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04B1 -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04B1
KR102510804B1 KR1020220178087A KR20220178087A KR102510804B1 KR 102510804 B1 KR102510804 B1 KR 102510804B1 KR 1020220178087 A KR1020220178087 A KR 1020220178087A KR 20220178087 A KR20220178087 A KR 20220178087A KR 102510804 B1 KR102510804 B1 KR 10251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upport
pole
moving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7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부와 전신주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장치부를 구비하여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설치작업과 장치의 철수작업 및 변압기의 탈거작업을 변압기나 장치 및 작업자의 추락사고 없이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신주의 하단에서 설치위치로 상승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장치를 철수하거나 변압기를 탈거할 수 있고,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하여 주행장치와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여 전신주에 대한 장치의 승강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Electric pole fixing system for distribution lines connected to transformers}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에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설치작업과 장치의 철수작업 및 변압기의 탈거작업을 변압기나 장치 및 작업자의 추락사고 없이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신주의 하단에서 설치위치로 상승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장치를 철수하거나 변압기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고,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하여 주행장치와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여 전신주에 대한 장치의 승강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용 초고압변압기는 전력계통에 구성되어 발전소로부터 전압을 받아 변전소에서 승압 또는 감압을 통해 수용가가지 전력을 송배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용가 밀집 지역의 도로 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의 상부에는 특고압용 완철을, 그 하부에는 상용전압용 완철을 설치하며, 특고압용 완철에는 특고압(22,9kV)의 배전선을, 상용전압용 완철에는 상용전압(230V, 380V) 배전선을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특고압용 완철과 상용전압용 완철 사이에는 변압기를 설치하여 특고압 배전선의 특고압을 감압하여 상용전압 배전선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종래 전신주(10)에 변압기(20)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변압기(20)는 전신주(10)에 고정되는 변압기탱크(21), 변압기탱크(21)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압입력단자(22), 변압기탱크(21)의 외주면에 절연부싱 형태로 설치되는 저압상선단자(23)와 저압중성선단자(24)와 저압접지단자(25)와 탱크접지슬리브(26)를 포함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변압기(20)를 전신주(10)에 고정함에 있어서, 변압기탱크(21)의 상부에 걸침브래킷(30)을 고정하고, 복수개로 분할된 걸침밴드(50)를 볼트/너트(B1, N1)로 결합하여 전신주(10)에 고정한 다음, 걸침브래킷(30)의 걸침부(31)를 걸침밴드(50)의 걸침홈(51)에 걸쳐놓는 단계와;
변압기탱크(21)의 하부에 고정브래킷(40)을 고정하고, 고정브래킷(40)에 결합된 제1조임밴드(60a)가 전신주(10)의 외주면을 감싸게 한 다음, 제1조임밴드(60a)의 양단을 사이에서 전신주(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조임밴드(60b)를 조임볼트(B2)와 조임너트(N2)로 조여서 제1조임임밴드(60a)와 제2조임밴드(60b)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변압기 고정 방식에서는 제1조임밴드(60a)와 제2조임밴드(60b)를 조임볼트(B2)와 조임너트(N2)로 조이기 전까지는 걸침브래킷(30)이 걸침밴드(50)에 단순히 걸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변압기(20)가 흔들릴 수 있어 작업안전성이 저하되고, 자칫 변압기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고정 작업은 작업자가 작업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위치가 고소라는 점을 감안할 때 작업자 추락에 의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224호(2007.04.30.)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는 배전선로의 전주에 주상변압기를 설치할 때, 그 설치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개선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전주에서 주상변압기가 이탈되거나 추락될 염려가 전혀 없어 안전사고나 화재사고와 같은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715224호는 변압기가 고정판 상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하 한 쌍의 변압기안착대에 의하여 변압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변압기의 하향 유동에 대해서는 고정판이 구속하고, 변압기의 수평방향 유동에 대해서는 변압기안착대가 구속하게 되지만, 변압기의 상향 유동을 구속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변압기안착대의 조임력에 의하여 변압기의 상향 유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이나 지진 등에 의하여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전신주로부터 탈락할 염려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15224호는 변압기가 고정판에 안착되고, 선행기술 2는 지지바에 안착되는 것으로, 변압기가 설치되는 전신주에는 변압기 뿐만 아니라 가공송전선과 가공배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완철이 설치되는바, 이에 더하여 변압기를 안착하기 위한 고정판과 지지바를 전신주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전신주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너무 많아지고 복잡해지며, 결과적으로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4666호(2009.05.21.)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장치"는 전신주상에 다수개의 변압기와 경완금의 설치를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편의성과 시공 안정성 그리고 사용상의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44666호는 변압기가 지지바에 안착됨과 아울러 고무밴드와 연결핀에 의하여 변압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변압기의 하향 유동에 대해서는 지지바가 구속하고, 변압기의 수평방향 유동에 대해서는 고무밴드와 연결핀이 구속하게 되지만, 변압기의 상향 유동을 구속하는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연결핀과 고무밴드의 조임력에 의하여 변압기의 상향 유동을 구속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풍이나 지진 등에 의하여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변압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전신주로부터 탈락할 염려가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0470호(2021.07.16.)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는 제1, 제2 및 제3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변압기의 브래킷을 전신주에 고정된 행거에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제3 고정수단으로 최종적으로 고정하기 전에 제1, 제2 고정수단에 의해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고정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2280470호는 물론 등록실용신안 제20-0444666호와 등록특허 제10-2280470호는 주상변압기를 전신주에 설치하기 위하여 주상변압기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위치로 인상하고, 작업자가 작업트럭의 버킷에 탑승하여 설치위치로 올라가서 수작업에 의해 주상변압기를 전신주에 고정해야 하므로 주상변압기의 설치위치가 고소임을 감안할 때 주상변압기의 설치작업과 철거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224호(2007.04.30.)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 등록실용신안 제20-0444666호(2009.05.21.)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0470호(2021.07.16.)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설치작업과 장치의 철수작업 및 변압기의 탈거작업을 변압기나 장치 및 작업자의 추락사고 없이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신주의 하단에서 설치위치로 상승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장치를 철수하거나 변압기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하여 주행장치와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여 전신주에 대한 장치의 승강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은 좌, 우측변압기에 결합되는 좌, 우측조임밴드의 일단을 힌지볼트와 힌지너트로 연결하고, 중앙변압기에 결합되는 중앙조임밴드의 양단과 좌, 우측조임밴드의 타단을 조임볼트와 조임너트의 체결로 전신주에 조여 고정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변압기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부와; 고정장치부를 전신주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장치부는 플랫폼과, 플랫폼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중앙변압기를 지지하는 중앙변압기지지대와 플랫폼의 좌, 우측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 우측변압기지지대와; 좌, 우측변압기지지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수단과; 좌측변압기지지대에 설치되어 힌지볼트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기어를 지지하거나 승강시키는 힌지볼트지지수단과; 우측변압기지지대에 설치되며 머리기어에 맞물리는 체결기어를 구비한 힌지볼트체결수단과;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박스스패너를 구비하여 조임볼트를 체결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강장치부는 플랫폼의 좌우단에 결합되어 하향 연장되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전신주진입홈을 가지는 수평지지판과, 수평프레임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대와, 수직프레임에 장착되어 이동지지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장치와, 이동지지대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장치와, 이동지지대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좌우이동수단, 힌지볼트지지수단, 힌지볼트체결수단, 조임수단, 좌우이동장치, 주행장치를 원격조정하는 원격조정송신기와 원격조정수신기 및 승강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지지대는 전신주를 향하는 안쪽 면은 전신주의 외주면 테이퍼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반대쪽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좌우이동장치는 이동지지대에 전신주진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과, 이동지지대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장공에 삽입안내되는 안내편과, 지동지지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편과, 안내편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이탈방지편와,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이동모터축이 구비된 이동모터와, 이동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선단이 이동지지대에 결합되는 이동스크루를 포함하고, 주행장치는 이동지지대의 경사면의 상반부에 결합되는 ㄷ자형 주행롤러지지대와, 주행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주행롤러와, 주행롤러지지대에 장착되어 주행롤러를 구동하는 주행모터를 포함하며, 추락방지장치는 이동지지대의 경사면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고, 승강제어부는 주행장치에 의한 승강하는 높이와 좌우이동장치에 의해 전신주에 대하여 전진하는 거리와 후퇴하는 거리가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되도록 주행장치의 주행모터와 좌우이동장치의 이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의하면, 변압기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부와 전신주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장치부를 구비하여 전신주에 대한 변압기의 설치작업과 장치의 철수작업 및 변압기의 탈거작업을 변압기나 장치 및 작업자의 추락사고 없이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의하면,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신주의 하단에서 설치위치로 상승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에서 하단으로 하강하여 장치를 철수하거나 변압기를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의하면,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하여 주행장치와 추락방지장치를 제어하여 전신주에 대한 장치의 승강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신주에 변압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브래킷 및 조임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고정장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승강장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가 전신주의 하단에 위치하고 주행롤러와 마찰패드가 전신주의 외주면에서 후퇴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가 전신주의 하단에 위치하고 주행롤러와 마찰패드가 전신주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가 전신주의 설치위치로 상승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좌, 우측변압기가 설치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힌지볼트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체결기어가 머리기어에 맞물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힌지볼트와 힌지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조임볼트와 조임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원격조정부의 블록도,
도 15는 종래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종래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종래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성 요소간의 결합, 고정은 통상적인 볼트/너트 체결, 볼트/볼트홀 체결,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도면에는 도시를 생략하거나 도시하되 도면부호는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전신주(10)는 통상적인 철근콘크리트 전신주이며, 후방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변압기(20a)와, 전방 좌, 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변압기(20b, 20c)를 포함하는 3개의 변압기가 설치된다.
3개의 변압기(20a, 20b, 20c)는 각각 변압기탱크(21a, 21b, 21c)와, 변압기탱크(21a, 21b, 21c)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압입력단자와, 변압기탱크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절연부싱 형태의 저압상선단자와 저압중성선단자와 저압접지단자와 탱크접지슬리브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주상변압기이다. 다만, 도면에서는 변압기(20a, 20b, 20c)의 구성요소 중 변압기탱크(21a, 21b, 21c) 외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하였다.
3개의 변압기(20a, 20b, 20c)는 각각 변압기탱크(21)에 고정되는 브래킷(30a, 30b, 30c)과, 브래킷(30a, 30b, 30c)에 결합되는 조임밴드(40a, 40b, 40c)에 의해 전신주(10)에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30a, 30b, 30c)은 중앙변압기(20a)에 고정되는 중앙브래킷(30a), 좌측변압기(20b)에 고정되는 좌측브래킷(30b), 우측변압기(20c)에 고정되는 우측브래킷(30c)이다.
브래킷(30a, 30b, 30c)은 변압기(20a, 20b, 20c)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조임밴드(40a, 40b, 40c)는 중앙브래킷(30a)에 고정되는 중앙조임밴드(40a), 좌측브래킷(30b)에 고정되는 좌측조임밴드(40b), 우측브래킷(30c)에 고정되는 우측조임밴드(40c)이다.
조임밴드(40a, 40b, 40c)는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부(41a, 41b, 41c)가 브래킷(30a, 30b, 30c)의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부(31a, 31b, 31c)에 도시예와 같이 볼트/너트(도면부호 없음)로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좌측조임밴드(40b)는 우단에 힌지볼트공(43b)을 가지는 상하 한 쌍의 좌측힌지부(42b)가 구비되고 우측조임밴드(40c)는 좌단에 형성되어 한 쌍의 좌측힌지부(42b) 사이에 삽입되며 힌지볼트공(43c)을 가지는 우측힌지부(42c)가 구비되며, 좌, 우측힌지부(42b, 42c)는 힌지볼트(71)와 힌지너트(73)에 의해 연결된다.
힌지볼트(71)는 좌측조임밴드(40b)의 좌측힌지부(42b)의 상면에 걸리는 머리기어(72)가 구비된다.
힌지너트(73)는 좌측조임밴드(40b)의 좌측힌지부(42b)의 하단에 용접 고정된다.
중앙조임밴드(40a)는 좌, 우단에 조임볼트공(45a)을 가지는 중앙조임부(44a)가 형성되며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는 각각 좌단과 우단에 조임볼트공(45b, 45c)을 가지는 좌, 우측조임부(44b, 44c)가 형성된다.
중앙조임부(44a)와 좌, 우측조임부(44b, 44c)는 각각 조임볼트(81)와 조임너트(82)에 의해 체결되어 조임밴드(40a, 40b, 40c)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은 변압기(20a, 20b, 20c)를 전신주(10)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부(A)와, 고정장치부(A)를 전신주(10)의 하단에서 설치위치로 상승시키거나 설치위치에서 하단으로 하강시키는 승강장치부(B) 및,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를 원격조정하는 원격조정부(C)를 포함한다.
고정장치부(A)는 플랫폼(100)과; 플랫폼(100)의 상면 후방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변압기지지대(210)와, 플랫폼(100)의 상면 전방좌우측에 설치되는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와;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수단(300)과; 좌측변압기지지대(220)에 설치되어 힌지볼트(71)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볼트지지수단(400)과; 힌지볼트(71)를 힌지너트(73)에 체결하는 힌지볼트체결수단(500)과; 조임볼트(81)를 조임너트(82)에 체결하는 조임수단(600);을 포함한다.
플랫폼(100)은 전신주(1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에서 개방되는 전신주진입홈(110)이 구비된다.
중앙변압기지지대(210)는 플랫폼(100)의 상면 후방 중앙에 고정되며, 상면에 중앙변압기탱크(21a)의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중앙변압기지지홈(411)이 구비된다.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는 플랫폼(100)의 상면 전방 좌, 우측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좌, 우측변압기탱크(21b, 21c)의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좌, 우측변압기지지홈(421, 431)이 구비된다.
좌우이동수단(300)은 플랫폼(100)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좌, 우측안내장공(311, 312)과,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의 하면에 고정되어 좌, 우측안내장공(311, 312)에 삽입안내되는 좌, 우측안내편(321, 322)과, 플랫폼본체(310)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좌, 우측너트안내장공(331, 332)과, 플랫폼본체(310)의 하면에 고정되는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와,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좌, 우측좌우이동스크루(351, 352)와,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의 하면에 결합되어 좌, 우측 너트안내장공(331, 332)에 삽입안내되며 좌, 우측좌우이동스크루(351, 352)에 나사맞춤되는 좌, 우측좌우이동너트(361, 362)를 포함한다.
좌, 우측안내장공(311, 312)과 좌, 우측안내편(321, 322)은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보다 원활한 안내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전후 한 쌍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 우측안내편(321, 322)의 하면에는 좌, 우측이탈방지편(323, 324)을 결합하여 좌, 우측안내편(321, 322)이 좌, 우측안내장공(311, 3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좌, 우측안내편(321, 322)과 좌, 우측이탈방지편(323, 324)은 좌, 우측이탈방지편(323, 324)에 볼트를 관통시켜 좌, 우측안내편(321, 322)의 하면에 형성된 볼트관통홀을 통해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에 형성된 볼트체결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힌지볼트지지수단(400)은 좌측변압기지지대(220)에 장착되며 암나사부가 형성된 힌지볼트지지모터축(411)을 가지는 힌지볼트지지모터(410)와,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와,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장착판(430)과, 장착판(430)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440)와, 솔레노이드(440)의 작동봉(441)의 선단에 결합되어 힌지볼트(71)의 머리기어(72)의 하면을 지지하는 힌지볼트지지편(450)과 플랫폼(100)에 형성되어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가 삽입되는 간섭방지장공(460)을 포함한다.
힌지볼트지지모터(410)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키(key)가 돌출된 승강안내링(미도시)을 구비하고,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의 외주면에는 전장에 걸쳐서 상하로 형성되어 키가 끼워지는 키홈(미도시)을 형성하여 힌지볼트지지모터(410)의 힌지볼트지지모터축(411)이 회전할 때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가 따라 돌지 않고 승강작동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힌지볼트지지편(450)은 힌지볼트(71)의 머리기어(72)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힌지볼트(71)의 봉부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원호형 절취부(451)가 형성된다.
간섭방지장공(460)은 좌측변압기지지대(220)가 좌우로 이동하거나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가 승강할 때 플랫폼(10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은 우측변압기지지대(230)에 장착되는 회동모터(510)와, 회동모터(510)의 회동모터축(511)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동암(520)과, 회동암(520)의 선단 상면에 장착되며 힌지볼트체결모터축(531)이 회동암(520)을 관통하는 힌지볼트체결모터(530)와, 힌지볼트체결모터축(531)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달기어(540)와, 회동암(52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달기어(540)와 맞물림과 아울러 힌지볼트(71)의 머리기어(72)에 맞물릴 수 있는 체결기어(550)를 포함한다.
체결기어(550)는 최소한 힌지볼트(71)가 힌지너트(73)에 체결될 때 하강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구성되어, 힌지볼트(71)가 힌지너트(73)에 체결되면서 하강할 때 머리기어(72)가 하강하더라도 체결기어(550)가 계속해서 머리기어(72)에 맞물려 체결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조임수단(600)은 플랫폼(100)에 고정되는 지지봉(610)과, 지지봉(610)에 장착되는 상하 한 쌍의 조임모터(620)와, 조임모터(620)의 조임모터축(도면부호 없음)에 결합되며 조임볼트(81)의 육각머리에 대응하는 육각머리홈(631)과 육각머리가 상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개구부(632)가 형성된 박스스패너(630)를 포함한다.
육각머리홈(631)은 개구부(632)에 의해 상부가 절취되어 하부의 좌우 빗면과 좌우 수직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개구부(632)는 조임수단(600)에 의해 조임볼트(81)를 조임너트(82)에 체결한 후 하강시킬 때 조임볼트(81)가 육각머리홈(631)에서 개구부(632)를 통해 빠져나가 조임볼트(81)와 박스스패너(630)가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치부(B)는 플랫폼(100)의 좌우단에 결합되어 하향 연장되는 수직프레임(710)과; 수직프레임(710)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전신주진입홈(721)을 가지는 수평지지판(720)과, 수평프레임(720)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신주(10)의 외주면 테이퍼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대(730)와, 수직프레임(710)에 장착되어 이동지지대(73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장치(740)와, 이동지지대(730)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전신주(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또는 주행하는 주행장치(750)와, 이동지지대(730)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장치(7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과 주행과 승강 및 하강은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수직프레임(710)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볼트를 수평으로 관통시켜 플랫폼(100)의 좌우단면에 형성되는 볼트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플랫폼(100)에 결합할 수 있다.
플랫폼(100)의 전신주진입홈(110)과 지지지판(720)의 전신주진입홈(721)은 전신주(10)의 하부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게 형성하여 전신주(10)의 하단으로부터 변압기(20a, 20b, 20c)의 설치높이까지 상승하는 데에 지장이 없게 한다.
수평프레임(720)은 수직프레임(710)의 하단에 볼트를 수평으로 관통시켜 수평프레임(720)의 좌우단면에 형성되는 볼트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직프레임(7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동지지대(730)는 전신주(10)를 향하는 안쪽 면은 전신주(10)의 외주면 테이퍼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731)으로 형성되고, 반대쪽 면은 수직면(732)으로 형성된다.
좌우이동장치(740)는 이동지지대(730)에 전신주진입홈(721)을 기준으로 양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741)과, 이동지지대(730)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장공(741)에 삽입안내되는 안내편(742)과, 지동지지대(73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편(743)과, 안내편(7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이탈방지편(744)과, 지지프레임(710)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이동모터축(746)이 구비된 이동모터(745)와, 이동모터축(746)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선단이 이동지지대(730)에 결합되는 이동스크루(747)를 포함한다.
주행장치(750)는 이동지지대(730)의 경사면(731)의 상반부에 결합되는 ㄷ자형 주행롤러지지대(751)와, 주행롤러지지대(7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신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주행롤러(752)와, 주행롤러지지대(751)에 장착되어 주행롤러(752)를 구동하는 주행모터(754)를 포함한다.
주행롤러(752)는 전신주(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원호홈(753)이 형성된다.
추락방지장치(760)는 이동지지대(730)의 경사면(731)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는 마찰패드(761)를 포함한다.
마찰패드(761)에는 전신주(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원호면(762)이 형성된다.
마찰패드(761)는 이동지지대(73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패드고정대(763)를 통해 이동지지대(730)에 결합될 수 있다.
주행장치(750)의 주행롤러(752)와 추락방지장치(760)의 마찰패드(761)는 이동지지대(730)의 경사면(731)에 설치되어 승강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항상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원격조정부(C)는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 힌지볼트지지모터(410), 솔레노이드(440), 회동모터(510), 힌지볼트체결모터(530), 조임모터(620), 이동모터(745), 주행모터(754)에 대한 원격조정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조정송신기(810)와,
원격조정신호를 수신하여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 힌지볼트지지모터(410), 솔레노이드(440), 회동모터(510), 힌지볼트체결모터(530), 조임모터(620), 이동모터(745), 주행모터(754)를 조정하는 원격조정수신기(820)와,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송신된 주행모터(754)에 대한 원격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가 주행모터(754)를 조정할 때 주행모터(754)와 이동모터(745)를 연동되게 제어하여 승강 과정에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항상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승강제어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신주(10)는 테이퍼(taper)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1000cm의 전신주(10)의 경우, 하단직경 32.3cm이고 상단직경 19cm로서, 하단직경과 상단직경의 차이는 13.3cm가 되고, 한쪽 구배로 보면, 상단반경이 16.15cm이고, 상단반경이 9.5cm, 상하단의 반경 차이는 6.65cm가 된다.
예를 들어, 승강작동시 주행롤러(752)가 항상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하기 위해서는 주행모터(754)의 구동으로 주행롤러(752)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면서 상승할 때에는 주행롤러(752)가 상승높이 1m당 0.665cm씩 전진하여야 하며, 주행롤러(752)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면서 하강할 때에는 하강높이 1m당 0.665cm씩 후퇴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승강제어부(830)는 주행모터(753)와 주행롤러(752)에 의한 승강높이와 이동모터(745)와 이동모터축(746)의 암나사부와 이동스크루(747)의 수나사부에 의한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의 전진 또는 후퇴거리가 위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주행모터(753)와 이동모터(745)를 제어한다.
좌우이동수단(300)의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 힌지볼트지지수단(400)의 솔레노이드(440),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회동모터(510)와 힌지볼트체결모터(530), 조임수단(600)의 조임모터(620), 좌우이동장치(740)의 이동모터(745), 주행장치(750)의 주행모터(754), 원격조정수신기(820), 승강제어부(8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플랫폼(100) 또는 수평프레임(720)에 전원부로서 배터리팩을 설치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준비과정]
작업초기에 준비과정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전신주(1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고정장치부(A)는 플랫폼(100)의 전신주진입홈(110)에 전신주(10)의 하단부가 진입되고, 좌측변압기지지대(220)는 좌측으로, 우측변압기지지대(230)는 우측으로 후퇴한 상태이며, 힌지볼트지지수단(400)의 힌지볼트지지편(450)은 전진하여 힌지볼트(71)의 머리기어(72)를 지지하는 상태이고, 힌지볼트(71)는 하단이 좌측조임밴드(40b)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측힌지부(42b)의 좌측힌지볼트공(43a)에 삽입된 상태이고,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회동암(520)과 힌지볼트체결모터(530), 전달기어(540), 체결기어(550)는 우전방으로 후퇴한 상태이고, 조임수단(600)의 박스스패너(630)의 육각머리홈(631)에 조임볼트(81)가 삽입되고 조임볼트(81)의 전단부가 중앙조임밴드(40a)의 중앙조임부(44a)에 형성된 조임볼트공(45a)에 삽입된 상태이다.
승강장치부(B)는 전신주진입홈(721)에 전신주(10)의 하단부가 진입되고,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전신주(10)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후퇴한 상태이다.
[상승준비과정]
이 상태에서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상승준비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전진조정신호가 송신되고, 전진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이동모터(745)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어 이동모터축(746)의 암나사부와 이동스크루(747)의 수나사부의 나사작용으로 이동지지대(730)와 이에 결합된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전신주(10)의 외주면을 향해 전진하여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도 7참조].
[상승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상승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상승조정신호가 송신되고, 이 상승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과 승강제어부(830)의 제어에 의해 주행모터(754)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됨과 아울러 이동모터(745)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어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계속해서 밀착되면서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대한 주행롤러(752)의 구름접촉에 의해 승강장치부(B)와 고정장치부(A)가 설치위치로 상승하게 된다[도 8 참조].
이때, 승강제어부(830)는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상승높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주행모터(754)와 이동모터(745)를 제어하여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상승하는 동안 항상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주행롤러(752)에 의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마찰패드(761)는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신주(10)는 하단직경이 상단직경보다 큰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추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신주(10)는 하단직경이 상단직경보다 큰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 작용하는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의 하중은 마찰패드(761)를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의 추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주행롤러(752)에 의해 상방으로 작용하는 상승력은 마찰패드(761)를 전신주(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주행롤러(752)에 의한 상승작동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좌, 우측변압기지지대의 전진 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좌우이동수단(300)에 대한 전진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전진조정신호가 송신되고, 이 전진조정신로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좌, 우측좌우이동모터(341, 342)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고, 이에 따라 좌, 우측좌우이동스크루(351, 352)와 좌, 우측좌우이동너트(361, 362)의 나사작용으로 좌측이동너트(361)와 이에 결합된 좌측변압기지지대(220)는 우측으로 전진하고, 우측이동너트(362)와 이에 결합된 우측변압기지지대(230)는 좌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는 하면에 결합된 좌, 우측안내편(321, 322)이 플랫폼(100)에 형성된 좌, 우측안내장공(311, 312)에 의해 안내되며, 좌, 우측좌우이동너트(361, 362)는 플랫폼(100)에 형성된 좌, 우측너트안내장공(331, 332)에 의해 안내되므로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의 좌우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가 전진함에 따라 좌우측변압기(20c)에 결합된 좌, 우측브래킷(30b, 30c)과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가 함께 전진하게 되어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의 좌, 우측힌지부(42b, 42c)가 맞걸리게 된다.
또한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의 좌, 우측조임부(44b, 44c)에 형성된 조임볼트공(45b, 45c)과 중앙조임밴드(40a)의 조임볼트공(45a)에 형성된 조임볼트공(45a)이 동축선상에 위치하게 된다[이상, 도 9 참조].
[힌지볼트와 힌지너트의 체결 준비 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 힌지볼트지지수단(400)에 대한 힌지볼트체결준비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가 힌지볼트체결준비조정신호를 송신하고, 이 힌지볼트체결준비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힌지볼트지지모터(410)가 하강방향으로 가동되고, 이에 따라 힌지볼트지지모터축(411)의 암나사부와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의 수나사부의 나사작용으로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가 하강하고,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의 상단에 결합된 장착판(430)과 이에 장착된 솔레노이드(440)와 작동봉(441)에 결합된 힌지볼트지지편(450)이 하강하며, 힌지볼트지지편(450)에 머리기어(72)가 지지되어 있는 힌지볼트(71)가 하강하게 된다.
힌지볼트(71)는 하강하면서 상부의 좌, 우측힌지부(42b, 42c)의 좌, 우측힌지공(43b, 43c)을 통과하게 되고, 더 하강하여 하부의 좌, 우측힌지부(42b, 42c)를 통과하여 힌지너트(73)의 상면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힌지볼트(71)와 힌지너트(73)에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힌지볼트(71)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수나사부가 암나사부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힌지볼트(71)와 힌지너트(73)의 체결준비가 이루어진다[이상, 도 10 참조].
[힌지볼트의 머리기어와 체결기어의 맞물림 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 힌지볼트체결수단(500)에 대한 전진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는 전진조정신호가 송신되고, 이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회동모터(510)가 전진방향으로 가동되고, 회동모터축(511)에 결합된 회동암(520)이 전진방향으로 회동하며, 회동암(520)에 지지된 체결기어(550)가 머리기어(72)에 맞물리게 된다[도 11 참조].
[힌지볼트와 힌지너트의 체결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힌지볼트체결수단(500)에 대한 힌지볼트체결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는 힌지볼트지지수단(400)에 대한 후퇴조정신호와 힌지볼트체결수단(500)에 대한 체결조정신호가 송신된다.
먼저, 후퇴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솔레노이드(440)가 후퇴방향으로 가동되고, 작동봉(441)에 결합된 힌지볼트지지편(450)이 후퇴하여 머리기어(72)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어서, 힌지볼트체결수단(500)에 대한 체결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힌지볼트체결모터(530)가 체결방향으로 가동되며, 힌지볼트체결모터축(531)에 결합된 전달기어(540)가 회전하고, 전달기어(540)와 머리기어(72)에 맞물린 체결기어(550)가 체결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힌지볼트(71)가 체결방향으로 회전하여 힌지너트(73)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기어(550)가 최소한 힌지볼트(71)가 힌지너트(73)에 체결될 때 하강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힌지볼트(71)가 힌지너트(73)에 체결됨에 따라 힌지볼트(71)와 머리기어(72)가 하강하더라도 체결기어(550)가 머리기어(72)에 계속해서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힌지볼트(71)와 힌지너트(73)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도 12 참조].
[조임볼트와 조임너트의 체결 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 조임수단(600)에 대한 조임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가 조임조정신호를 송신하고, 이 조임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조임모터(620)가 조임방향으로 가동되고, 조임모터축에 결합된 박스스패너(630)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박스스패너(630)의 육각머리홈(631)에 삽입되어 있는 조임볼트(81)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임너트(82)에 체결되어 중앙조임밴드(40a)의 중앙조임부(44a)와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의 좌, 우측조임부(44b, 44c)가 조이지게 된다[도 12 참조].
이때, 좌, 우측조임밴드(40b, 40c)는 좌, 우측힌지부(42b, 42c)가 힌지볼트(71)와 힌지너트(7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임밴드(40a, 40b, 40c)의 조임부(44a, 44b, 44c)가 조임볼트(81)와 조임너트(82)에 의해 조여지므로 조임밴드(40a, 40b, 40c)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조여지게 된다[이상, 도 13 참조].
한편, 박스스패너(630)의 육각머리홈(631)은 상부에 개구부(632)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의 좌우 빗면과 좌우 수직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조임볼트(81)를 돌리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철수과정]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철수조정버튼이 터치되면, 원격조정송신기(810)는 철수조정신호를 송신하고, 이 철수조정신호를 수신한 원격조정수신기(820)의 조정에 의해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힌지볼트체결모터(530), 전달기어(540), 체결기어(550)가 설치된 회동암(520)이 후퇴하고, 좌우이동수단(300)에 의해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가 후퇴하며, 승강장치부(B)의 주행장치(750)에 의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준비위치인 지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조임볼트(81)의 육각머리가 박스스패너(630)의 육각머리홈(63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박스스패너(630)의 육각머리홈(631)의 상부에는 개구부(6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하강할 때 조임볼트(81)의 육각머리가 박스스패너(630)의 개구부(632)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게 되어 조임볼트(81)와 박스스패너(630) 간의 간섭 없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의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변압기의 탈거 과정]
변압기(20a, 20b, 20c)의 탈거를 위하여 전신주(10)의 하단부에서 좌우이동수단(300)에 의해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를 후퇴시키고,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힌지볼트체결모터(530)와 전달기어(540)와 체결기어(550)가 설치된 회동암(520)을 후퇴시키며, 힌지볼트지지수단(400)의 힌지볼트지지편(450)을 후퇴한 상태로 하강시키고, 승강장치부(B)는 주행롤러(752)와 마찰패드(761)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 상태로 준비한다.
원격조정송신기(810)에서 탈거조정버튼을 터치하면,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상승하게 된다.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설치위치로 완전히 상승하기 전에 좌우이동수단(300)에 의해 좌, 우측변압기지지대(220, 230)가 전진하여 중앙변압기지지홈(211)과 좌, 우측변압기지지홈(221, 231)이 중앙변압기(20a)와 좌, 우측변압기(20b, 20c)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가 설치위치로 완전히 상승하면, 변압기지지홈(211, 221, 231)에 변압기(20a, 20b, 20c)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어서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회동암(520)이 전진하여 체결기어(550)가 머리기어(72)에 맞물리게 되고, 힌지볼트체결모터(530)가 해체방향으로 가동되어 머리기어(72)에 맞물린 체결기어(550)가 해체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힌지볼트(71)가 해체되면서 상승하게 되며, 힌지볼트지지편(450)을 전진시켜 상부의 좌측힌지부(42b)의 상면과 머리기어(72)의 하면 사이에 간극으로 삽입되어 머리기어(72)를 지지하게 되고, 힌지볼트지지모터(410)가 상승방향으로 가동되어 힌지볼트지지스크루(420)가 상승하여 머리기어(72)를 지지하고 있는 힌지볼트지지편(450)이 상승하면서 힌지볼트(71)를 좌, 우측힌지공(43b, 43c)으로부터 인출하게 되며, 힌지볼트체결수단(500)의 회동암(520)은 다시 후퇴위치로 회동하게 되고, 조임수단(600)의 조임모터(620)가 해체방향으로 가동되어 박스스패너(630)가 해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임볼트(81)를 조임너트(82)로부터 해체하게 된다.
힌지볼트(71)와 조임볼트(81)의 해체가 완료되면, 주행장치(750)가 하강방향으로 작동하여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를 전신주(10)의 하단의 지상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은 전신주(10)에 대한 변압기(20a, 20b, 20c)의 고정과 고정장치부(A)와 승강장치부(B)의 철수 및 변압기(20a, 20b, 20c)의 탈거를 작업자의 고소작업 없이 원격조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전신주 20a,20b,20c : 변압기
30a,30b,30c : 브래킷 40a,40b,40c : 조임밴드
71 : 힌지볼트 72 : 머리기어
73 : 힌지너트 81 : 조임볼트
82 : 조임너트 100 : 플랫폼
210,220,230 : 변압기지지대
300 : 좌우이동수단 400 : 힌지볼트지지수단
500 : 힌지볼트체결수단 600 : 조임수단
710 : 수직프레임 720 : 수평프레임
730 : 이동지지대 740 : 좌우이동장치
750 : 주행장치 760 : 추락방지장치
810 : 원격조정송신기 820 : 원격조정수신기
830 : 승강제어부

Claims (2)

  1. 좌, 우측변압기에 결합되는 좌, 우측조임밴드의 일단을 힌지볼트와 힌지너트로 연결하고, 중앙변압기에 결합되는 중앙조임밴드의 양단과 좌, 우측조임밴드의 타단을 조임볼트와 조임너트의 체결로 전신주에 조여 고정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변압기를 전신주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부와; 고정장치부를 전신주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장치부는 플랫폼과, 플랫폼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중앙변압기를 지지하는 중앙변압기지지대와 플랫폼의 좌, 우측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 우측변압기지지대와; 좌, 우측변압기지지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수단과; 좌측변압기지지대에 설치되어 힌지볼트의 상단에 형성된 머리기어를 지지하거나 승강시키는 힌지볼트지지수단과; 우측변압기지지대에 설치되며 머리기어에 맞물리는 체결기어를 구비한 힌지볼트체결수단과;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박스스패너를 구비하여 조임볼트를 체결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강장치부는 플랫폼의 좌우단에 결합되어 하향 연장되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며 전신주진입홈을 가지는 수평지지판과, 수평프레임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대와, 수직프레임에 장착되어 이동지지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장치와, 이동지지대의 상반부에 설치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장치와, 이동지지대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고정장치부와 승강장치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좌우이동수단, 힌지볼트지지수단, 힌지볼트체결수단, 조임수단, 좌우이동장치, 주행장치를 원격조정하는 원격조정송신기와 원격조정수신기 및 승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지지대는 전신주를 향하는 안쪽 면은 전신주의 외주면 테이퍼에 대응하는 구배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반대쪽 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좌우이동장치는 이동지지대에 전신주진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안내장공과, 이동지지대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내장공에 삽입안내되는 안내편과, 지동지지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편과, 안내편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이탈방지편와,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이동모터축이 구비된 이동모터와, 이동모터축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선단이 이동지지대에 결합되는 이동스크루를 포함하고,
    주행장치는 이동지지대의 경사면의 상반부에 결합되는 ㄷ자형 주행롤러지지대와, 주행롤러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는 주행롤러와, 주행롤러지지대에 장착되어 주행롤러를 구동하는 주행모터를 포함하며,
    추락방지장치는 이동지지대의 경사면의 하반부에 결합되어 전신주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고,
    승강제어부는 주행장치에 의한 승강하는 높이와 좌우이동장치에 의해 전신주에 대하여 전진하는 거리와 후퇴하는 거리가 전신주의 테이퍼 값에 대응되도록 주행장치의 주행모터와 좌우이동장치의 이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KR1020220178087A 2022-12-19 2022-12-19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KR10251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087A KR102510804B1 (ko) 2022-12-19 2022-12-19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087A KR102510804B1 (ko) 2022-12-19 2022-12-19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04B1 true KR102510804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087A KR102510804B1 (ko) 2022-12-19 2022-12-19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8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24B1 (ko) 2007-02-22 2007-05-08 진우전기감리(주)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
KR200444666Y1 (ko) 2008-12-04 2009-05-27 박종경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장치
KR101884011B1 (ko) * 2017-11-10 2018-07-31 서천전기공사(주)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전주의 완금구조물
KR102280470B1 (ko) 2021-02-18 2021-07-22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KR102332300B1 (ko) *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KR102449798B1 (ko) * 2021-10-20 2022-10-04 주식회사 다올산업 변압기가 구비된 전신주 배전선로 연결장치 및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24B1 (ko) 2007-02-22 2007-05-08 진우전기감리(주)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고정구조
KR200444666Y1 (ko) 2008-12-04 2009-05-27 박종경 전신주 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장치
KR101884011B1 (ko) * 2017-11-10 2018-07-31 서천전기공사(주)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전주의 완금구조물
KR102280470B1 (ko) 2021-02-18 2021-07-22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KR102332300B1 (ko) *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KR102449798B1 (ko) * 2021-10-20 2022-10-04 주식회사 다올산업 변압기가 구비된 전신주 배전선로 연결장치 및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2737B (zh) 中置柜手车式断路器多功能检修车
KR101955155B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CA2774002C (en) Helicopter emplaceable cart for travel along electrical power lines
JP4522370B2 (ja) 柱装吊上装置
KR102511390B1 (ko) 변압기의 탈부착이 용이한 배전용 전신주 시스템
CN114678794B (zh) 一种室外变压器用维修平台装置
KR102510804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고정 시스템
CN111962855A (zh) 一种建筑施工用高空作业吊篮
CN109687329A (zh) 一种开关柜后柜门定位装置
CN107217993B (zh) 塔架
CN107658785A (zh) 丝杠驱动的柱式绝缘子快速更换装置
CN108075370B (zh) 电力预制舱
CN112382981B (zh) 一种特高压输电线路耐张绝缘子串进出作业连接装置
JP2003180009A (ja) 電線の移線工法
CN114221260A (zh) 一种电力塔架的绝缘子检修架
CN210866085U (zh) 一种高压开关柜的断路器小车外置操作机构
CN216649079U (zh) 铁路客车车下电线穿线机
KR102629785B1 (ko) 변압기가 설치된 전신주의 애자 시스템
CN218345035U (zh) 一种汽车独立悬架系统移动吊装工装
CN215208256U (zh) 一种地下式引线升降台
KR102641637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N117303237A (zh) 一种变电站支柱绝缘子起落装置
CN218626287U (zh) 一种便于监控探头维修工作的监控杆
CN215479542U (zh) 一种公路设备维修管理装置
CN220976379U (zh) 一种柱式绝缘子辅助更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