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895B1 -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895B1
KR102526895B1 KR1020220057802A KR20220057802A KR102526895B1 KR 102526895 B1 KR102526895 B1 KR 102526895B1 KR 1020220057802 A KR1020220057802 A KR 1020220057802A KR 20220057802 A KR20220057802 A KR 20220057802A KR 102526895 B1 KR102526895 B1 KR 10252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connection
uni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176A (ko
Inventor
권호상
이우상
장길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5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연결되어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접속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 활선 작업시 작업자의 직접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간접활선용 절연스틱을 이용한 전력선 비 접촉식 간접활선공법이 적용되어 시행중에 있다. 특히,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배전전주 또는 기자재 교체를 위해 특고압 선로에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여 전류 우회경로를 만든 후 바이패스 구간 양 측의 전력선의 점퍼선을 절단해 해당 공사구간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시공 시 점퍼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체 없이 공중에 늘어놓거나 기존 전선에 감아 놓게 되어 순간적인 바람 등 외부요인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점퍼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공중에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개발되고 있기는 하나, 기존의 지지대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완철에 지지대를 설치해야 하거나 중량의 회전기를 통해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9771호(발명의 명칭: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등록일:2009.05.2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점퍼선 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공중에서 지지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활선공구를 통한 간접 설치 시공이 가능한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는: 완철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속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완철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완철의 타측 둘레에 접해 상기 안착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안착부의 양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부; 및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삽입 방향 상기 안착부에 접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지지부몸체;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지지부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의 연통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의 양측에 배치되는 전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속케이블의 양단을 지지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속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둘레에 가압 고정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안착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돌기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어댑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바이패스케이블 또는 점퍼선을 공중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활선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직접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여 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걸림부에 의해 케이블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케이블 추락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태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1)는 연결부(100), 고정부(300),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연결부(100)는 후술하는 고정부(300)에 연결되어 고정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00)는 원통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주(3)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철(4)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연결부(100)는 완철(4)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양단이 완철(4)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연결부(100)의 단면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형의 형상 이외에도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고정부(300)는 연결부(100)에 연결되고, 전주(3)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철(4)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는 제1고정부재(310), 제2고정부재(320), 회전부(3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1고정부재(310)가 연결부(100)의 상측, 제2고정부재(320)가 연결부(10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각각 연결부(100)의 하측, 상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고정부재(310)는 연결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310)는 대략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310)는 일측이 연결부(100)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의 일측에는 연결부(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10)는 타측이 연결부(1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제1고정부재(310)는 일면(도 4기준 하측면)이 후술하는 회전부(330)의 작동에 의해 완철(4)의 일면(도 4기준 상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고정부재(310)가 완철(4)과 접촉되는 면에는 완철(4)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제1고정부재(3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는 완철(4)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20)는 연결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고정부재(3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재(320)는 제1고정부재(310)와 마찬가지로 대략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320)는 일측이 연결부(100)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재(320)의 일측에는 연결부(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330)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330)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를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는 회전부몸체(331), 제1결합부(332), 제2결합부(333)를 포함한다.
회전부몸체(331)는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1결합부(332)와 제2결합부(333)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몸체(331)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결합부(332)는 회전부몸체(331)에 연결되고, 제1고정부재(310)와 오른나사 방향 또는 왼나사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방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제1결합부(332)가 회전부몸체(331)에 왼나사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332)는 나사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부몸체(331)의 일측(도 4 기준 상측)에 연결된다. 제1결합부(332)는 우측(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1고정부재(310)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결합부(333)는 회전부몸체(331)에 연결되고, 제2고정부재(320)와 제1방향과 다른 방향 즉, 오른나사 방향 또는 왼나사 방향 중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333)는 나사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부몸체(331)의 타측(도 4 기준 하측)에 연결된다. 제1결합부(332)는 우측(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2고정부재(32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는 고리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334)는 제1결합부(332)와 제2결합부(333)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직접 파지할 수 있거나 절연스틱 등과 같은 간접활선공구 등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리부(334)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332)와 제2결합부(333)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지지부(500)는 연결부(100)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5)과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접속케이블(5)을 공중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접속케이블(5)은 활선 시공 시 전주(3)의 양측에 배치된 전선(6)에 흐르는 전류를 임시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케이블 뿐만 아니라 전주(3)의 양측에 배치된 전선(6)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점퍼선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0)는 지지부몸체(510), 수용부(520), 가압부재(530)를 포함한다.
지지부몸체(510)는 연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몸체(510)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부(10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부몸체(510)는 연결부(100)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접속케이블(5)의 위치 변화에 대응되어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수용부(520)는 지지부몸체(5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접속케이블(5)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520)는 지지부몸체(5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520)는 지지부몸체(5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접속케이블(5)을 지지부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수용부(520)의 직경, 깊이 등은 접속케이블(5)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가압부재(530)는 지지부몸체(5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용부(52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접속케이블(5)의 둘레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530)는 지지부몸체(510)에 수직하게 배치하는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압부재(5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부몸체(51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지지부몸체(510)에 나사 결합된다. 가압부재(530)의 단부는 접속케이블(5)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되어 접속케이블(5)의 둘레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1)의 조립과정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고정부(300)의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연결부(100) 상에서 완철(4)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이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가 각각 완철(4)의 상, 하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킨 후 회전부(33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330)가 우측(도 4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에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된 제1결합부(332)는 제1고정부재(3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320)에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제2결합부(333)는 제2고정부재(3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재(310)와 제2고정부재(320)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각각 완철(4)의 상,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300)가 완철(4)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지지부(500)의 지지부몸체(510)를 연결부(100)를 축으로 회전시켜 수용부(520)가 접속케이블(5)을 향하도록 배치시킨다.
이후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수용부(520) 내부로 삽입시키고, 가압부재(530)를 회전시켜 수용부(520)를 향해 이동시킨다. 가압부재(530)가 이동됨에 따라 가압부재(530)의 단부는 접속케이블(5)의 둘레를 가압하여 접속케이블(5)을 수용부(520)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1)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태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2)는 연결부(200), 고정부(400), 지지부(600), 걸림부(700)를 포함한다.
연결부(200)는 후술하는 고정부(400)에 연결되어 고정부(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주(3)의 상부에 구비되는 완철(4)의 일면(도 5 기준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연결부(200)의 단면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원형의 형상 이외에도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0)는 안착부(410), 고정핀(420)을 포함한다.
안착부(410)는 연결부(200)로부터 연장되어 완철(4)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1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도록 연결부(200)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안착부(410)의 폭은 완철(4)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완철(4)의 3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안착부(410)의 개구된 측의 양단은 완철(4)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완철(4)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410)는 후술하는 고정핀(42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고정핀(420)은 안착부(410)에 연결되고, 완철(4)의 타측 둘레에 접해 안착부(410)를 완철(4)에 고정시킨다. 고정핀(420)은 안착부(4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정핀(420)을 안착부(41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안착부(410)를 완철(4)에 고정시키거나 완철(4)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420)은 삽입부(421), 파지부(422), 이탈방지부(423)를 포함한다.
삽입부(421)는 안착부(410)의 양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421)는 원통의 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삽입부(421)는 안착부(410)로 삽입되어 안착부(410)의 양단을 수평하게 관통한다. 삽입부(421)는 양측이 안착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파지부(422)와 이탈방지부(42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파지부(422)는 삽입부(421)의 일측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422)는 삽입부(4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421)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다. 파지부(422)는 손잡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고리 형상 등과 같이 간접활선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간접적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탈방지부(423)는 삽입부(42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안착부(410)에 접해 삽입부(421)가 안착부(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42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볼 조인트 등에 의해 삽입부(421)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423)는 삽입부(421)의 타측 단부를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삽입부(421)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안착부(410)와 간섭되어 삽입부(421)가 안착부(4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600)는 연결부(200)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5)과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접속케이블(5)을 공중에서 지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600)는 지지부몸체(610), 수용부(620), 차단부재(630)를 포함한다.
지지부몸체(610)는 연결부(200)에 연결되어 접속케이블(5)을 지지하고, 일측에 개구부(611)가 구비되어 접속케이블(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몸체(610)는 연결부(200)의 하측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몸체(610)의 일면에는 양측이 각각 외부와 후술하는 수용부(620)와 연통되도록 지지부몸체(61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개구부(611)가 형성된다. 개구부(611)의 폭은 접속케이블(5)의 규격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수용부(620)는 개구부(611)와 연통되도록 지지부몸체(610) 내부에 구비되고, 접속케이블(5)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620)는 지지부몸체(610)를 관통하는 타원 형상의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620)는 개구부(611)를 기준으로 양측이 지지부몸체(6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수용부(620)는 일측면의 중앙부가 개구부(611)와 접해 개구부(611)와 연통되어 접속케이블(5)이 삽입되는 경로를 마련한다. 수용부(620)의 높이, 폭은 접속케이블(5)의 규격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차단부재(630)는 지지부몸체(6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용부(62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수용부(620)와 개구부(611)의 연통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630)는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부몸체(610)의 후면을 관통하여 수용부(620)로 삽입된다. 차단부재(630)는 지지부몸체(610)에 나사 결합, 끼움 결합됨에 따라 단부가 지지부몸체(610)의 후면으로부터 개구부(611)를 향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차단부재(630)는 수용부(620)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개구부(611)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수용부(620)와 개구부(611)의 연통을 차단함으로써 접속케이블(5)의 이동을 제한한다.
걸림부(700)는 전주(3)의 양측에 배치되는 전선(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케이블(5)의 양단을 지지한다. 걸림부(700)가 구비됨에 따라 접속케이블(5)은 길이 전체에 걸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700)는 접속부(710), 걸림부재(720)를 포함한다.
접속부(710)는 접속케이블(5)의 단부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5)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활선 시공 시 전선(6)과 접속케이블(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접속부(710)는 구리 등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금속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710)는 접속케이블(5)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클램핑부(712)와, 조절나사(711)의 회전에 의해 일측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6)의 둘레에 고정되는 제2클램핑부(713)를 포함하는 고리형 클램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접속부(71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속케이블(5)과 전선(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클램프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걸림부재(720)는 접속부(710)에 연결되고, 전선(6)의 둘레에 가압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720)는 활선 시공에 앞서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접속부(710)를 임시로 전선(6)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부재(720)는 접속부(710)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접속부(7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720)는 바디부(721), 돌기부(722), 탄성부(723)를 포함한다.
바디부(721)는 접속부(710)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일측에 전선(6)의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홈(724)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721)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접속부(710)에 구비되는 제1클램핑부(712)의 상단에 연결된다. 이 경우, 안착홈(724)은 바디부(721) 상측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고 있는 빈 공간으로 정의된다. 안착홈(724)의 형상, 크기는 전선(6)의 규격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돌기부(722)는 바디부(72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디부(721)로부터 안착홈(724)을 향해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722)는 일측이 안착홈(724)과 맞닿은 바디부(721)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타측이 안착홈(724)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기부(722)는 바디부(7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디부(721)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안착홈(724)으로 돌출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723)는 바디부(721)와 돌기부(722)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안착홈(724)을 향해 돌기부(722)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723)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바디부(721)의 내부와 돌기부(722)의 일측에 연결된다. 탄성부(723)는 돌기부(722)의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723)는 돌기부(722)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의 방향이 안착홈(724)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1)(2)는 어댑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부(800)는 연결부(200)에 결합되고,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부(800)는 작업자로 하여금 케이블 지지장치(1)(2)를 절연스틱과 같은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해 원격으로 완철(4)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어 활선 공정 전체를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800)는 어댑터부몸체(810), 돌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부몸체(810)는 연결부(100)(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돌출부(82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몸체(810)는 일측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어댑터부몸체(810)의 내부면은 연결부(100)(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연결부(100)(200)의 외주면에 안착된다. 어댑터부몸체(810)는 타측이 고정나사 등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연결부(100)(200)의 외주면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820)는 어댑터부몸체(81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공구와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820)는 일측이 어댑터부몸체(810)의 외주면에 용접, 나사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이 어댑터부몸체(810)로부터 대략 "ㄱ"자 형상을 갖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820)의 단부는 고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절연스틱과 같은 간접활선공구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2)의 조립과정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우선 고정부(400)에 구비되는 안착부(410)를 완철(4)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배치시킨다. 이 경우, 어댑터부(800)가 연결부(200)에 결합된 경우, 작업자는 절연스틱과 같은 간접활선공구를 어댑터부(800)에 체결시킴에 따라 공중에서 원격으로 안착부(410)를 완철(4)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 안착부(410)의 양단을 통해 고정핀(420)을 삽입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파지부(422)를 간접활선공구로 파지한 뒤 삽입부(421)와 이탈방지부(423)가 일직선 상에 배치시킨다. 이후 이탈방지부(423)와 삽입부(421)가 순차적으로 안착부(410)의 양단을 관통하도록 이탈방지부(423)와 삽입부(421)를 안착부(410)의 일측으로 삽입시킨다. 이탈방지부(423)가 안착부(410)의 타측으로 돌출된 경우, 작업자는 이탈방지부(423)를 회전시켜 이탈방지부(423)를 삽입부(421)와 수직하게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부(421)가 외력에 의해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우, 이탈방지부(423)는 안착부(410)의 타측면에 접해 간섭되어 삽입부(421)가 안착부(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작업자는 접속케이블(5)의 대략 중앙부분을 지지부몸체(610)에 구비되는 개구부(611)로 삽입시킨다. 개구부(611)로 삽입된 접속케이블(5)은 개구부(611)와 연통된 수용부(620)로 삽입되고, 하측 둘레가 수용부(620)의 하측 단부에 접해 지지된다. 이후 작업자는 차단부재(630)를 수용부(620) 내부로 삽입시켜 개구부(611)를 가로막도록 배치시킨다. 이에 따라 개구부(611)와 수용부(620)의 연통이 차단되고, 접속케이블(5)은 그 삽입 경로가 가로막혀 수용부(620)내에 위치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각각 한 쌍의 걸림부(700)에 고정시켜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전선(6)에 지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접속케이블(5)의 단부를 접속부(710)의 제1클램핑부(712)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뒤, 걸림부재(720)의 바디부(721)에 구비된 안착홈(724)의 내부로 전선(6)을 삽입시킨다. 이 경우, 전선(6)은 안착홈(724)으로 삽입됨에 따라 돌기부(722)에는 바디부(721)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탄성부(723)는 길이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돌기부(722)를 안착홈(724)을 향해 가압하게 된다. 돌기부(722)는 이러한 힘에 의해 전선(6)의 둘레에 밀착됨에 따라 걸림부재(720)를 전선(6)의 둘레에 가압고정시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바이패스케이블 또는 점퍼선을 공중에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활선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한 간접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직접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여 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걸림부에 의해 케이블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케이블 추락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케이블 지지장치 3 : 전주
4 : 완철 5 : 접속케이블
6 : 전선 100,200 : 연결부
300,400 : 고정부 310 : 제1고정부재
320 : 제2고정부재 330 : 회전부
331 : 회전부몸체 332 : 제1결합부
333 : 제2결합부 334 : 고리부
410 : 안착부 420 : 고정핀
421 : 삽입부 422 : 파지부
423 : 이탈방지부 500,600 : 지지부
510,610 : 지지부몸체 520,620 : 수용부
530 : 가압부재 611 : 개구부
630 : 차단부재 700 : 걸림부
710 : 접속부 711 : 조절나사
712 : 제1클램핑부 713: 제2클램핑부
720 : 걸림부재 721 : 바디부
722 : 돌기부 723 : 탄성부
724 : 안착홈 800 : 어댑터부
810 : 어댑터부몸체 820 : 돌출부

Claims (8)

  1. 완철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접속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속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전주의 양측에 배치되는 전선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속케이블의 양단을 지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속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둘레에 가압 고정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의 둘레에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안착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돌기부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을 향해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홈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돌기부의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바디부의 내부와 상기 돌기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부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부몸체; 및
    일측이 상기 어댑터부몸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어댑터부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완철의 일측 둘레를 감싸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고, 상기 완철의 타측 둘레에 접해 상기 안착부를 상기 완철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안착부의 양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부; 및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삽입 방향 상기 안착부에 접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지지부몸체; 및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지지부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의 연통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57802A 2020-06-23 2022-05-11 케이블 지지장치 KR10252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802A KR102526895B1 (ko) 2020-06-23 2022-05-11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91A KR102448485B1 (ko) 2020-06-23 2020-06-23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20057802A KR102526895B1 (ko) 2020-06-23 2022-05-11 케이블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91A Division KR102448485B1 (ko) 2020-06-23 2020-06-23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176A KR20220070176A (ko) 2022-05-30
KR102526895B1 true KR102526895B1 (ko) 2023-05-02

Family

ID=791788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91A KR102448485B1 (ko) 2020-06-23 2020-06-23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20057802A KR102526895B1 (ko) 2020-06-23 2022-05-11 케이블 지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91A KR102448485B1 (ko) 2020-06-23 2020-06-23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84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572B1 (ko) * 2014-12-09 2016-06-13 박철웅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2115777B1 (ko) * 2019-09-06 2020-05-2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696Y1 (ko) * 1992-10-30 1996-03-30 김용규 고압전선 바이패스(by pass)장치
KR100934083B1 (ko) * 2007-11-05 2009-12-24 양희성 점퍼선 고정기구
KR200477358Y1 (ko) * 2013-09-30 2015-06-03 김경수 아크용접기의 접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572B1 (ko) * 2014-12-09 2016-06-13 박철웅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2115777B1 (ko) * 2019-09-06 2020-05-2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구비한 임시걸이 클램프 자동 착탈식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32A (ko) 2021-12-30
KR102448485B1 (ko) 2022-09-27
KR20220070176A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US817662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ool
EP3047539B1 (en)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 of cables
US4911572A (en) Cable tie back clamp
KR102177388B1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KR10252689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KR20200002212A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1037722B1 (ko)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KR102550110B1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295694B1 (ko) 간접 활선작업용 핫스틱
KR102390667B1 (ko)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KR102571927B1 (ko) 점퍼선 고정장치
KR20220120349A (ko) 전선 인장기
JP6660011B2 (ja) 接地短絡器具
JP2018109578A (ja) 絶縁抵抗測定装置
JP7194913B2 (ja) 電線仮支持具
KR102289231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106972291B (zh) 一种插接式电表接线夹
JP5296563B2 (ja) コネクタ保持工具およびコネクタ保持方法
TW202234781A (zh) 活線分開工具用之電線保持具及活線分開方法
BR102021014564A2 (pt) Aperfeiçoamentos em grampo de linha viva para rede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elétrica
KR102385425B1 (ko) 간접활선 커터용 전선그립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KR102644279B1 (ko) 간접 활선 안전작업이 가능한 바이패스 케이블 헤드용 탑다운 체결방식 전선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탄성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