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77B1 -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5777B1 KR102115777B1 KR1020190110560A KR20190110560A KR102115777B1 KR 102115777 B1 KR102115777 B1 KR 102115777B1 KR 1020190110560 A KR1020190110560 A KR 1020190110560A KR 20190110560 A KR20190110560 A KR 20190110560A KR 102115777 B1 KR102115777 B1 KR 102115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cable
- rotating
- bypass cable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전면에 전력선이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클램프본체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131)을 구비하오 상기 수직축(131)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전력선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전력선(500)에 거치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본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커버, 상기 드럼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본체 및 절연체로 구성되어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는 절연 인상벨트을 포함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본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드럼부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걸어주고,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가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본체에서 권출되도록 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안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준비시킴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을 편리하게 바이패스 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한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설치공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전면에 전력선이 수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클램프본체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131)을 구비하오 상기 수직축(131)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전력선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전력선(500)에 거치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본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커버, 상기 드럼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본체 및 절연체로 구성되어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는 절연 인상벨트을 포함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본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드럼부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걸어주고,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가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본체에서 권출되도록 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안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준비시킴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을 편리하게 바이패스 연결 시킬 수 있도록 한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설치공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를 조작하여 절연 인상벨트가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드럼본체로부터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시 상기 배전선로에 설치 및 해제함에 있어 전력선에 고정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조임식이 아닌 힌지를 이용한 자동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며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간접 활선 작업용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와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력 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 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업 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정전 배전 공법이 주로 채택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1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연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바이패스 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
즉,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3) 설치공정이 수반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6)에 케이블임시걸이(2)를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지크리트(4)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7)을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을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6)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3)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6)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3)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을 약 1.5m ~ 2m 길이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는데 전선분리용 컷터, 활선용압축기(약4.5kg) 및 케이블클램프 등의 무게(약 5~20kg)가 활선작업용스틱 끝에 실려 작업자의 체력으로 활선작업용스틱 지탱이 불가능하여 작업 중 케이블클램프 등을 낙하 하는 실수가 빈번하고 이로 인하여 활선전공의 노동강도가 최고조로 증가하고 체력의 한계로 근골격계 질환우려 뿐만 아니라 방호를 생략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및 선로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종전 기술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선전공 및 신청기술 분야 관련업계에서 시행을 우려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제어부를 조작하여 절연 인상벨트가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드럼본체로부터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전선로에 설치 및 해제함에 있어 전력선에 고정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조임식이 아닌 자동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며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전면에 전력선이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클램프본체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축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전력선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전력선에 거치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와 상기 수직축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커버, 상기 드럼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본체 및 절연체로 구성되어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는 절연 인상벨트를 포함하는 드럼부 및 상기 드럼본체에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드럼부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걸어주고, 상기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가 상기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본체에서 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축의 상부 양측에 상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와 후방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와 힌지 결합되고, 전방 양측이 상기 클램프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전방에 하부방향으로 가압판이 연장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드럼커버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축의 하부가 고정결합되는 회동축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부는 상기 드럼부의 제어부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내주연을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구와 상기 복수의 삽입구를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판과 복수의 삽입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탈락판이 포함되며, 상기 드럼본체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홈에는 복수의 삽입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홈은 상기 드럼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은 상기 회전홈이 드럼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삽입구가 상기 회전홈 및 관통홈의 밑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전홈 및 관통홈에서 탈락됨으로써, 상기 드럼본체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럼부는 상기 드럼부의 제어부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외주연을 따라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은 상기 드럼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을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판과 삽입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은 상기 회전홈이 드럼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탈락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어부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웜휠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웜휠에 대응되는 웜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에는 인상조절노브가 형성되는 웜축이 포함되고, 상기 드럼커버는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인덱스 플런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는 상기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는 상부에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상부와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결합되는 단면이 "T" 형상의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상부가 결합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접속부재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웨이브와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은, 활선 상태의 전력선의 전원 측과 부하 측에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가 연결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전주에 입상하여 상별로 준비하는 작업 준비 공정;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에 상별로 설치하는 인상장치 설치 공정; 설치된 각각의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를 인하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인상벨트의 말단에 걸어주고 연결시키고 다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를 인상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준비 공정과 인상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간접 활선용 스틱으로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에 상별로 설치하여 상기 전력선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접속 및 통전시켜 상기 전력선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바이패스 연결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정과 상기 전력선과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바이패스 연결시킨 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 공정과 점퍼선 분리 후, 사선 상태에서 작업 구간 내 사선 작업을 수행하는 배전 설비 공정과 배전 공사 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점퍼선 연결 공정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에 상별로 설치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분리하고,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절연 인상벨트에서 분리하는 바이패스케이블 분리 공정 및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에 상별로 설치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분리하고,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가 연결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고 현장을 정리하는 마무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절연 인상벨트가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드럼본체로부터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 인상벨트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복수의 삽입구가 회전홈 및 관통홈에서 탈락되도록 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더라도 절연 인상벨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가 잘못된 위치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에 절연 인상벨트 또는 제어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시 전력선에 고정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조임식이 아닌 힌지를 이용한 자동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설치 및 해제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며 더욱 안전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임시케이블 접속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를 조작하여 절연 인상벨트가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드럼본체로부터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배전설로에 설치 및 해제함에 있어 전력선(500)에 고정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기존의 조임식이 아닌 힌지를 이용한 자동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력선(500)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설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더욱더 안전하게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3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상장치는, 클램프본체(110)와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전면에 전력선(500)이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120) 및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13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축(131)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120)에 수용되는 전력선(500)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며 전력선(500)에 거치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100), 상기 수직축(13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커버(210), 상기 드럼커버(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본체(220) 및 절연체로 구성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에 권취되는 절연 인상벨트(230)를 포함하는 드럼부(200) 및 상기 드럼본체(220)에 연결되는 회전축(310) 및 상기 드럼부(200)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부재(320)를 포함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의 말단에는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3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가 상기 드럼본체(220)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본체(220)에서 권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상장치는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의 수용홈(120)에 수용되어 상기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가 상기 전력선(5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0)를 조작하여 상기 드럼부(200)의 절연 인상벨트(230)에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인하 및 인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된 부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상장치는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와 연결되는 절연 인상벨트(230)가 절연체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활선 작업의 진행 또는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의 추락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에 연결되는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는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 및 바이패스 케이블(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는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된 부분이 설치되어 통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는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된 부분에 거치되는 구성인 만큼 상기 전력선(500)의 두께 및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달리 상기 전력선(500)과 통전될 수 있도록 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동일한 형상의 고정부재(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선(500)의 두께 및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가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된 부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이 서로 통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업성 향상을 위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는 하부에 결합되되, 통전홀(미표시)이 관통형성되는 하부결합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는 상부에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422);과 상기 하우징(4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와 결합되는 회전부재(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전력선(500)의 전기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를 통해 상기 하부결합부(412)와 회전부재(424)를 거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로 통전된다.
아울러,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의 회전부재(424)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로부터 회전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이는 다시 말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의 상부에서 회전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424)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통전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단면이 "T" 형상의 접속부재(424a)와 상기 접속부재(424a)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가 결합되는 회전몸체(424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접속부재(424a)는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미표시)의 하부면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의 상부면(미표시)과 밀접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회전몸체(424b)를 거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까지 통전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24)는 상기 접속부재(424a)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 즉, 하부결합부(412)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웨이브와셔부재(424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웨이브와셔부재(424c)는 하부에 상기 회전몸체(424b)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하부지지판(424c-1)과, 상기 하부지지판(424c-1)의 상부에 위치되는 웨이브와셔(424c-2) 및 상기 웨이브와셔(424c-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판(424c-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웨이브와셔(424c-2)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 즉, 하부결합부(412)가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접속부재(424a)의 돌출부의 하부면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 즉, 하부결합부(412)의 상부면이 더욱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접됨으로써, 더욱더 원활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은, 일단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의 말단을 통해 삽입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의 말단을 통해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두 개의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연결하여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5c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는 본 발명의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전력선(50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110) 및 상기 클램프본체(110)에 형성되는 수용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에는 상기 클램프본체(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축(131)의 하부에 상기 드럼커버(210)의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드럼커버(210)는 상기 수직축(13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커버(210)는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축(131)의 하부가 고정결합되는 회동축(2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축(212)에 의해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본체(110)는 상기 클램프본체(110)와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연결하는 절연 인상벨트(230)가 절연체로 구성되어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클램프본체(110)는 도체 또는 절연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0)은 "∩"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압부(133)의 가압판(133a)에 의해 전력선(500)이 수용된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용홈(1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압부(133)에 의해 전력선(500)의 두께 즉, 직경이 달라도 기 형성되어 있는 직경의 범위 내에 포함되면 어떠한 직경의 전력선(500)이라도 고정 즉, 파지가 가능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에는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13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축(131)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홈(120)에 수용되는 전력선(500)을 파지하여 고정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도록 하는 고정부재(1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에는, 상기 수직축(131)의 상부 양측에 상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132)와 후방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132)와 힌지 결합되고, 전방 양측이 상기 클램프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며, 전방에 하부방향으로 가압판(133a)이 연장형성되는 가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131)은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부와 하부가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부에는 링크부(132)가 결합되고, 돌출된 하부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드럼커버(210)가 회동축(2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축(131)은 작업자가 수용홈(120)에 전력선(5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거치하면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압부(13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전력선(500)이 파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수직축(131)은 돌출된 상부에 링크부(132)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방이 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131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1a)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링크부(132)가 원활하게 힌지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압부(133)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링크부(132)는 상기 수직축(131)의 상부 양측에 상부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서 설명된 상기 수직축(131)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31a)의 후방 양측 즉, 후방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가압부(133)의 후방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직축(131)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기 가압부(133)의 가압판(133a)이 상부로 회전되어 이동됨으로써, 전력선(500)이 수용홈(120)에 파지되어 고정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링크부(13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133)의 안정적인 회동을 실현하여 수용홈(120)에 파지되는 전력선(500)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파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133)는 "ㄱ"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방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부(132)와 힌지 결합되고, 전방 양측이 상기 클램프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며, 전방에 하부방향으로 가압판(133a)이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ㄱ"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심에 수직축(131)이 위치되며 상기 수직축(131)이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 양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가압판(133a)이 상부로 회전되어 이동됨으로써, 수용홈(120)에 전력선(500)이 파지되어 고정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압부(133)는 후방이 링크부(132)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전방 양측이 클램프본체(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직축(13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전방 양측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가압판(133a)이 상하로 회전되어 이동되어 수용홈(120)에 전력선(500)이 파지 또는 파지 해제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133)는 수용홈(120)의 직경내에 포함되는 어떠한 전력선(500)이 상기 수용홈(120)에 거치되어 있어도 상기 가압판(133a)에 의해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쉽게게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복잡한 구성으로 전력선(500)을 파지하는 작업소요를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판(133a)은 수용홈(120)에 파지되는 전력선(500)의 보다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돌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는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되지 않은 부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전력선(500)의 피박되지 않은 부분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는 기존에 가압부(133)를 조임식으로 구성하여 전력선(500)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아닌 상기 전력선(500)을 수용홈(120)에 거치하여 자동으로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력선(500)에 쉽게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력선(500)으로부터 설치를 해제할 때, 상부로 들어올리는 즉,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만으로도 자동으로 파지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전력선(500)으로부터 쉽게 설치가 해제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200)에는, 상기 드럼부(200)의 제어부(300)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내주연을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241)이 형성되는 회전판(240),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구(250),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를 상기 회전판(2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및 상기 회전판(240)과 복수의 삽입구(25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271)이 형성되는 탈락판(27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본체(220)는 상기 회전축(310)에 의해 상기 회전판(24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는 복수의 삽입구(25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240)은 상기 제어부(30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를 통해 드럼본체(220)로 전달하여 상기 드럼본체(22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럼본체(220)에 절연 인상벨트(230)가 권취되도록 하거나, 상기 드럼본체(220)에 권취된 절연 인상벨트(230)가 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판(240)에서 복수의 삽입구(250)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회전판(240)에 형성되는 회전홈(241)에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판(240)에 형성되는 회전홈(241)의 형상은 작업 환경에 따라 다각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는 상기 탄성부재(260)에 의해 탄성을 가지고 상기 회전홈(24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24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드럼본체(2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는 상기 드럼본체(220) 내부의 칸막이(22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6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에서 탈락됐을 때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탈락판(270)은 상기 회전판(240)과 복수의 삽입구(250)의 사이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클러치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홈(241)은 상기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홈(271)은 상기 회전홈(241)이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본체(220)는,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밑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에서 탈락됨으로써, 상기 드럼본체(220)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클러치 기능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드럼본체(220)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0)가 구비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으로부터 탈락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력은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달되는 것이므로,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에서 탈락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력이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드럼본체(220)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드럼본체(220)의 미리 설정된 무게는 상기 탄성부재(260)의 탄성력 및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각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이나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각도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가 잘못된 위치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경우에도 절연 인상벨트(230) 또는 제어부(30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드럼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내지 도 9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럼부(200)에는, 상기 드럼부(200)에는, 상기 드럼부(200)의 제어부(300)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외주연을 따라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241)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241)은 상기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240),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구(250)가 형성되는 삽입판(280), 상기 삽입판(280)을 상기 회전판(2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및 상기 회전판(240)과 삽입판(28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27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271)은 상기 회전홈(241)이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탈락판(27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판(240)을 통해 삽입판(28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드럼본체(220)가 회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클러치 기능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형성된 삽입판(280)이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60)가 구비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상기 삽입판(280)의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으로부터 탈락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력은 상기 삽입판(280)의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달되는 것이므로, 상기 삽입판(280)의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에서 탈락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력이 상기 삽입판(28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어부(30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드럼본체(220)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드럼본체(220)의 미리 설정된 무게는 상기 탄성부재(260)의 탄성력 및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각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이나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각도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0c에 따르면, 상기 기어부재(320)에는, 케이스(321),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는 웜휠(322) 및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웜휠(322)에 대응되는 웜(323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21)를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에는 인상조절노브(323b)가 형성되는 웜축(323)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부재(320)의 인상조절노브(323b)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위치된 웜(323a)이 회전되면서 상기 웜휠(322)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웜휠(322)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휠(322)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310)이 회전되어 상기 드럼부(200)의 회전판(240)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본체(22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상조절노브(323b)가 케이스(321)의 하부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321)의 상부에도 동시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상조절노브(323b)는 하부에서 조절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웜휠(322) 및 웜축(323)을 개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321)의 외부에서 상기 인상조절노브(323b)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커버(210)에는 상기 케이스(321)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홈(21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어부재(320)에는 상기 고정홈(210a)에 대응되는 인덱스 플런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는 통상적인 인덱스 플런저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210a)에 인입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홈(210a)에서 인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는 상기 케이스(321)가 상기 드럼커버(210)의 표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가 상기 고정홈(210a)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321) 자체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가 상기 고정홈(210a)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상조절노브(323b)를 조작하여 상기 드럼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고정홈(210a)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 또한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전상의 문제를 위하여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의 인출 시에는 상기 복수의 인덱스 플런저(324)가 모두 인출된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는 상기 드럼커버(210)의 표면에서 상기 기어부재(320)가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커버(2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210a)에 삽입되어 상기 기어부재(320)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를 상기 고정홈(210a)에서 분리시켜 상기 기어부재(320)를 회전시키고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를 상기 고정홈(210a)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인덱스 플런저(324)를 어느 고정홈(210a)에 삽입시키는 지에 따라 상기 기어부재(320)의 고정 각도가 정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상조절노브(323b)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은 10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 준비 공정(S10), 인상장치 설치 공정(S20), 바이패스케이블 준비 공정(S30),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정(S40), 점퍼선 분리 공정(S50), 배전 설비 공정(S60), 점퍼선 연결 공정(S70), 바이패스케이블 분리 공정(S80), 인상장치 분리공정(S90) 및 마무리 공정(S100)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은,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을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거나, 활선 상태의 전주에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 뒤에 사선 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을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거나, 활선 상태의 전주에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하여 사선 작업으로 전주이설 및 교체, 전선교체 등을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거나, 무정전변압기장치를 사용하여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무정전으로 변압기 신설, 교체 또는 이설 등을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거나,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주이설, 교체, 경과지 변경 등을 간접활선으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활선 상태의 전주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을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사를 수행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작업 준비 공정(S10)은 활선 상태의 전력선(500)의 전원 측과 부하 측에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케이블에 연결하여 상별로 준비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230)에는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최초에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는 안전상으로 문제에 따라 인상된 상태로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상장치 설치 공정(S20)은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는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의 수용홈(120)에 상기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이 수용되어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가 걸려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간단하게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전력선(500)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전력선(500)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시공이 종래에 비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상기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에 설치하는 공정은 종래에 별도의 임시걸이를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임시걸이의 클램프부를 전력선에 설치한 후 케이블클램프가 연결된 공사용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걸이에 걸어두었다가 바이패스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전력선(500)에 거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임시걸이가 결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제어부(300)의 인상조절노브(323b)에 활선용 절연스틱을 연결한 후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제어부(300)를 안전한 이격거리로 인상하여 대기하고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에서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들어올려 전력선(500)과 결합시킴으로써, 이에 따라 더욱더 안정적으로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제어부(300)를 함께 상부로 이동시켜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활선용 절연스틱은 이후에 제어부(300)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므로 상기 제어부(300)의 인상조절노브(323b)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300)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더욱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킬 수 있으며,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선용 절연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이패스케이블 준비 공정(S30)은 설치된 각각의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230)를 인하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인상벨트(230)의 말단에 걸어주고 다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230)를 인상하는 공정이다.
이는 상기 활선용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0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드럼본체(220)가 회전되어 절연 인상벨트(230)가 인하되거나 인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활선용 절연스틱은 상기 제어부(300)의 인상조절노브(323b)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를 인하시키거나 인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정(S40)은 인상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하여 상기 피박된 전력선(500')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접속 및 통전시켜 상기 피박된 전력선(500')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연결하는 공정이다.
이는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의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걸어서 설치하고, 전원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설치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와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설치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케이블(430)을 이용하여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전원 측 피박된 전력선(500')과 부하 측 피박된 전력선(500')이 전기적으로 바이패스 되어 통전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점퍼선 분리 공정(S50)은 상기 피박된 전력선(500')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연결시킨 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전 공사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상기 배전 설비 공정(S60)은 상기 점퍼선 분리 공정(S50) 이후, 사선 상태에서 작업 구간 내 배전 공사를 수행하는 공정이다.
이때, 점퍼선이 분리된 사선 상태에서 점퍼선의 교체, 이설, 개폐기 신설, 교체, 이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점퍼선 연결 공정(S70)은 상기 배전 설비 공정(S60) 이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작업 구간 내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정이다.
상기 바이패스케이블 분리 공정(S80)은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분리하고,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절연 인상벨트(230)에서 분리하는 공정이다.
이는 상기 활선용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00)의 인상조절노브(323b)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전력선에서 분리하고 안전한 이격거리로 하강시켜서 절연인상벨트(230)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상장치 분리 공정(S90)은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분리하하는 공정이다.
상기 마무리 공정(S100)은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와 바이패스케이블(430)을 분리하고 현장을 정리하는 공정이다.
이는 종래에 상기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조여주고 풀어주었으나, 상기 드럼부(200)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상기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상기 전력선(500)으로부터 분리하면 본 발명의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가 철거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철거는 전원 측과 부하 측 각각 상별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일련의 공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공사 시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하는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를 조작하여 절연 인상벨트이 드럼본체에 권취되거나 드럼본체로부터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연 인상벨트의 말단에 연결되며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 공사를 무정전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임시걸이 클램프부
110 : 클램프본체 120 : 수용홈
130 : 고정부재
131 : 수직축 132 : 링크부
133 : 가압부 133a : 가압판
200 : 드럼부
210 : 드럼커버 210a : 고정홈
220 : 드럼본체 221 : 칸막이
230 : 절연 인상벨트
240 : 회전판 241 : 회전홈
250 : 삽입구 260 : 탄성부재
270 : 탈락판 271 : 관통홈
280 : 삽입판
300 : 제어부 310 : 회전축
320 : 기어부재 321 : 케이스
322 : 웜휠 323 : 웜축
323a : 웜 323b : 인상조절노브
324 : 인덱스 플런저
400 :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
410 :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
420 :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430 : 바이패스 케이블
500 : 전력선 500' : 피박된 전력선
110 : 클램프본체 120 : 수용홈
130 : 고정부재
131 : 수직축 132 : 링크부
133 : 가압부 133a : 가압판
200 : 드럼부
210 : 드럼커버 210a : 고정홈
220 : 드럼본체 221 : 칸막이
230 : 절연 인상벨트
240 : 회전판 241 : 회전홈
250 : 삽입구 260 : 탄성부재
270 : 탈락판 271 : 관통홈
280 : 삽입판
300 : 제어부 310 : 회전축
320 : 기어부재 321 : 케이스
322 : 웜휠 323 : 웜축
323a : 웜 323b : 인상조절노브
324 : 인덱스 플런저
400 :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
410 :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
420 :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430 : 바이패스 케이블
500 : 전력선 500' : 피박된 전력선
Claims (12)
- 클램프본체(110)와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전면에 전력선(500)이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120) 및 상기 클램프본체(110)의 하부를 관통하는 수직축(13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축(131)을 따라 상기 클램프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수용홈(120)에 수용되는 전력선(500)을 파지 또는 파지를 해제하는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며 전력선(500)에 거치되는 임시걸이 클램프부(100);와
상기 수직축(13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커버(210), 상기 드럼커버(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본체(220) 및 절연체로 구성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에 권취되는 절연 인상벨트(230)를 포함하는 드럼부(200); 및
상기 드럼본체(220)에 연결되는 회전축(310) 및 상기 드럼부(200)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어부재(320)를 포함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의 말단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걸어주고,
상기 제어부(3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가 상기 드럼본체(220)에 권취되거나 상기 드럼본체(220)에서 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수직축(131)의 상부에 전방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131a);와
상기 가이드부(131a)의 후방 양측에 상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132);와
후방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부(132)와 힌지 결합되고, 전방 양측이 상기 클램프본체(110)와 힌지 결합되며, 전방에 하부방향으로 가압판(133a)이 연장형성되는 가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커버(21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축(131)의 하부가 고정결합되는 회동축(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200)는
상기 드럼부(200)의 제어부(300)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내주연을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241)이 형성되는 회전판(240);과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구(250);와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를 상기 회전판(2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및
상기 회전판(240)과 복수의 삽입구(25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271)이 형성되는 탈락판(270);이 포함되며,
상기 드럼본체(220)는 상기 회전축(310)에 의해 상기 회전판(24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는 복수의 삽입구(25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홈(241)은
상기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71)은
상기 회전홈(241)이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에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삽입구(250)가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의 밑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전홈(241) 및 관통홈(271)에서 탈락됨으로써, 상기 드럼본체(220)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200)는
상기 드럼부(200)의 제어부(300) 반대 측면에서 상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며, 내측면의 외주연을 따라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홈(241)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241)은 상기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240);과
상기 드럼본체(2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본체(22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복수의 삽입구(250)가 형성되는 삽입판(280);과
상기 삽입판(280)을 상기 회전판(24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0); 및
상기 회전판(240)과 삽입판(28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홈(241)에 대응되는 개수의 관통홈(27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271)은 상기 회전홈(241)이 드럼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탈락판(27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320)는
케이스(321);와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되는 웜휠(322); 및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웜휠(322)에 대응되는 웜(323a)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21)를 관통하여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에는 인상조절노브(323b)가 형성되는 웜축(32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커버(210)는
상기 케이스(321)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홈(210a)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재(320)는
상기 고정홈(210a)에 대응되는 인덱스 플런저(3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는
상기 절연 인상벨트(230)의 말단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케이블(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420)는
상부에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에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422);과
상기 하우징(4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와 결합되는 회전부재(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24)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결합되는 단면이 "T" 형상의 접속부재(424a);와
상기 접속부재(424a)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30)의 상부가 결합되는 회전몸체(424b); 및
상기 접속부재(424a)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클램프부(410)를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웨이브와셔부재(424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에 있어서,
활선 상태의 전력선(500)의 전원 측과 부하 측에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연결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전주에 입상하여 상별로 준비하는 작업 준비 공정(S10);과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하는 인상장치 설치 공정(S20);과
설치된 각각의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230)를 인하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인상벨트(230) 말단에 걸어주고 다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절연 인상벨트(230)를 인상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준비 공정(S30);과
인상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간접활선용 스틱으로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하여 상기 전력선(500)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상별로 순차적으로 접속 및 통전시켜 상기 전력선(500)과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연결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정(S40);과
상기 전력선(500)과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바이패스 연결시킨 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점퍼선 분리 공정(S50);과
점퍼선 분리 후, 사선 상태에서 작업 구간 내 사선 작업을 수행하는 배전 설비 작업 공정(S60);과
배전 공사 후, 작업 구간 양측의 점퍼선을 상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점퍼선 연결 공정(S70);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피박된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분리하고,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를 절연 인상벨트(230)에서 분리하는 바이패스케이블 분리 공정(S80);과
전원 측과 부하 측의 전력선(500)에 상별로 설치된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의 임시걸이 클램프부(100)를 분리하는 임시걸이 분리 공정(S90); 및
케이블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400)가 연결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고 현장을 정리하는 마무리 공정(S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560A KR102115777B1 (ko) | 2019-09-06 | 2019-09-06 |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560A KR102115777B1 (ko) | 2019-09-06 | 2019-09-06 |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5777B1 true KR102115777B1 (ko) | 2020-05-27 |
Family
ID=7091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560A KR102115777B1 (ko) | 2019-09-06 | 2019-09-06 |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777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755B1 (ko) | 2020-08-26 | 2021-03-1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KR20220070176A (ko) * | 2020-06-23 | 2022-05-30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지지장치 |
CN114640054A (zh) * | 2022-03-29 | 2022-06-17 | 武汉戎汇电通科技有限公司 | 一种载荷自锁夹钩装置及输配电线路作业机器人 |
FR3117693A1 (fr) * | 2020-12-16 | 2022-06-17 | Fameca | Dispositif de mise à la terre d’au moins un conducteur électrique d’une ligne aérienne |
KR102437136B1 (ko) | 2021-08-31 | 2022-08-2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하강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를 갖는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용 임시걸이 후크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CN115431305A (zh) * | 2022-08-15 | 2022-12-06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 一种由绝缘杆操控的线缆剪刀 |
KR102549108B1 (ko) * | 2022-12-12 | 2023-06-30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
CN116565767A (zh) * | 2023-07-07 | 2023-08-08 | 安徽华速达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旁路电缆接入安装辅助工具 |
KR102644279B1 (ko) | 2023-09-05 | 2024-03-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45B1 (ko) | 2009-04-14 | 2009-11-1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
KR101777080B1 (ko) | 2017-01-05 | 2017-09-12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
KR101873712B1 (ko) | 2018-03-16 | 2018-07-0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
KR101984829B1 (ko) * | 2018-05-25 | 2019-06-04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0560A patent/KR1021157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45B1 (ko) | 2009-04-14 | 2009-11-1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
KR101777080B1 (ko) | 2017-01-05 | 2017-09-12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
KR101873712B1 (ko) | 2018-03-16 | 2018-07-03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
KR101984829B1 (ko) * | 2018-05-25 | 2019-06-04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가선 이도 조정 시공법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0176A (ko) * | 2020-06-23 | 2022-05-30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지지장치 |
KR102526895B1 (ko) * | 2020-06-23 | 2023-05-02 | 한국전력공사 | 케이블 지지장치 |
KR102228755B1 (ko) | 2020-08-26 | 2021-03-17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FR3117693A1 (fr) * | 2020-12-16 | 2022-06-17 | Fameca | Dispositif de mise à la terre d’au moins un conducteur électrique d’une ligne aérienne |
EP4016767A1 (fr) * | 2020-12-16 | 2022-06-22 | Fameca | Dispositif de mise a la terre d'au moins un conducteur electrique d'une ligne aerienne |
KR102437136B1 (ko) | 2021-08-31 | 2022-08-2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하강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를 갖는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용 임시걸이 후크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CN114640054B (zh) * | 2022-03-29 | 2024-03-15 | 武汉戎汇电通科技有限公司 | 一种载荷自锁夹钩装置及输配电线路作业机器人 |
CN114640054A (zh) * | 2022-03-29 | 2022-06-17 | 武汉戎汇电通科技有限公司 | 一种载荷自锁夹钩装置及输配电线路作业机器人 |
CN115431305A (zh) * | 2022-08-15 | 2022-12-06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 一种由绝缘杆操控的线缆剪刀 |
KR102549108B1 (ko) * | 2022-12-12 | 2023-06-30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
WO2024128592A1 (ko) * | 2022-12-12 | 2024-06-20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
CN116565767A (zh) * | 2023-07-07 | 2023-08-08 | 安徽华速达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旁路电缆接入安装辅助工具 |
CN116565767B (zh) * | 2023-07-07 | 2023-09-12 | 安徽华速达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旁路电缆接入安装辅助工具 |
KR102644279B1 (ko) | 2023-09-05 | 2024-03-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5777B1 (ko) |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
KR102228755B1 (ko) |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
KR101955155B1 (ko) |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 |
KR102045932B1 (ko) |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 |
KR101873712B1 (ko) |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 |
US7216850B2 (en) |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 |
EP2036179B1 (en) |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 |
US10811856B2 (en) | System for servicing cable | |
US20040149970A1 (en) |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 |
AU2002304197A1 (en) |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 |
AU2002303016A1 (en) | 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for LP insulator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2211211B1 (ko) |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 |
JP6570451B2 (ja) | 張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架空地線取替方法 | |
WO2022124563A1 (ko) |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 |
JP2013073767A (ja) |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 |
KR102650799B1 (ko) |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 |
KR20220120349A (ko) | 전선 인장기 | |
JP7194913B2 (ja) | 電線仮支持具 | |
CN104967027B (zh) | 一种令克绝缘隔板 | |
KR102403952B1 (ko) | 바이패스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선장치 | |
KR20220041518A (ko) |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 |
KR102641637B1 (ko) |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 |
KR102437136B1 (ko) | 하강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를 갖는 간접 활선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용 임시걸이 후크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 |
KR102644279B1 (ko) |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 |
KR102290560B1 (ko) | 지상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되는 터미널 탈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