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961B1 -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61B1
KR102159961B1 KR1020200004137A KR20200004137A KR102159961B1 KR 102159961 B1 KR102159961 B1 KR 102159961B1 KR 1020200004137 A KR1020200004137 A KR 1020200004137A KR 20200004137 A KR20200004137 A KR 20200004137A KR 102159961 B1 KR102159961 B1 KR 10215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hole
wancheol
electric pole
fix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국
Original Assignee
이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2020000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에 관한 것으로,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Power distribution line with power cabl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공배전선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크레인이나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배전선로는 도로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에 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배전선을 전주의 상부로 인상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크레인 또는 작업버킷이 구비된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완철과 배전선 및 라인포스트애자를 개별적으로 인상하면, 작업버킷에 탑승한 작업자가 인수하여 전주에 한 쌍의 완철을 고정하고,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고정한 다음 배전선을 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작업이 번거롭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한 쌍의 완철밴드를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감고, 절곡부에 밴드조임볼트를 관통시켜 밴드조임너트를 체결하여 한 쌍의 완철밴드가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조여져 고정되게 하고, 한 쌍의 완철밴드에 결합된 평철에 좌우측 완철을 대고 완철과 평철에 완철고정볼트를 관통시켜 완철고정너트를 체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완철을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4개의 볼트와 4개의 너트를 조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에는 완철밴드와 평철과 밴드조임볼트와 밴드조임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완철고정볼트와 완철고정너트만으로 완철을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또한 완철고정볼트와 완철고정너트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전주의 상단부까지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724호(2019.02.1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은 전주에 근접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을 인상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로대가 설치된 제2 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유압력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단부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유압 로드;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 프레임 하면에 매달려 설치되는 인상용 도르레; 상기 전력 케이블이 거치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 상단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인상용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고정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유압 동력과 체인 동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단지 하나의 도르레만으로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인상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인력을 적게 들이면서도 도심지 등과 같은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전력 케이블의 인상 작업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인상하여 교체 구간의 배전선로를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전력 케이블을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전력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크레인과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고소에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724호(2019.02.15. 공고)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배전선로를 시공함에 있어서 크레인이나 작업차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주(10)와, 전주(10)에 고정되는 좌우측 완철(20, 30)과, 상기 좌우측 완철(20, 30)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라인포스트애자(40, 50)에 지지되는 케이블(60) 및, 우측완철(30) 측에서 좌우측완철(20, 30)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71)와, 좌측완철(20)에 용접되어 상기 위한 완철고정볼트(71)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72)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완철(2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좌측밀착홈(110)이 형성된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측완철(3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우측밀착홈(210)이 형성된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완철(20, 30)은 우측완철(30)과 좌측완철(20)에 완철고정볼트(71)를 관통시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좌측완철(20)에 용접고정된 완철고정너트(7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의 좌측밀착홈(1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좌반부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의 우측밀착홈(2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우반부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라인포스트애자(40, 50)는 하단에 구비된 나사봉을 좌우측완철(20, 30)에 상하로 관통시키고,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완철(20, 30)에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완철(20, 30)과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300, 400)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는 좌우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전주(10)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씩의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와;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좌우측승강롤러(330, 430)와;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전주(10)의 외주면으로 탄성가압하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과;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회전구동하는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20)에는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과,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연장형성되는 좌우측지지벽(312, 4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은 각각 우측과 좌측에 형성되어 전주(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우측절취부(313, 313)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는 각각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321, 42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을 연결하는 연결편(322, 422)에 의하여 위에서 볼 때 전주(10)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322, 422)에는 안내봉(323, 423)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벽(312, 412)의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는 상기 안내공(323, 423)이 관통 안내되는 안내공(324, 424)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재 축부(331, 431)와, 상기 금속재 축부(331, 431)가 매설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 사이에 삽입되는 우레탄롤러부(332, 432)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은 상기 안내봉(323, 423)에 권취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의 연결편(322. 422)과 좌우측지지벽(312, 412)의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봉(323, 423)이 상기 안내공(324, 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이탈방지너트(325, 425)가 체결되며,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521, 621)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530, 63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의 전주(10)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71)를 돌리는 렌치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과,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토퍼(513, 613)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봉(512, 612)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는 좌우측밀대판(531, 631)과, 상기 좌우측밀대판(531, 63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32, 632)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는 좌우측홀더판(541, 641)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42, 642)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상면 전후측에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의 전후단부가 삽입되는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는 전후단이 막힌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은 상부로만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에는 좌우측완철(20, 30)의 하단의 나사봉과 너트가 삽입되는 간섭방지절취부(544, 644)가 형성되며,
상기 렌치수단(650)은 각각 우측밀대판(631) 상에 장착되는 렌치모터(651)와, 상기 렌치모터(651)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을 가지는 렌치부(65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에 의하면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주,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과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완철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케이블이 지지된 라인포스트애자가 고정된 완철이 완철홀더에 거치되고, 완철에 완철고정볼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밀대와 렌치수단이 1단계 전진하여 렌치홀에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완철홀더와 밀대가 맞닿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 및 완철, 라인포스트애자, 케이블이 전주의 상단부로 상승되고, 밀대와 랜치수단 및 완철홀더가 전진하여 완철고정편이 전주에 밀착되고, 완철고정볼트가 랜치수단에 회전하여 완철고정너트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밀대와 렌치수단이 후퇴하여 랜치홈에서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승강장치와 완철고정장치가 전주의 하단부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는 전주(10)와, 전주(10)에 고정되는 좌우측 완철(20, 30)과, 상기 좌우측 완철(20, 30)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라인포스트애자(40, 50)에 지지되는 케이블(60) 및, 우측완철(30) 측에서 좌우측완철(20, 30)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71)와, 좌측완철(20)에 용접되어 상기 위한 완철고정볼트(71)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7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완철(2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좌측밀착홈(110)이 형성된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측완철(30)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우측밀착홈(210)이 형성된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좌우측완철(20, 30)은 우측완철(30)과 좌측완철(20)에 완철고정볼트(71)를 관통시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좌측완철(20)에 용접고정된 완철고정너트(7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좌측완철고정블록(100)의 좌측밀착홈(1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좌반부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완철고정블록(200)의 우측밀착홈(210)이 전주(10)의 상단부 외주면 우반부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인포스트애자(40, 50)는 하단에 구비된 나사봉을 좌우측완철(20, 30)에 상하로 관통시키고,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완철(20, 3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는 좌우측완철(20, 30)과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300, 400)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는 좌우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전주(10)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씩의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와;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좌우측승강롤러(330, 430)와;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전주(10)의 외주면으로 탄성가압하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과;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회전구동하는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20)에는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과,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연장형성되는 좌우측지지벽(312, 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은 각각 우측과 좌측에 형성되어 전주(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우측절취부(313, 313)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은 8각형 부재를 전후 연부의 중간에서 좌우로 반분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지지벽(312, 412)은 가장자리에는 전후벽(w11, w21, w12, w22)과 좌우벽(w13, w23)과 좌대각벽(w14, w24) 및 우대각벽(w15, w25)을 가지며, 전후벽(w11, w21, w12, w22)의 중간에서 좌우로 분할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는 전후벽(w11, w21, w12, w22)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편(314, 414)을 맞대어 결합볼트(B1)를 관통시키고 결합너트(N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는 각각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편(321, 42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을 연결하는 연결편(322, 422)에 의하여 위에서 볼 때 전주(10)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322, 422)에는 안내봉(323, 423)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벽(312, 412)중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는 상기 안내공(323, 423)이 관통 안내되는 안내공(324, 424)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금속재 축부(331, 431)와, 상기 금속재 축부(331, 431)가 매설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편(321, 421) 사이에 삽입되는 우레탄롤러부(332, 432)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재 축부(331, 431)는 우레탄롤러부(332, 43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되도록 하며, 금속재 축부(331, 43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돌기가 우레탄롤러부(332, 432)에 매설되어 금속재 축부(331, 431)와 우레탄롤러부(332, 432)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은 상기 안내봉(323, 423)에 권취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320, 420)의 연결편(322. 422)과 좌대각벽(w14, w24)과 우대각벽(w15, w25)에 지지된다.
상기 안내봉(323, 423)이 상기 안내공(324, 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에 이탈방지너트(325, 425)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봉(323, 423)이 상기 안내공(324, 4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c링 또는 e링 등의 이탈방지링을 끼우거나 안내봉(323, 423)의 단부에 핀공을 천공하고 스플릿핀을 끼울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롤러구동모터(350, 450)는 상기 좌우측 롤러지지대(320, 420)의 지지편(321, 421)에 장착되며, 모터축(도시생략)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330, 430)의 금속재 축부(331, 431)에 결합된다.
모터축과 금속재 축부(331, 431)의 결합은 통상적인 축간이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521, 621)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530, 63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의 전주(10)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71)를 돌리는 렌치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과,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한 쌍의 스토퍼(513, 613)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봉(512, 61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의 상면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나사봉이 상기 좌우측작동봉(521, 621)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의 좌우측작동봉(521, 621)은 좌우측밀대판(531, 63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좌우측밀대판(531, 631)과 좌우측작동봉(521, 621)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좌우측밀대판(531, 631)에 덧대어지는 보강편(535, 635)에 결합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의 높이를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높이와 맞추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판(511, 611)에 부착되는 마운트(522, 622)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밀대(530, 630)는 좌우측밀대판(531, 631)과, 상기 좌우측밀대판(531, 63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32, 63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는 좌우측홀더판(541, 641)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2, 612)에 안내되는 안내편(542, 642)과,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의 상면 전후측에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의 전후단부가 삽입되는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완철삽입부(543, 643)는 전후단이 막힌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좌우측완철(20, 30)은 상부로만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홀더판(541, 641)에는 좌우측완철(20, 30)의 하단의 나사봉과 너트가 삽입되는 간섭방지절취부(544, 644)가 형성된다.
상기 렌치수단(650)은 각각 우측밀대판(631) 상에 장착되는 렌치모터(651)와, 상기 렌치모터(651)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을 가지는 렌치부(652)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완 렌치모터(651)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우측완철(20, 30)과 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은 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하단에 구비된 나사봉을 좌우측완철(20, 30)에 상하로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완철(20, 30)에 라인포스트애자(40, 50)의 상단에 케이블(60)을 결속하여 고정한 상태로 준비한다.
또한 좌우측완철(20, 30)에는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을 나사체결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고, 좌측완철(20)에는 완철고정너트(72)를 용접에 의하여 고정하며, 우측완철(30)에는 완철고정볼트(71)를 끼운 상태로 준비한다.
좌우측승강장치(300, 400)는 좌측승강베이스(310), 좌측롤러지지대(320), 좌측승강롤러(330), 좌측압축코일스프링(340), 좌측승강구동모터(350)가 결합된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베이스(410), 우측롤러지지대(420), 우측승강롤러(430), 우측압축코일스프링(440), 우측승강구동모터(450)가 결합된 우측승강장치(400)가 분리된 상태로 준비한다.
이에 따라 좌우측승강베이스(310, 410)에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510, 610)도 좌우로 분리되므로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 또한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로 분리된 상태로 준비된다.
도 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가 결합되고,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밀대(530)와 좌측완철홀더(540)는 좌측으로, 우측밀대(630)와 우측완철홀더(640)는 우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준비한다.
좌측승강장치(300)와 좌측완철고정장치(500)를 전주(10)의 하단부 좌측에 위치시키고 우측승강장치(4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를 전주(10)의 하단부 우측에 위치시킨다.
좌우측승강베이스판(311, 411)에 형성된 결합편(314, 414)을 맞대어 결합볼트(B1)와 결합너트(N1)로 결합하여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장치(400)가 결합되고, 아울러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때,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3)의 탄성가압력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아울러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 사이에는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와 완철고정너트(7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다[도 4참조].
케이블(60)이 지지된 좌측라인포스트애자(40)가 고정되고 완철고정너트(72)가 용접고정되어 있는 좌측완철(20)을 좌측완철홀더(540)에 삽입하고, 케이블(60)이 지지된 우측라인포스트애자(50)가 고정되고 완철고정볼트(71)가 관통된 우측완철(30)을 우측완철홀더(640)에 삽입한다.
이때, 좌우측밀대(530, 630)와 좌우측완철홀더(540, 640) 사이에는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와 완철고정너트(7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좌우측완철(20, 30)을 삽입하는 데에 지장이 없게 된다[도 5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전진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에 맞닿게 된다.
이때, 우측밀대(630)에 장착된 렌치수단(650)이 전진하면서 완철고정볼트(71)의 머리부가 렌치부(652)의 육각렌치홈에 삽입된다[도 6 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면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좌우측승강롤러(330, 430)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340, 440)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고 있으므로 전주(1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좌우측승강장치(300, 400)가 상승하게 되며, 좌우측승강장치(300, 400)에 결합되어 있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500, 600)가 상승하여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40, 50) 및 케이블(60)이 상승하게 되고, 전주(10)의 상단부의 설치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정지되면 그 자리에서 정지된다.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전주(10)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좌우측완철홀더(540, 640)와 이에 삽입된 좌우측완철(20, 30)을 전주(10) 방향으로 전진시켜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의 좌우측밀착홈(110, 210)이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렌치모터(651)가 조임방향으로 가동되면 렌치부(652)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육각렌치홈에 머리부가 삽입되어 있는 완철고정볼트(71)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완철(20)에 고정되어 있는 완철고정너트(72)에 체결되어 좌우측완철(20, 30)과 좌우측완철고정블록(100, 200)이 조여지게 되고, 좌우측밀착홈(110, 210)이 전주(10)의 외주면 좌우반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좌우측완철(20, 30)이 전주(10)에 고정된다[도 7 참조].
이로써 전주(10)에 대한 좌우측완철(20, 30)의 고정이 완료된다.
다음,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후퇴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후퇴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로부터 이격된다[도 8 참조].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승강구동모터(350, 45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면, 좌우측승강롤러(330, 430)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술한 상승작동시와 반대로 하강하게 된다[도 9 참조].
이때, 좌우측완철(20, 30)이 삽입되어 있던 좌우측완철홀더(540, 640)는 좌우측완철(20, 3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하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원격조정에 의하여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520, 620)가 후퇴방향으로 작동되면 좌우측밀대(530, 630)가 후퇴하게 되고, 작업자에 의하여 좌우측완철홀더(540, 640)가 후퇴되면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결합볼트(B1)와 결합너트(N1)를 해체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승강장치(300)와 우측승강장치(400), 좌측완철고정장치(500)와 우측완철고정장치(600)가 분리할 수 있다[도 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에 의하면 좌측승강장치와 우측승강장치, 좌측완철고정장치와 우측완철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정에 의하여 전주에 완철을 고정하는 작업과, 완철에 라인포스트애자를 설치하는 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주 20, 30 : 좌우측완철
40, 50 : 좌우측라인포스트애자 60 : 케이블
71 : 완철고정볼트 72 : 완철고정너트
100, 200 : 좌우측완철고정블록 300 : 좌측승강장치
310, 320 : 좌우측승강베이스 320, 420 : 좌우측롤러지지대
330, 430 : 좌우측승강롤러 340, 440 :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
350, 450 : 좌우측승강구동모터 500, 600 : 좌우측완철고정장치
510, 610 :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 520, 620 :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
530, 630 : 좌우측밀대 540, 640 : 좌우측완철홀더
650 : 렌치수단

Claims (1)

  1. 전주와, 전주에 고정되는 좌우측 완철과, 상기 좌우측 완철에 각각 고정되는 라인포스트애자 및, 라인포스트애자에 지지되는 케이블 및, 우측완철 측에서 좌우측완철을 관통하는 완철고정볼트와, 좌측완철에 용접되어 상기 완철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완철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완철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좌측밀착홈이 형성된 좌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측완철의 전주대향면에는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의 테이퍼각도에 대응하는 우측밀착홈이 형성된 우측완철고정블록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완철은 우측완철과 좌측완철에 완철고정볼트를 관통시켜 돌리는 것에 의하여 좌측완철에 용접고정된 완철고정너트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좌측완철고정블록의 좌측밀착홈이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 좌반부에 밀착되고, 상기 우측완철고정블록의 우측밀착홈이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 우반부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전주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완철과 라인포스트애자 및 케이블을 승강시키는 좌우측승장장치와; 상기 좌우측승강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좌우측완철을 전주에 고정시키는 좌우측완철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측승강장치는 좌우에 배치되어 그 사이로 전주가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측승강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에 좌대각선방향 및 우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씩의 좌우측롤러지지대와;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주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좌우측승강롤러와; 상기 좌우측승강롤러를 전주의 외주면으로 탄성가압하는 좌우측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좌우측롤러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측승강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좌우측승강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완철고정장치는 상기 좌우측승강베이스에 각각 안착결합되는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각각 장착되며 좌우측작동봉이 출몰하는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좌우측리니어액튜에이터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좌우측밀대와; 상기 좌우측밀대의 전주 측에서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베이스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측완철홀더와, 상기 좌우측밀대에 장착되어 완철고정볼트를 돌리는 렌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렌치수단은 각각 우측밀대판 상에 장착되는 렌치모터와, 상기 렌치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완철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육각렌치홈을 가지는 렌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20200004137A 2020-01-13 2020-01-13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215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7A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1-13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7A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1-13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61B1 true KR102159961B1 (ko) 2020-09-25

Family

ID=7270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137A KR102159961B1 (ko) 2020-01-13 2020-01-13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538A (zh) * 2021-01-13 2021-05-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津县供电公司 配电线路杆上导线提升器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6-18 이원석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KR102332300B1 (ko) *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KR102575070B1 (ko) 2023-02-08 2023-09-06 (주)한동이엔지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KR102575069B1 (ko) 2023-02-08 2023-09-06 (주)한동이엔지 보수 작업이 편리한 안전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484B1 (ko) * 2015-09-21 2016-04-28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200480923Y1 (ko) * 2016-01-27 2016-07-22 권득윤 항공등용 승하강식 진입등주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9-02-15 주식회사 브이앤피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484B1 (ko) * 2015-09-21 2016-04-28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200480923Y1 (ko) * 2016-01-27 2016-07-22 권득윤 항공등용 승하강식 진입등주
KR101948724B1 (ko) 2016-11-14 2019-02-15 주식회사 브이앤피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538A (zh) * 2021-01-13 2021-05-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宁津县供电公司 配电线路杆上导线提升器
KR102266535B1 (ko) 2021-01-20 2021-06-18 이원석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KR102332300B1 (ko) *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KR102575070B1 (ko) 2023-02-08 2023-09-06 (주)한동이엔지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KR102575069B1 (ko) 2023-02-08 2023-09-06 (주)한동이엔지 보수 작업이 편리한 안전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961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를 이용한 배전선로
KR102246338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1955155B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US7216850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20150087779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692639B1 (ko) 송전선로 애자련 교체 장치 및 교체 방법
EP2561948A1 (de)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eines Flansch-Rohr-Flansch-Elementes mittels Rührreibschweissen
KR101616484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CN107293979B (zh) 互感器更换及装运辅助装置
KR10226653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전력 차단 시스템
CN111140022A (zh) 墙板安装装置和安装方法
KR102511390B1 (ko)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KR102241896B1 (ko)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US5323529A (en) Heat exchanger bundle extractor assembly and method
CN210209044U (zh) 一种用于接地极放热焊接的辅助装置
CN114856290B (zh) 一种拔除式废旧电杆拆除装置
GB2516471A (en) Clamping Wire Fence Material
CN220775345U (zh) 66千伏及以上电缆入井传导装置
JPS6047402B2 (ja) 連結すべき2つのレ−ル端部の継目間隔調整装置及びこれを取扱うための車輌
KR102584839B1 (ko) 변압기의 교체가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KR102510804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CN118040539A (en) Wire clamp assembly equipment for bridge circuit
CN212968423U (zh) 接地环安装装置及接地环安装机器人
KR102641637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