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18B1 -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518B1
KR101199518B1 KR1020120083283A KR20120083283A KR101199518B1 KR 101199518 B1 KR101199518 B1 KR 101199518B1 KR 1020120083283 A KR1020120083283 A KR 1020120083283A KR 20120083283 A KR20120083283 A KR 20120083283A KR 101199518 B1 KR101199518 B1 KR 10119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fixing
iron
bodies
p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채
Original Assignee
(주)성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성문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8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전선이 배선되는 애자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완철에 설치하고, 완철의 일부를 전주에 끼운 상태에서 전주를 매개로 완철 상호간을 작동실린더와 이에 결합되는 피스톤로드를 이용하여 걸어 잠근 후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완철을 설치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되고, 완철의 고정성능이 향상되게 되며, 완철에 고정된 전선의 장력변화시 피스톤로드의 출몰 동작에 의해 실시간으로 즉시 완충 대응이 가능하므로 단락 등의 전기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INSULATOR TYPE SUPPORTING BAR OF ELECTRIC POLE FOR FASTENING OVER HEA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자 설치형 완철의 설치를 쉽고 편리하게 함은 물론 고정성을 향상시키고, 장력 변화에 자동 대응됨과 아울러 애자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선로의 애자 설치형 완철은 전주에 고정되고, 애자가 완철의 양측에 고정되어 배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들 완철, 애자 또는 변압기와 같은 다수의 부재들 및 전기기기들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잦은 고장이 발생하고, 작업자가 고장난 부재나 기기들을 수시로 보수해야 한다.
작업자는 고장난 부재나 기기들의 보수를 위해 전기장비의 사용이 빈번하지만, 전주에 올라간 작업자는 전기장비의 사용을 위해 전원공급을 받을 수 없어, 전기 장비를 충전하여 전주에 올라가야만 했다. 따라서, 전기 장비가 방전되면, 전주 아래로 내려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880441호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등록특허는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완철본체(F) 하부에 보호케이스(10)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전원 충전단자를 설치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 문제를 일소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0880441호를 비롯한 등록특허 제0980389호 등에서와 같이 완철본체(F)를 전주(P)에 고정할 때 대부분 조임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으므로 완철본체(F) 자체의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설치 후 회전되는 등의 문제가 내재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개시된 적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애자(A)를 매개로 가공전선(L)이 지지되게 되는데, 애자(A)는 통상 완철본체(F)에 볼트 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특정지점에 특정방향으로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공전선(L) 설치나 혹은 애자(A) 교체, 기타 다른 기기들의 보수 작업시 간섭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이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이때, 미설명 부호 'H'는 손잡이로서, 너트(N)를 매개로 전주(P)의 외면에 삽탈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보통 전주(P)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손잡이(H)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전주(P)에 오를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완철을 전주에 쉽고 편리하게 단시간에 견고히 설치고정할 수 있고, 장력 변화에 자동 대응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를 위해 전주에 작업자가 올라갈 때 애자를 접거나 펼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주; 상기 전주의 상단부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둘레를 따라 호형상으로 요입형성된 설치안내홈; 상기 설치안내홈의 길이 중앙에서 직경방향으로 요입되고,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고정홈; 상기 전주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1,2완철본체; 상기 제1,2완철본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위치결정돌기; 상기 제1,2완철본체의 상면 일측에 각각 힌지고정되는 작동실린더; 상기 작동실린더에 결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출몰되며, 끝단에는 스페너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피스톤로드; 상기 제1,2완철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공; 상기 피스톤로드의 삽입홈에 끼워져 피스톤로드를 고정하도록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 상기 제1,2완철본체의 양단부 일측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ㄱ'형상으로 절개 형성되고, 애자를 고정하는 애자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각 끝단에 형성되고, 애자축의 직경보다 큰 원형구멍; 상기 애자축에 형성된 걸림돌기; 상기 애자축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돌기에 일단이 걸림되는 인장스프링; 상기 애자축에 끼워지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이 걸림되며, 상기 원형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원뿔대형 끼움구; 상기 원형구멍을 관통한 애자축에 끼워지는 지지볼; 상기 지지볼의 후측에서 상기 애자축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철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가공전선 지지용 애자를 접고 펼 수 있어 유지 보수시 간섭을 없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자 설치형 완철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애자 설치형 완철의 일부를 정면,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애자 설치형 완철의 애자축 부분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애자 설치형 완철의 장력 조절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자 설치형 완철은 전주(P)에 고정되는 완철본체(F, 도 1 참조), 즉 제1완철본체(F1)와 제2완철본체(F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실린더(100)와, 위치고정돌기(200) 및 고정볼트(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전주(P)의 상단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반경방향을 따라 호형상의 설치안내홈(GH)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설치안내홈(GH)의 길이 중앙에는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홈(210)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위치고정돌기(200)의 유동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주(P)는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에 따라 전주(P)의 직경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실린더(100)의 길이도 규격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 및 고정성에 있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실린더(100)는 제1,2완철본체(F1,F2)의 상면에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다른 예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리벳 혹은 피봇 고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실린더(100)의 단부, 즉 힌지축(110) 반대단에는 스페너 형상의 삽입홈(120)을 갖는 피스톤로드(102)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02)는 공압 혹은 유압에 의해 상기 작동실린더(10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상의 구조이며, 상기 피스톤로드(102)의 출몰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110)으로부터 피스톤로드(102)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홈(120)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완철본체(F1,F2)의 상면에는 볼트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310)에는 고정볼트(300)가 체결되는데, 상기 고정볼트(300)는 상기 작동실린더(100)를 회전시켜 상기 삽입홈(120)이 볼트공(310)과 일치되게 유지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와셔의 개재하에 볼트 고정된다.
즉, 제1,2완철본체(F1,F2)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둘 중 어느 하나를 반대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작동실린더(100)를 회전시키면 작동실린더(100)의 단부인 삽입홈(120)이 반대쪽 완철본체의 볼트공(310)에 위치되게 되므로 상호 결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제1,2완철본체(F1,F2)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되, 작동실린더(100)의 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게 되면 제1완철본체(F1)에 구비된 작동실린더(100)를 회전시켰을 때 작동실린더(100)는 제2완철본체(F2)의 볼트공(310) 상부에 위치되게 되며, 고정볼트(300)를 제2완철본체(F2)의 볼트공(310)에 고정하게 되면 제1,2완철본체(F1,F2)을 상호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완철본체(F2)에 구비된 작동실린더(100)도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하면 결국 제1,2완철본체(F1,F2)는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견고히 결속되게 되며, 이때 전주(P)의 직경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작동실린더(100)의 길이가 고정하기에 적당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사, 규격화되지 않은 전주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실린더(100)는 피스톤로드(102)가 출몰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2완철본체(F1,F2) 결속시 이들이 회전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 원주를 갖는 전주(P) 표면에 직선형상의 제1,2완철(F1,F2)을 직접 대고 설치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고 힘든 일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2완철본체(F1,F2) 결속 중 미리 이들이 마주보는 면에 돌출형성된 위치고정돌기(200)를 전주(P)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역사다리꼴 형상의 고정홈(210)에 먼저 끼우도록 한다.
그 전에,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주(P)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호형상의 설치안내홈(GH)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제1,2완철본체(F1,F2)의 길이 일부를 상기 설치안내홈(GH)에 끼우게 되면 상기 제1,2완철본체(F1,F2)는 전주(P)에 물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하기 쉬워진다.
더구나,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설치안내홈(GH)의 길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2완철본체(F1,F2)의 위치잡기가 더욱 수월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정볼트(300)를 미리 볼트공(310)에 약간 가고정한 상태로 유지한 채 제1,2완철본체(F1,F2)를 들고 전주(P)로 올라간 다음 먼저, 제1,2완철본체(F1,F2)의 길이 일부를 설치안내홈(GH)에 끼운 다음 각 위치고정돌기(200)를 전주(P)의 고정홈(210)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각 완철본체에 구비된 작동실린더(100)를 회전시키면 각 작동실린더(100)의 단부에 구비된 삽입홈(120)은 자동적으로 가고정된 고정볼트(300)에 끼워지므로 간단 용이하게 1차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300)를 적정 장력으로 완전히 조이게 되면 제1,2완철본체(F1,F2)는 회전 유동되지 않으면서 견고히 고정되게 되므로 설치 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매우 수월해진다.
이때, 제1,2완철본체(F1,F2)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맞지 않을 경우에는 피스톤로드(102)를 당기거나 눌러 인입시킴으로써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애자(A, 도 1 참조)가 고정되는 애자축(400)이 수평-수직으로 유동되면서 접혔다 펴졌다할 수 있도록 제1,2완철본체(F1,F2)의 애자설치 위치상에 일측 모서리를 경계로 직교되게 가이드홈(410)이 형성되고, 가이드홈(410)의 양단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구멍(42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410) 및 원형구멍(420)은 제1,2완철본체(F1,F2)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완철본체의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가락을 넣어 작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애자축(400)의 단부에는 걸림돌기(402)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402)에는 인장스프링(404)의 일단이 걸림된 상태로 애자축(400)에 끼워지고, 또한 상기 애자축(400)에는 원뿔대형 끼움구(500)가 끼워져 인장스프링(404)의 타단이 원뿔대형 끼움구(500)의 일측면에 걸림된다.
이 상태에서 제1,2완철본체(F1,F2)의 각 원형구멍(420)에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끼워진다.
그러면, 상기 원뿔대형 끼움구(500)의 일부, 즉 하단은 원형구멍(420)에 약간 끼워진 상태로 걸리게 되고, 애자축(400)은 원형구멍(420)을 관통하여 제1,2완철본체(F1,F2)의 중공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때 이 애자축(400)에 구형상의 지지볼(510)을 끼운 후 애자축(400)의 끝단에 고정너트(520)를 조여 너트 고정하게 되면 인장스프링(404)의 인장력에 의해 원뿔대형 끼움구(500)가 밀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원형구멍(42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애자축(400)이 수평 혹은 수직 둘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도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에 있다가 작업을 위해 애자축(400)을 수직방향으로 옮길 필요가 있다면, 작업자는 원뿔대형 끼움구(500)를 걸림돌기(402) 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인장스프링(404)이 압축되면서 원뿔대형 끼움구(500)는 원형구멍(420)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므로 대략 애자축(400)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가이드홈(410)을 따라 애자축(400)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애자축(400)을 세워 수직상태를 유지한 후 원뿔대형 끼움구(500)를 놓으면 인장스프링(404)에 의해 원뿔대형 끼움구(500)가 밀리면서 제1,2완철본체(F1,F2)의 수평면에 형성된 원형구멍(420)에 상기 원뿔대형 끼움구(500)가 끼워지면서 앞서 설명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볼(510)은 접촉면을 최소화시켜 애자축(400)이 유동될 때 원활하게 하여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철본체를 설치하는데 아주 쉽고 편리함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개선되므로 작업효율도 향상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된 전선이 기온차나 기타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장력에 변화가 생기게 되면 어느 일측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유발될 때, 종래 대응 구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선이 처지거나 혹은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제1,2완철본체(F1,F2)가 작동실린더(100)와 피스톤로드(102)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장력이 걸리는 쪽으로 당김 현상이 발생되면, 해당측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신장되고, 반대편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수축되면 제1,2완철본체(F1,F2)가 사다리처럼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작용이 일어나 과도한 장력을 해소하면서 안전한 지지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4의 (a),(b)와 같이, 상기 제1,2완철본체(F1,F2)가 전선의 장력변화에 따라 벌려졌다 오므려졌다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선의 장력변화에도 즉시에 자동 대응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게 된다.
100 : 작동실린더 110 : 힌지축
120 : 삽입홈 200 : 위치고정돌기
210 : 고정홈 300 : 고정볼트
310 : 볼트공 400 : 애자축
410 : 가이드홈 420 : 원형구멍
500 : 원뿔대형 끼움구 510 : 지지볼
520 : 고정너트

Claims (1)

  1. 전주(P);
    상기 전주(P)의 상단부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둘레를 따라 호형상으로 요입형성된 설치안내홈(GH);
    상기 설치안내홈(GH)의 길이 중앙에서 직경방향으로 요입되고,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고정홈(210);
    상기 전주(P)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1,2완철본체(F1,F2);
    상기 제1,2완철본체(F1,F2)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210)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200);
    상기 제1,2완철본체(F1,F2)의 상면 일측에 각각 힌지고정되는 작동실린더(100);
    상기 작동실린더(100)에 결합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출몰되며, 끝단에는 스페너 형상의 삽입홈(120)이 형성된 피스톤로드(102);
    상기 제1,2완철본체(F1,F2)의 상면에 형성된 볼트공(310);
    상기 피스톤로드(102)의 삽입홈(120)에 끼워져 피스톤로드(102)를 고정하도록 상기 볼트공(31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300);
    상기 제1,2완철본체(F1,F2)의 양단부 일측변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ㄱ'형상으로 절개 형성되고, 애자(A)를 고정하는 애자축(400)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가이드홈(410);
    상기 가이드홈(410)의 각 끝단에 형성되고, 애자축(400)의 직경보다 큰 원형구멍(420);
    상기 애자축(400)에 형성된 걸림돌기(402);
    상기 애자축(400)에 끼워지고, 상기 걸림돌기(402)에 일단이 걸림되는 인장스프링(404);
    상기 애자축(400)에 끼워지고, 상기 인장스프링(404)의 타단이 걸림되며, 상기 원형구멍(420)에 끼워져 걸리는 원뿔대형 끼움구(500);
    상기 원형구멍(420)을 관통한 애자축(400)에 끼워지는 지지볼(510);
    상기 지지볼(510)의 후측에서 상기 애자축(400)에 체결되는 고정너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20120083283A 2012-07-30 2012-07-30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Active KR10119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83A KR101199518B1 (ko) 2012-07-30 2012-07-30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83A KR101199518B1 (ko) 2012-07-30 2012-07-30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518B1 true KR101199518B1 (ko) 2012-11-09

Family

ID=4756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83A Active KR101199518B1 (ko) 2012-07-30 2012-07-30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48B1 (ko) 2022-01-28 2022-06-13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배전용 변압기가 설치된 전주 고정형 애자 설치 완철 장치
KR102406749B1 (ko) 2022-01-28 2022-06-13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완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82B1 (ko) * 2007-11-05 2008-04-15 정동복 배전가공전선의 인장력을 유지하는 애자설치 구조
KR100827751B1 (ko) * 2008-02-05 2008-05-07 (주)성지이앤씨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0827754B1 (ko) * 2007-11-27 2008-05-07 주식회사 신흥산전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82B1 (ko) * 2007-11-05 2008-04-15 정동복 배전가공전선의 인장력을 유지하는 애자설치 구조
KR100827754B1 (ko) * 2007-11-27 2008-05-07 주식회사 신흥산전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KR100827751B1 (ko) * 2008-02-05 2008-05-07 (주)성지이앤씨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48B1 (ko) 2022-01-28 2022-06-13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배전용 변압기가 설치된 전주 고정형 애자 설치 완철 장치
KR102406749B1 (ko) 2022-01-28 2022-06-13 주식회사 에스씨전력기술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완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044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2385170B1 (ko)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1856671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1440275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199518B1 (ko) 가공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20240113730A (ko) 기중 종단 접속재에 체결되는 휴대형 기중 종단 접속함 작업용 지지장치
KR101127178B1 (ko)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배전선로의 랙크밴드
CN108565748B (zh) 一种用于更换跌落式熔断器的绝缘抱杆装置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117531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41316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CN112459596A (zh) 一种易检修的输配电同塔架设杆塔
CN203722126U (zh) 高压线路驱鸟器安装工具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CN203014224U (zh) 110kV电流互感器检修平台
KR101306208B1 (ko) 송전철탑 인상 장치
KR101321810B1 (ko) 배전 선로의 현수 애자 안착대
CN221042161U (zh) 一种用于架空线路的轮式线夹及包含其的绝缘横担
CN217999139U (zh) 平台装置及具有其的铁塔设备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