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799B1 -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799B1
KR102650799B1 KR1020190169441A KR20190169441A KR102650799B1 KR 102650799 B1 KR102650799 B1 KR 102650799B1 KR 1020190169441 A KR1020190169441 A KR 1020190169441A KR 20190169441 A KR20190169441 A KR 20190169441A KR 102650799 B1 KR102650799 B1 KR 10265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upled
coupling
switch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927A (ko
Inventor
조성홍
김진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69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7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 H01H11/003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types or orientation of connections to contacts
    • H01H2011/003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for converting electric switches for allowing different types or orientation of connections to contacts with removable or replaceable terminal block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는: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와,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AUXILIARY APPARATUS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주에 설치된 개폐기를 교체하기 위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지중 고압 입상주 설비 불량시에 부하전환이 가능한 선로에 대하여 부하측 Tie 개폐기로 부하전환을 시행한 후 전원측에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사선구간을 만들어 불량설비를 교체한다. 한편, 지중 인입주 대용량 고객인 경우 휴전협의를 거쳐 설비교체를 하거나 안전공사 정기안전점검 시 휴전이 수반되므로 그때 설비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부하측 부하전환이 가능한 구간에 대하여는 사선구간 전환에 따른 개폐기계통절체 및 공사용개폐기 설치로 작업시간 증가 및 공사비가 과다하게 발생된다. 또한 대용량 고객 지중 고압 인입주인 경우에 설비 불량 시 무정전 설비교체가 불가하여 정전협의에 어려움이 발생되며 공사 지연에 따른 고장 개연성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82713호(2006.7.19. 공개, 발명의 명칭 : 2차원 및 3차원 복합 구동수단을 구비한 배전 선로 작업용 다축 로봇)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이패스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시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폐기 교체 작업시 바이패스전선을 통한 병렬운전이 가능하여 사선구간이 생기지 않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는: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몸체; 상기 제1결합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결합홈과 함께 상기 연장부를 파지하도록 제2결합홈이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결합부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홀딩부몸체; 상기 홀딩부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홀더; 및 상기 홀딩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홀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홀더와 함께 상기 제1전선을 파지하는 작동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몸체; 상기 연장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이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임시걸이부; 및 상기 임시걸이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는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을 고정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전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몸체; 상기 제2결합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은: 제1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와,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을 고정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보조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전원측 전선에 바이패스전선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장치에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바이패스전선의 타단을 상기 제1전선에 연결시켜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지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병렬가동단계;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1개폐기와 상기 전원측 전선을 연결하는 제2전선을 절단하여 상기 제1개폐기를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제1전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단단계; 상기 제1개폐기를 상기 입상주로부터 분리하고 제2개폐기를 상기 입상주에 설치하는 교체단계; 상기 제2개폐기를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제1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재연결단계;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전선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보조장치를 상기 입상주로부터 분리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고정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사이에, 상기 바이패스전선의 타단을 상기 제2결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복수개로 고정할 수 있어 전선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바이패스전선을 지지할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의 낙하등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개폐기 교체시 병렬운전을 통해 사선구간이 형성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보조장치가 입상주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기존설비의 교체 없이 개폐기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전선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바이패스전선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가완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연장부, 홀딩부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의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는 지지부(10), 가완목부(20), 제1결합부(110), 연장부(120), 홀딩부(13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입상주(1)에 고정되고, 입상주(1)로부터 후술할 가완목부(20)를 지지한다. 지지부(10)는 가완목부(20)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상주(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0)는 가완목부(20)가 입상주(1)에 간섭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상주(1)에 고정되어 가완목부(20)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입상주(1)는 상부에 완목이 결합되고, 완목에 의해 전원측 전선(8)이 지지된다. 또한 완목의 하부에는 개폐기(2)가 설치된다. 개폐기(2)는 배전선의 전류를 차단하거나 개방하기 위해 입상주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개폐기(2)는 일측이 제1전선(3)에 의해 지중전선으로부터 입상주(1)를 따라 올라오는 지선(5)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2전선(7)에 의해 전원측 전선(8)과 연결된다. 개폐기(2)는 전원측 전선(8)과 지선(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이 경로를 통한 전로를 차단 또는 개방한다.
가완목부(20)는 지지부에 결합되고, 지지부(20)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완목부(2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0)의 수직하게 연장된 부분에 결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측 전선(8)이 배치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완목부(20)는 제1전선(3)의 배치에 대응되어 제1결합부(11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가완목부(2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 및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의 형상, 배치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110)는 일측이 가완목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후술할 연장부(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110)는 일측이 가완목부(20)의 둘레를 감싸도록 가완목부(20)에 결합되고, 가완목부(20)의 상부로 연장되어 연장부(120)가 결합된다. 제1결합부(110)는 가완목부(20)에 가완목부(2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선(3)이 고정되는 위치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결합부(110)는 가완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기(2)에 복수개로 연결되는 3상 전선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결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완목부(20)와 결합되고, 연장부(12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을 마련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장부(120)는 일측이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전선(3)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장부(120)는 제1결합부(1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선(3) 파지작업 수행 시 직접 제1전선(3)과 접촉할 필요 없이 연장부(120)를 회전시켜 홀딩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연장부(120)는 제1전선(3)을 통한 전류가 가완목부(20), 지지부(10)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1전선(3)측으로 연장되어 홀딩부(130)에 결합된다. 연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부(110)에 결합되어 제1전선(3)쪽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홀딩부(130)는 연장부(1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전선(3)과 접하여 제1전선(3)을 고정한다. 홀딩부(130)는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전선(4)과 제1전선(3)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도 홀딩부(1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0)는 일측이 연장부(120)에 결합되고, 제1전선(3)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전선(3)을 고정한다. 홀딩부(130)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120)에 결합되어 제1전선(3)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가완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는 고정부(11), 제1지지부재(12), 제2지지부재(13)를 포함한다.
고정부(11)는 입상주(1)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후술할 제1지지부재(12)와 제2지지부재(13)를 지지한다. 고정부(11)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입상주(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나사결합등을 통해 입상주(1)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제1지지부재(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상주(1)에 고정되어 제1지지부재(1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1지지부재(12)는 고정부(1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입상주(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재(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제2고정부재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1지지부재(12)는 주변의 장애물,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작업공간 등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입상주(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다.
제2지지부재(13)는 제1지지부재(1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11)에 결합되고, 제1지지부재(1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13)는 대략 T자형상 또는 ㄴ자형상의 지지조인트(14)에 의해 제1지지부(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3)가 수직하게 연장됨에 따라 가완목부(20)가 배치될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날 수 있어 입상주(1)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회피하여 가완목부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3)는 가완목부(20)가 제2지지부재(13)를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완목부(20)는 가완목부몸체(21), 연결부재(22)를 포함한다.
가완목부몸체(21)는 제2지지부재(13)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전원측 전선(8)이 배치된 방향으로 길이방향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가완목부몸체(21)의 단면 형상은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부(1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결부재(22)는 가완목부몸체(21)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완목부몸체(21)와 제2지지부재(22)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는 2개의 중공형의 사각바가 십(十)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직한 바는 제2지지부재(22)에 삽입되고, 수평한 바에는 가완목부몸체(21)가 삽입된다. 연결부재(22)는 제2지지부재(12)를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2)는 가완목부(20)가 제2지지부재(12)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연장부, 홀딩부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110)는 제1결합부몸체(111), 안착부(112), 회전부(114)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몸체(111)는 가완목부(20)에 결합되어 연장부(120)와 홀딩부(1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부몸체는 가완목부몸체(2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몸체를(111) 분리하여 다시 조립할 필요 없이 제1결합부몸체(111)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결합부(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몸체(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6)와 하부몸체(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116)와 하부몸체(117)는 각각 가완목부몸체(21)를 둘러쌀 수 있도록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된다. 상부몸체(116)와 하부몸체(117)는 상부홈과 하부홈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가완목부몸체(21)를 감싸고,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가완목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16)의 일측이 하부몸체(117)의 일측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완목부몸체(21)를 둘러싼 상태에서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제1결합부(110)는 가완목부(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제1결합부몸체(111)는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완목부(20)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안착부(112)는 제1결합부몸체(111)에 결합되고, 연장부(120)의 하부둘레가 안착되도록 제1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제1결합홈(113)은 연장부(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부(112)는 제1결합부몸체(1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딩부(130)의 미세한 위치조정이 필요한 경우, 가완목부(20)를 움직일 필요 없이 안착부(112)를 회전시켜 홀딩부(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2)의 구성을 살펴보면, 안착부(112)는 하부가 제1결합부몸체(111)의 상부와 회전축(118)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12)와 제1결합부몸체(111)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크부(119)가 안착부(112)와 제1결합부몸체(111)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12)의 상부면에는 연장부(120)의 하부 둘레에 대응되는 곡률로 안착부(112)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제1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안착부(112)는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부몸체(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장부(120)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회전부(114)는 안착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결합홈(113)과 함께 연장부(1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안착부(112)에 결합되어 결합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114)는 제1결합홈(113)과 함께 연장부(120)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회전부(114)내부로 제2결합홈(115)이 형성된다. 또한 안착부(112)에 결합되지 않은 회전부(114)부의 단부는 안착부(11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를 파지할 시 회전부(114)를 안착부(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부(114)는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착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결합홈(115)이 형성되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2)와 회전부(114)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안착부(112)에 결합되지 않은 회전부(114)의 단부를 안착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결합홈(113)을 개방한다. 개방된 제1결합홈(113)으로 연장부(120)를 안착시킨뒤, 회전부(11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결합홈(113)과 제2결합홈(115)이 연장부(120)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한다. 이후 나사등에 의해 회전부(114)를 안착부(112)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연장부(120)를 제1결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0)는 홀딩부몸체(131), 고정홀더(132), 작동홀더(133)를 포함한다.
홀딩부몸체(131)는 연장부(120)의 단부에 결합되고, 연장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홀딩부몸체(131)에는 후술할 작동홀더(133)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홀딩부몸체(131)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몸체(131)에는 바이패스전선(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딩부몸체(131)로부터 돌출되는 클램핑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135)의 형상은 바이패스전선(4)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바이패스전선(4)에 형성된 끼움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홀딩부(130)에 의해 제1전선(3)을 파지하고, 클램핑부(135)에 바이패스전선(4)을 끼움결합시켜 제1전선(3)과 바이패스전선(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고정홀더(132)는 홀딩부몸체(131)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에 의해 제1전선(3)이 접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홀더(132)는 홀딩부몸체(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홀딩부몸체(131)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홀더(132)가 제1전선(3)과 접하는 면은 제1전선(3)의 둘레형상에 대응되어 고정홀더(132)내부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선(3)이 고정홀더에 안착될 수 있어 파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동홀더(133)는 일측이 홀딩부몸체(13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전선(3)을 파지하는 면이 고정홀더(132)가 제1전선을 파지하는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작동홀더(133)가 고정홀더(132)와 마주보는 면은 고정홀더(132)와 마찬가지로 제1전선(3)의 둘레형상에 대응되어 작동홀더(133)내부로 오목하게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부(130)의 작동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홀딩부몸체(131)에는 슬라이드홈을 홀딩부몸체(131) 외부에서부터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다. 작동홀더(133)의 단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작동홀더(133)가 홀딩부몸체(131)의 슬라이드홈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제2관통공은 제1관통공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제2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된 작동나사(134)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관통하도록 홀딩부몸체(131)에 삽입되고, 일단이 연장부(120)와 고정결합된다. 이후 연장부(120)를 회전시켜 연장부(120)와 결합된 작동나사(134)를 회전시키면 제2관통공에 형성된 나사선으로 인해 작동홀더(132)가 슬라이드홈에서 슬라이드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는 연장부몸체(121), 임시걸이부(122), 스토퍼부(123)를 포함한다.
연장부몸체(12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1결합부(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홀딩부(130)의 작동나사(134)와 결합된다. 연장부몸체(121)는 작동나사(134)와 상대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작동나사(134)가 함께 회전될 수 있어 작동홀더(133)의 슬라이드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임시걸이부(122)는 연장부몸체(1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4)이 걸림결합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걸이부(1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몸체(121)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연장부몸체(121)의 하부로 대략 고리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다. 이에 따라 임시걸이부(122)는 작업시 바이패스전선(4)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임시걸이부(12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바이패스전선(4)의 위치에 따라 임시걸이부(12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임시걸이부(122)는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장부몸체(1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4)이 거치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스토퍼부(123)는 임시걸이부(121)의 슬라이드 경로상에 배치되어 임시걸이부(12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1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연장부몸체(121)에 접하여 고정되고, 외주의 직경이 연장부몸체(121)의 단면의 폭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123)는 작업시 연장부(120)가 흔들리더라도 임시걸이부(121)가 과도하게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123)는 도 8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시걸이부(122)의 슬라이드를 제한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는 제2결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00)는 가완목부(2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바이패스전선(4)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바이패스전선(4)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전선(4)의 일단을 연결하는 작업 시 바이패스전선(4)의 타단이 지지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200)는 제2결합부몸체(210), 가압부(230)를 포함한다.
제2결합부몸체(210)의 구체적인 형상, 결합구성은 상술한 제1결합부몸체(111)의 형상, 결합구성에 대응된다. 제2결합부몸체(210)의 상부에는 바이패스전선(4)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결합부몸체(210)의 내부로 함몰형성되는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안착홈(220)은 바이패스전선(4)의 둘레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고, 바이패스전선(4)이 이탈되지 않도록 적당한 깊이를 갖도록 제2결합부몸체(210)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가압부(230)는 바이패스전선(4)이 안착홈(220)에 안착된 경우, 바이패스전선(4)의 상부를 가압하여 안착홈(220)과 함께 바이패스전선(4)을 가압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몸체(2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부(231)와, 레버부(231)에 연결되고, 레버부(231)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압부재(232)를 포함한다.
레버부(231)는 제2결합부몸체(2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재(232)는 레버부(231)에 일측이 연결되어 레버부(23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부재(232)는 레버부(231)와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고, 바이패스전선(4)이 접하는 하부에 바이패스전선(4)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상술한 안착홈(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이패스전선(4)을 전원측 전선(8)에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바이패스전선(8)의 타단을 제2결합부몸체(210)에 형성된 안착홈(220)에 안착시킨다. 이후 레버(231)를 당겨 가압부재(232)를 바이패스전선(4)의 상부를 향해 회전시킨다. 가압부재(232)가 바이패스전선(4)에 완전히 접하는 경우, 바이패스전선(4)은 가압부재(232)와 안착홈(220)에 의해 가압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복수개로 고정할 수 있어 전선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에 의하면, 바이패스전선을 지지할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의 낙하등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를 이용해 입상주(1)에 기(旣)설치된 제1개폐기(2a)를 제2개폐기(2b)로 교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은 설치단계(S10), 준비단계(S20), 병렬가동단계(S30), 절단단계(S40), 교체단계(S50), 재연결단계(S60), 철거단계(S70)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은 설치단계(S10)와 준비단계(S20) 사이에 고정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보조장치(300)는 가완목부(20)에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4)을 고정시키는 제2결합부(20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의 작업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의 작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설치단계(S10)는 지지부(10), 가완목부(20), 제1결합부(110), 연장부(120), 홀딩부(130), 제2결합부(200)를 결합시켜 보조장치(300)를 구성하고, 결합된 보조장치를(300) 입상주(1)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설치단계(S10)는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장치(300)의 일부만을 결합시킨 후 일부만이 결합된 보조장치(300)를 입상주에 고정한 다음 보조장치(300)의 나머지 구성을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설치단계(S10)는 가완목부(20)를 지지부(10)에서 슬라이드이동시키거나, 제1결합부(110)를 가완목부에서 슬라이드이동시켜 홀딩부(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계(S80)는 설치단계(S10)와 준비단계(S20) 사이에서 바이패스전선(4)의 타단을 제2결합부(20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고정단계(S80)는 제2결합부몸체(210)에 바이패스전선(4)을 안착시킨뒤 제2결합부몸체(2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레버부(231)를 회전시켜 레버부(231)에 연결되고, 레버부(231)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압부재(232)가 바이패스전선(4)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준비단계(S20)는 전원측 전선(8)에 바이패스전선(4)의 일단을 연결하고, 보조장치(300)에 제1전선(3)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진다. 준비단계(S20)는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장치(300)에 제1전선(3)을 고정시키고, 전원측 전선(8)에 바이패스전선(4)의 일단을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바이패스전선(4)을 전원측 전선(8) 또는 제1전선(3)과 연결하는 것은 전원측 전선(8) 또는 제1전선(3)의 외피를 피복한 뒤, 바이패스전선(4)의 단부가 피복된 지점을 감싸는 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홀딩부몸체(131)에 클램핑부(135)가 형성된 경우, 홀딩부(130)에 의해 제1전선(3)을 파지하고, 클램핑부(135)에 바이패스전선(4)을 끼움결합시켜 제1전선(3)과 바이패스전선(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병렬가동단계(S30)는 바이패스전선(4)의 타단을 제1전선(3)에 연결시켜 전원측 전선(8)과 지선(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절단단계(S40)는 제1전선(3)과 제1개폐기(2a)와 전원측 전선(8)을 연결하는 제2전선(7)을 절단하여 제1개폐기(2a)를 전원측 전선(8)과 제1전선(3)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절단단계(S40)는 바이패스전선(4)이 제1전선(3)과 연결되는 위치(6)보다 상부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제1전선(3)을 절단하더라도 지선(5)과 전원측 전선(8)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교체단계(S50)는 제1개폐기(2a)를 입상주(1)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제2개폐기(2b)를 입상주(1)에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16을 참조하면, 재연결단계(S60)는 제2개폐기(2b)를 전원측 전선(8)과 제1전선(3)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진다. 재연결단계(S60)는 제2개폐기(2b)의 일측을 제1전선(3)과 연결시키고, 타측을 전원측 전선(8)과 연결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철거단계(S70)는 바이패스전선(4)을 전원측전선(8)과 제1전선(3)으로부터 분리하고, 보조장치(300)를 입상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철거단계(S70)은 이러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장치(300)를 입상주로부터 분리하고, 바이패스전선(4)을 전원측전선(8)과 제1전선(3)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개폐기(2) 교체시 병렬운전을 통해 사선구간이 형성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보조장치(300)가 입상주(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기존설비의 교체 없이 개폐기(2)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제1전선(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4)을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에 의하면, 바이패스전선(8)을 제2고정부(200)에 의해 지지할 수 있어 바이패스전선(8)의 낙하등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입상주 2 : 개폐기
2a : 제1개폐기 2b : 제2개폐기
3 : 제1전선 4 : 바이패스전선
5 : 지선 8 : 전원측 전선
10 : 지지부 11 : 고정부
12 : 제1지지부 13 : 제2지지부
14 : 지지조인트 20 : 가완목부
21 : 가완목부몸체 22 : 연결부재
110 : 제1결합부 111 : 제1결합부몸체
112 : 안착부 113 : 제1결합홈
114 : 회전부 115 : 제2결합홈
116 : 상부몸체 117 : 하부몸체
118 : 회전축 119 : 디스크부
120 : 연장부 121 : 연장부몸체
122 : 임시걸이부 123 : 스토퍼부
130 : 홀딩부 131 : 홀딩부몸체
132 : 고정홀더 133 : 작동홀더
134 : 작동나사 200 : 제2결합부
210 : 제2결합부몸체 220 : 안착홈
230 : 가압부 231 : 레버부
232 : 가압부재

Claims (10)

  1.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몸체;
    상기 제1결합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가 안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제1결합홈과 함께 상기 연장부를 파지하도록 제2결합홈이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결합부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5.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는 홀딩부몸체;
    상기 홀딩부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홀더; 및
    상기 홀딩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홀더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홀더와 함께 상기 제1전선을 파지하는 작동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6.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몸체;
    상기 연장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이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임시걸이부; 및
    상기 임시걸이부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7. 삭제
  8. 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홀딩부; 및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고, 바이패스전선을 고정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가완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전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몸체;
    상기 제2결합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
  9. 제1개폐기가 설치되는 입상주에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가완목부와,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상기 제1개폐기를 지선과 연결시키는 제1전선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을 고정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보조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전원측 전선에 바이패스전선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장치에 상기 제1전선을 고정시키는 준비단계;
    상기 바이패스전선의 타단을 상기 제1전선에 연결시켜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지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병렬가동단계;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1개폐기와 상기 전원측 전선을 연결하는 제2전선을 절단하여 상기 제1개폐기를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제1전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단단계;
    상기 제1개폐기를 상기 입상주로부터 분리하고 제2개폐기를 상기 입상주에 설치하는 교체단계;
    상기 제2개폐기를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제1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재연결단계;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상기 전원측 전선과 상기 전선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보조장치를 상기 입상주로부터 분리하는 철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가완목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전선을 고정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사이에,
    상기 바이패스전선의 타단을 상기 제2결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20190169441A 2019-12-18 2019-12-18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265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41A KR102650799B1 (ko) 2019-12-18 2019-12-18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41A KR102650799B1 (ko) 2019-12-18 2019-12-18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27A KR20210077927A (ko) 2021-06-28
KR102650799B1 true KR102650799B1 (ko) 2024-03-26

Family

ID=7660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41A KR102650799B1 (ko) 2019-12-18 2019-12-18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2070B (zh) * 2021-09-30 2023-08-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配网架空线路立撤电杆装置
KR102631026B1 (ko) * 2021-12-08 2024-01-31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CN114614393B (zh) * 2022-03-04 2024-02-23 河南大唐电力检修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检修安全保护器及电力检修安全保护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11B1 (ko) * 2013-02-13 2013-06-17 임용호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KR101767344B1 (ko) 2016-10-14 2017-08-10 임철호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20150087781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922443B1 (ko) * 2016-11-24 2018-11-27 주식회사 성진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111B1 (ko) * 2013-02-13 2013-06-17 임용호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KR101767344B1 (ko) 2016-10-14 2017-08-10 임철호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27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799B1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2024874B1 (ko) 와이어 밴딩 스틱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점퍼선 밴딩 공법
US20040168816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KR101865851B1 (ko) 활선작업기구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2045932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공법
KR102073865B1 (ko) 가공배전선 안정적 지지를 위한 완철장치
KR20200068339A (ko) 임시거치부가 구비된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20200051247A (ko) 컷아웃스위치 교체장치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221175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공법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2571927B1 (ko) 점퍼선 고정장치
JP2018057198A (ja) 接地短絡器具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WO2015111217A1 (ja) ガス遮断器およびブッシングの取付け方法
JP5296563B2 (ja) コネクタ保持工具およびコネクタ保持方法
JP2020065418A (ja) スリーブカバー
KR10215537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애자구조
KR10244848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1549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