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227A - 배전선로용 쇄클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227A
KR20160142227A KR1020160052601A KR20160052601A KR20160142227A KR 20160142227 A KR20160142227 A KR 20160142227A KR 1020160052601 A KR1020160052601 A KR 1020160052601A KR 20160052601 A KR20160052601 A KR 20160052601A KR 20160142227 A KR20160142227 A KR 2016014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nut
a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
Publication of KR2016014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전선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짧은 거리의 변화에도 전선의 이도와 장력이 크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으며,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목측에 의한 이도 설정과 데드앤드크람프를 설치하는 위치의 미세한 변화 등에 따라 전선의 이도와 장력이 크게 변화한다.
그리고 특별한 경우 보통장주로 구성하는 3상 선로에서 일측의 1상과 타측의 2상의 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설비의 하중에 의한 수직하중과 전선의 장력으로 인한 수평하중의 불평형을 해소하거나 완화하기 위하여,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고 완철 상에서 쇄클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거리를 조절하여 완철과 현수애자를 연결할 수 있고, 완철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여 전선을 설치한 후에도 쉽게 연결 거리를 조절하여 높은 선로의 장력을 완화하거나 완철 상에서 하중의 불평형을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쇄클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쇄클{Shackle Used In The distribute lines}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현수애자를 완철에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에서 전선의 가선 형태에 따라 장주를 분류하면 인류장주, 내장장주, 직선장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인류 및 내장장주에서 쇄클을 사용하여 전선과 연결된 현수애자를 완철과 연결하여 선로를 구성한다.
전선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짧은 거리의 변화에도 이도와 장력이 크게 변하며, 전선을 설치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목측에 의한 이도 설정과 데드앤드 크람프를 설치하는 위치의 미세한 변화 등에 따라 전선의 이도와 장력에 영향이 있으며, 특히 겨울철 낮은 기온으로 전선의 길이가 수축하면 장력이 크게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보통장주에서 3상 선로를 구성할 시 전주를 기준으로 일측에 1상과 타측에 2상의 선로를 구성하게 되어 전기설비에 의한 수직하중과 전선의 장력에 의한 수평하중이 완철 상에서 불평형을 이룬다.
또한 인류장주에서 완철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주 상에서 완철을 상하로 이동시킬 시 불평형 하중으로 완철이 기울거나 회전하게 되어, 완철에 인가되는 불평형 하중을 해소하거나 완화하기 위하여 완철과 현수애자의 연결거리를 조절하므로써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완철 상에서 쇄클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하여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에 배전선로에서 현수애자 연결을 위한 쇄클에 관하여 조사한 바,
한국 등록실용 20-0336958(2003.12.12)외 다수의 선행하는 기술이 등록되어 있으나, 이들 쇄클은 모두 완철과 현수애자의 연결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고, 쇄클을 완철 상에 정해진 구멍에서만 설치가 가능하여 완철 상에서 하중의 불평형을 해소하거나 완화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 20-0336958(2003.12.12) 한국 등록특허 10-1127638(2012.03.09) 한국 등록실용 20-0201394(2000.08.2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리를 조절하여 완철과 현수애자를 연결할 수 있고, 완철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여 선로의 불평형 하중을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쇄클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쇄클을,
U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이 완철과 결합되고, 중앙의 절곡면에 홈을 형성하여 연결너트(2)와 결합하는 몸체(1)와;
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의 중앙 절곡면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을 관통하는 너트 홀을 구비하여 연결볼트(3)의 일측과 결합하는 연결너트(2)와;
볼트로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너트(2) 내측의 너트 홀과 결합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와 결합하는 연결볼트(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1)에 있어서,
사각형을 이루되, 일측이 체결장치로 구성되어 완철의 둘레 면에 결합되고, 타측 면의 상·하단에 결합용 고리를 구비하여 연결부(12)의 양 단에 구비된 홀과 결합하는 고정부(11)와;
V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에 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11)의 타측 면의 상·하단 고리와 결합되고, 중앙 절곡면에 홈을 구비하고 연결너트(2)를 수용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선로용 쇄클을 이용하여 현수애자와 완철을 연결하면, 배전선로에서 현수애자와 완철의 연결거리를 조절하여 장력을 완화할 수 있고, 완철과 현수애자를 연결하는 쇄클을 완철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여 불평형 하중을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의 쇄클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U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이 완철과 결합되고, 중앙의 절곡면에 홈을 형성하여 연결너트(2)와 결합하는 몸체(1)와;
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의 중앙 절곡면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을 관통하는 너트 홀이 연결볼트(3)의 일측과 결합되며, 선로의 상하 각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너트(2)와;
볼트로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너트(2)의 너트 홀과 결합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너트와 결합하여 연결거리를 조절하도록 기능하는 연결볼트(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에 있어서,
사각형을 이루되, 일측이 체결장치로 구성되어 완철의 둘레 면에 결합되고, 타측 면의 상·하단에 결합용 고리를 구비하여 결합부(12)의 양 단에 구비된 홀과 결합되며, 완철 상에서 임의의 지점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고정부(11)와;
V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에 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11)의 타측 면의 상·하단 고리와 결합되고, 중앙 절곡면에 홈을 구비하고 연결너트(2)를 수용하며, 양 단이 결합에 용이하도록 더 절곡되고 선로의 수평각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의 설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배전선로용 쇄클을 완철(5) 일 지점의 둘레면에 결합하여 체결장치(4-1)로 고정하고, 연결볼트(3)를 돌려서 연결 거리를 조절하여 일측의 고리와 현수애자(6)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와 결합하여 결합핀(7)으로 체결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쇄클를 이용하여 완철과 현수애자를 연결하면, 연결거리를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고 쇄클을 완철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여, 선로의 장력을 완화하거나 완철 상에서 하중의 불평형을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몸체(11+12) 2 : 연결너트
3 : 연결볼트 4 : 고정핀
4-1 : 체결장치
5 : 완철 6 : 현수애자
7 : 결합핀 11 : 고정부
12 : 연결부

Claims (2)

  1. U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이 완철과 결합되고, 중앙의 절곡면에 홈을 형성하여 연결너트(2)와 결합하는 몸체(1)와;
    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1)의 중앙 절곡면의 홈에 삽입되고, 내측을 관통하는 너트 홀을 구비하여 연결볼트(3)의 일측과 결합하는 연결너트(2)와;
    볼트로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너트(2) 내측의 너트 홀과 결합되고, 타측에 고리를 구비하여 현수애자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와 결합하는 연결볼트(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사각형을 이루되, 일측이 체결장치로 구성되어 완철의 둘레 면에 결합되고, 타측 면의 상·하단에 결합용 고리를 구비하여 연결부(12)의 양 단에 구비된 홀과 결합하는 고정부(11)와;
    V자형으로 절곡되되, 양 단에 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11)의 타측 면의 상·하단 고리와 결합되고, 중앙의 절곡면에 홈을 구비하고 연결너트(2)를 수용하는 연결부(1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쇄클.
KR1020160052601A 2015-06-02 2016-04-29 배전선로용 쇄클 KR20160142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7860 2015-06-02
KR1020150077860 2015-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27A true KR20160142227A (ko) 2016-12-12

Family

ID=5757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601A KR20160142227A (ko) 2015-06-02 2016-04-29 배전선로용 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22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74A (ko)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 교체형 샤클
KR102246309B1 (ko) * 2020-09-15 2021-04-29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을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246338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246311B1 (ko)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주에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20220158351A (ko) * 2021-05-24 2022-12-01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94Y1 (ko) 2000-03-29 2000-11-01 제룡산업주식회사 아이 쇄클
KR200336958Y1 (ko) 2003-10-07 2003-12-31 라파즈코리아 석고 주식회사 석고보드 조립체용 런너
KR101127638B1 (ko) 2010-08-19 2012-03-22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94Y1 (ko) 2000-03-29 2000-11-01 제룡산업주식회사 아이 쇄클
KR200336958Y1 (ko) 2003-10-07 2003-12-31 라파즈코리아 석고 주식회사 석고보드 조립체용 런너
KR101127638B1 (ko) 2010-08-19 2012-03-22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974A (ko)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 교체형 샤클
KR102246309B1 (ko) * 2020-09-15 2021-04-29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을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102246311B1 (ko)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전주에 안전한 고정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246338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20220158351A (ko) * 2021-05-24 2022-12-01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20230098544A (ko) * 2021-05-24 2023-07-04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20230098546A (ko) * 2021-05-24 2023-07-04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20230098543A (ko) * 2021-05-24 2023-07-04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20230098545A (ko) * 2021-05-24 2023-07-04 한국전력공사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227A (ko) 배전선로용 쇄클
CN203747356U (zh) 一种应用于电缆隧道的全方位转动支架
US2470814A (en) Electrical cable support or rack
KR10077542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043557B1 (ko)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US94789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wind induced vibration damage to electrical power line towers
KR101537085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EP3196998A1 (en) Process for live replacement of tension hard-tube bus-bar jumper insulator of +/- 800kv ultra-high-voltage dc transmission line
US20180342861A1 (en) Three-phase transmission line braced post assembly and circuit tower including the same
KR20210135954A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CA2701467C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arrangement
CN203632168U (zh) 一种集束导线悬吊线夹的改进结构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US9117574B2 (en) Adjustable double insulator cover for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266058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US3139482A (en) Cable spreader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CN103606849A (zh) 输电杆塔多分裂导线带电作业提升装置及其专用卡具
JP4425171B2 (ja) 光通信ケーブルの吊線の接地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US8046888B2 (en) Yok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