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896B1 -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896B1
KR102241896B1 KR1020190127726A KR20190127726A KR102241896B1 KR 102241896 B1 KR102241896 B1 KR 102241896B1 KR 1020190127726 A KR1020190127726 A KR 1020190127726A KR 20190127726 A KR20190127726 A KR 20190127726A KR 102241896 B1 KR102241896 B1 KR 102241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ncheol
fixing
wire
insul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일
김원일
나영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LP 애자(3)와 인접한 완철(1)에 고정되는 완철고정부(100)와 상기 완철고정부(100)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선단에 전선삽입부(221)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여 상기 LP 애자(3)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L)을 상기 전선삽입부(221)에 삽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선승강부(200)와 상기 완철고정부(100)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고정부(100)를 상기 완철(1)까지 이동시키고, 일측에 상기 완철고정부(100)를 상기 완철(1)에 고정하거나 상기 전선승강부(200)의 길이의 신장을 조작하는 조작버튼부(330)가 구비된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승강구동장치를 적용하기 불가능한 개소인 복합장주에 적용하여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WIRE MOVING APPARATUS OF LINE POST INSULATOR FOR FIXING SUPPORTING BAR}
본 발명은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P 애자에 지지된 전선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LP(라인포스트) 애자는 전선을 애자 상부에 지지하는 형태의 배전선로용 지지애자이다. LP 애자는 전주의 완철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전선을 지지하고, 배전선로에서 전선과 금구류 사이의 절연을 목적으로 한다.
LP 애자는 경년 열화가 적고, 염분에 의한 애자 오손이 적으며, 내구성이 좋고 보안점검이 용이하여 배전선로에 사용한다. 그런데, LP 애자는 크랙이나 부식 정도가 심할 경우 절연 효율이 저하되고 파손시 비산물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교체하게 된다.
그런데, LP 애자 등 현장에 운영중인 기자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LP 애자의 상부에 고정된 전선을 상부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단순 핀장주는 승강구동장치를 전주에 고정시켜 전선을 상부로 이동 가능하나, 복합장주, 내장주에 설치된 원회시공 등 LP 애자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장주에서 승강구동장치를 고정하여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현재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LP 애자 교체시 간접활선이 점진적으로 확대중이나, 현재로서는 복잡한 장주에서 간접활선으로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동시키는 방법이 부재한 상태이다.
1.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912558호(2018.10.2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여건 상 승강구동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개소에서 LP 애자를 교체하기 위해 LP 애자에 지지된 전선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LP 애자와 인접한 완철에 고정되는 완철고정부와 상기 완철고정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선단에 전선삽입부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여 상기 LP 애자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을 상기 전선삽입부에 삽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선승강부와 상기 완철고정부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까지 이동시키고, 일측에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하거나 상기 전선승강부의 길이의 신장을 조작하는 조작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고정부는 상기 완철에 설치된 LP 애자의 양측에서 상기 완철의 측부를 파지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과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유닛과 상기 고정유닛에서 ㄷ자 형상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완철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완철의 상부와 측부에 밀착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상부 고정유닛과 상기 완철의 하부에 밀착되기 위한 일자 형상이며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형성된 승강공과 상기 하부 고정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공에 삽입된 제1 기어와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승강공에서 인출시키는 고정용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승강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인출공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인출공에서 인출되며 선단에 상기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승강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서 상기 승강몸체를 인출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몸체의 하단에 구비된 양단 랙기어와 상기 양단 랙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승강용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모터와 상기 전선승강부의 길이의 신장을 위한 승강용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모터와 상기 승강용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전선이 상기 조작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조작버튼부에 연결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완철고정부에서 연장되는 조작봉과 일단이 상기 조작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버튼부가 구비되며 반대되는 타단에 전원케이블 연결을 위한 전원용 핀부가 구비되어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은 일단에 상기 전원용 핀부가 삽입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 상기 전원용 핀부가 삽입되면 핀홀을 감싸는 외주 클램핑부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 나사산과 체결한다.
상기 조작버튼부는 임의 조작 방지를 위한 덮개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부는 전원스위치, 완철고정부 고정버튼, 완철고정부 고정해제버튼, 전선승강부 승강버튼 및 전선승강부하강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선이동장치는 승강구동장치를 적용하기 불가능한 개소인 복합장주에 적용하여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선이동장치는 완철에 고정되는 완철고정형이므로 LP 애자 교체를 위한 간접활선 공법에 확대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간접활선 확대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를 보인 개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의 전선삽입부에 LP 애자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을 삽입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의 전선삽입부에 LP 애자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을 삽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완철고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승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작부의 전원용 핀부와 전원케이블의 핀홀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를 보인 개념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는 승강구동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개소에서 LP 애자 교체를 위하여, 완철에 고정되어 LP 애자에 지지된 전선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완철고정형 1상용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이하 '전선이동장치')(10)는 완철고정부(100), 전선승강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완철고정부(100)는 전선이동장치(10)를 LP 애자(3)의 인근 완철(1)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완철고정부(100)는 LP 애자(3)와 인접한 완철(1)에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완철고정부(100)는 LP 애자(3)의 양측방향에 완철(1)의 측부를 파지하는 방식으로 완철(1)에 고정된다.
전선승강부(200)는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에 고정한 상태에서 LP 애자(3)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L)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전선승강부(200)는 완철고정부(100)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전선승강부(200)는 선단에 전선삽입부(221)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다. 전선승강부(200)는 LP 애자(3)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L)을 전선삽입부(221)에 삽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300)는 완철고정부(100)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부(300)는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까지 이동시킨다. 조작부(300)는 일측에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에 고정하거나 전선승강부(200)의 길이의 신장을 조작하는 조작버튼부(330)가 구비된다.
조작부(300)는 상단의 조작봉(310)과 하단의 손잡이부(320)로 구성된다. 조작봉(310)은 완철고정부(100)에서 연장되며, 손잡이부(320)는 일단이 조작봉(3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조작버튼부(330)가 구비되며 반대되는 타단에 전원케이블 연결을 위한 전원용 핀부(335)가 구비되어 배터리(36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다. 조작버튼부(330)는 손잡이부(32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잡이부(320)를 잡고 조작할 때 간섭이 없도록 한다.
조작버튼부(330)는 전원스위치(a), 완철고정부 고정버튼(b), 완철고정부 고정해제버튼(c), 전선승강부 승강버튼(d) 및 전선승강부하강버튼(e)을 포함한다. 조작버튼부(330)는 임의 조작 방지를 위한 덮개(331)를 구비하여 조작버튼부(330)의 조작 후에는 덮개(331)를 덮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360)는 전선이동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전원이다. 배터리(360)는 활선작업차에 싣고 조작부(300)와 전원케이블(350)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케이블(350)은 일단에 조작부(300)의 하부의 전원용 핀부(335)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핀홀(351)이 형성되고 핀홀(351)에 전원용 핀부(335)가 삽입식으로 결합되면 핀홀(351)을 감싸는 외주 클램핑부(353)를 회전시켜 손잡이부(320)의 외면 나사산과 체결할 수 있다. 전원케이블(350)은 타단에 배터리 연결부(355)가 구비되어 배터리(360)에서 분리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완철고정부(100)는 한 쌍의 고정유닛(110), 연결유닛(120) 및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유닛(110)은 완철(1)에 설치된 LP 애자(3)의 양측에서 완철(1)의 측부를 파지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20)은 한 쌍의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한다. 연결유닛(120)은 조작부(300)와 한 쌍의 고정유닛(110)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130)은 고정유닛(110)에서 ㄷ자 형상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유닛(110)이 완철(1)에 밀착 고정되거나 분리되게 한다. 고정수단(130)은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모터(135)를 포함한다.
전선승강부(200)는 지지몸체(210), 승강몸체(220) 및 승강수단(230)을 포함한다.
전선승강부(200)는 지지몸체(210)에서 승강몸체(220)가 인출되는 방식으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다. 지지몸체(210)는 연결유닛(120)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승강몸체(220)는 지지몸체(210)에서 인출되며 선단에 상부로 개구된 반원 형상의 전선삽입부(221)가 형성된다. 전선삽입부(221)에 전선(L)이 삽입되고 전선승강부(200)의 길이방향 신장시 전선(L)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데, 전선(L)이 상부로 이동되어 LP 애자(3)와 이격되면 LP 애자(3)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수단(230)은 지지몸체(210)에서 승강몸체(220)를 인출시켜 길이를 신장함으로써 전선삽입부(221)에 삽입된 전선(L)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선승강부(200)의 길이의 신장을 위한 승강용 모터(235)를 포함한다.
고정용 모터(135)와 승강용 모터(23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전선(340)이 조작부(300)의 조작봉(310)의 내부를 통해 조작버튼부(330)에 연결된다. 제어용 전선(340)은 두 전선으로 되며, 하나는 고정용 모터(135)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승강용 모터(235)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유닛(110)은 완철(1)의 상부와 측부에 밀착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상부 고정유닛(111)과 완철(1)의 하부에 밀착되기 위한 일자 형상의 하부 고정유닛(115)을 포함한다. 하부 고정유닛(115)은 상부 고정유닛(111)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고정유닛(115)이 상부 고정유닛(111)에 대해 이동하여 상부 고정유닛(111)과 하부 고정유닛(115)의 사이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부 고정유닛(111)과 하부 고정유닛(115)의 사이에 삽입된 완철(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130)은 상부 고정유닛(111)에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승강공(113)과, 하부 고정유닛(115)에 구비되며 승강공(113)에 삽입된 제1 기어(131)와, 상부 고정유닛(111)에 구비되며 제1 기어(131)와 맞물리는 제2 기어(133)와, 제2 기어(133)를 회전시켜 제1 기어(131)를 승강공(113)에서 인출시키는 고정용 모터(135)를 포함한다.
제1 기어(131)와 제2 기어(133)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일 수도 있고, 웜기어와 웜휠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컨데, 고정수단(130)은 고정용 모터(135)의 축(136)에 결합되어 고정용 모터(135)의 축(136)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 기어(133)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133)와 맞물린 제1 기어(13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하부 고정유닛(115)이 상부 고정유닛(111)에 대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 고정유닛(111)에 대한 하부 고정유닛(115)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고정수단(130)은 제2 기어(133)와 토크 균형을 맞추기 위한 종동기어(134)를 더 포함한다. 종동기어(134)는 제1 기어(131)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 제2 기어(133)와 협력하여 제1 기어(131)가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한다. 종동기어(134)는 윔휠 기어 또는 피니언기어 형상 등 종동기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어 형상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한, 고정용 모터(135)는 조작버튼부(330)의 전원스위치(a)를 눌러 전원을 ON한 상태에서 완철고정부 고정버튼(b) 또는 완철고정부 고정해제버튼(c)을 눌러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데, 완철고정부 고정버튼(b)을 누르면 고정용 모터(135)가 정회전되면서 하부 고정유닛(115)이 상부 고정유닛(111)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고정유닛(111)과 하부 고정유닛(115)이 완철(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완철고정부 고정해제버튼(c)을 누르면 고정용 모터(135)가 역회전되면서 하부 고정유닛(115)이 상부 고정유닛(11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고정유닛(111)과 하부 고정유닛(115)이 완철(1)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승강수단(230)은 지지몸체(210)에서 승강몸체(220)를 인출시켜 전선승강부(200)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승강수단(230)은 승강몸체(220)의 하단에 구비된 양단 랙기어(231)와 양단 랙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233)와 피니언기어(233)를 회전시키는 승강용 모터(235)를 포함한다. 피니언기어(233)는 회전운동을 하고 피니언기어(233)에 맞물린 양단 랙기어(231)는 직선운동을 한다.
양단 랙기어(231)는 양측으로 기어의 이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한 쌍의 피니언기어 중 하나에는 승강용 모터(235)의 축(236)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토크 균형을 맞춰 양단 랙기어(231)가 안정적으로 인출되게 지지하는 종동기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승강용 모터(235)가 구동되어 피니언기어(233)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233)와 맞물린 양단 랙기어(231)가 상승하여 지지몸체(210)에서 승강몸체(220)가 인출될 수 있다.
상기한 승강용 모터(235)는 조작버튼부(330)의 전선승강부 승강버튼(d) 또는 전선승강부하강버튼(e)을눌러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데, 전선승강부 승강버튼(d)을 누르면 승강용 모터(235)가 정회전되면서 승강몸체(220)가 지지몸체(210)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전선승강부하강버튼(e)을 누르면 승강용 모터(235)가 역회전되면서 승강몸체(220)가 지지몸체(210)로 인입되어 전선고정부(5)가 전선(L)을 들어올린 상태가 해제되고 승강몸체(220)가 LP 애자(3)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되면 전선(L)이 LP 애자(3)의 상부에 전선고정부(5)에 위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선이동장치(10)를 배터리(360)에 연결하는 전원케이블(350)은 일단에 조작부(300)의 하부의 전원용 핀부(335)가 삽입식으로 결합되는 핀홀(351)이 형성되고 핀홀(351)에 전원용 핀부(335)가 삽입식으로 결합되면, 핀홀(351)을 감싸는 외주 클램핑부(353)를 회전시켜 클램핑부(353)의 내주의 나사산(354)과 손잡이부(320)의 외면 나사산(321)과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이동장치(10')는 완철고정부(100)가 완철(1)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완철의 측부에서 삽입 가능하게 완철고정부(100)와 조작부(300)의 사이에 회전부(150)를 더 두어 조작부(300)에 대한 완철고정부(100)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조작부(300)에 대한 완철고정부(100)의 회전은 회전모터를 더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회전모터의 구동은 조작버튼부(33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완철(1)의 측부 또는 완철(1)의 상부에서 완철고정부(1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구성, 이를 위해 회전부(150)를 더 둔 구성에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완철고정부(100)가 완철(1)에 고정되는 구성, 전선승강부(200)가 신장되어 전선을 이동시키는 구성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완철고정부(100)는 전선이동장치(10)를 LP 애자(3)의 인근 완철(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컨데, 고정용 모터(135)의 동작에 의해 하부 고정유닛(115)이 상부 고정유닛(11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완철(1)에 압축되면서 고정하므로 완철(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선승강부(200)는 완철고정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LP 애자(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L)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승강용 모터(235)의 동작에 의해 승강몸체(220)가 지지몸체(210)에서 인출되고 전선승강부(20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LP 애자(3)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L)을 LP 애자(3)와 이격되게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300)는 완철고정부(100)와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까지 이동시키는 조작봉의 기능과 완철고정부(100)가 완철(1)에 견고히 고정되게 고정용 모터(135)를 조작하는 완철고정부 고정버튼(b)과, 전선승강부(200)의 전선삽입부(221)에 전선(L)을 삽입한 다음 전선(L)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용 모터(235)를 조작하는 전선승강부 승강버튼(d)을 갖는 조작버튼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조작부(300)의 하부에는 배터리(360)의 연결을 위한 전원용 핀부(335)가 구비되어, 완철고정부(100)를 완철(1)까지 이동시킨 다음 조작부(300)에 배터리(36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모터(135) 및 승강용 모터(235)를 조작버튼부(330)와 연결하는 제어용 전선(L)은 조작부(300)의 내부로 배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자의 작업에 간섭을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본 발명은 승강구동장치를 적용하기 불가능한 개소인 복합장주에 적용하여 LP 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전선이동장치가 완철에 고정되는 완철고정형이므로 LP 애자 교체를 위한 간접활선 공법에 확대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간접활선 확대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완철 3: LP 애자
5: 전선고정부 L: 전선
10: 전선이동장치 100: 완철고정부
110: 고정유닛 111: 상부 고정유닛
113: 승강공 115: 하부 고정유닛
120: 연결유닛 130: 고정수단
131: 제1 기어 133: 제2 기어
135: 고정용 모터 200: 전선승강부
210: 지지몸체 211: 인출공
220: 승강몸체 221: 전선삽입부
230: 승강수단 231: 양단 랙기어
233: 피니언기어 235: 승강용 모터
300: 조작부 310: 조작봉
320: 손잡이부 330: 조작버튼부
331: 덮개 335: 전원용 핀부
340: 제어용 전선 350: 전원케이블
351: 핀홀 353: 클램핑부
335: 배터리 연결부 360: 배터리

Claims (11)

  1. LP 애자와 인접한 완철에 고정되는 완철고정부;
    상기 완철고정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선단에 전선삽입부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의 신장이 가능하여 상기 LP 애자의 상부에 지지된 전선을 상기 전선삽입부에 삽입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선승강부; 및
    상기 완철고정부에서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까지 이동시키고, 일측에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하거나 상기 전선승강부의 길이의 신장을 조작하는 조작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철고정부는 상기 완철에 설치된 LP 애자의 양측에서 상기 완철의 측부를 파지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유닛, 상기 한 쌍의 고정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서 ㄷ자 형상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완철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완철의 상부와 측부에 밀착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상부 고정유닛, 및 상기 완철의 하부에 밀착되기 위한 일자 형상이며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간격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형성된 승강공;
    상기 하부 고정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공에 삽입된 제1 기어;
    상기 상부 고정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제1 기어를 상기 승강공에서 인출시키는 고정용 모터;
    를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승강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인출공이 형성된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인출공에서 인출되며 선단에 상기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승강몸체;
    상기 지지몸체에서 상기 승강몸체를 인출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몸체의 하단에 구비된 양단 랙기어;
    상기 양단 랙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승강용 모터;
    를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철고정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모터;
    상기 전선승강부의 길이의 신장을 위한 승강용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모터와 상기 승강용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전선이 상기 조작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조작버튼부에 연결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완철고정부에서 연장되는 조작봉; 및
    일단이 상기 조작봉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버튼부가 구비되며 반대되는 타단에 전원케이블 연결을 위한 전원용 핀부가 구비되어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은 일단에 상기 전원용 핀부가 삽입되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 상기 전원용 핀부가 삽입되면 핀홀을 감싸는 외주 클램핑부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 나사산과 체결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부는 임의 조작 방지를 위한 덮개가 구비된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부는
    전원스위치, 완철고정부 고정버튼, 완철고정부 고정해제버튼, 전선승강부 승강버튼 및 전선승강부하강버튼을 포함하는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KR1020190127726A 2019-10-15 2019-10-15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KR102241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26A KR102241896B1 (ko) 2019-10-15 2019-10-15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26A KR102241896B1 (ko) 2019-10-15 2019-10-15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896B1 true KR102241896B1 (ko) 2021-04-20

Family

ID=7574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726A KR102241896B1 (ko) 2019-10-15 2019-10-15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949B1 (ko) * 2022-01-04 2022-06-24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Lp애자 간접활선 교체공법
KR102462545B1 (ko) * 2021-12-28 2022-11-03 주식회사 하나이엔지 가공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20170115359A (ko) * 2016-04-07 2017-10-17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용 완철하강 장치 및 공법
KR101906769B1 (ko) * 2018-04-24 2018-10-10 이석기 배전선로용 엘피애자 교체장치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20170115359A (ko) * 2016-04-07 2017-10-17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용 완철하강 장치 및 공법
KR101912558B1 (ko) 2018-03-05 2018-10-29 한국전력공사 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활선 처리방법
KR101906769B1 (ko) * 2018-04-24 2018-10-10 이석기 배전선로용 엘피애자 교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45B1 (ko) * 2021-12-28 2022-11-03 주식회사 하나이엔지 가공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
KR102412949B1 (ko) * 2022-01-04 2022-06-24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Lp애자 간접활선 교체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155B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2241896B1 (ko) 완철고정형 lp 애자 전선이동장치
CN106463940B (zh) 配电设备带电作业用辅助装置和利用其进行配电设备带电作业的方法
US20040149970A1 (en)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CN211812684U (zh) 一种电力施工用放线架
AU2002303016A1 (en)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KR102115777B1 (ko)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1027732B1 (ko) 드럼 케이블의 다회선 케이블 풀링장치
JP6570451B2 (ja) 張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架空地線取替方法
CN109742678A (zh) 杆上带电作业机器人设备
CN110498374B (zh) 一种带操作臂的自动登杆装置
JP2012157149A (ja) 間接活線工法用圧縮装置
CN205873751U (zh) 自动平移排绳吊杆机
CN216335783U (zh) 一种用于电力设备的放线支撑架
WO2012014554A2 (en) Electric wires twisting device and twisted pair cable fabrication method employing the same
CN211556686U (zh) 一种电力工程用线缆铺设拉紧装置
KR101504120B1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CN211629327U (zh) 方便使用的10kV电路绝缘引流线专用接线装置
CN205438364U (zh) 一种螺母操作装置
CN103616281B (zh) 一种卧式拉力试验机尾座
CN218976168U (zh) 一种便于滑动调节的复导线间距保持装置
CN114156792B (zh) 一种导线修补机械臂
JP2010172161A (ja) 圧縮接続器の支持装置
CN203504117U (zh) 移动式电缆盘快速放线装置
CN107681520A (zh) 变电设备紧固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