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59B1 -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59B1
KR101787359B1 KR1020170106154A KR20170106154A KR101787359B1 KR 101787359 B1 KR101787359 B1 KR 101787359B1 KR 1020170106154 A KR1020170106154 A KR 1020170106154A KR 20170106154 A KR20170106154 A KR 20170106154A KR 101787359 B1 KR101787359 B1 KR 101787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wire
jumper
connecting mechanism
lin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0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완철(F)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는,
완철(F)에 설치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체(62)와,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체(63)를 갖춘 점퍼선지지기구(60)와: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삽입되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설치되는 지지체(92a)와, 상기 지지체(9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삽입체(92b) 및, 제1삽입체(9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삽입체(92c)를 구비한 길이조절체(92) 및; 외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기선삽입홈(93a)을 구비하여, 길이조절기구(92)의 제2삽입체(92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선고정체(93)를 갖춘 분기선고정기구(90)와:
분기선고정기구(90)의 이동체(91)에 설치되고, 완철(F)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좌측에 형성된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우측이 개구되고 좌측이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연통된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1c)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에 설치되고, 제1점퍼선삽입부(11a)를 통과하는 제1점퍼선(JL1)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도전재질의 제1점퍼선접촉체(12)를 갖춘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연통된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c)와, 상하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측이 제1가이드부(21c)와 연통되며 하측이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선삽입부(21d)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좌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e)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에 설치되고, 제2점퍼선삽입부(21a)를 통과하는 제2점퍼선(JL2)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원형 바 형상의 도전재질의 제2점퍼선접촉체(22) 및;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1플랜지(23a)와,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플랜지(23a)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2플랜지(23b)를 구비하여, 제2점퍼선접촉체(22)의 좌우를 따라 배치되고,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분기선삽입부(21d)로 삽입된 분기선(BL)이 통전되게 접촉되는 다수의 분기선접촉체(23)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점퍼선연결기구(20)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분기선(BL)이 삽입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31)와; 하방으로 개구된 링 형상의 나사홈(32a)을 구비하며, 하측이 삽입체(3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측이 분기선(BL)의 둘레 피복과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분기선고정너트(32) 및; 분기선고정너트(32)의 나사홈(32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덮개고정너트(33)을 갖춘 다수의 분기선접속기구(30)와: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끼워져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하는 링 형상의 덮개부(41)와; 덮개부(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대어지고, 분기선접속기구(30)의 삽입체(31)와 맞닿는 제1,2절개부(42,43)를 갖추고서,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탄성 및 절연재질의 다수의 덮개(40)와:
좌측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도전재질의 연결너트(51)와; 연결너트(51)를 감싸는 절연재질의 피복체(52)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를 통전시키거나 단전시키는 연결기구(50) 및: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판(71)과; 하부가 이동판(71)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가이드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체(72)와; 하부가 이동판(7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가이드부(21e)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체(73)와; 제1연결체(7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맞닿는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연결체(7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맞닿는 제2핸들고정너트(75)를 갖춘 연결핸들(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Aerial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의 보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을 수행할 시, 가공배전선(예를 들면 점퍼선)을 임시 고정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보조장치가 없어, 활선 상태에서의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이 어려웠다.
특히,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분기슬리브(DS)에서 다수의 분기선(BL)이 분기될 시 분기선(BL)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보조장치가 없어, 활선 상태에서의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이 더욱 어려웠다.
한편, 가공배전선로는 점퍼선을 통해 연결되는 데, 점퍼선에는 통상 분기슬리브가 구비되어, 전기의 분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슬리브는 점퍼선과 분기선이 분기슬리브에 가압고정되어, 전기의 분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퍼선의 활선상태에서 분기선만 분리하여 보수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분기슬리브를 조작할 시 분기슬리브를 파지하여 분기슬리브의 위치 이동을 시키기 쉽지 않아, 활선 상태에서의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 시 불편함을 초래했다.
나아가 종래에는 가공배전라인에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없어, 화재 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이에 더해, 종래에는 가공배전선로을 보수할 시, 점퍼선과 다수의 분기선의 전기적 연결을 한번에 끊기 어려워, 가공배전선로 작업이 쉽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47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배전선로의 분기선을 쉽게 고정함은 물론 위치 이동된 가공배전선(예를 들면 점퍼선)을 쉽게 고정하여 활선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을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고, 가공배전선로의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가공배전선로의 단전 및 통전을 쉽게 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철(F)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는,
완철(F)에 설치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체(62)와,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체(63)를 갖춘 점퍼선지지기구(60)와: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삽입되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설치되는 지지체(92a)와, 상기 지지체(9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삽입체(92b) 및, 제1삽입체(9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삽입체(92c)를 구비한 길이조절체(92) 및; 외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기선삽입홈(93a)을 구비하여, 길이조절기구(92)의 제2삽입체(92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선고정체(93)를 갖춘 분기선고정기구(90)와:
분기선고정기구(90)의 이동체(91)에 설치되고, 완철(F)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좌측에 형성된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우측이 개구되고 좌측이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연통된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1c)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에 설치되고, 제1점퍼선삽입부(11a)를 통과하는 제1점퍼선(JL1)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도전재질의 제1점퍼선접촉체(12)를 갖춘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연통된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c)와, 상하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측이 제1가이드부(21c)와 연통되며 하측이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선삽입부(21d)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좌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e)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에 설치되고, 제2점퍼선삽입부(21a)를 통과하는 제2점퍼선(JL2)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원형 바 형상의 도전재질의 제2점퍼선접촉체(22) 및;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1플랜지(23a)와,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플랜지(23a)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2플랜지(23b)를 구비하여, 제2점퍼선접촉체(22)의 좌우를 따라 배치되고,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분기선삽입부(21d)로 삽입된 분기선(BL)이 통전되게 접촉되는 다수의 분기선접촉체(23)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점퍼선연결기구(20)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분기선(BL)이 삽입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31)와; 하방으로 개구된 링 형상의 나사홈(32a)을 구비하며, 하측이 삽입체(3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측이 분기선(BL)의 둘레 피복과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분기선고정너트(32) 및; 분기선고정너트(32)의 나사홈(32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덮개고정너트(33)을 갖춘 다수의 분기선접속기구(30)와: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끼워져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하는 링 형상의 덮개부(41)와; 덮개부(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대어지고, 분기선접속기구(30)의 삽입체(31)와 맞닿는 제1,2절개부(42,43)를 갖추고서,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탄성 및 절연재질의 다수의 덮개(40)와:
좌측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도전재질의 연결너트(51)와; 연결너트(51)를 감싸는 절연재질의 피복체(52)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를 통전시키거나 단전시키는 연결기구(50) 및: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판(71)과; 하부가 이동판(71)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가이드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체(72)와; 하부가 이동판(7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가이드부(21e)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체(73)와; 제1연결체(7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맞닿는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연결체(7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맞닿는 제2핸들고정너트(75)를 갖춘 연결핸들(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예를 들면 점퍼선이 설치되는 완철 부분)를 보수를 할 시, 분기선(BL)을 쉽게 임시고정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를 할 시, 점퍼선지지기구(60)를 통해 활선상태의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의 위치를 변경고정하여, 가공배전선로의 보수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위치를 변경할 시, 손잡이 기능을 하는 연결핸들(70)을 통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관리센터에 신속하게 알려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구성의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기구(5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제1점퍼선(JL1)과 제2점퍼선(JL2)간을 통전 또는 단전시킬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을 보수할 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점퍼선(ML) 및 제2점퍼선(JL2)가 통전된 상태에서 분기선(BL)만 단전시킬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을 보수할 시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의 활선 상태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접속기구(30)를 통해 다수의 다양한 위치의 분기선(BL)에 전력을 분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40)를 통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6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점퍼선연결기구 및 분기선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W-W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6의 Z-Z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점퍼선연결기구 및 분기선접속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완철(F)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용 보조장치가, 점퍼선지지기구(60)와, 분기선고정기구(90)와, 화재감지센서(80)와,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와, 분기선접속기구(30)와, 덮개(40)와, 연결기구(50) 및, 연결핸들(70)을 포함한다.
상기 점퍼선지지기구(60)는 완철(F)에 설치되어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선지지기구(60)는 완철(F)에 설치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체(62)와,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체(6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체(62)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분기선고정기구(90)는 이동체(91)와, 길이조절체(92) 및, 분기선고정체(93)를 갖춘다.
상기 이동체(91)는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삽입되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체(92)는 이동체(91)에 설치되는 지지체(92a)와, 상기 지지체(9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삽입체(92b) 및, 제1삽입체(9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삽입체(92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체(92)는 안테나 타입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분기선고정체(93)는 외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기선삽입홈(93a)을 구비하여, 길이조절기구(92)의 제2삽입체(92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선삽입홈(93a)은, 분기선(BL)이 삽입될 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분기선(BL)보다 직경이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80)는 분기선고정기구(90)의 이동체(91)에 설치되고, 완철(F)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시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는 열기, 연기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80)가 적용된다.
상기 제1점퍼선연결기구(10)는 절연재질의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도전재질의 제1점퍼선접촉체(12)를 갖춘다.
상기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는 좌우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좌측에 형성된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우측이 개구되고 좌측이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연통된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1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는 둘레가 원기둥 둘레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점퍼선접촉체(12)는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에 설치되고, 제1점퍼선삽입부(11a)를 통과하는 제1점퍼선(JL1)과 통전되게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점퍼선접촉체(12)는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점퍼선연결기구(20)는 절연재질의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도전재질의 제2점퍼선접촉체(22) 및, 도전재질의 분기선접촉체(23)을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는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제1가이드부(21c)와, 다수의 분기선삽입부(21d) 및, 제2가이드부(21e)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는 둘레가 원기둥 둘레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점퍼선삽입부(21a)는 좌우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는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연통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21c)는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부(21c)는 단면이 'ㅗ'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분기선삽입부(21d)는 상하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측이 제1가이드부(21c)와 연통되며 하측이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선삽입부(21d)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이 둘레에 원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21e)는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좌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가이드부(21e)는 단면이 'ㅗ'자 형상을 이루고, 제1가이드부(21c)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점퍼선접촉체(22)는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에 설치되고, 제2점퍼선삽입부(21a)를 통과하는 제2점퍼선(JL2)과 통전되게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점퍼선접촉체(22)는 원형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분기선접촉체(23)는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1플랜지(23a)와,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플랜지(23a)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2플랜지(23b)를 구비하여, 제2점퍼선접촉체(22)의 좌우를 따라 배치되고,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분기선삽입부(21d)로 삽입된 분기선(BL)이 통전되게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선접촉체(23)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분기선접속기구(30)는 삽입체(31)와, 분기선고정너트(32) 및, 덮개고정너트(3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선접속기구(30)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체(31)는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분기선(BL)이 삽입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체(31)의 단면이 'ㅗ'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분기선고정너트(32)는 하방으로 개구된 링 형상의 나사홈(32a)을 구비하며, 하측이 삽입체(3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측이 분기선(BL)의 둘레 피복과 착탈가능하게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선고정너트(32)를 통해 분기선(BL)을 고정할 시, 별도의 밴드(미도시)로 분기선고정너트(32)와 분기선(BL)을 감아, 분기선(BL)을 분기선고정너트(32)에 보다 견고히 결속할 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고정너트(33)는 분기선고정너트(32)의 나사홈(32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덮개(40)는 덮개부(41)와, 제1,2절개부(42,43)을 갖추고서,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에 의해 가압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40)는 탄성 및 절연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41)는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끼워져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41)는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2절개부(42,43)는, 덮개부(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대어지고, 분기선접속기구(30)의 삽입체(31)와 맞닿는 제1,2절개부(42,43)를 갖춘다.
상기 연결기구(50)는 도전재질의 연결너트(51)와, 절연재질의 피복체(52)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를 통전시키거나 단전시킨다.
상기 연결너트(51)는, 좌측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피복체(52)는 연결너트(51)를 감싼다.
한편,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는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각 구성 간의 연결부분을 기밀하게 실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각 구성에 커버를 씌울 수도 있다.
상기 연결핸들(70)은 이동판(71)과, 제1연결체(72)와, 제2연결체(73)와,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핸들고정너트(75)를 갖춘다.
상기 이동판(71)은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체(72)는, 하부가 이동판(71)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가이드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체(72)의 상부는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연결체(73)는, 하부가 이동판(7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가이드부(21e)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연결체(73)와 대향되게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체(73)의 상부는 'T'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핸들고정너트(74)는 제1연결체(7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맞닿는다.
상기 제2핸들고정너트(75)는 제2연결체(7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맞닿는다.
도 16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6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점퍼선지지기구(60)에 의해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가 지지되어, 가공배전선로가 가설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하기 위해 분기선(BL)을 분리하면, 작업자는 분리된 분기선(BL)을 도 16 및 도 17과 같이 분기선고정기구(90)의 분기선삽입홈(93a)에 삽입하여, 분기선(BL)을 임시고정한 후,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 시 필요에 따른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도 18과 같이 분기선고정기구(90)의 길이조절기구(92)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도 19 및 도 20과 같이 분기선고정기구(90)의 길이조절기구(92)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분기선(BL)의 임시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배전선로를 보수할 시, 작업자는 도 21과 같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 및 볼트체(63)을 회전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 및 볼트체(63)를 회전시킬 시 주변 장애물에 의해 상기 너트체(62) 또는 상기 볼트체(63)가 걸릴 수가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를 회전시켜 도 22와 같이 상기 볼트체(63)를 연결핸들(70)의 이동판(71)과 분리한 후, 상기 볼트체(63)를 상기 너트체(62)에 수납한다.
이후, 작업자는 연결핸들(70)을 파지하여,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위치를 옮긴다. 이때 작업자는, 연결핸들(70)을 파지하기 어려우면, 연결핸들(70)의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핸들고정너트(74)를 풀고, 연결핸들(7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연결핸들(70)의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핸들고정너트(74)를 다시 고정하여, 도 23과 같이 연결핸들(70)이 쉽게 파지되도록 연결핸들(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가 옮겨지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가 수납된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너트체(62)로부터의 상기 볼트체(63) 돌출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볼트체(63)를 연결핸들(70)의 이동판(71)에 결합한다. 그러면 위치 변경된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는, 점퍼선지지기구(60)의 지지체(6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거나, 별도의 고정기구를 통해 회전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철(F)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도 24와 같이 화재발생을 별도의 관리센터에 신속하게 알려, 가공배전선로의 화재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구성의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제1점퍼선(JL1)과 제2점퍼선(JL2)이 통전되고, 제2점퍼선(JL2)에서 다수의 분기선(JL2)이 분기된 상태에서, 다수의 분기선(BL)의 전기 흐름을 한번에 단전시킬 필요가 있을 시, 도 25와 같이 연결기구(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6과 같이 연결기구(5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제2점퍼선연결기구(20)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전되어, 다수의 분기선(BL)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수의 분기선(BL)을 일일이 단전시키지 않더라도 한번에 다수의 분기선(BL)을 단전시킬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보수 작업을 실시할 시 보다 쉽고 신속하게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는 점퍼선지지기구(60)에 의해 지지되어, 연결기구(5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단전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분기선(BL) 중 어느 하나의 분기선(BL)만을 단전시키고자 할 시, 도 27과 같이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덮개(40)는 덮개고정너트(33)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형상을 유지한다.
이후, 도 28과 같이 분기선접속기구(30)의 분기선고정너트(32)를 회전시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분기선고정너트(32)의 상측과 분기선(BL)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어, 도 29와 같이 분기선(BL)을 분기선접속기구(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다수의 분기선(BL) 중 보수하고자 하는 분기라인의 분기선(BL)만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의 활선 상태에서 단전시킬 수 있어, 보다 쉽고 신속하게 보수가 필요한 가공배전선로만을 보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에 다수의 분기선삽입부(21d)가 구비되고, 분기선접속기구(30)가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30과 같이 분기선접속기구(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기선(BL)의 분기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위치의 분기선(BL)을 통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덮개(40)에 의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할 수 있어 누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기선(BL)의 분기 위치에 따라 분기선접속기구(30)의 삽입체(31)의 위치를 조절하더라도, 별도의 크기가 다른 덮개(40)를 사용하지 않고 원래의 덮개(40)의 위치를 조절하여 도 30과 같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할 수 있어, 분기선(BL)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분기선(BL)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40)의 크기에 변화를 주지 않게 분기선(BL)을 설치하게 되면, 다수의 분기선(BL)을 제2점퍼선연결기구(20)에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2점퍼선연결기구(20)는 좌우로 다수의 분기선접촉체(23)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선접촉체(23)에 대응하는 다수의 분기선접속기구(30)를 구비하여, 다수의 분기선(BL)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에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40)가 설치될 시, 도 11과 같이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를 통해 덮개(40)를 고정하여, 덮개(40)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가 분기선고정너트(32)의 나사홈(32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31과 같이 분기선접속기구(30)의 분기선고정너트(32)가 위치하더라도 덮개고정너트(33)의 이동을 통해 덮개(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예를 들면 점퍼선이 설치되는 완철 부분)를 보수를 할 시, 분기선(BL)을 쉽게 임시고정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를 보수를 할 시, 점퍼선지지기구(60)를 통해 활선상태의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의 위치를 변경고정하여, 가공배전선로의 보수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위치를 변경할 시, 손잡이 기능을 하는 연결핸들(70)을 통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관리센터에 신속하게 알려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구성의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기구(5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제1점퍼선(JL1)과 제2점퍼선(JL2)간을 통전 또는 단전시킬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을 보수할 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점퍼선(ML) 및 제2점퍼선(JL2)가 통전된 상태에서 분기선(BL)만 단전시킬 수 있어, 가공배전선로을 보수할 시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의 활선 상태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선접속기구(30)를 통해 다수의 다양한 위치의 분기선(BL)에 전력을 분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40)를 통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 보수 시 제1점퍼선(JL1) 및 제2점퍼선(JL2)을 지지하여 활선작업 보조 기능을 하는 점퍼선지지기구(60)에, 분기선고정기구(90), 제1본선연결기구(10), 제2점퍼선연결기구(20), 분기선접속기구(30), 덮개(40), 연결기구(50), 연결핸들(70) 및 화재감지센서(80)를 더 포함하여,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을 위한 보조 기능에 더해 가공배전라인의 통전 및 단전 기능, 분기선(BL) 임시고정기능, 가공배전라인의 분기기능 및 화재발생알림 기능을 더 갖추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로 정의한다.
10; 제1점퍼선연결기구 20; 제2점퍼선연결기구
30; 분기선접속기구 40; 덮개
50; 연결기구 60; 점퍼선지지기구
70; 연결핸들 80; 화재감지센서
90; 분기선고정기구 JL1; 제1점퍼선
JL2; 제2점퍼선 BL; 분기선

Claims (1)

  1. 완철(F)에 설치되는 가공배전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용 보조장치는,
    완철(F)에 설치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체(62)와,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볼트체(63)를 갖춘 점퍼선지지기구(60)와: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삽입되어, 점퍼선지지기구(60)의 너트체(6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체(91)와; 이동체(91)에 설치되는 지지체(92a)와, 상기 지지체(92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삽입체(92b) 및, 제1삽입체(92b)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삽입체(92c)를 구비한 길이조절체(92) 및; 외측으로 개구된 다수의 분기선삽입홈(93a)을 구비하여, 길이조절기구(92)의 제2삽입체(92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분기선고정체(93)를 갖춘 분기선고정기구(90)와:
    분기선고정기구(90)의 이동체(91)에 설치되고, 완철(F) 주변의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는 화재감지센서(8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좌측에 형성된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우측이 개구되고 좌측이 제1점퍼선삽입부(11a)와 연통된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1c)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제1점퍼선접속체설치부(11b)에 설치되고, 제1점퍼선삽입부(11a)를 통과하는 제1점퍼선(JL1)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도전재질의 제1점퍼선접촉체(12)를 갖춘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좌우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좌측이 개구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삽입부(21a)와 연통된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1c)와, 상하로 개구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측이 제1가이드부(21c)와 연통되며 하측이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와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선삽입부(21d) 및, 외측이 개구되게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좌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원호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1e)를 구비한 절연재질의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제2점퍼선접속체설치부(21b)에 설치되고, 제2점퍼선삽입부(21a)를 통과하는 제2점퍼선(JL2)과 통전되게 접촉하는 원형 바 형상의 도전재질의 제2점퍼선접촉체(22) 및;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1플랜지(23a)와, 제2점퍼선접촉체(22)의 둘레에 형성되되 제1플랜지(23a)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도전재질의 제2플랜지(23b)를 구비하여, 제2점퍼선접촉체(22)의 좌우를 따라 배치되고,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분기선삽입부(21d)로 삽입된 분기선(BL)이 통전되게 접촉되는 다수의 분기선접촉체(23)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점퍼선연결기구(20)와:
    내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분기선(BL)이 삽입되고, 하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체(31)와; 하방으로 개구된 링 형상의 나사홈(32a)을 구비하며, 하측이 삽입체(3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상측이 분기선(BL)의 둘레 피복과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분기선고정너트(32) 및; 분기선고정너트(32)의 나사홈(32a)에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덮개고정너트(33)을 갖춘 다수의 분기선접속기구(30)와: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둘레에 끼워져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의 제1가이드부(21c)를 폐쇄하는 링 형상의 덮개부(41)와; 덮개부(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맞대어지고, 분기선접속기구(30)의 삽입체(31)와 맞닿는 제1,2절개부(42,43)를 갖추고서, 분기선접속기구(30)의 덮개고정너트(33)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탄성 및 절연재질의 다수의 덮개(40)와:
    좌측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고, 우측이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와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도전재질의 연결너트(51)와; 연결너트(51)를 감싸는 절연재질의 피복체(52)를 갖추고서, 제1점퍼선연결기구(10)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제1점퍼선접촉체(12) 및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점퍼선접촉체(22)를 통전시키거나 단전시키는 연결기구(50) 및:
    점퍼선지지기구(60)의 볼트체(63)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이동판(71)과; 하부가 이동판(71)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1점퍼선연결기구(10)의 가이드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체(72)와; 하부가 이동판(71)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제2점퍼선연결기구(20)의 제2가이드부(21e)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체(73)와; 제1연결체(7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1점퍼선연결기구본체(11)와 맞닿는 제1핸들고정너트(74) 및; 제2연결체(7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어 제2점퍼선연결기구본체(21)와 맞닿는 제2핸들고정너트(75)를 갖춘 연결핸들(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20170106154A 2017-08-22 2017-08-22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787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54A KR101787359B1 (ko) 2017-08-22 2017-08-22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154A KR101787359B1 (ko) 2017-08-22 2017-08-22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59B1 true KR101787359B1 (ko) 2017-10-18

Family

ID=6029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54A KR101787359B1 (ko) 2017-08-22 2017-08-22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3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83B1 (ko) * 2022-01-26 2022-11-0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가공배전선로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62884B1 (ko) * 2022-01-26 2022-11-0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2463149B1 (ko) * 2022-01-28 2022-11-07 부창엔지니어링(주) 가공배전선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463151B1 (ko) * 2022-01-27 2022-11-07 부창엔지니어링(주)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구비한 가공배전선 연결장치
KR102498320B1 (ko) * 2022-05-27 2023-02-10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형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2B1 (ko) 2007-02-07 2007-08-13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50769B1 (ko) 2008-02-18 2008-08-07 (주)고라엔지니어링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052854B1 (ko) 2010-11-17 2011-07-29 (주)서전종합전기 매설용 지중송전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2B1 (ko) 2007-02-07 2007-08-13 (주)종합엔지니어링다인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0850769B1 (ko) 2008-02-18 2008-08-07 (주)고라엔지니어링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1052854B1 (ko) 2010-11-17 2011-07-29 (주)서전종합전기 매설용 지중송전선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83B1 (ko) * 2022-01-26 2022-11-0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가공배전선로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462884B1 (ko) * 2022-01-26 2022-11-04 주식회사 세림이엔지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KR102463151B1 (ko) * 2022-01-27 2022-11-07 부창엔지니어링(주)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구비한 가공배전선 연결장치
KR102463149B1 (ko) * 2022-01-28 2022-11-07 부창엔지니어링(주) 가공배전선 충돌 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2498320B1 (ko) * 2022-05-27 2023-02-10 주식회사 준원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형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59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을 위한 가공배전용 보조장치
KR101787358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기구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934741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1144986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1354717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1869361B1 (ko)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KR101787354B1 (ko) 가공배전선로 연결용 분기슬리브장치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2333250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20210077927A (ko)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CA2817954A1 (en) Automatic actuator for breakers or switches
KR100827000B1 (ko) 배전선로용 전선 클램프
KR102017031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787361B1 (ko) 가공배전용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US2285883A (en) Electrical fixture
KR101874563B1 (ko) 가공 배전선로 고정형 현수애자
KR102448485B1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1477611B1 (ko) 변전설비용 단로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104918753A (zh) 纵型电动工具
CN210272122U (zh) 刀闸开关状态采集装置
KR101787087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KR102462884B1 (ko)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가공배전선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