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86B1 -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 Google Patents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86B1
KR102153686B1 KR1020200014343A KR20200014343A KR102153686B1 KR 102153686 B1 KR102153686 B1 KR 102153686B1 KR 1020200014343 A KR1020200014343 A KR 1020200014343A KR 20200014343 A KR20200014343 A KR 20200014343A KR 102153686 B1 KR102153686 B1 KR 10215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fire
underground
cover
undergroun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1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행거(100): 행거(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약재를 매개로 화재를 진압하는 커넥터(2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지중배전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with fire suppression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실내외에 전선을 배선함에 있어서는 전선의 길이나 전열기구들의 위치, 또는 여러 가지 건물의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작업은 물론이고,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전선분배작업 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런 경우 종래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양측 전선의 끝단을 각각 일정간격만큼 피복한 후, 그 끝단의 벗겨진 전선끼리 서로 꼬아서 연결하고, 이어서 연결부위를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감아서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전선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연결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전선을 피복하여 이들의 끝단을 꼬아서 연결하는 방식임으로 연결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연결 후에도 감전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여러 번 감아서 마무리함에 따라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하고, 외관상 지저분해 보이는 문제가 있으며, 수분의 침투 및 오래 사용하는 경우 피복이 쉽게 떨어져 누전 및 전기합선으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55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지중배전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장착부, 장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암, 암의 상면에 형성되는 클립부결합공, 클립부결합공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배전선안착홈으로 구성된 배전선거치대와,
포설될 지중배전선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외주면 일측으로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암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본체, 본체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배전선의 삽탈을 단속하는 커버, 본체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버를 가이드하는 플런지, 본체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롤러로 이루어진 포설용 보조기구로 구성된 행거;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관체에 내설되며 화재에 의해 파괴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약재를 갖춘 소방수단과,
관체의 양단부에 끼워져 관체의 벌어짐을 제한하며 클립부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를 구비하는 구속링으로 구성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지중배전선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커넥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의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는 행거(100)와 커넥터(2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지중배전선(L)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지중배전선(L)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L)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행거(100)는 배전선거치대(110)와 포설용 보조기구(1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외팔보 형태로 설치(고정)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거나 포설된 지중배전선(L)을 거치해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상기 배전선거치대(110)는 장착부(111)와 암(112), 클립부결합공(113) 및 배전선안착홈(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111)는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력구의 벽면에 맞대어져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암(112)은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일단이 장착부(111)와 일체를 이루며, 장착부(111)를 매개로 전력구의 벽면에 외팔보 형태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립부결합공(113)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12)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클립부결합공(113)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커넥터(200)의 클립부(231)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배전선안착홈(114)은 지중배전선(L)이 수용되는 반원형상의 홈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클립부결합공(113)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암(112)의 상면에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포설용 보조기구(120)는 본체(121)와 커버(122), 플랜지(123) 및 롤러(12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12)의 말단(장착부(111)의 맞은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포설하는 작업에 이용된다.
상기 본체(121)는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외주면 일측으로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내부는 포설방향과 암(112)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21)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고 있고, 하면은 일측(측면의 하단)에서 타측(개구부)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므로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121)와 커버(122) 사이의 틈에 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2)는 호형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21)의 외주면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맞대어져 본체(1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커버(122)의 양단에는 가이드홈(122a)이 원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이드홈(122a)은 본체(121)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지(123)의 가이드돌기(123a)와 상호 결합됨에 따라 본체(121)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된다.
상기 플런지(123)는 본체(12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면서 커버(1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런지(123)의 내면에는 커버(122)의 가이드홈(122a)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23a)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122)는 플런지(123)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홈(122a)을 매개로 가이드돌기(12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롤러(124)는 본체(12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경사진 하면에 각각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포설 방향으로 이동시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커넥터(200)는 행거(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소화약재를 매개로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와 커넥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넥터(200)는 관체(210)와 소방수단(220) 및 구속링(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체(210)는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관 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을 감싸 고정한다.
상기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는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는 이들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의 양단부 내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다수의 가압돌기(211b,212b)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압돌기(211b,212b)는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의 상호 결합시 내측에 배치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하여 지중배전선(L)이 관체(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방수단(220)은 소방약재가 포화상태로 충진되고 가연성소재로 제작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에 각각 내설된다.
일 예로, 상기 지중배전선(L)의 상호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로 인한 열적작용에 의해 소방수단(220)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포화상태로 충진된 소화약재가 확산되면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상기 구속링(230)은 관체(210)의 양단부에 각각 끼워져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면서 행거(100)와 커넥터(200)를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속링(230)의 외주면에는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돌출된 클립부(23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클립부(231)는 행거(100)의 클립부결합공(11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의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자 할 경우, 우선 일단에 피복이 제거된 지중배전선(L)을 각각 하부커버(211)의 인입한다.
그 다음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에 의해 지중배전선(L)이 감싸지도록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를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상호 결합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의 가압돌기(211b,212b)는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중배전선(L)은 관체(210)로부터의 이탈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를 상호 결합 이후에는 관체(210)의 양단부에 구속링(230)을 끼워 하부커버(211)와 상부커버(212)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다음, 구속링(230)의 클립부(231)를 행거(100)의 클립부결합공(113)에 끼워넣어 행거(100)에 커넥터(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의 상호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로 인한 열적작용에 의해 소방수단(220)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포화상태로 충진된 소화약재가 확산되면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됨에 따라 화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를 이용해 지중배전선을 포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될 지중배전선(L)을 포설용 보조기구(120)인 롤러(124) 상에 얹혀지도록 본체(121)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선단부를 잡고 당기게 되면 지중배전선(L)이 이동하게 되며, 이때 롤러(124)가 아이들링 되면서 지중배전선(L)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주게 된다.
또한, 본체(121) 내부의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지중배전선(L)은 경사진 롤러(12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 측면에 배치된 롤러(124)에 최대한 인접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포설과정에 지중배전선(L)의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본체(121)와 커버(122) 사이의 틈에 끼는 문제를 해소하면서 안정적으로 포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계획된 구간까지 지중배전선(L)이 포설되면, 작업자는 커버(122)를 슬라이드이동시켜 본체(121)의 개구부가 노출되도록 한 다음, 포설용 보조기구(120)에 수용된 지중배전선(L)을 개구부를 통해 인출한 상태에서 행거(100)의 배전선안착홈(114)에 거치해주면 포설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L)을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부위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지중배전선(L)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선(L)의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행거 110: 배전선거치대 111: 장착부
112: 암 113: 클립부결합공 114: 배전선안착홈
120: 포설용 보조기구 121: 본체 122: 커버
122a: 가이드홈 123: 플런지 123a: 가이드돌기
124: 롤러 200: 커넥터 210: 관체
211: 하부커버 211a: 결합돌기 211b: 가압돌기
212: 상부커버 212a: 결합홈 212b: 가압돌기
220: 소방수단 230: 구속링 231: 클립부

Claims (1)

  1. 전력구의 벽면에 설치되는 장착부(111), 장착부(11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암(112), 암(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클립부결합공(113), 클립부결합공(113)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배전선안착홈(114)으로 구성된 배전선거치대(110)와,
    포설될 지중배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내부가 암(112)을 향해 외주면 일측이 개구된‘C’자 형상을 이루며, 암(112)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상면과 측면이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내부 하면은 개구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본체(121), 본체(121)의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중배전선(L)의 삽탈을 단속하는 커버(122), 본체(121)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버(122)를 가이드하는 플런지(123), 본체(121)의 내부 상면과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롤러(124)로 이루어진 포설용 보조기구(120)로 구성된 행거(100);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커버(211)와 하부커버(212)로 분할형성되어 결합돌기(211a)와 결합홈(212a)을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단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이탈을 제한하는 가압돌기(211b,212b)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210)와,
    관체(210)에 내설되며 화재에 의해 파괴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약재를 갖춘 소방수단(220)과,
    관체(210)의 양단부에 끼워져 관체(210)의 벌어짐을 제한하며 클립부결합공(113)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부(231)를 구비하는 구속링(230)으로 구성된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0200014343A 2020-02-06 2020-02-06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15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43A KR102153686B1 (ko) 2020-02-06 2020-02-06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343A KR102153686B1 (ko) 2020-02-06 2020-02-06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86B1 true KR102153686B1 (ko) 2020-09-09

Family

ID=7243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343A KR102153686B1 (ko) 2020-02-06 2020-02-06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92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20241B1 (ko) * 2021-01-29 2021-11-02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지중배전선 연결겸용 지중배전선 보호장치
KR102320242B1 (ko) * 2021-01-28 2021-11-02 (주)삼보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371807B1 (ko) * 2021-06-16 2022-03-1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549595B1 (ko) * 2022-07-25 2023-06-30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59B1 (ko)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101246281B1 (ko) *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KR20130036581A (ko) * 2011-10-04 2013-04-12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1985768B1 (ko) * 2019-01-25 2019-06-04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행거장치
KR102029887B1 (ko) * 2019-03-13 2019-10-08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 커넥터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KR102045850B1 (ko) * 2019-05-03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59B1 (ko) 2010-03-02 2010-10-05 성지파워 주식회사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KR20130036581A (ko) * 2011-10-04 2013-04-12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KR101246281B1 (ko) *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1985768B1 (ko) * 2019-01-25 2019-06-04 주식회사 동경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행거장치
KR102029887B1 (ko) * 2019-03-13 2019-10-08 (주)케이아이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 커넥터
KR102045850B1 (ko) * 2019-05-03 2019-11-18 주식회사 송하기술감리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040062B1 (ko) * 2019-05-21 2019-11-05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92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안전연결용 접속기구
KR102316190B1 (ko) * 2021-01-28 2021-10-25 백승훈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320242B1 (ko) * 2021-01-28 2021-11-02 (주)삼보기술단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KR102320241B1 (ko) * 2021-01-29 2021-11-02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지중배전선 연결겸용 지중배전선 보호장치
KR102371807B1 (ko) * 2021-06-16 2022-03-1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549595B1 (ko) * 2022-07-25 2023-06-30 대한이씨엠주식회사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86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CA2487750C (en) Flush poke-through fitting
US2166457A (en) Reclaiming member and entrance guide for connectors
DE102015007404A1 (de) Leitungsaufnehmer
CN109256739B (zh) 一种绝缘保护套管
CN106972293B (zh) 架空线路插拔式连接装置
US20060019534A1 (en) Flexible cable sleeve apparatus
KR102235859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CN103762529B (zh) 一种电缆护套
KR102383632B1 (ko)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US6161587A (en) Shield and method for exposing high voltage power lines and the like
CN210074714U (zh) 一种装配式室内电源供电系统
CN211788253U (zh) 一种具有防撕咬功能的电缆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CN205406165U (zh) 一种安装便捷的铝合金电缆
KR100834777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2646143B1 (ko)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CN219656146U (zh) 密封组件和烟机
KR102134880B1 (ko)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US3675315A (en) Method for extracting wires from a cable bundle
KR200225086Y1 (ko) 건물배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KR20210001573U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CN114825201A (zh) 一种便于布线的弱电管材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CN219833608U (zh) 密封组件及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