/US10978830B2/en active Active
- 2018-11-14 KR KR1020207017603A patent/KR1024686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14 CN CN201880076339.6A patent/CN111386634B/zh active Active
- 2018-11-14 WO PCT/DE2018/100931 patent/WO2019101269A1/de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1094141Y (zh) * | 2007-06-28 | 2008-07-30 | 敬岩松 | 新型连接器 |
JP2010532542A (ja) * | 2007-07-06 | 2010-10-07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 差込みコネクタ |
WO2016012006A1 (de) * | 2014-07-24 | 2016-01-28 | HARTING Electronics GmbH | Steckverbinder mit verschleissarmer dichtfunk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7127991A1 (de) | 2019-05-29 |
US20200343670A1 (en) | 2020-10-29 |
EP3718176B1 (de) | 2022-10-26 |
KR20200083613A (ko) | 2020-07-08 |
US10978830B2 (en) | 2021-04-13 |
CN111386634B (zh) | 2021-11-05 |
EP3718176A1 (de) | 2020-10-07 |
DE102017127991B4 (de) | 2021-06-10 |
WO2019101269A1 (de) | 2019-05-31 |
CN111386634A (zh) | 2020-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8665B1 (ko) |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 |
US9509081B2 (en) | Connector | |
CN101884143B (zh) | 具有连接器定位装置的电连接器组件 | |
KR101608128B1 (ko)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
KR101532300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 |
KR20070037662A (ko) | 이중 래칭 및 피드백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한레버형 전기 커넥터 | |
JPH09113762A (ja) | コネクタ | |
EP3021422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DE102008022192A1 (de) | Steckverbindung | |
KR102084594B1 (ko) | 커넥터 | |
KR20070037663A (ko) | 개선된 단자 장착 하우징 수단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 |
JP2007526606A (ja) | 改良型接点止部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前記ハウジング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 |
JPH0748390B2 (ja) | 電気コネクター | |
CN111758192B (zh) | 插接连接器、系统及装配方法、插接方法和分离方法 | |
JP3654052B2 (ja) | 光リセプタクル | |
US9287650B2 (en) |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 |
US3838380A (en) | Connector assembly | |
JP6084107B2 (ja) | コネクタ | |
CN113557640B (zh) | 具有锁定元件的插接连接系统 | |
JP4293887B2 (ja) | コネクタ | |
CN114512859A (zh) | 具有闭锁装置的插接连接器 | |
CN114556710A (zh) | 具有锁定装置的电气设备 | |
JP2002267885A (ja) | コネクタ組立体 | |
US20230231341A1 (en) | Connector | |
JP2019033062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