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083B1 - 점퍼선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점퍼선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083B1
KR100934083B1 KR1020070112208A KR20070112208A KR100934083B1 KR 100934083 B1 KR100934083 B1 KR 100934083B1 KR 1020070112208 A KR1020070112208 A KR 1020070112208A KR 20070112208 A KR20070112208 A KR 20070112208A KR 100934083 B1 KR100934083 B1 KR 10093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wire fixing
joint
jumper wi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204A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07011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0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3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bending it around or inserting it into the faste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인 점퍼선이나 차단기(또는 개폐기)의 인하선을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물려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둠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점퍼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완금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양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부재를 조여 완금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완금 장착부와, 완금 장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되 그 내측에 봉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잠금도어가 마련된 봉 체결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봉 체결부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조절부와, 회동각조절부의 봉 체결부에 삽입 장착되되 그 선단에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꺾임관절부가 형성된 제1 절연봉과, 제1 절연봉의 꺾임관절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선단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관절부가 형성된 제2 절연봉과, 제2 절연봉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킨 후 덮개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퍼선, 완금 장착부, 꺾임관절부, 회전관절부, 전선 고정부

Description

점퍼선 고정기구{JUMPER WIRE H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점퍼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 상태인 점퍼선이나 차단기(또는 개폐기)의 인하선을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물려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둠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점퍼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교체작업시 기존 전선과 새로이 포설된 전선의 선로를 바이패스 케이블로 연결하여 병렬운전하고 기존 전선의 점퍼선을 자르게 된다.
또한, 전선 교체작업시 임시 차단기를 설치하고 기존 전선과 차단기간 연결된 인하선을 자르게 된다.
이 경우, 종래에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된 점퍼선이나 인하선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기구가 없어, 이들을 자른 상태에서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키거나 방호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그 결과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활선 상태인 점퍼선이나 차단기의 인하선을 위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물려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둠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점퍼선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완금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양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부재를 조여 완금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완금 장착부와, 완금 장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되 그 내측에 봉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잠금도어가 마련된 봉 체결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봉 체결부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조절부와, 회동각조절부의 봉 체결부에 삽입 장착되되 그 선단에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꺾임관절부가 형성된 제1 절연봉과, 제1 절연봉의 꺾임관절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선단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관절부가 형성된 제2 절연봉과, 제2 절연봉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킨 후 덮개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압부재는 그 양단에 완금 장착부의 측벽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완금과 접하는 가합면에 완금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견고히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단차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판과, 가압판을 진퇴시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완금 장착부의 몸체에 나사결합된 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각조절부는 그 케이싱 내에 봉 체결부의 회동축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봉 체결부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봉 체결부의 회동축 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고, 회동축에 내재되되 그 일측단에 스프링이 게재되어 내측으로 당김상태를 유지하되 내접기어와 맞물리는 외접기어가 그 축상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당길시 내접기어와 외접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동축이 회전되고 놓을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진입하여 케이싱의 요홈에 그 손잡이가 결속되고 외접기어가 내접기어와 맞물림으로써 회동축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걸쇠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꺾임관절부는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관절편 상에 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조여지되 관절편 내주면 상에 원형의 톱니부가 형성되고, 너트를 조일시 톱니부가 상호 맞물리거나 너트를 풀 시 톱니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톱니부 사이에 스프링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관절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회전축 면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되 회전축 면 상에 원형의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선 고정부는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와, 안착부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안착홈에 대응하여 전선 고정홈이 형성된 덮개부로 구성되되, 덮개부를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안착부의 타측단에 회 동 가능하게 체결볼트가 마련되고 덮개부의 타측단에 체결볼트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체결볼트를 삽입홈에 위치시킨 후 체결너트로 조여 덮개부를 잠금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금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회동관절부와 꺽임관절부, 회전관절부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전선 고정부를 위치시켜 활선 상태인 점퍼선이나 차단기의 인하선을 잡아줌으로써 잘린 부분을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회동각 조절부재의 상세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활용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는 크게 완금 장착부(10)와, 봉 체결부(20)와, 회동각조절부(30)와, 꺾임관절부(40)가 마련된 제1 절연봉(50)과, 회전관절부(60)가 마련된 제2 절연봉(70) 및, 전선 고정 부(8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측에 완금(1)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도어(11)가 마련되고 양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부재(12)를 조여 완금(1)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완금 장착부(10)와, 완금 장착부(10)의 상단에 장착되되 그 내측에 봉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잠금도어(21)가 마련된 봉 체결부(20)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봉 체결부(20)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조절부(30)와, 회동각조절부(30)의 봉 체결부(20)에 삽입 장착되되 그 선단에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꺾임관절부(40)가 형성된 제1 절연봉(50)과, 제1 절연봉(50)의 꺾임관절부(40)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선단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관절부(60)가 형성된 제2 절연봉(70)과, 제2 절연봉(7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킨 후 덮개(83)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8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완금 장착부(10)의 가압부재(12)는 그 양단에 완금 장착부(10)의 측벽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13)이 형성되고 완금(1)과 접하는 가합면에 완금(1)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견고히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단차를 갖는 수용홈(14; 이와 대응하여 완금 장착부(10)의 내측면에도 형성됨)이 형성된 가압판(12a)과, 가압판(12a)을 진퇴시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완금 장착부(10)의 몸체에 나사결합된 핸들(12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완금 장착부(10)를 완금(1)에 거치하고, 개폐도어(11)를 닫아 잠금구(미도시)에 의해 잠금처리한 다음 핸들(12b)을 일방향으로 돌려 가압판(12a)을 전진시키면, 가압판(12a)이 완금(1)을 가압함으로써 완금 장착부(10)는 완금(1)에 견고히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가압판(12a)은 핸들(12b)을 일방향으로 돌려 완금(1)을 가압할 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완금 장착부(10)의 측벽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13)이 형성된다.
또한, 개폐도어(11)를 잠금처리하기 위한 잠금구는 개폐도어(11) 선단에 잠금돌기 삽입구가 천공되고, 그에 대응하여 완금 장착부(10)의 몸체상에 핀 공이 천공된 잠금돌기가 형성된다. 더불어 개폐도어(11) 상에 핀 공과 핀결합되는 탄지된 잠금핀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잠금핀을 외측으로 당기면 핀 공과의 핀 결합이 해제되어 개폐도어(11)가 개방가능하게 되고, 개폐도어(11)를 닫아 잠금돌기가 잠금돌기 삽입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잠금핀을 놓으면 스프링 힘에 의해 잠금핀이 핀 공으로 진입하여 핀 결합되고, 그 결과 개폐도어(11)는 잠금상태가 된다.
다음, 회동각조절부(30)는 도 3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케이싱(31) 내에 봉 체결부(20)의 회동축(32)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봉 체결부(20)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봉 체결부의 회동축(32) 내에 내접기어(33)가 형성되고, 중공의 회동축(33)에 내재되되 그 일측단에 스프링(35)이 게재되어 내측으로 당김상태를 유지하되 내접기어(33)와 맞물리는 외접기어(36)가 그 축상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당길시 내접기어(33)와 외접기어(3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회동축(32)이 회전되고 놓을시 스프링(35)의 힘에 의해 진입하여 케이싱(31)의 요홈(37; 도 1 참조)에 그 손잡이(34')가 결속되고 외접기어(36)가 내접기어(33)와 맞물림으로써 회동축(32)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걸쇠(34)가 마련된다. 도 3a는 내접기어(33)와 외접기어(3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봉 체결부의 회동축(32)이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도 3b는 내접기어(33)와 외접기어(36)가 맞물려 봉 체결부의 회동축(32)이 고정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회전축(32)의 일측단에 봉 체결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걸쇠(34)를 당기면 외접기어(36)와 내접기어(3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봉 체결부(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걸쇠(34)를 놓으면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진입하여 외접기어(36)와 내접기어(33)가 맞물림으로써 봉 체결부(20)의 회전각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봉 체결부(20)는 봉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반호 형상의 고정편(22)과, 고정편(22)의 일측단과 그 일측단이 힌지 결합된 반호 형상의 잠금도어(21)가 구비된다. 더불어 고정편(22) 타측단에 볼트(23)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도어(21) 타측단에 잠금 홈(24)이 형성되어 볼트(48)를 잠금 홈(49)에 내재시킨 다음 너트(25)로 조이면 잠금도어(21)를 잠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절연봉(50)을 봉 체결부(20)에 위치시킨 후 잠금처리함으로써 견고히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꺾임관절부(40)는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관절편 상에 볼트(42)가 관통되어 너트(43)에 의해 조여지되 관절편 내주면 상에 원형의 톱 니부(44)가 형성되고, 너트(43)를 조일시 톱니부(44)가 상호 맞물리거나 너트(43)를 풀 시 톱니부(44)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톱니부(44) 사이에 스프링(45)이 내재된다.
이에 따라, 너트(43)를 풀면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관절편이 상호 이격됨으로써 톱니부(44)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좌우로 꺾을 수 있고, 너트(43)를 조이면 스프링(45)이 압축되어 관절편이 상호 접하고 톱니부(44)가 맞물림으로써 꺽임각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회전관절부(6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회전축 면(61a,b)이 스프링(62)에 의해 탄지된 체결구(63a,b)에 의해 체결되되 회전축 면(61a,b) 상에 원형의 기어부(6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선 고정부(80)을 상방향으로 당기면 회전축 면(61a,b)이 상호 이격되어 기어부(64)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전선 고정부(8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전선 고정부(80)를 놓으면 스프링(62)의 힘에 의해 회전축 면(61a,b)이 상호 접하여 기어부(64)가 맞물림으로써 회전각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전선 고정부(80)는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82)이 형성된 안착부(81)와, 안착부(81)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안착홈(82)에 대응하여 전선 고정홈(84)이 형성된 덮개부(83)로 구성되되, 덮개부(83)를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안착부(81)의 타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볼트(85)가 마련되고 덮개부(83)의 타측단에 체결볼트(85)의 삽입홈(87)이 형성되어 체결볼트(85)를 삽입홈(87)에 위치시킨 후 체결너트(86)로 조여 덮개부(83)를 잠금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퍼선이나 인하선을 안착부(81)의 안착홈(82)에 위치시킨 후 덮개부(83)를 닫아 잠금처리할 시 점퍼선이나 인하선을 전선 고정부(80)에 물려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기술적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활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5는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금 장착부(10)를 완금(1)에 거치시킨 후 개폐도어(미부호)를 닫아 잠금처리하고, 핸들(미부호)을 돌려 가압판(미부호)에 의해 완금(1)을 가압함으로써, 완금(1)상에 완금 장착부(10)를 장착한다.
이어서, 전선 고정부(80), 제2 절연봉(70)이 연장형성된 제1 절연봉(50)을 완금 장착부(10)의 봉 체결부(20)에 위치시킨 후 잠금도어(미부호)를 닫아 잠금처리함으로써 완금 장착부(10)에 제1 절연봉(50)을 장착 완료한다.
다음으로, 회동각조절부(30), 꺾임관절부(40) 및 회전관절부(60)를 이용하여 전선 고정부(80)가 점퍼선(2)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전선 고정부(80)의 덮개부(미부호)를 개방하여 점퍼선(2)을 안착홈(미부호)에 안착시킨 후 덮개부를 닫아 잠금처리함으로써 점퍼선(2)을 고정한다. 미부호의 경우 도 2 참조
이에 따라, 점퍼선(2)을 자르더라도 점퍼선(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점퍼선(2)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점퍼선 양단을 잘라내고 이후에 재설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잘린 점퍼선 부분이 충분히 작업자 및 작업공간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점퍼선 을 잘라낼 필요가 없을뿐더러 이로부터 타 전선을 분기시킬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회동각조절부(30), 꺾임관절부(40) 및 회전관절부(60)를 이용하여 잘린 부분을 완금이나 작업공간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도 있다.
다음, 도 6은 차단기 또는 개폐기(4)의 인하선(5)을 고정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금 장착부(10)를 이용하여 완금(1)에 고정 장착하고 전선 고정부(80), 제2 절연봉(70)이 연장형성된 제1 절연봉(50)을 봉 체결부(20)에 하향 장착시켜 회동각조절부(30), 꺾임관절부(40) 및 회전관절부(60)를 이용하여 전선 고정부(80)가 인하선(5)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전선 고정부(80)의 덮개부(미부호)를 개방하여 인하선(5)을 안착홈(미부호)에 안착시킨 후 덮개부(미부호)를 닫아 잠금처리함으로써 인하선(5)을 고정한다. 미부호의 경우 도 2 참조
이에 따라, 인하선(5)을 자르더라도 처짐이 없어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전선 교체시 새로운 전선이 가설된 경우 새로운 전선과 차단기 또는 개폐기 간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여 병렬운전하고 인하선(5)을 풀어 새로운 전선에 압착한 다음 바이패스 케이블을 철거하여 새로운 전선에 의해 배전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전선과 인하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병렬운전하고 구 전선과 인하선 간을 절단하여 새로운 전선에 의해 배전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회동각 조절부재의 상세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퍼선 고정기구의 활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금
10: 완금 장착부
20: 봉 체결부
30: 회동각조절부
40: 꺾임관절부
50: 제1 절연봉
60: 회전관절부
70: 제2 절연봉
80: 전선 고정부

Claims (6)

  1. 그 내측에 완금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도어가 마련되고 양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가압부재를 조여 상기 완금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완금 장착부와, 상기 완금 장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되 그 내측에 봉을 위치시킨 후 잠금 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잠금도어가 마련된 봉 체결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봉 체결부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동각조절부와, 상기 회동각조절부의 봉 체결부에 삽입 장착되되 그 선단에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꺾임관절부가 형성된 제1 절연봉과, 상기 제1 절연봉의 꺾임관절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선단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회전관절부가 형성된 제2 절연봉과, 상기 제2 절연봉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킨 후 덮개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선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완금을 가압할 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양단에 상기 완금 장착부의 측벽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금과 접하는 가압면에 상기 완금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견고히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단차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진퇴시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완금 장착부의 몸체에 나사결합된 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선 고정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조절부는 그 케이싱 내에 상기 봉 체결부의 회동축이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봉 체결부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봉 체결부의 회동축 내에 내접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에 내재되되 그 일측단에 스프링이 게재되어 내측으로 당김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리는 외접기어가 그 축상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당길시 상기 내접기어와 외접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고 놓을시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해 진입하여 상기 케이싱의 요홈에 그 손잡이가 결속되고 상기 외접기어가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동축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걸쇠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선 고정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관절부는 좌우로 꺾어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관절편 상에 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조여지되 상기 관절편 내주면 상에 원형의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조일시 상기 톱니부가 상호 맞물리거나 상기 너트를 풀 시 상기 톱니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톱니부 사이에 스프링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선 고정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절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회전축 면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회전축 면 상에 원형의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선 고정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부는 그 내측에 전선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대응하여 전선 고정홈이 형성된 덮개부로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를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타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볼트가 마련되고 상기 덮개부의 타측단에 상기 체결볼트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를 상기 삽입홈에 위치시킨 후 체결너트로 조여 상기 덮개부를 잠금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선 고정기구.
KR1020070112208A 2007-11-05 2007-11-05 점퍼선 고정기구 KR10093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08A KR100934083B1 (ko) 2007-11-05 2007-11-05 점퍼선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08A KR100934083B1 (ko) 2007-11-05 2007-11-05 점퍼선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204A KR20090046204A (ko) 2009-05-11
KR100934083B1 true KR100934083B1 (ko) 2009-12-24

Family

ID=4085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208A KR100934083B1 (ko) 2007-11-05 2007-11-05 점퍼선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16Y1 (ko) 2011-03-02 2012-10-17 한국전력공사 인입선용 회전식 인류애자
WO2015190812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106463941A (zh) * 2014-01-20 2017-02-22 曙光电子通讯工程(株) 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2870A (zh) * 2012-09-17 2012-12-26 天津市电力公司 新型绝缘引流线固定支架
CN105048346A (zh) * 2015-08-25 2015-11-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旁路作业引流线固定装置
CN107732786B (zh) * 2017-11-29 2019-08-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供电公司 一种引流线绝缘支架
KR102571927B1 (ko) * 2019-08-06 2023-08-3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고정장치
CN110729690B (zh) * 2019-10-24 2021-09-17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铁塔电力线路固定装置
KR102327897B1 (ko) * 2020-05-14 2021-11-18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홀더
CN111525482B (zh) * 2020-05-28 2021-07-2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低压电线提升装置
KR102448485B1 (ko) * 2020-06-23 2022-09-27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22707B1 (ko) * 2020-08-24 2021-03-04 (주)사성기술단 초고압 가공 송전 선로 탈선 방지용 고정장치
KR102505040B1 (ko) * 2020-10-21 2023-03-02 김동순 송배전선의 처짐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388B2 (ja) * 1996-05-01 1999-08-23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ジャンパー線ホルダー
KR20060046878A (ko) * 2004-11-12 2006-05-18 양희성 와이어통 밴드를 이용한 전선이선 교체 가선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8388B2 (ja) * 1996-05-01 1999-08-23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ジャンパー線ホルダー
KR20060046878A (ko) * 2004-11-12 2006-05-18 양희성 와이어통 밴드를 이용한 전선이선 교체 가선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16Y1 (ko) 2011-03-02 2012-10-17 한국전력공사 인입선용 회전식 인류애자
CN106463941A (zh) * 2014-01-20 2017-02-22 曙光电子通讯工程(株) 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WO2015190812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204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083B1 (ko) 점퍼선 고정기구
KR101963635B1 (ko)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JP2015018673A (ja) 接地短絡器具
US9656381B2 (en) Hot stick adapter, combination, and method
KR200422905Y1 (ko)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US20160243687A1 (en) Meter tool with safety shield
TWI506662B (zh) 電源線隔離裝置及其製作、使用方法
US20160001430A1 (en) Meter puller with safety shield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2177388B1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JP2009177898A (ja) 接地短絡器具
US6899552B1 (en) Gripping and locking electrical grounding device for single and multiphase electrical equipment
JP2008148401A (ja) 遠隔操作棒の先端連結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遠隔操作取付工法
JP4239101B2 (ja) 電力用ケーブルの補修方法
JP2002134185A (ja) コネクタ
CA2832833C (en) Hot stick adapter, combination, and method
JP6660011B2 (ja) 接地短絡器具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5296563B2 (ja) コネクタ保持工具およびコネクタ保持方法
JP2017163794A (ja) 電線端部の処理方法および引留め端末の防護具。
JP4854600B2 (ja) 接地用具
US20160178660A1 (en) Meter puller having gripping inserts
JP2018074716A (ja) 間接活線工事用切断工具
JP2759778B2 (ja) 無停電バイパス接続装置
KR100919522B1 (ko) 전선 이선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