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031B1 -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031B1
KR102017031B1 KR1020190029900A KR20190029900A KR102017031B1 KR 102017031 B1 KR102017031 B1 KR 102017031B1 KR 1020190029900 A KR1020190029900 A KR 1020190029900A KR 20190029900 A KR20190029900 A KR 20190029900A KR 102017031 B1 KR102017031 B1 KR 10201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voltage cable
cable
low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삼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02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4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mutu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연결단자에서 분리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정면이 직사각링체이고 상부가 부도체링에 감싸이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 저면 중심부에서 직하부로 수직연장되면서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승하강나사부가 형성되는 손잡이회동지지축; 직육면체로 상면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하단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축고정공을 갖는 중심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심결합부의 좌측면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좌측지지대가 형성되며, 중심결합부의 우측면 후방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우측지지대가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는 수평지지대; 직육면체의 바로 좌우측면 중심부로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관통공을 갖고 외측단에는 외측면에 밀착요부를 갖는 부도체인 밀착링부를 갖으며 상면 전후방측에서 이격되어 축공이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전후방축돌부를 갖는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 고무재질의 밴드로 선단이 합쳐져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를 갖는 일정길이의 고무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대와 동일한 외관두께를 갖는 사각링체로 일단부에는 고무밴드의 선단부가 포개져 합쳐진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체결돌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 연장선상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사각체결링이 형성되어 1차측 연결케이블과 2차측 저압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키는 좌우측권취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승하강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원형통체로 상단부 외측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회동승강손잡이를 갖는 승하강회동축이 형성되고, 승하강회동축 외측면을 감싸 공회전되면서 평면이 "H"형상으로 좌우측 중심부에 좌우측축요부를 각각 갖고 좌우측축요부 전후방측에 축공을 각각 갖는 공회전축지지대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공회전축지지대 좌우측축요부의 축공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의 전후방축돌부 축공에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지지대가 각각 형성되어 하강시 좌우측권취고정부가 2차측 연결케이블과 1차측 저압케이블을 완강히 고정지지하는 승하강확장지지틀을 구비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이들을 연결단자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서 클램핑작업이 2차측 저압케이블 및 1차측 연결케이블과 근접되지 않은 이격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클램핑 도중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Safety access device for separation low-voltage cable of transformer}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이들을 연결단자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서 클램핑작업이 2차측 저압케이블 및 1차측 연결케이블과 근접되지 않은 이격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클램핑 도중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전력을 공급할 때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1차 측)을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V/380V의 저압(2차 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지상형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형변압기는 특고압이 공급되는 1차 측에는 특고압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접속재가 1차측 부싱에 연결되고, 저압이 공급되는 2차측 저압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단자는 2차측 부싱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상형변압기는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1,2차 측 부싱에서 특고압케이블과 저압케이블을 각각 분리한 형태로 지상 변압기를 교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상형변압기의 분리시에 변압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일시 정전상태에서 변압기를 교환하거나 변압기의 전원을 활선 상태로 계속 접속 연결하여 수용가로 전원을 계속 공급하는 상태에서 변압기를 교환한다. 즉, 활선 상태인 무정전상태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경우 2차측 저압케이블은 수용가 측의 케이블과 계속 접속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압케이블이 연결되는 2차 측 연결단자는 부싱과 일체로 결합한 형태의 일체형과 부싱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분리형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2차 측 저압케이블을 종래에는 효과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안전하게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안전성은 물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2차 측 저압케이블과 1차 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연결단자에서 분리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전면이 양측으로 분할되어 개구되어 있되, 양측면 전방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위치된 설치공간부의 중앙에는 기어판넬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 후면에는 상기 기어판넬을 전,후로 이송시킬 수 있는 대(大)절연재 회동 레버와 절연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후방에는 상기 기어판넬에 의해 회동가능토록 본체의 설치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연동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동기어에는 전방에 고정부 반호형 고정홈이 형성된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와 인접한 내측 면에는 상면에 통전 플레이트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 내에는 이송스쿠류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스쿠류에는 통전 플레이트와 통전 가능한 탄성 접속구를 구비한 가압부 반호형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가압클램프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측 전방에는 상기 이송스쿠류를 회동시켜 가압클램프를 가이드홈 내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소(小)절연재 회동 레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가이드홈과 인접한 내측 면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는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통전 가능한 통전편이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2조 1쌍의 집게바: 및 상기 본체의 전방 중앙에 위치된 착탈 고정구에 스프링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되, 양측이 상기 설치홈 내에 위치되어 통전편과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점프 경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 고정구는 본체 전방 중앙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하부 고정대와 상기 하부 고정대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본체에 형성된 승,하강홈에 삽입설치되어 있되, 승,하강홈 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에 위해 탄지되는 상부 고정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이 특허등록 제10-1334078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접속장치는,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인접되게 설치된 소(小)절연재 회동 레버(220a,220b)를 각각 직접 회동작동시켜야 하는바, 이때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3340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이들을 연결단자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서 클램핑작업이 2차측 저압케이블 및 1차측 연결케이블과 근접되지 않은 이격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클램핑 도중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연결단자에서 분리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정면이 직사각링체이고 상부가 부도체링에 감싸이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손잡이부 저면 중심부에서 직하부로 수직연장되면서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승하강나사부가 형성되는 손잡이회동지지축;
직육면체로 상면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하단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축고정공을 갖는 중심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심결합부의 좌측면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좌측지지대가 형성되며, 중심결합부의 우측면 후방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우측지지대가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는 수평지지대;
직육면체의 바로 좌우측면 중심부로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관통공을 갖고 외측단에는 외측면에 밀착요부를 갖는 부도체인 밀착링부를 갖으며 상면 전후방측에서 이격되어 축공이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전후방축돌부를 갖는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
고무재질의 밴드로 선단이 합쳐져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를 갖는 일정길이의 고무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대와 동일한 외관두께를 갖는 사각링체로 일단부에는 고무밴드의 선단부가 포개져 합쳐진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체결돌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 연장선상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사각체결링이 형성되어 1차측 연결케이블과 2차측 저압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키는 좌우측권취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승하강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원형통체로 상단부 외측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회동승강손잡이를 갖는 승하강회동축이 형성되고, 승하강회동축 외측면을 감싸 공회전되면서 평면이 "H"형상으로 좌우측 중심부에 좌우측축요부를 각각 갖고 좌우측축요부 전후방측에 축공을 각각 갖는 공회전축지지대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공회전축지지대 좌우측축요부의 축공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의 전후방축돌부 축공에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지지대가 각각 형성되어 하강시 좌우측권취고정부가 2차측 연결케이블과 1차측 저압케이블을 완강히 고정지지하는 승하강확장지지틀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이들을 연결단자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서 클램핑작업이 2차측 저압케이블 및 1차측 연결케이블과 근접되지 않은 이격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저압케이블과 연결케이블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클램핑 도중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절취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의 모습을 보인 우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1)는, 지상변압기(60)의 교체를 위해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클램핑하여 연결단자(도시않음)에서 분리하기 위한 접속장치로, 수평지지대(20)의 중심결합부(21)에 축고정되고 상단에 손잡이부(11)를 가지며 회동승강손잡이(51a)에 의해 승하강확장지지틀(50)을 승하강 안내하는 손잡이회동지지축(10)과, 손잡이회동지지축(10) 하단에 위치되어 회동승강손잡이(51a)에 의한 승하강확장지지틀(50)의 하강시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지지대(20)와, 승하강확장지지틀(50)의 하강에 따라 수평지지대(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감고 있는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의 고무밴드(41)를 완강히 조임고정시키는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30,30a)와, 수평지지대(20)의 좌우측단에 각각 위치되어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각각 감아 조임고정시키는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와, 손잡이회동지지축(10)에서 하강되어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30,30a)를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로 이동시키는 승하강확장지지틀(5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10)은, 정면이 직사각링체이고 상부가 부도체링(11a)에 감싸이는 손잡이부(11)가 형성되고, 손잡이부(11) 저면 중심부에서 직하부로 수직연장되면서 외주연에 나사부(12a)가 형성되는 승하강나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0)는, 직육면체로 상면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10)의 하단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축고정공(21a)을 갖는 중심결합부(21)가 형성되고, 중심결합부(21)의 좌측면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22b)을 갖는 체결돌부(22a)가 형성되는 좌측지지대(22)가 형성되며, 중심결합부(21)의 우측면 후방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23b)을 갖는 체결돌부(23a)가 형성되는 우측지지대(23)가 형성되어 수평을 이룬다.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30,30a)는, 직육면체의 바로, 좌우측면 중심부로는 상기 수평지지대(20)의 좌측지지대(22)와 우측지지대(23)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관통공(31)이 형성되고, 외측단에는 외측면에 밀착요부(32a)를 갖는 부도체인 밀착링부(32)가 형성되며, 상면 전후방측에서 이격되어 각각 축공(33a,34a)을 갖고 상부로 돌출되는 전후방축돌부(33,34)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는, 고무재질의 밴드로 선단이 합쳐져 상기 좌우측지지대(22,2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를 갖는 일정길이의 고무밴드(41)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대(22,23)와 동일한 외관두께를 갖는 사각링체로 일단부에는 고무밴드(41)의 선단부가 포개져 합쳐진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대(22,23)의 체결돌부(22a,23a)가 각각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22b,23b) 연장선상의 고정공(42a)을 통해 고정볼트(42b)로 체결고정되는 사각체결링(42)이 각각 형성되어 1차측 연결케이블(61)과 2차측 저압케이블(62)을 각각 감아 고정시킨다.
상기 승하강확장지지틀(50)은,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10)의 승하강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원형통체로 상단부 외측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회동승강손잡이(51a)를 갖는 승하강회동축(51)이 형성되고, 승하강회동축(51) 외측면을 감싸 공회전되면서 평면이 "H"형상으로 좌우측 중심부에 좌우측축요부(52a,52b)를 각각 갖고 좌우측축요부(52a,52b) 전후방측에 축공(52aa,52ab)(52ba,52bb)을 각각 갖는 공회전축지지대(52)가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공회전축지지대(52) 좌우측축요부(52a,52b)의 축공(52aa,52ab)(52ba,52bb)에 각각 축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30,30a)의 전후방축돌부(33,34) 축공(33a,34a)에 각각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지지대(53,53a)가 각각 형성되어 하강시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가 2차측 연결케이블(62)과 1차측 저압케이블(61)을 완강히 고정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좌우측귄취고정부(40,40a)의 고무밴드(41)가 각각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감은 상태에서 손잡이회동지지축(10)의 회동승강손잡이(51a)를 회동시켜 승하강확장지지틀(50)을 승하강나사부(12) 하부로 하강시키면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30,30a)는 좌우측회동지지대(53,35a)에 의해 좌우측지지대(22,23) 상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좌우측권취고정부(40,40a)의 사각체결링(42)을 지나 고무밴드(41)를 조이면서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완강히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잡이회동지지축(10)의 손잡이부(11) 부도체링(11a)을 잡고서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잡아 당겨서 지상변압기(60)의 연결단자(도시않음)에서 분리하면 된다.
이렇게, 2차측 저압케이블(62)과 1차측 연결케이블(61)을 클램핑작업이 2차측 저압케이블(62) 및 1차측 연결케이블(61)과 근접되지 않은 이격된 장소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1차측 저압케이블(61)과 2차측 연결케이블(62) 간의 간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또한 동시에 클램핑 도중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안전접속장치
10 : 손잡이회동지지축 11 : 손잡이부
11a : 부도체링 12 : 승하강나사부
12a : 나사부
20 : 수평지지대 21 : 중심결합부
21a : 축고정공 22 : 좌측지지대
22a : 체결돌부 22b : 체결공
23 : 우측지지대 23a : 체결돌부
23b : 체결공
30,30a :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 31 : 사각관통공
32 : 밀착링부 32a : 밀착요부
33,34 : 전후방측돌부 33a.34a : 축공
40,40a : 좌우측권취고정부 41 : 고무밴드
42 : 사각체결링 42a : 고정공
42b : 고정볼트
50 : 승하강확장지지틀 51 : 승하강회동축
51a : 회동승강손잡이 52 : 공회전축지지대
52a : 좌측축요부 52aa,52ab : 축공
52b : 우측축요부 52ba,52bb : 축공
53,53a : 좌우측회동지지대
60 : 지상변압기 61 : 1차측 연결케이블
62 : 2차측 저압케이블

Claims (1)

  1. 상부가 부도체링에 감싸이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손잡이회동지지축과,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수평지지대와, 좌우측면 중심부로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에 각각 결합되는 사각관통공을 갖고 외측단에는 외측면에 밀착요부를 갖는 부도체인 밀착링부를 갖는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와, 고무재질의 밴드로 선단이 합쳐져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를 갖는 일정길이의 고무밴드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지지대와 동일한 외관두께를 갖는 사각링체로 일단부에는 고무밴드의 선단부가 포개져 합쳐진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좌우측지지대의 체결돌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공 연장선상의 고정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체결고정되는 사각체결링이 형성되어 1차측 연결케이블과 2차측 저압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키는 좌우측권취고정부와, 일단은 상기 공회전축지지대 좌우측축요부의 축공에 축결합되고 타단은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의 전후방축돌부 축공에 축결합되는 좌우측회동지지대가 각각 형성되어 하강시 좌우측권취고정부가 2차측 연결케이블과 1차측 저압케이블을 완강히 고정지지하는 승하강확장지지틀을 구비하여 지상변압기의 교체를 위해 2차측 저압케이블과 1차측 연결케이블을 클램핑하여 연결단자에서 분리하기 위한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은, 정면이 직사각링체이고, 상기 손잡이부 저면 중심부에서 직하부로 수직연장되면서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승하강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대는, 직육면체로 상면에는 직하부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하단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축고정공을 갖는 중심결합부가 형성되고, 중심결합부의 좌측면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좌측지지대가 형성되며, 중심결합부의 우측면 후방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사각봉체로 선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는 우측지지대가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좌우측슬라이딩밀착바는, 직육면체의 바로, 상면 전후방측에서 이격되어 축공이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전후방축돌부를 갖으며;
    상기 승하강확장지지틀은, 상기 손잡이회동지지축의 승하강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원형통체로 상단부 외측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회동승강손잡이를 갖는 승하강회동축이 형성되고, 승하강회동축 외측면을 감싸 공회전되면서 평면이 "H"형상으로 좌우측 중심부에 좌우측축요부를 각각 갖고 좌우측축요부 전후방측에 축공을 각각 갖는 공회전축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KR1020190029900A 2019-03-15 2019-03-15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KR10201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00A KR102017031B1 (ko) 2019-03-15 2019-03-15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900A KR102017031B1 (ko) 2019-03-15 2019-03-15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031B1 true KR102017031B1 (ko) 2019-09-02

Family

ID=6795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900A KR102017031B1 (ko) 2019-03-15 2019-03-15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9696A (zh) * 2020-06-29 2020-10-20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超特高压输电线路线夹更换工具
CN112701607A (zh) * 2020-12-22 2021-04-23 王美英 一种电力工程用便携式电力线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75Y1 (ko) * 2009-04-21 2009-07-29 (유)전일기술단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편조선형 접속장치
KR101334078B1 (ko) 2013-01-08 2013-11-28 (주)호명기술단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75Y1 (ko) * 2009-04-21 2009-07-29 (유)전일기술단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편조선형 접속장치
KR101334078B1 (ko) 2013-01-08 2013-11-28 (주)호명기술단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9696A (zh) * 2020-06-29 2020-10-20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超特高压输电线路线夹更换工具
CN111799696B (zh) * 2020-06-29 2021-07-06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超特高压输电线路线夹更换工具
CN112701607A (zh) * 2020-12-22 2021-04-23 王美英 一种电力工程用便携式电力线支架
CN112701607B (zh) * 2020-12-22 2022-07-22 炜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用便携式电力线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31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안전접속장치
KR100963319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211211B1 (ko) 활선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연결 클램프
KR100897782B1 (ko) 지상 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KR101174358B1 (ko) 설치가 용이한 송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CN208548480U (zh) 多角度方向可调式高压接地杆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US20150136444A1 (en) Corona-free cap assembly
CN205900347U (zh) 可调节角度的绝缘棒
CN210489496U (zh) 一种便于调节间距的隔离刀闸
CN203800356U (zh) 自调整中心集电器
KR101806526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CN203398619U (zh) 线路避雷器更换装置
KR101199518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938154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CN204651516U (zh) 一种核电桥架专用双头线卡
KR102507997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N218730608U (zh) 一种模块化结构负荷隔离开关
CN211907898U (zh) 一种新型分体式过孔导电滑环
CN108512127A (zh) 一种电力安装紧线装置
CN218919885U (zh) 便于安装支撑联络线缆的固定夹具
CN213693119U (zh) 一种耐磨损的外轴电源线缆
US10607800B1 (en) Powerline cutout switch improvement
KR20170090335A (ko) 현수애자연결구
AU2017272328B2 (en) A circuit arrangement and a switchboard with the circui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