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84B1 -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84B1
KR101616484B1 KR1020150132750A KR20150132750A KR101616484B1 KR 101616484 B1 KR101616484 B1 KR 101616484B1 KR 1020150132750 A KR1020150132750 A KR 1020150132750A KR 20150132750 A KR20150132750 A KR 20150132750A KR 101616484 B1 KR101616484 B1 KR 10161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ron
driving means
platform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록
Original Assignee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3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에 장착되는 플랫폼과, 플랫폼에 설치되어 기설완철을 지지하는 기설완철지지장치와, 플랫폼에 설치되어 신설완철을 지지하는 신설완철지지장치 및 플랫폼에 설치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배전선임시지지애자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장착하는 공정과,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에 배치시키는 공정과, 기설완철지지장치에 기설완철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지지하는 공정과, 기설완철을 전주로부터 해체하는 공정과, 신설완철지지장치에 지지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고정하고, 배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공정 및,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로부터 철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완목 등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기설완철과 이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Method for changing power distribution line in hot line}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크레인의 붐에 장착되는 플랫폼에 좌우 한 쌍의 기설완철지지장치가 설치되고 후방측에 신설완철지지장치가 설치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가완목 등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기설완철과 이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는 지상에 설치되어 태양광과 풍우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절연피복이 손상되어 도전체가 노출되는 등의 노후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노후 가공 배전선로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는 교체하고자 하는 기존 가공 배전선로를 통한 배전을 차단한 정전 사선공법과 무정전 활선공법이 있다.
정전 사선공법은 교체하고자 하는 가공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사용가에 정전으로 인한 불편과 피해를 주기 때문에 무정전 활선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무정전 활선공법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320호(2005.03.18. 등록)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활선상태 전선이 가설된 상태의 각각의 전주 하부에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장착하는 작업구간내 고정수단 설치공정과; 고정장치를 경유하는 가공임시 폐전선을 이용한 임시선을, 인장주와 인장주 사이의 작업구간에 가설하는 임시선 가설공정과; 작업구간 외의 인장주측 활선단부에 임시선의 각 단부를 연결하고, 해당 구간내의 활선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바이패스공정과; 임시선과 작업구간외 활선의 연결부를 보호 및 커버 조치하는 방호공정과; 작업구간내 전주에 삼상에 해당하는 인장주 및 핀장주를 가설하고 이에 삼상의 전선을 가설하는 삼상가설 및 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의 삼상가설공정과; 바이패스된 임시선을 삼상전선에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고, 임시선을 삼상활선으로부터 단락하는 복귀공정과; 단락된 임시선 및 전주에 고정된 고정장치를 제거하는 해체공정으로 되어, 이들 각 공정을 인장주와 인장주 사이의 작업구간을 반복하는 공법으로서 단상선로를 삼상선로로 교체함은 물론 노후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 등의 활선 및 무정전 작업을 가능케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은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공사가 가능하며, 작업구간내의 차량 및 보행자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교체하고자 하는 배전선로의 각 전주에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임시선을 가설하고 삼상가설 및 전선교체, 완금교체, 장주변경의 삼상가설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임시선 거치용 고정장치를 철거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820호(2014.12.11. 등록)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가완목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전주에 연결된 전선을 가완목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로 이선하는 단계와, 가완목부 또는 전선지지부를 상향 이동시켜 전선을 핀완철에 기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로부터 이격시키고, 전선이 이선된 복수개의 전선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핀완철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핀완철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단계와, 전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복수개의 전선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신설라인포스트애자측으로 접근시키는 단계와, 전선을 전선지지부에서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라인포스트애자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가완목을 기설완철보다 낮은 위치에서 전주에 고정한 다음 전선을 가완목의 전선지지부로 이선한 다음, 기설완철로부터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가완목의 전선지지부에 이선되어 있던 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이선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 기설완철에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철거하고, 다시 기설완철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를 일일이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가 많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그만큼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여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9320호(2005.03.18. 등록)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820호(2014.12.11. 등록)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의 붐에 장착되는 플랫폼에 좌우 한 쌍의 기설완철지지장치가 설치되고 후방측에 신설완철지지장치가 설치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가완목 등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기설완철과 이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붐에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주가 삽입되는 전주삽임홈이 절취형성된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 상기 전주삽입홈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구동하는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 상에 설치되는 제1 승강구동수단,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1 승강대, 상기 승강대 상에 설치되어 기존완철을 지지하는 제1 완철홀더를 포함하는 기설완철지지장치와;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 전주삽입홈을 기준으로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 상기 제2 슬라이더 상에 설치되는 제2 승강구동수단,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2승강대, 상기 제2 승강대 상에 설치되어 신설완철을 지지하는 제2 완철홀더를 포함하는 신설완철지지장치와;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을 임시 지지하는 배전선임시지지애자;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장착하고, 제1 슬라이더와 제1 승강구동수단과 제1 승강대 및 제1 완철홀더를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에 의하여 후퇴시켜 양측 제1 완철홀더)의 사이가 전주 직경보다 큰 상태로 되도록 하고, 제2 슬라이더와 제2 승강구동수단과 제2 승강대 및 제2 완철홀더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가 전주삽입홈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되도록 하며, 제1 승강대와 제1 완철홀더를 제1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해두고, 제2 승강대와 제2 완철홀더를 제2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하며, 제2 완철홀더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가 설치된 신설완철을 지지하는 제1 공정과;
크레인을 가동시켜 붐에 장착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에 배치시켜 플랫폼의 전주삽입홈에 전주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공정과;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와 제1 승강구동수단과 제1 승강대 및 제1 완철홀더를 전진시켜 제1 완철홀더가 기설완철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제1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 승강대와 제1 완철홀더를 상승시켜 제1 완철홀더가 기설완철을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선이 배전선임시지지애자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3 공정과;
기설완철을 고정하고 있는 완철밴드와 어댑터 및 볼트/너트를 해체하여 기설완철을 전주로부터 분리하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에 대한 배전선의 결속을 해체하고,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와 제1 승강구동수단과 제1 승강대 및 제1 완철홀더를 후퇴시켜 제1 완철홀더와 이에 지지된 기설완철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가 전주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제1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제1 승강대와 제1 완철홀더를 하강시키는 제4 공정과;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와 제2 승강구동수단과 제2 승강대 및 제2 완철홀더를 전진시켜 제2 완철홀더에 지지된 신설완철이 전주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승강대와 제2 완철홀더를 상승시켜 제2 완철홀더에 지지된 신설완철이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이르도록 하며, 신설완철을 전주에 고정하며, 배전선임시지지애자에 지지되어 있던 배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제5 공정; 및
제2 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승강대와 제2 완철홀더를 하강시켜 제2 완철홀더이 신설완철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와 제2 승강구동수단과 제2 승강대 및 제2 완철홀더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가 전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크레인의 붐을 작동시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로부터 철수하는 제6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의하면, 크레인에 장착되는 플랫폼과, 플랫폼에 설치되어 기설완철을 지지하는 기설완철지지장치와, 플랫폼에 설치되어 신설완철을 지지하는 신설완철지지장치 및 플랫폼에 설치되어 배전선을 지지하는 배전선임시지지애자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장착하는 공정과,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에 배치시키는 공정과, 기설완철지지장치에 기설완철을 지지함과 아울러 배전선을 지지하는 공정과, 기설완철을 전주로부터 해체하는 공정과, 신설완철지지장치에 지지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고정하고, 배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공정 및,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로부터 철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완목 등을 설치하고 철거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기설완철과 이에 설치된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완철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전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장착하는 제1 공정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에 배치시키는 제2 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제1 완철홀더에 의하여 기설완철을 지지하고 배전선을 배전선임시지지애자에 지지하는 제3 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기설완철을 전주로부터 해체하는 제4 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제2 완철홀더에 지지된 신설완철을 기설완철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고정하고, 배전선임시지지애자에 지지되어 있던 배전선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제5 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로부터 철수하는 제6 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신설완철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교체되고 배전선이 신설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주(10)에 고정되는 기설완철(11)과, 기설완철(11)에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에 의하여 배전선(13)을 지지하는 배전선로에 적용한 것으로, 기설완철(11)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를 동시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장착, 부착, 결합 방식은 용접, 볼트와 너트의 체결, 볼트와 나사공의 체결 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기설완철지지장치(200)에 관한 설명에서 전주(10)를 기준으로 하여 전주(10)를 향하는 방향을 "전진방향"으로, 전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후퇴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C)의 붐(B)에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주(10)가 삽입되는 전주삽입홈(110)이 절취형성된 플랫폼(100)과;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상기 전주삽입홈(110)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를 슬라이드 구동하는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 상에 설치되는 제1 승강구동수단(230),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1 승강대(240), 상기 승강대(240) 상에 설치되어 기존완철(11)을 지지하는 제1 완철홀더(250)를 포함하는 기설완철지지장치(200)와;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전주삽입홈(110)을 기준으로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310), 상기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31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320), 상기 제2 슬라이더(310) 상에 설치되는 제2 승강구동수단(330),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2승강대(340), 상기 제2 승강대(340) 상에 설치되어 신설완철(21)을 지지하는 제2 완철홀더(350)를 포함하는 신설완철지지장치(300)와; 상기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13)을 임시 지지하는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랫폼(100)의 전주삽입홈(110)의 가장자리에는 전주(10)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함과 아울러 플랫폼(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가아드(12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랫폼(100)은 후단부를 크레인(C)에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용 브래킷(130)이 구비된다.
도시예에서는 장착용 브래킷(130)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크레인(C)의 붐(B)의 형태에 따라서 장착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을 크레인(C)에 장착하는 방법은 장착용 브래킷(13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크레인(C)의 붐(B에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슬라이더(210)는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이나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은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작동봉(222)의 선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210)에 결합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22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봉(222)의 선단에는 결합용 플랜지(223)를 구비하여 이 플랜지(223)를 제2 슬라이더(210)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230)은 상기 제1 슬라이더(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봉(232)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23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승강대(2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봉(232)의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233)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완철홀더(250)는 상기 제1 승강대(240)의 좌우 양단에 U자형으로 결합되어 기설완철(11)의 직하방으로부터 상승할 때 기설완철(11)이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완철홀더(250)의 바닥과 내벽면에는 전기절연피복(251)을 구비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제1 완철홀더(250)는 상기 제1 승강대(240)에 용접 또는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더(310)는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이나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320)은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작동봉(322)의 선단이 상기 제2 슬라이더(310)에 결합되는 리니어액튜에이터(32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더(310)는 상기 작동봉(322)의 선단에 구비된 플랜지(323)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330)은 상기 제2 슬라이더(31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봉(332)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3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승강대(3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봉(332)의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333)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완철홀더(350)는 상기 제2 승강대(340)의 전후 양단에 U자형으로 결합되어 신설완철(21)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완철홀더(350)의 바닥과 내벽면에는 전기절연피복(351)을 구비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제2 완철홀더(350)는 상기 제2 승강대(340)에 용접 또는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221, 231, 321, 331)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너트박스와 너트박스와의 나사작용으로 직선운동하는 스크루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221, 231, 321, 331)로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유압펌프 또는 공압펌프, 유압배관 또는 공압배관, 리저브탱크 등은 크레인에 구비된 것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는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와 동일한 라인포스트애자를 사용하며,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410)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은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C)의 붐(B)에 장착하는 제1 공정;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10)에 배치시키는 제2 공정과; 제1 완철홀더(250)에 의하여 기설완철(11)을 지지하고 배전선(13)을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하는 제3 공정과; 기설완철(11)을 전주(10)로부터 해체하는 제4 공정과; 제2 완철홀더(350)에 지지된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고정하고,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되어 있던 배전선(13)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제5 공정과;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와 기설완철(11) 및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를 전주(10)로부터 철수하는 제6 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한다.
[제1 공정]
이 공정에서는 장착용 브래킷(130)을 이용하여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C)의 붐(B)에 장착한다(도 5 참조).
이때, 크레인(C)의 붐(B)에는 장착용 브래킷(130)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크레인(C)의 붐(B)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특정하지 않고,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 공정에서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후퇴시켜 양측 제1 완철홀더(250)의 사이가 전주(10)의 직경보다 큰 상태로 되도록 하고, 제2 슬라이더(3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전주삽입홈(110)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해두고,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해둔다.
또한 제2 완철홀더(350)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가 설치된 신설완철(21)을 지지해둔다.
[제2 공정]
이 공정에서는 크레인(C)을 가동시켜 붐(B)에 장착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10)에 배치시킨다(도 6 참조).
이때, 플랫폼(100)의 선단부 중앙에는 전주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랫폼(100)의 대략 중앙부가 전주(10)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주삽입홈(110)의 가장자리에는 완충가아드(1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주(10)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함과 아울러 플랫폼(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가아드(120)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벌어지는 경사안내면(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주(10)가 플랫폼(100)의 전주삽입홈(1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3 공정]
이 공정에서는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전진시켜 제1 완철홀더(250)가 기설완철(11)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상승시켜 제1 완철홀더(250)가 기설완철(11)을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선(13)이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이때, 제1 완철홀더(250)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완철홀더(250)가 기설완철(11)의 직하방에서 상승할 때 기설완철(11)이 제1 완철홀더(250)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제4 공정]
이 공정에서는 기설완철(11)을 고정하고 있는 완철밴드와 어댑터 및 볼트/너트를 해체하여 기설완철(11)을 전주(10)로부터 분리하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에 배전선(13)을 결속하고 있던 정형바인드(Performed Insulator Ties)(미도시)를 해체하고,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후퇴시켜 제1 완철홀더(250)와 이에 지지된 기설완철(11)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가 전주(10)로부터 멀어지게 한다(도 8 참조).
이로써 추후 신설완철(21)을 기설완철(11)이 설치되었던 위치로 이동시킬 때 간섭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된다.
기설완철(11)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완철홀더(250)가 전주(1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또는 추후 신설완철(21)의 설치가 완료된 후 제2 완철홀더(350)와 함께 하강시킬 수도 있다.
[제5 공정]
이 공정에서는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320)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3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전진시켜 제2 완철홀더(350)에 지지된 신설완철(21)이 전주(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상승시켜 제2 완철홀더(350)에 지지된 신설완철(21)이 기설완철(11)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이르도록 하며, 신설완철(21)을 전주(10)에 고정한다(도 9 참조).
신설완철(21)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완철밴드와 어댑터 및 볼트/너트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한다.
또한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되어 있던 배전선(13)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에 이선하여 지지한다.
배전선(13)은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의 상단에 정형바인드(미도시)에 의하여 결속한다.
[제6 공정]
이 공정에서는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하강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신설완철(21)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2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전주(10)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도 10 참조).
아울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가 아직 하강하지 않은 상태이면,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C)의 붐(B)을 작동시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10)로부터 철수하면, 전주(10)에는 교체된 신설완철(21)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가 설치된 상태로 남게 되고,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에 배전선(13)이 지지된 상태로 된다( 도 1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장착하여 기설완철의 지지, 기설완철의 철거, 신설완철의 설치, 배전선의 이선 작업을 순차 진행할 수 있으며, 기설완철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를 신설완철과 신설라인포스트애자로 한 번에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활선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행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주 11 : 기설완철
12 : 기설라인포스트애자 13 : 배전선
21 : 신설완철 22 : 신설라인포스트애자
A :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
100 : 플랫폼 110 : 전주삽입홈
200 : 기설완철지지장치 210 : 제1 슬라이더
220 :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 230 : 제1 승강구동수단
240 : 제1 승강대 250 : 제1 완철홀더
300 : 신설완철지지장치 310 : 제2 슬라이더
320 :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 330 : 제2 승강구동수단
340 : 제2 승강대 350 : 제2 완철홀더

Claims (1)

  1. 크레인(C)의 붐(B)에 장착되며 선단부에 전주(10)가 삽입되는 전주삽입홈(110)이 절취형성되며 상기 전주삽입홈(110)의 가장자리에 완충가아드(120)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가아드(120)의 선단부에 전방으로 벌어지는 경사안내면(121)이 형성된 플랫폼(100)과;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상기 전주삽입홈(110)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를 슬라이드 구동하는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슬라이더(210) 상에 설치되는 제1 승강구동수단(230), 상기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1 승강대(240), 상기 승강대(240) 상에 설치되어 기존완철(11)을 지지하는 제1 완철홀더(250)를 포함하는 기설완철지지장치(200)와; 상기 플랫폼(100)의 상면에 전주삽입홈(110)을 기준으로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310), 상기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31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320), 상기 제2 슬라이더(310) 상에 설치되는 제2 승강구동수단(330), 상기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제2승강대(340), 상기 제2 승강대(340) 상에 설치되어 신설완철(21)을 지지하는 제2 완철홀더(350)를 포함하는 신설완철지지장치(300)와; 상기 플랫폼(100) 상에 설치되어 배전선(13)을 임시 지지하는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A)를 크레인(C)의 붐(B)에 장착하고,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후퇴시켜 양측 제1 완철홀더(250)의 사이가 전주(10)의 직경보다 큰 상태로 되도록 하고,
    제2 슬라이더(3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전주삽입홈(110)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되도록 하며,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해두고,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하강시켜 추후 상승시킬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하며,
    제2 완철홀더(350)에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가 설치된 신설완철(21)을 지지하는 제1 공정과;
    크레인(C)을 가동시켜 붐(B)에 장착된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를 전주(10)에 배치시켜 전주(10)가 상기 경사안내면(121)에 의하여 안내되어 삽입됨과 아울러 완충가아드(120)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됨과 아울러 플랫폼(10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플랫폼(100)의 전주삽입홈(110)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 공정과;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전진시켜 제1 완철홀더(250)가 기설완철(11)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상승시켜 U자형으로 형성된 제1 완철홀더(250)가 기설완철(11)을 자연스럽게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배전선(13)이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3 공정과;
    기설완철(11)을 고정하고 있는 완철밴드와 어댑터 및 볼트/너트를 해체하여 기설완철(11)을 전주(10)로부터 분리하고,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에 대한 배전선의 결속을 해체하고, 제1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1 슬라이더(210)와 제1 승강구동수단(230)과 제1 승강대(240) 및 제1 완철홀더(250)를 후퇴시켜 제1 완철홀더(250)와 이에 지지된 기설완철(11)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12)가 전주(10)로부터 멀어지게 하며, 제1 승강구동수단(230)에 의하여 제1 승강대(240)와 제1 완철홀더(250)를 하강시키는 제4 공정과;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320)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3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전진시켜 제2 완철홀더(350)에 지지된 신설완철(21)이 전주(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상승시켜 제2 완철홀더(350)에 지지된 신설완철(21)이 기설완철(11)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이르도록 하며, 신설완철(21)을 전주(10)에 고정하며, 배전선임시지지애자(400)에 지지되어 있던 배전선(13)을 신설라인포스트애자(22)에 이선하여 지지하는 제5 공정; 및
    제2 승강구동수단(330)에 의하여 제2 승강대(340)와 제2 완철홀더(350)를 하강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신설완철(21)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2 슬라이딩구동수단(220)에 의하여 제2 슬라이더(210)와 제2 승강구동수단(330)과 제2 승강대(340) 및 제2 완철홀더(350)를 후퇴시켜 제2 완철홀더(350)가 전주(10)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크레인(C)의 붐(B)을 작동시켜 크레인(C)의 붐(B)을 작동시켜 기설완철(11)과 기설라인포스트애자(21)가 제1 완철홀더(250)에 지지되어 있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장치(A)를 전주(10)로부터 철수하는 제6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20150132750A 2015-09-21 2015-09-21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61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50A KR101616484B1 (ko) 2015-09-21 2015-09-21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750A KR101616484B1 (ko) 2015-09-21 2015-09-21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484B1 true KR101616484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750A KR101616484B1 (ko) 2015-09-21 2015-09-21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4227A (zh) * 2016-07-29 2016-10-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州市供电公司 绝缘子串组装平台
KR101794296B1 (ko) * 2017-01-23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WO2018070593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2159961B1 (ko) *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CN112186621A (zh) * 2020-09-01 2021-01-05 李月英 一种特高压输电线高空作业平台
KR102584839B1 (ko) * 2023-01-26 2023-10-0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의 교체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997A (ja) * 1993-05-24 1995-05-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電作業用ロボットシステム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KR100479320B1 (ko) 2003-02-18 2005-03-25 우창전력(주)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20140081139A (ko) * 2012-12-21 2014-07-01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997A (ja) * 1993-05-24 1995-05-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電作業用ロボットシステム
KR20000049242A (ko) * 1996-10-18 2000-07-25 하시모토 신이치 활선작업용 로봇차
KR100479320B1 (ko) 2003-02-18 2005-03-25 우창전력(주)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20140081139A (ko) * 2012-12-21 2014-07-01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473820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150087779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4227A (zh) * 2016-07-29 2016-10-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州市供电公司 绝缘子串组装平台
WO2018070593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1794296B1 (ko) * 2017-01-23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전선교체용 배전선로의 연결클램간
KR102159961B1 (ko) *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CN112186621A (zh) * 2020-09-01 2021-01-05 李月英 一种特高压输电线高空作业平台
KR102584839B1 (ko) * 2023-01-26 2023-10-05 (주)호반엔지니어링 변압기의 교체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484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1344289B1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631916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0815836B1 (ko) 폴 클램프 및 폴 크러셔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콘크리트전주의 무정전 커팅 교체 시공법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1692639B1 (ko) 송전선로 애자련 교체 장치 및 교체 방법
KR101864309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CN105186370B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CN105633859A (zh) 一种悬空输电线路上线装置
CN205791238U (zh) 一种10kV配网线路直线段三相导线带电提升器
KR10258434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CN201981995U (zh) 一种单柱设备检修抱杆梯
CN218732775U (zh) 一种绝缘子更换作业的地电位线缆顶升机构
KR100819141B1 (ko) 다기능 무정전 보수작업차 및 다기능 무정전 보수작업차를이용한 무정전공법
KR10226653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KR101043559B1 (ko) 절연 폴과 완철 홀더를 이용한 전선 가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
CN106744567B (zh) 一种检修隧道电缆的抬升装置
CN114725829A (zh)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方法
KR20010084955A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CN103825222A (zh) 一种带电更换220kV窄基塔耐张绝缘子串用工具
CN210798461U (zh) 一种快速组立电力电杆设备
CN210041107U (zh) 一种35kv线路单杆瓷横担抢修工具
CN102510029A (zh) 一种地电位带电调换杆刀装置的方法
CN105932602B (zh) 三相导线带电提升器及采用该提升器更换绝缘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