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96B1 -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 Google Patents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96B1
KR101794296B1 KR1020170010559A KR20170010559A KR101794296B1 KR 101794296 B1 KR101794296 B1 KR 101794296B1 KR 1020170010559 A KR1020170010559 A KR 1020170010559A KR 20170010559 A KR20170010559 A KR 20170010559A KR 101794296 B1 KR101794296 B1 KR 10179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tribution line
wir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숙
Original Assignee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에 관한 것으로, 작업차량의 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회동장치와; 상기 상하회동장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장치와;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견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배전선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차량에 설치하여 배전선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배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애자 및 완철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배전선을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Connecting clamp for replacing power line of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설 배전선의 파단과 애자의 손상 및 완철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신설 전선으로 효과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승압과 강압을 거쳐서 최종 수요자에게 배전 공급된다.
이러한 전기의 배전을 위해서 직선슬리브가 설치되거나 손상부분의 보수를 위하여 보수슬리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슬리브는 시공부위의 단선 등으로 인해서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공급의 원활화 및 손실감소를 위하여 손상된 전선 및 사용연한을 다한 전선은 새로운 전선으로 교체해야 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교체가 필요한 전선이 증가하고 있다.
전선의 교체시에는 전선드럼에 권선된 전선을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에 연결하고, 권취장치를 구동시켜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을 권취하면 전선드럼으로부터 풀링되는 새로운 전선이 기존 전선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선의 교체작업시 전선이 도로나 철도 등의 시설물을 통과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전선이 처지면서 시설물과 접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에 철골로 된 받침이나 비계 등의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경우 전선의 교체작업 외에 구조물의 설치와 철거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선 교체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079호(1999.12.16. 등록) "활선 롤러"(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는 전주의 완금 상부에 끼워짐과 아울러 고정볼트로 완금에 고정되는 완금지지부와, 완금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베어링이 내재된 회전롤러가 끼워지는 회전롤러지지부와, 회전롤러의 상부와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회전롤러지지부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볼트를 포함하는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는 기설 전선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전주의 완금에 완금지지부를 고정하여 직립 설치하고, 신설 전선을 회전롤러와 이탈방지볼트 사이를 통과시켜 가설하게 되며, 신설 전선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정볼트를 풀어서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를 완금으로부터 철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1은 전주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설 전선을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신설 전선이 전주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비교적 단거리, 예컨대 50m 이내의 경간을 가지는 전선의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겠으나, 이보다 긴 경간을 가지는 전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처짐이 커지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전선을 받혀주는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1의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교체할 경우에는 그 전선 수만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교체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잇다.
이러한 선행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0928호(2016.08.18. 등록)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이하, '선행기술2'라 함)은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클램프를 포함하여 상부 전선에 고정되는 키퍼와,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하부 전선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여 클램프에 의하여 연결클램간을 상부 전선에 고정하고,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하부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하여 하부 전선을 교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전주에는 최상단에 중성선이 지지되고, 그 하부에 특고압 배전선이 완철과 애자에 의하여 설치되며, 그 하부에 상용전압 배전선이 완철과 애자에 의하여 설치되는바, 상용전압 배전선을 교체함에 있어서 상부의 특고압 배전선을 이용하여 지지하면서 하부의 상용전압 배전선을 교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위험이 뒤따르는 것이어서 선행기술2를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선행기술2는 연결클램간이 상부 전선(특고압 배전선)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결클램간의 중량과 배전선의 중량 및 전선을 풀링함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 등이 모두 상부 전선(특고압 배전선)에 가해지기 때문에 상부 전선(특고압 배전선)의 장력이 매우 커지게 되어 상부 전선(특고압 배전선)이 파단될 염려가 있으며, 상부 전선(특고압 배전선)과 연결된 애자에도 큰 하중이 걸리게 되어 애자의 파손으로 인해 배선선로에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신설 전선은 지면에 설치되는 전선드럼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신설 전선을 풀링함에 있어서 전선드럼으로부터 완철위치에 이르는 상향 풀링 과정과 완철위치에서 전선드럼에 이르는 하향 풀링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 과정에서 신설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에는 신설 전선의 중량과 함께 풀링력에 대한 수직하향 분력만큼의 하중이 더해지기 때문에 상부 전선의 파단과 상부 전선을 지지하는 애자의 손상 및 완철의 휨 등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부 전선을 이용하여 지지하면서 하부 전선을 교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상부 전선과 애자 및 완철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선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3079호(1999.12.16. 등록) "활선 롤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0928호(2016.08.18. 등록)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 배전선의 파단과 애자의 손상 및 완철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신설 전선으로 효과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회동장치와; 상기 상하회동장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장치와;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견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대는 상기 붐의 상단에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회동장치는 상기 장착대의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회동대와, 상기 상하회동대를 상하 회동시키는 상하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이동장치는 상기 상하회동대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판체와, 상기 한 쌍의 판체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선견인장치는 상기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체 상에 배전선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로 구성되는 견인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기어와, 상기 상부롤러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기어에 맞물리는 상부기어와; 상기 한 쌍의 판체 상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롤러와 하부기어를 정역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견인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러와 하부기어는 상기 견인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롤러와 상부기어는 상기 하부회전축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회전축은 상기 판체 상에 설치되는 하부축받이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회전축은 상기 하부축받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축받이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는 배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 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의 반원형 홈에는 톱니형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의하면 작업차량의 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회동장치와; 상기 상하회동장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장치와; 상기 전후이동장치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하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견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배전선에 의존하지 않고 작업차량에 설치하여 배전선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배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애자 및 완철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배전선을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롤러와 배전선을 보인 종단정면도,
도 6은 롤러와 배전선을 보인 종단측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하여 지지된 배전선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현수애자에 의하여 절연지지된 배전선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은 전주(1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배전선(L1)이 전주(10)에 설치된 완철(20)에 라인포스트애자(30)를 통하여 절연지지되는 방식의 배전선로에 적용한 예를 주로 설명할 것이나, 전주(1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분리되는 배전선을 전주(10)에 설치된 완철(20)에 현수애자에 의하여 절연지지되고 양측 배전선이 점프선에 의하여 연결되는 방식의 배전선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붐(BM)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100)와; 상기 장착대(10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회동장치(200)와; 상기 상하회동장치(2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이동장치(300)와; 상기 전후이동장치(3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400)와; 상기 플레이트(400)의 상면에 상하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견인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차량(차체는 미도시)은 붐(BM)의 상단에 작업자가 탐승할 수 있는 버킷(미도시)이 구비된 통상적인 작업차량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체와 버킷 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장착대(100)는 상기 붐(BM)의 상단에 결합되는 장착부재(110)와, 상기 장착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20)와,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 및 연결부재(130)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110)는 볼트/너트(B1)에 의하여 붐(BM)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상하회동장치(200)는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회동대(210)와, 상기 상하회동대(2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상하회동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회동대(210)는 수직부(211)와, 상기 수직부(2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211)와 수평부(212)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강을 위하여 수직부(211)와 수평부(212)의 결합부위에 보강리브(213)를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상하회동대(210)를 수직부재(120)에 대하여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측 힌지편(214)과 수직부부(211)측 힌지편(215) 및 힌지편(214, 215)을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16)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수단(220)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단부가 상기 상하회동대(210)의 수평부(212)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봉(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를 수직부재(120)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부재(120)측 힌지편(223)과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측 힌지편(224) 및 힌지편(223, 224)을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25)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봉(222)을 수평부(212)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부(212)측 힌지편(226)과 작동봉(222) 선단측 힌지편(227) 및 힌지편(226, 227)을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28)이 구비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모터축을 가지는 서보모터로 구성하고, 작동봉(222)는 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장치(300)는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310)와, 상기 슬라이더(31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10)는 전후방향으로 천공된 한 쌍의 안내공(311)과,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공(311)에 삽입되는 안내봉(312)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구동수단(320)은 상기 수평부(212)의 상면에 고정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와,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선단이 상기 슬라이더(3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봉(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모터축을 가지는 서보모터로 구성하고, 작동봉(322)는 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400)는 상기 슬라이더(310)에 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판체(420)와, 상기 한 쌍의 판체(420)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410)와 한 쌍의 판체(420)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볼트/너트(미도시)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30)는 전선교체 과정에서 전주(10) 및 완철(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주(10) 및 완철(20)이 삽입될 수 있는 좌우방향 폭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견인장치(500)는 상기 플레이트(4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체(420) 상에 배전선(L1)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로 구성되는 견인롤러(510)와; 상기 하부롤러(51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기어(521)와, 상기 상부롤러(51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기어(521)에 맞물리는 상부기어(522)와; 상기 한 쌍의 판체(420) 상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롤러(511)와 하부기어(521)를 정역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견인모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견인롤러(510)는 하나의 배전선(L1)에 대응하는 1개 조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2조를 설치하여 4개의 배전선(L1)에 대한 견인이 가능하도록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인 배전선로의 배치가 전주(10)를 기준으로 하여 완철(2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2개씩의 배전선(L1)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는 배전선(L1)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 홈(513, 514)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 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에는 톱니형 돌기(515, 516)를 형성하여 배전선(L1)의 절연피복이 물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하부롤러(511)와 하부기어(521)는 하나의 하부회전축(541)에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부롤러(512)와 상부기어(522)는 하나의 상부회전축(542)에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견인모터(530)는 전후 양단에서 돌출되는 모터축(미도시)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전방측 하부회전축(541)과 후방측 하부회전축(541)이 직결되어 하나의 견인모터(530)에 의하여 2개의 하부회전축(541)과 2개의 하부기어(521) 및 4개의 하부롤러(511)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회전축(541)은 견인모터(530)의 모터축(미도시)에 직결하여 견인모터(530)의 회전력이 하부회전축(541)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터축에 대한 하부회전축(541)의 직결 방법은 통상적인 샤프트커플링 방식으로 직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회전축(541)과 상부회전축(542)는 각각 하부축받이(543)와 상부축받이(54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축받이(543)의 상단과 상부축받이(544)의 하단에는 각각 결합편(545, 546)이 형성되어 결합볼트(549)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축받이(543)의 결합편(545)에는 볼트체결공(547)이, 상부축받이(544)의 결합편(546)에는 볼트관통공(548)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축받이(543)와 하부회전축(541) 사이 및 상부축받이(544)와 상부회전축(542) 사이에는 메탈부싱 또는 베어링을 끼워 하부회전축(541)과 상부회전축(54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에 의하여 배전선로의 배전선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준비단계로서, 전선교체 구간의 일단에서는 배전선(L1)에 신설 전선(미도시)을 연결하고, 작업차량의 붐(BM)의 가동에 의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400)를 전주(10)를 향하여 전진시켜 양측 판체(420) 사이의 삽입부(430)에 전주(1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 사이에 견인용 케이블(PC)이 삽입되도록 한다.
견인용 케이블(PC)이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 반원형 홈(513, 514)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에 있어서는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배전선(L1)와 동일한 절연피복 전선으로 된 견인용 케이블(PC)의 선단부를 좌측 또는 우측 견인롤러(510)를 구성하는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 사이에 밀어 넣은 다음, 견인모터(530)를 가동시켜, 하부회전축(541)과 하부회전축(541)에 결합된 하부기어(521)가 회전하고, 하부기어(521)에 맞물려 있는 상부기어(522)와 이에 결합된 상부회전축(542)이 회전하며, 하부회전축(541)에 결합된 하부롤러(511)와 상부회전축(542)에 결합된 상부롤러(5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견인용 케이블(PC)가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에는 복수개의 톱니형 돌기(515, 5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견인용 케이블(PC)의 피복부가 톱니형 돌기(515,1 516)에 물려 들어가게 되어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 사이에 견인용 케이블(PC)가 쉽게 삽입된다.
두 번째 방법은 결합볼트(549)를 풀어내어 상부축받이(544)가 하부축받이(543)로부터 분리되고, 상부축받이(544)에 지지된 상부회전축(542)과 상부회전축(542)에 결합된 상부롤러(512)와 상부기어(522)가 분리되도록 한 다음, 하부롤러(511)의 반원형 홈(513)에 견인용 케이블(PC)을 삽입한 다음, 결합볼트(549)에 의하여 상부축받이(544)를 하부축받이(543)에 결합함과 아울러 견인용 케이블(PC)의 외주면 상반부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4)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붐(BM)의 가동에 의하여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상승시켜 배전선(L1)보다 낮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견인용 케이블(PC)의 양단을 배전선(L1)의 간격을 두고 결속한다.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상승시킴에 있어서는 작업차량의 붐(BM)의 가동과 함께 상하회동장치(200)에 의하여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상하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전후이동장치(300)에 의하여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하회동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221)에 설치된 작동봉(222)을 전진시키면 상하회동대(210)가 상향 회동하게 되고, 작동봉(222)을 후진시키면 상하회동대(210)가 하향 회동하게 되므로 상하회동대(210)와 상하회동대(210)에 결합되는 전후이동장치(300)와 전후이동장치(300)에 결합된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후이동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리니어액튜에이터 본체(321)에 설치된 작동봉(322)을 전진시키면 슬라이더(310)가 전진하게 되고, 작동봉(322)를 후진시키면 슬라이더(310)가 후진하게 되어 슬라이더(310)에 결합된 플레이트(400)와 전선견인장치(5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전선(L1)에 대한 견인용 케이블(PC)의 결속위치는 전주(10)를 기준으로 하여 라인포스트애자(30)보다 바깥쪽에 위치로 한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선(L1)과 라인포스트애자(30)를 분리하고, 배전선(L1)을 견인용 케이블(PC)과의 결속위치 근처에서 절단한다.
이때, 기존의 라인포스트애자(30)는 필요에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거할 수도 있으며,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존치할 수도 있다.
견인모터(530)를 가동시켜 하부기어(521)와 하부회전축(541) 및 하부롤러(511)가 회전하도록 하면, 하부기어(521)에 맞물린 상부기어(522)와 이에 결합된 상부회전축(542)과 상부롤러(512)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견인용 케이블(PC)을 견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견인용 케이블(PC)에 결속된 배전선(L1)이 견인되고, 배전선(L1)에 연결된 신설 전선(미도시)가 견인된다.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에 의하여 견인용 케이블(PC)이 모두 견인되고 나면, 견인용 케이블(PC)에 결속되어 있는 기존의 배전선(L1)이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에 의하여 뒤따라서 견인되기 시작하고, 기존의 배전선(L1)이 모두 견인되고 나면, 기존의 배전선(L1)에 연결되어 있는 신설 배전선(L2)이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에 의하여 견인된다.
이때,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형 돌기(515, 516)가 견인용 케이블(PC)과 기존 배전선(L1) 및 신설 배전선(L2)의 절연피복을 물고 들어가게 되므로 견인용 케이블(PC)과 기존 배전선(L1) 및 신설 배전선(L2)의 견인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신설 배전선(L2)이 모두 견인되고 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설 배전선(L2)을 라인포스트애자(30)에 지지하고, 기존 배전선(L1)을 신설 배전선(L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신설 배전선(L2)으로의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기존 라인포스트애자(30)를 철거한 경우에는 완철(20)에 신설 라인포스트애자(30)를 설치한 후 실선 배전선을 신설 라인포스트애자(30)에 지지한다.
이후,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차량의 붐(BM)을 가동시켜 장착대(100), 상하회동장치(200), 전후이동장치(300), 플레이트(400) 및 전선경인장치(500)를 전주(10)로부터 철수한다.
한편, 기존 배전선이 전주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완철에 현수애자로 절연지지되는 좌측 배전선과 우측 완철에 현수애자로 절연지지되는 우측 배전선 및 좌측 배전선과 우측 배전선을 점프선으로 연결하는 배전선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견인용 케이블(PC)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각각 좌측 배전선과 우측 배전선에 결속하고, 애자와 점프선을 철거한 다음 좌측 배전선과 우측 배전선을 견인하여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에 의하면 교체하고자 하는 하부 배전선(예컨대, 상용전압 배전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배전선(특고압 배전선)과 애자 및 완철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배전선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주 20: 완철
30: 라인포스트애자 100: 장착대
200: 상하회동장치 210: 상하회동대
220: 상하회동수단 300: 전후이동장치
310: 슬라이더 320: 슬라이더구동수단
400: 플레이트 410: 결합부
420: 판체 500: 전선견인장치
510: 견인롤러 511: 하부롤러
512: 상부롤러 513, 514: 반원형 홈
515, 516: 톱니형 돌기 521: 하부기어
522: 상부기어 530: 견인모터
541: 하부회전축 542: 상부회전축
543: 하부축받이 544: 상부축받이
545, 546 : 결합편 549: 결합볼트

Claims (1)

  1. 작업차량의 붐(BM)의 상단에 결합되는 장착부재(110)와, 상기 장착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직부재(120)와, 상기 장착부재(110)와 수직부재(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장착대(100)와; 상기 장착대(100)의 수직부재(120)의 상단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회동대(210)와, 상기 상하회동대(210)를 상하 회동시키는 상하회동수단(220)를 포함하는 상하회동장치(200)와; 상기 상하회동대(2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310)와, 상기 슬라이더(310)를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수단(320)를 포함하는 전후이동장치(300)와; 상기 슬라이더(310)에 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판체(420)와, 상기 한 쌍의 판체(420)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부(43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400)와; 상기 플레이트(400)의 상면에 상하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견인용 케이블(PC)을 통하여 배전선(L1)을 견인하는 전선견인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430)는 전선교체 과정에서 전주(10) 및 완철(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주(10) 및 완철(20)이 삽입될 수 있는 좌우방향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선견인장치(500)는 상기 플레이트(4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체(420) 상에 배전선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로 구성되는 견인롤러(510)와; 상기 하부롤러(51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기어(521)와, 상기 상부롤러(51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기어(521)에 맞물리는 상부기어(522)와; 상기 한 쌍의 판체(420) 상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롤러(511)와 하부기어(521)를 정역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견인모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러(511)와 하부기어(521)는 상기 견인모터(53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축(541)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롤러(512)와 상부기어(522)는 상기 하부회전축(54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회전축(542)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회전축(541)은 상기 판체(420) 상에 설치되는 하부축받이(543)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회전축(542)은 상기 하부축받이(543)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축받이(544)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는 배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반원형 홈(513, 514)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러(511)와 상부롤러(512)의 반원형 홈(513, 514)에는 톱니형 돌기(515, 51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롤러(511)와 하부기어(521)는 하나의 하부회전축(54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롤러(512)와 상부기어(522)는 하나의 상부회전축(54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견인모터(530)는 전후 양단에서 돌출되는 모터축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전방측 하부회전축(541)과 후방측 하부회전축(541)이 직결되어 하나의 견인모터(530)에 의하여 2개의 하부회전축(541)과 2개의 하부기어(521) 및 4개의 하부롤러(511)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회전축(541)은 견인모터(530)의 모터축에 직결하여 견인모터(530)의 회전력이 하부회전축(541)에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회전축(541)과 상부회전축(542)는 각각 하부축받이(543)와 상부축받이(54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축받이(543)의 상단과 상부축받이(544)의 하단에는 각각 결합편(545, 546)이 형성되어 결합볼트(549)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하부축받이(543)와 하부회전축(541) 사이 및 상부축받이(544)와 상부회전축(542) 사이에는 메탈부싱 또는 베어링을 끼워 하부회전축(541)과 상부회전축(54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1020170010559A 2017-01-23 2017-01-23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10179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559A KR101794296B1 (ko) 2017-01-23 2017-01-23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559A KR101794296B1 (ko) 2017-01-23 2017-01-23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96B1 true KR101794296B1 (ko) 2017-12-01

Family

ID=6092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559A KR101794296B1 (ko) 2017-01-23 2017-01-23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63B1 (ko) * 2020-04-28 2020-12-21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옥외형 통신케이블의 인입장치
CN113991538A (zh) * 2021-11-05 2022-01-2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高空线路架设用线缆辅助牵引搭建装置
CN115377912A (zh) * 2022-08-17 2022-11-22 云南电力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杆塔
KR20230116460A (ko) * 2022-01-28 2023-08-04 우진금속(주) 가공절연전선의 연긴선 장치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484B1 (ko) * 2015-09-21 2016-04-28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631916B1 (ko) * 2015-09-14 2016-06-20 탑이앤지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916B1 (ko) * 2015-09-14 2016-06-20 탑이앤지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616484B1 (ko) * 2015-09-21 2016-04-28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63B1 (ko) * 2020-04-28 2020-12-21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옥외형 통신케이블의 인입장치
CN113991538A (zh) * 2021-11-05 2022-01-2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高空线路架设用线缆辅助牵引搭建装置
CN113991538B (zh) * 2021-11-05 2023-09-15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高空线路架设用线缆辅助牵引搭建装置
KR20230116460A (ko) * 2022-01-28 2023-08-04 우진금속(주) 가공절연전선의 연긴선 장치
KR102668929B1 (ko) 2022-01-28 2024-05-24 우진금속(주) 가공절연전선의 연긴선 장치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2641637B1 (ko) 2022-02-11 2024-02-2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N115377912A (zh) * 2022-08-17 2022-11-22 云南电力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杆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296B1 (ko)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US20040149970A1 (en)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KR10184893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CN111600244A (zh) 一种装配式电缆沟线缆敷设装置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CN116345370B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电缆架设桥架结构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CN108736379B (zh) 一种电力施工导向架
CN102176613A (zh) 便携式智能电缆放线车
CN210763575U (zh) 一种电缆放线用拉紧机构
CN207896627U (zh) 一种电缆沟盖板
DE19833418A1 (de) Dreiphasige Wechselstromwicklung für einen Linearmotor
CN109696734B (zh) 一种基于车体的具有收卷调节功能的光缆警示带敷设设备
CN213906124U (zh) 一种电力电缆放线用敷设装置
KR102414890B1 (ko) 케이블 드럼용 이탈과 전복 방지용 언더롤러
CN212076041U (zh) 一种市政工程的线缆用放卷装置
JP2013046471A (ja) 呼び線の牽引装置及び呼び線の架け渡し方法
CN113086751A (zh) 一种灵活性高的弱电工程用线缆放线装置
KR101104807B1 (ko) 루프방식 가선공법
CN217656330U (zh) 一种电气电缆铺设装置
CN219106919U (zh) 一种地下管廊吊装式电缆敷设辅助装置
CN217650585U (zh) 一种防倾倒的电缆放线支架
CN216625109U (zh) 一种输变电工程施工用架设装置
CN214280732U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架线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