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535B1 -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535B1
KR102266535B1 KR1020210007994A KR20210007994A KR102266535B1 KR 102266535 B1 KR102266535 B1 KR 102266535B1 KR 1020210007994 A KR1020210007994 A KR 1020210007994A KR 20210007994 A KR20210007994 A KR 20210007994A KR 102266535 B1 KR102266535 B1 KR 10226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able
iron
pole
line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21000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좌우측케이블이 밑으로 처지지 않아 좌우측케이블 간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단락 및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장발생시 좌우측케이블을 차단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Power cut-off system fault section of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공배전선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크레인이나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해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좌우측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 및 좌우측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우측케이블이 밑으로 처지지 않아 좌우측케이블 간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단락 및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장발생시 좌우측케이블을 차단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도로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에 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해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배전선을 전주의 상부로 인상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크레인 또는 작업버킷이 구비된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완철과 배전선 및 라인포스트애자를 개별적으로 인상하면서, 작업버킷에 탑승한 작업자가 인수하여 준주에 한 쌍의 완철을 고정하고,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고정한 다음, 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고정지지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가 고소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한 쌍의 C자형 완철밴드를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감고, 절곡부에 밴드조임볼트를 관통시켜 밴드조임너트를 체결하여 한 쌍의 C자형 완철밴드가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조여져 고정되게 하고, 한 쌍의 완철밴드에 결합된 평철에 좌우측완철을 대고, 완철과 펼철에 완철고정볼트를 관통시켜 완철고정너트를 체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4개의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완철밴드와 평철과 밴드조임볼트와 밴드조임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완철고정볼트와 완철고정너트만으로 완철을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또한 완철고정볼트와 완철고정너트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전주의 상단부까지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724호(2019.02.1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전주에 근접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가 설치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부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유압 로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되는 인상용 도르레; 상기 전력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상용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도르레만으로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인상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인력을 적게 들이면서도 도심지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전력 케이블의 인상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인상하여 교체 구간의 배전선로를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전력 케이블을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크레인과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고소에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주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배전선의 좌측부분 또는 우측부분에서 고장이 검출되는 경우 배전선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의 차단이 필요하지만 배전선이 하나의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전선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을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부분 중 어느 한 쪽에서 발생한 고장이 다른 쪽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고장이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9961호(2020.09.2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전주와, 전주에 고정되는 좌우측완철과, 상기 좌우측완철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되는 케이블 및, 우측완철 측에서 좌우측완철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와, 좌측완철에 용접되어 상기 완철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완철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좌측밀착홈이 형성된 좌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측완철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우측밀착홈이 형성된 우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완철은 우측완철과 좌측완철에 완철고정볼트를 관통시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좌측완철에 용접고정된 완철고정너트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좌측완철고정블록의 좌측밀착홈이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 좌반부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완철고정블록의 우측밀착홈이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 우반부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케이블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을 전주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승강장치는 좌우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전주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승강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에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씩의 좌우측롤러지지대와;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주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좌우측승강롤러와; 상기 좌우측승강롤러를 전주의 외주면으로 탄성가압하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좌우측승강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와; 상기 좌우측밀대의 전주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와, 상기 좌우측밀대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를 돌리는 렌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렌치수단은 각각 우측밀대판 상에 장착되는 렌치모터와, 상기 렌치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을 가지는 렌치부를 포함하여 되어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지상에서 준비할 때에는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 사이의 거리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배전선을 고정하게 되고, 전주의 상부로 인상되고 좌우측완철이 전주에 고정되었을 때에는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 사이의 거리가 좁아진 상태로 되므로 배전선이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 사이에서 밑으로 처지게 되어 그 처진 부분이 완철에 근접하게 되어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전선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준비할 때 배전선을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고정하지 않고, 전주의 상부로 인상되고 좌우측완철이 전주에 고정된 후에 배전선을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고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작업자가 작업트럭의 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에서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배전선을 고정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고소작업에 의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의 상단부로 인상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724호(2019.02.1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9961호(2020.09.2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상에서 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부에 배전선을 고정하면서도 배전선이 좌우측 라인포스트애자 사이에서 처지지 않아 배전선과 완철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단락 및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발생시 좌우측케이블을 차단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좌우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결합된 좌우측완철과, 상기 좌우측완철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되는 케이블 및, 우측완철 측에서 좌우측완철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와, 좌측완철에 용접되어 상기 완철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와, 상기 좌우측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케이블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을 전주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는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의 좌우측승강베이스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와; 상기 좌우측밀대의 전주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와, 상기 좌우측밀대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를 돌리는 렌치수단;을 포함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좌측케이블절연피복의 우단 일부가 박리되어 좌측케이블도체가 노출된 좌측케이블과 우측케이블절연피복의 좌단 일부가 박리되어 우측케이블도체가 노출된 우측케이블로 분리하고, 상기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결합되어 좌우측케이블절연피복이 고정됨과 아울러 좌우측케이블도체가 접속되는 좌우측커넥터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지상에서 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부에 배전선을 고정하면서도 배전선이 좌우측 라인포스트애자 사이에서 처지지 않아 배전선과 완철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단락 및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고장발생시 좌우측케이블을 차단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주,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과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완철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케이블이 지지된 라인포스트애자가 고정된 완철이 완철홀더에 거치되고, 완철에 완철고정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밀대와 렌치수단이 1단계 전진하여 욱각렌치홀에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완철홀더와 밀대가 맞닿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 및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이 전주의 상단부로 상승되고, 밀대와 랜치수단 및 완철홀더가 전진하여 완철고정편이 전주에 밀착되고, 완철고정볼트가 랜치수단에 회전하여 완철고정너트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밀대와 렌치수단이 후퇴하여 육각렌치홈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0은 전주,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과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 및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커넥터의 확대 종단정면도이다.
도 13은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커넥터에 의해 케이블이 지지된 라인포스트애자가 고정된 완철이 완철홀더에 거치되고, 완철에 완철고정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밀대와 렌치수단이 1단계 전진하여 렌치홀에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완철홀더와 밀대가 맞닿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 및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이 전주의 상단부로 상승되고, 밀대와 랜치수단 및 완철홀더가 전진하여 완철고정편이 전주에 밀착되고, 완철고정볼트가 랜치수단에 회전하여 완철고정너트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밀대와 렌치수단이 후퇴하여 육각렌치홈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바와 같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여 이러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선행기술 2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9961호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10)와, 전주(10)에 고정되는 좌우측완철(20, 30)과, 상기 좌우측완철(20, 30)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라인포스트애자(40, 50)에 지지되는 케이블(60) 및, 우측완철(30) 측에서 좌우측완철(20, 30)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71)와, 좌측완철(20)에 용접되어 상기 완철고정볼트(71)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7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완철(2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좌측밀착홈(110)이 형성된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측완철(3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우측밀착홈(210)이 형성된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좌우측완철(20, 30)은 우측완철(30)과 좌측완철(20)에 완철고정볼트(71)를 관통시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좌측완철(20)에 용접고정된 완철고정너트(7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의 좌측밀착홈(1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좌반부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의 우측밀착홈(2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우반부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인포스트애자(40, 50)는 하단에 구비된 나사봉을 좌우측완철(20, 30)에 상하로 관통시키고,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완철(20, 3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은 좌우측완철(20, 30)과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300, 400)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는 좌우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전주(10)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씩의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와;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좌우측승강롤러(330, 430)와;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전주(10)의 외주면으로 탄성가압하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과;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회전구동하는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20)에는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과,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연장형성되는 좌우측지지벽(312, 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은 각각 우측과 좌측에 형성되어 전주(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우측절취부(313, 313)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은 8각형 부재를 전후 연부의 중간에서 좌우로 반분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벽(312, 412)은 가장자리에는 전후벽(w11, w21, w12, w22)과 좌우벽(w13, w23)과 좌대각벽(w14, w24) 및 우대각벽(w15, w25)을 가지며, 전후벽(w11, w21, w12, w22)의 중간에서 좌우로 분할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는 전후벽(w11, w21, w12, w22)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편(314, 414)을 맞대어 결합볼트(B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는 각각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321, 42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을 연결하는 연결편(322, 422)에 의하여 위에서 볼 때 전주(10)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322, 422)에는 안내봉(323, 423)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벽(312, 412)중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는 상기 안내봉(323, 423)이 관통 안내되는 안내공(324, 424)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재 축부(331, 431)와, 상기 금속재 축부(331, 431)가 매설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 사이에 삽입되는 우레탄롤러부(332, 432)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재 축부(331, 431)는 우레탄롤러부(332, 4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되도록 하며, 금속재 축부(331, 43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우레탄롤러부(332, 432)에 매설되어 금속재 축부(331, 431)와 우레탄롤러부(332, 432)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은 상기 안내봉(323, 423)에 권취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의 연결편(322. 422)과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 지지된다.
상기 안내봉(323, 423)이 상기 안내공(324, 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에 이탈방지너트(325, 425)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봉(323, 423)이 상기 안내공(324, 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c링 또는 e링 등의 이탈방지링을 끼우거나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핀공을 천공하고 스플릿핀을 끼울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롤러구동모터(350, 450)는 상기 좌우측 롤러지지대(320, 420)의 지지편(321, 421)에 장착되며, 모터축(도시생략)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의 금속재 축부(331, 431)에 결합된다.
모터축과 금속재 축부(331, 431)의 결합은 통상적인 축간이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521, 621)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530, 63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의 전주(10)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71)를 돌리는 렌치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과,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토퍼(513, 613)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봉(512, 61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나사봉이 상기 좌우측작동봉(521, 621)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의 좌우측작동봉(521, 621)은 좌우측밀대판(531, 63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좌우측밀대판(531, 631)과 좌우측작동봉(521, 621)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좌우측밀대판(531, 631)에 덧대어지는 보강편(535, 635)에 결합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의 높이를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높이와 맞추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에 부착되는 마운트(522, 622)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는 좌우측밀대판(531, 631)과, 상기 좌우측밀대판(531, 63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32, 63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는 좌우측홀더판(541, 641)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42, 642)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상면 전후측에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의 전후단부가 삽입되는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는 전후단이 막힌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은 상부로만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에는 좌우측완철(20, 30)의 하단의 나사봉과 너트가 삽입되는 간섭방지절취부(544, 644)가 형성된다.
상기 렌치수단(650)은 각각 우측밀대판(631) 상에 장착되는 렌치모터(651)와, 상기 렌치모터(651)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을 가지는 렌치부(652)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완 렌치모터(651)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우측완철(20, 30)과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은 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하단에 구비된 나사봉을 좌우측완철(20, 30)에 상하로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완철(20, 30)에 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단에 케이블(60)을 결속하여 고정한 상태로 준비한다.
또한 좌우측완철(20, 30)에는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을 나사체결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좌측완철(20)에는 완철고정너트(72)를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며, 우측완철(30)에는 완철고정볼트(71)를 끼운 상태로 준비한다.
좌우측승강장치(300, 400)는 좌측승강베이스(310), 좌측롤러지지대(320), 좌측승강롤러(330), 좌측압축코일스프링(340), 좌측승강구동모터(350)가 결합된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베이스(410), 우측롤러지지대(420), 우측승강롤러(430), 우측압축코일스프링(440), 우측승강구동모터(450)가 결합된 우측승강장치(400)가 분리된 상태로 준비한다.
이에 따라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도 좌우로 분리되므로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 또한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로 분리된 상태로 준비된다.
도 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가 결합되고,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밀대(530)와 좌측완철홀더(540)는 좌측으로, 우측밀대(630)와 우측완철홀더(640)는 우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준비한다.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를 전주(10)의 하단부 좌측에 위치시키고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를 전주(10)의 하단부 우측에 위치시킨다.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에 형성된 결합편(314, 414)을 맞대어 결합볼트(B1)와 결합너트(N1)로 결합하여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장치(400)가 결합되고, 아울러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때,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3)의 탄성가압력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아울러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 사이에는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와 완철고정너트(7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다[도 4참조].
케이블(60)이 지지된 좌측라인포스트애자(40)가 고정되고 완철고정너트(72)가 용접고정되어 있는 좌측완철(20)을 좌측완철홀더(540)에 삽입하고, 케이블(60)이 지지된 우측라인포스트애자(50)가 고정되고 완철고정볼트(71)가 관통된 우측완철(30)을 우측완철홀더(640)에 삽입한다[도 5 참조].
이때,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 사이에는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와 완철고정너트(7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좌우측완철(20, 30)을 삽입하는 데에 지장이 없게 된다[도 5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전진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맞닿게 된다.
이때, 우측밀대(630)에 장착된 렌치수단(650)이 전진하면서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가 렌치부(652)의 육각렌치홈에 삽입된다[도 6 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면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고 있으므로 전주(1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좌우측승강장치(300, 400)가 상승하게 되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가 상승하여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이 상승하게 되고, 전주(10)의 상단부의 설치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정지되면 그 자리에서 정지된다.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전주(10)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이에 삽입된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 방향으로 전진시켜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의 좌우측밀착홈(110, 210)이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렌치모터(651)가 조임방향으로 가동되면 렌치부(652)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육각렌치홈에 머리부가 삽입되어 있는 완철고정볼트(71)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완철(20)에 고정되어 있는 완철고정너트(72)에 체결되어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이 조여지게 되고, 좌우측밀착홈(110, 210)이 전주(10)의 외주면 좌우반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좌우측완철(20, 30)이 전주(10)에 고정된다[도 7 참조].
이로써 전주(10)에 대한 좌우측완철(20, 30)의 고정이 완료된다.
다음,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후퇴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후퇴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로부터 이격된다[도 8 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면,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술한 상승작동시와 반대로 하강하게 된다[도 9 참조].
이때, 좌우측완철(20, 30)이 삽입되어 있던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는 좌우측완철(20, 3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하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후퇴방향으로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후퇴하게 되고, 작업자에 의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가 후퇴되면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결합볼트(B1)와 결합너트(N1)를 해체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장치(400),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분리할 수 있다[도 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주(10)의 하단부에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준비 과정에서 케이블(60)을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단에 구비된 케이블고정구(41, 51)에 절속끈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케이블(60)이 고정되는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사이의 간격이 넓은 상태[도 5 및 도 6 참조]로 되고, 전주(10)의 상단부로 상승하여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에 고정하는 고정에서는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사이의 간격이 좁은 상태[도 7 내지 도 9 참조]로 되므로 케이블(60)이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사이에서 처짐이 발생[도 7 내지 도 9 참조]하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60)과 좌우측완철(20, 30) 사이의 절연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절연불량에 따른 단락 및 감전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 전주(10)의 하단부에서 준비하는 과정에서 케이블(60)을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에 고정하지 않고, 케이블고정구(41, 51)에 단순히 걸쳐놓은 상태로 준비하는 경우, 상술한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겠으나, 상승 과정에서 케이블(60)이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케이블고정구(41, 51)에서 이탈하게 되어 케이블(60)을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전주(10)의 상단부에서 케이블(60)을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케이블고정구(41, 51)에 고정하는 고소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케이블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고 추가적인 고소작업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을 좌측케이블(60L)과 우측케이블(60R)로 분리하고, 상기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단에 좌우측커넥터(700, 800)를 구비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케이블(60L)은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의 우단 일부를 박리하여 좌측케이블도체(62L)가 노출되게 구성되며, 우측케이블(60R)은 우측케이블절연피복(61R)의 좌단 일부를 박리하여 우측케이블도체(62R)가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좌측커넥터(700)는 상기 좌측라인포스트애자(4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면에 형성되어 좌반부에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좌측하부고정반원홈(711)이 구비된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상기 좌측하부절연재(710)의 상면에 하면이 맞닿게 결합되며 하면에 형성되어 우반부에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좌측상부고정반원홈(721)이 구비된 좌측상부절연재(720)와, 상기 좌측하부고정반원홈(711)의 우반부에 삽입되며 좌측 상면에 좌측케이블도체(62L)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좌측하부접속반원홈(731)이 형성되고 우측에 반원형 단면의 좌측하부접속봉(732)이 구비된 좌측하부접속재(730)와, 상기 좌측상부고정반원홈(721)의 우반부에 삽입되며 좌측 하면에 좌측케이블도체(62L)의 외주면 상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좌측상부접속반원홈(741)이 형성되고 우측에 반원형 단면의 좌측상부접속봉(742)이 구비된 좌측상부접속재(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하부접속재(730)와 좌측상부접속재(740)는 각각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에는 전후부에 복수개의 결합편(712, 722)가 형성되고, 이 복수개의 결합편(712, 722)에 결합볼트(75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752)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은 좌측하부고정반원홈(711)과 좌측상부고정반원홈(72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됨과 아울러 결합볼트(751)와 결합너트(752)에 의하여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를 결합할 때, 좌측하부접속재(730)와 좌측상부접속재(740)도 조여지면서 좌측하부접속반원홈(731)과 좌측상부접속반원홈(741) 사이에 좌측케이블도체(62L)가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되어 좌측케이블(60L)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좌측커넥터(7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우측커넥터(800)는 상기 우측라인포스트애자(5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면에 형성되어 우반부에 우좌측케이블절연피복(61R)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우측하부고정반원홈(811)이 구비된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상기 우측하부절연재(810)의 상면에 하면이 맞닿게 결합되며 하면에 형성되어 우반부에 우측케이블절연피복(61R)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우측상부고정반원홈(821)이 구비된 우측상부절연재(820)와, 상기 우측하부고정반원홈(811)의 좌반부에 삽입되며 우측에 우측케이블도체(62R)의 외주면 하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우측하부접속반원홈(831)이 형성되고 좌측에 상기 좌측하부접속봉(732)이 삽입되는 우측하부접속반원관(832)이 구비된 우측하부접속재(830)와, 상기 우측상부고정반원홈(821)의 좌반부에 삽입되며 우측에 우측케이블도체(62R)의 외주면 상반부가 삽입고정되는 우측상부접속반원홈(841)이 형성되고 좌측에 상기 좌측상부접속봉(742)이 삽입되는 우측상부접속반원관(842)이 구비된 우측상부접속재(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하부접속재(830)와 우측상부접속재(840)는 각각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우측상부절연재(8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우측상부절연재(820)에는 전후부에 복수개의 결합편(812, 822)이 형성되고, 이 복수개의 결합편(812, 822)에 결합볼트(85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852)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좌측하부절연재(810)와 좌측상부절연재(8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우측케이블절연피복(61R)은 우측하부고정반원홈(811)과 우측상부고정반원홈(82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됨과 아울러 결합볼트(851)와 결합너트(852)에 의하여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우측상부절연재(820)를 결합할 때, 우측하부접속재(830)와 우측상부접속재(840)도 조여지면서 우측하부접속반원홈(831)과 우측상부접속반원홈(841) 사이에 우측케이블도체(62R)가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되어 우측케이블(60R)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우측커넥터(80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주(10)의 하단부에서의 준비과정과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대한 좌우측완철(20, 30)의 삽입과정, 완철고정볼트(71)의 삽입과정, 전주(10)의 상단부로의 상승과정, 전주(10)에 대한 좌우측완철(20, 30)의 고정과정, 전주(10)의 하단부로의 하강과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준비과정에서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의 외주면 하반부와 상반부를 각각 좌측하부고정반원홈(711)과 좌측상부고정반원홈(721)에 삽입하고, 좌측케이블도체(62L)의 외주면 하반부와 상반부를 각각 좌측하부접속반원홈(731)과 좌측상부접속반원홈(7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의 결합편(712, 722)에 결합볼트(75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752)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좌측하부절연재(710)와 좌측상부절연재(720)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좌측케이블절연피복(61L)이 좌측하부고정반원홈(711)과 좌측상부고정반원홈(72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하고, 좌측케이블도체(62L)가 좌측하부접속반원홈(731)과 좌측상부접속반원홈(74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한다.
또한 우측케이블절연피복(61R)의 외주면 하반부와 상반부를 각각 우측하부고정반원홈(811)과 우측상부고정반원홈(821)에 삽입하고, 우측케이블도체(62R)의 외주면 하반부와 상반부를 각각 우측하부접속반원홈(831)과 우측상부접속반원홈(8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우측상부절연재(820)의 결합편(812, 822)에 결합볼트(85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852)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우측하부절연재(810)와 우측상부절연재(820)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우측케이블절연피복(61R)이 우측하부고정반원홈(811)과 우측상부고정반원홈(82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하고, 우측케이블도체(62R)가 우측하부접속반원홈(831)과 우측상부접속반원홈(841)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조여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좌우측완철(20, 30)을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삽입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라인포스트애자(40)의 상단에 구비된 좌측커넥터(700)는 좌측하부접속봉(732)과 좌측상부접속봉(742)이 우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우측커넥터(800)는 우측하부접속반원관(832)과 우측상부접속반원관(842)의 좌단이 좌측으로 개구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12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전주(10)의 상단부로 상승시킨 다음,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애 의해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좌우측완철(20, 30)에 고정된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부에 구비된 좌우측커넥터(700, 800)에 각각 고정된 좌측케이블(60L)과 우측케이블(60R)이 서로 접근하면서 좌측하부접속봉(732)과 좌측상부접속봉(742)이 우측하부접속반원관(832)과 우측상부접속반원관(842)에 삽입되어 좌측케이블도체(62L)와 우측케이블도체(62R)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도 12의 (b) 참조].
따라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케이블(60L, 60R)이 밑으로 처지는 일이 없게 되어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케이블(60L, 60R) 간의 절연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단락 및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여 좌측케이블(60L)과 우측케이블(60R)을 차단하여야 할 경우, 도 13과 같이 준비한 상태에서 전주(10)의 상부로 상승시켜, 전주(10)의 상단부에 고정된 좌우측완철(20, 30)이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를 상술한 고정작동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완철고정볼트(71)가 완철고정너트(72)에서 분리되게 하고,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이에 삽입된 좌우측완철(20, 30)을 후퇴시키면, 좌우측완철(20, 30)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가 후퇴하게 되고,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커넥터(700, 800)가 후퇴하게 되어 좌측하부접속봉(732)과 좌측상부접속봉(742)이 우측하부접속반원관(832)과 우측상부접속반원관(842)에서 인출되어 좌측케이블(60L)과 우측케이블(60R)을 차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강시키면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좌우측커넥터(700, 800)를 지상으로 회수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의하면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시 좌우측케이블을 차단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작업버킷에 탑승하여 고소작업을 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주 20, 30 : 좌우측완철
40, 50 :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
100, 200 : 좌우측완철고정블록 300, 400 : 좌우측승강장치
500, 600 : 좌우측완철고정장치 700, 800 : 좌우측커넥터

Claims (1)

  1.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좌우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결합된 좌우측완철과, 상기 좌우측완철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되는 케이블 및, 우측완철 측에서 좌우측완철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와, 좌측완철에 용접되어 상기 완철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와, 상기 좌우측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케이블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강장치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을 전주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는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의 좌우측승강베이스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와; 상기 좌우측밀대의 전주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와, 상기 좌우측밀대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를 돌리는 렌치수단;을 포함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좌측케이블절연피복의 우단 일부가 박리되어 좌측케이블도체가 노출된 좌측케이블과 우측케이블절연피복의 좌단 일부가 박리되어 우측케이블도체가 노출된 우측케이블로 분리하고,
    상기 좌우측의 라인포스트애자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 좌우측케이블이 연결되는 좌우측커넥터를 구비하며,
    좌우측완철의 좌우측완철고정블록이 전주에 밀착되지 않는 전주의 하단부에서의 준비과정과 전주의 상단부로의 상승과정과 및 전주의 하단부로의 하강과정에서는 좌우측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며,
    전주의 상단부로의 상승후 좌우측완철고정장치에 의해 좌우측완철의 좌우측완철고정블록이 전주에 밀착되었을 때 좌우측커넥터가 접속되어 좌우측케이블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좌우측의 라인포스트애자 사이에서 좌우측케이블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KR1020210007994A 2021-01-20 2021-01-20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KR10226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94A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1-20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94A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1-20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535B1 true KR102266535B1 (ko) 2021-06-18

Family

ID=7662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94A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1-20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6619A (zh) * 2021-06-25 2021-10-01 沈阳达能电安全高新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监测设备远程智能诊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19B1 (ko) * 2015-03-06 2016-02-26 배재범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9-02-15 주식회사 브이앤피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019B1 (ko) * 2015-03-06 2016-02-26 배재범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9-02-15 주식회사 브이앤피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9-25 이정국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6619A (zh) * 2021-06-25 2021-10-01 沈阳达能电安全高新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监测设备远程智能诊断装置
CN113466619B (zh) * 2021-06-25 2024-01-23 沈阳达能电安全高新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输电线路监测设备远程智能诊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4197B2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2159961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CA2653812C (en)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US20140217245A1 (en)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US7977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temporary conductor tension support i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circuits
KR101692639B1 (ko) 송전선로 애자련 교체 장치 및 교체 방법
KR101616484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226653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CN105633859A (zh) 一种悬空输电线路上线装置
CN103681142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KR101721838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접지단로장치
CN107221426B (zh) 配电变压器成套高压引下装置自动化生产平台
CN106785942B (zh) 高压熔断器作业保护装置以及高压熔断器防触电作业方法
JPH02307309A (ja) 活線作業用配電線支持装置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SU17147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мены опор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WO1997006905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wires
EP206478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temporary conductor tension support i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circuits
CN112332130B (zh) 一种接地棒的接地线拨引装置
CN214280732U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架线施工装置
US10962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mporary support and a means for relocating energized electrical conductors
JP6486438B1 (ja) トロリー線引上装置及び設置位置調整方法
CA2558681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temporary conductor tension support i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