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335A - 현수애자연결구 - Google Patents

현수애자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335A
KR20170090335A KR1020160037353A KR20160037353A KR20170090335A KR 20170090335 A KR20170090335 A KR 20170090335A KR 1020160037353 A KR1020160037353 A KR 1020160037353A KR 20160037353 A KR20160037353 A KR 20160037353A KR 20170090335 A KR20170090335 A KR 20170090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uspension insulator
power load
suspension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
Priority to KR102016003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335A/ko
Publication of KR2017009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배전선로의 내장개소에서 무정전 공사를 위하여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완철 상에서 임시로 구성하는 절연암 상으로 이동할 경우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동시에 절연암과 연결할 수 없어 일정부분 선로의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주고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절연암 상으로 이동한 후에도 불평형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준다.
또한 전주가 원추형의 구조로 위치에 따라서 현수애자를 연결하는 거리가 변하고, 전선의 길이가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여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전선에서 대단히 높은 장력이 발생하여 현수애자의 이동 결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연결볼트를 돌려서 연결 거리 조절하여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직접 연결하면 선로의 장력이 평형을 이루어 절연암에 장력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고, 선로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현수애자를 이동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현수애자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현수애자연결구{Suspension Insultor Connector}
무정전 배전공사에서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 배전공사에서 현수애자를 절연암에 연결하기 위하여 쇄클을 사용한다. 상기 쇄클은 일 측을 절연암과 결합하고 타 측을 현수애자와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전선에서 발생하는 높은 장력을 부담한다.
그리고 배전선로의 내장개소에서 무정전 공사를 위하여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완철 상에서 임시로 구성하는 절연암 상으로 이동할 경우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동시에 절연암과 연결할 수 없어 일정부분 선로의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주고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절연암 상으로 이동한 후에도 불평형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준다.
또한 전주가 원추형의 구조로 상하 위치에 따라서 현수애자를 연결하는 거리가 변하고, 전선의 길이가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여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전선에서 대단히 높은 장력이 발생하여 현수애자를 이동하여 결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현수애자를 지지물 상에 연결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배전선로에서 현수애자를 절연암 상에 연결하는 기구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바,
한국 등록특허 20-0201394(2000.08.21) 외 다수가 선행하여 등록되어 있으나, 이 기술들의 장치들은 모두 현수애자와 절연암 간의 연결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선로의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주어 현수애자를 이동하여 결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20-0201394(2000.08.21) 한국 등록특허 20-0301775(2003.01.08) 한국 등록특허 20-0336925(2003.12.12) 한국 등록특허 30-0390604(2005.08.23)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정전 배전공사에서 현수애자와 절연암 간에 연결거리를 조절하여 선로의 장력을 완화하고 전원부하측 현수애자를 직접 연결하여 선로의 장력이 절연암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기능하는 현수애자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정전 배전공사용 현수애자연결구는 고정기구와 결합하여 절연암 상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결합봉(11)의 일측과 각각 결합하는 로프(10)와;
일측이 상기 로프(10)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결합하고, 타 측에 너트의 기능을 구비하여 연결볼트(12)와 결합하는 결합봉(11)과;
일측이 상기 결합봉(11)의 너트와 결합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결합하는 연결볼트(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무정전 배전공사에서 현수애자연결구의 연결볼트를 돌려서 연결 거리 조절하여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직접 연결하면 선로의 장력이 평형을 이루어 절연암에 장력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고, 선로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현수애자를 이동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기구와 결합하여 절연암 상에 고정되고, 일측 및 타측이 결합봉(11)의 일측과 각각 결합하되, 선로가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를 이루는 경우 자연스럽게 선로의 방향과 일치되는 로프(10)와;
원통형 봉이되, 일측이 상기 로프(10)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결합하고, 타측에 너트의 기능을 구비하여 연결볼트(12)와 결합하는 결합봉(11)과;
볼트의 기능을 지니되, 일측이 상기 결합봉(11)의 일측에 구비된 너트와 결합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결합하되, 회전하여 현수애자와의 연결거리를 조절하므로서 선로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기능하는 연결볼트(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의 설치를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절연암(1) 상에 고정기구(2)를 고정하고 고정기구(2)의 상부에 있는 홈에 현수애자연결구(4)의 로프(10)를 삽입하고 덮게를 덮고 체결하여 탈락을 방지한다.
이때, 현수애자연결구(4)의 양 단과 전원부하측 현수애자(3)를 각각 연결하면 전원부하측 전선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장력 또는 완철로부터 현수애자연결구(4)의 양 단으로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3)를 이동할 경우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발생하는 불평형 장력에 따라 현수애자연결구(4)가 장력이 큰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고정기구(2)의 덮게를 유격이 있게 체결한다.
다음은 전원부하측 현수애자(3)를 완철로부터 현수애자연결구(4) 양의 고리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현수애자연결구(4)의 양 단과 기 설치된 전원부하측 현수애자(3)의 연결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현수애자연결구(4)의 연결볼트(12)를 돌려서 연결 거리를 조절한다.
2대의 활선용 장선기(도시생략)를 완철에 고정하고 각각 전원부하측의 전선에 연결하여 당기고 전원부하측 현수애자(3)를 완철에서 분리하여 현수애자연결구(4) 양 단의 고리와 결합하여 핀으로 체결한다.
이때,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3)를 모두 현수애자연결구(4) 양 단의 고리로 이동하여 연결한 후 차례로 장선기의 장력을 해제하면 현수애자연결구(4)가 전원부하측 현수애자(3)와 함께 선로의 장력이 큰 쪽으로 이동하며 평형을 이루어 선로의 장력이 절연암(1)에 가해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이미 가선 된 전선의 장력은 짧은 거리의 변화에도 크게 변하는 특성이 있어 상기 현수애자연결구(4)의 이동거리는 크지 않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애자연결구(4)를 이용하여 전원부하측의 현수애자를 직접 연결하면 선로의 장력이 평형을 이루어 절연암에 장력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고, 선로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현수애자를 이동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절연암 2 : 고정기구
3 : 현수애자 4 : 현수애자연결구
10 : 로프 11 : 결합봉
12 : 연결볼트

Claims (1)

  1. 고정기구와 결합하여 절연암 상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결합봉(11)의 일측과 각각 결합하는 로프(10)와;
    일측이 상기 로프(10)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결합하고, 타 측에 너트의 기능을 구비하여 연결볼트(12)와 결합하는 결합봉(11)과;
    일측이 상기 결합봉(11)의 너트와 결합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와 결합하는 연결볼트(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전공사용 현수애자연결구(4).
KR1020160037353A 2016-03-29 2016-03-29 현수애자연결구 KR20170090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53A KR20170090335A (ko) 2016-03-29 2016-03-29 현수애자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53A KR20170090335A (ko) 2016-03-29 2016-03-29 현수애자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35A true KR20170090335A (ko) 2017-08-07

Family

ID=5965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53A KR20170090335A (ko) 2016-03-29 2016-03-29 현수애자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3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90B1 (ko) * 2019-04-18 2019-07-23 우송건설주식회사 조류고장 예방용 케이블헤드 상부 지지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890B1 (ko) * 2019-04-18 2019-07-23 우송건설주식회사 조류고장 예방용 케이블헤드 상부 지지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7100T3 (es) Línea aére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eléctrica
CN105977890A (zh) 一种孔径可调的悬挂线夹
CN205578907U (zh) 一种固定电缆的夹具
US3002043A (en)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20160142227A (ko) 배전선로용 쇄클
JP2019527529A (ja) クロスアームおよびアングルタワーおよびそれらを含むテンションタワー
KR20170090335A (ko) 현수애자연결구
CN204333317U (zh) 绝缘验电接地环
CN106285029B (zh)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KR200184037Y1 (ko)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102266058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JP6565582B2 (ja) 引込線の途中支持工法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US3139482A (en) Cable spreader
CN107370078B (zh) 超、特高压架空输电线路l型悬垂串带电作业导线侧卡具
CN205861973U (zh) 墙用的绝缘引下线夹
JP2013116027A (ja)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KR100939937B1 (ko) 전력케이블의 접지선 취부구조
KR200460855Y1 (ko) 폴리머 현수애자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CN205487896U (zh) 新型户外隔离刀闸
CN104377598A (zh) 输电线路双挂绝缘子联板扶正装置
CN104300489A (zh) 电缆夹子套管
CN213905780U (zh) 一种智能高压电缆终端的联锁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