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543A -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543A
KR20230098543A KR1020230081825A KR20230081825A KR20230098543A KR 20230098543 A KR20230098543 A KR 20230098543A KR 1020230081825 A KR1020230081825 A KR 1020230081825A KR 20230081825 A KR20230081825 A KR 20230081825A KR 20230098543 A KR20230098543 A KR 2023009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hackle
suspension insulator
connecting body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933B1 (ko
Inventor
조호윤
신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8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은 현수애자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와, 완철의 4면 둘레를 감싸주는 완철연결몸체부 및 체결판부와, 완철의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일체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현수애자 교체 시 작업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작업 규모대비 공사비를 낮추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바이패스케이블 미사용으로 인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면서 교통제한 등의 대외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사용 개폐기 미사용으로 인한 계통절체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선로 미전환으로 인한 계통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SHACKLE FOR CHANGE OF ONE TOUCH TYPE SUS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애자를 완철에 교체 작업할 때 안전하고 신속 및 정확하게 연결 작업할 수 있는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에서 낙뢰나 오손 등 자연현상에 의해 애자가 손상을 받은 경우, 현수애자련의 절연강도 저하로 인한 섬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전을 시키지 않고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불량의 현수애자를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불량의 현수애자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간접활선용 장선기의 경우 활선에 90㎝ 이내까지 근접해서 불량의 현수애자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전기적으로 안전한 간접활선공법에 의해 작업함에도 불구하고 전기적 섬락사고를 유발하여 정전사고 및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안전성 문제 및 작업 규모를 충분히 고려하여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이 정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간접활선상태에서 현수애자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작업 규모대비 공사비를 낮추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9563호(2013.04.22.)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현수애자 교체 시 공사용 개폐기 및 전주단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작업 규모대비 공사비를 낮추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수애자와 완철을 연결하는 쇄클에 있어서, 상기 쇄클은, 볼아이에 의해 상기 현수애자의 결합부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 상기 애자연결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의 둘레에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완철연결몸체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천정에서 하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가 상기 완철에 삽입될 때 상기 완철의 봉삽입홀에 삽입되는 고정봉;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체결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쇄클은 상기 완철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봉을 사이에 두고 좌우 무게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봉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천장 중앙에서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 높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완철의 봉삽입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고, 상기 봉삽입홀은 상기 고정봉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애자연결몸체부의 중간 높이 중앙에는 상기 볼아이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볼아이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완철연결몸체부는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 일측단과 상기 체결판부의 일측단은 경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에 대해 타측단에는 상기 체결판부의 타측단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턱을 향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은 현수애자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와, 완철의 4면 둘레를 감싸주는 완철연결몸체부 및 체결판부와, 완철의 핀홀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일체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현수애자 교체 시 작업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작업 규모대비 공사비를 낮추면서 작업능률은 높일 수 있고, 바이패스케이블 미사용으로 인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면서 교통제한 등의 대외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사용 개폐기 미사용으로 인한 계통절체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선로 미전환으로 인한 계통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과 완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에 의해 현수애자와 완철이 연결되는 작업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과 완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에 의해 현수애자와 완철이 연결되는 작업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수애자(10)와 완철(20)을 연결하는 쇄클(30)은, 볼아이(40)에 의해 상기 현수애자(10)의 결합부(12)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31); 상기 애자연결몸체부(3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20)의 둘레에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완철연결몸체부(32);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천장에서 하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가 상기 완철(20)에 삽입될 때 상기 완철(20)의 봉삽입홀(22)에 삽입되는 고정봉(33);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체결판부(3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쇄클(30)은 상기 현수애자(10)의 교체 시 간접활선스틱(그랩스틱)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완철(20)에 삽입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봉(33)을 사이에 두고 좌우 무게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애자연결몸체부(31)의 중간 높이 중앙에는 상기 볼아이(40)의 일측단이 관통되어 걸려서 연결되도록 볼아이연결홀(31a)이 형성되고, 상기 볼아이연결홀(31a)은 상기 볼아이(40)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격되도록 여유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는 상기 완철(20)의 사각 단면적과 대응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가 개구된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에 대해 일측단과 상기 체결판부(35)의 일측단은 경첩부(34)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체결판부(35)는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완철(20)이 출입되도록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에 대해 타측단에는 상기 체결판부(35)의 타측단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걸림턱(32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a)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에 대해 외측면 끝단에 돌출된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봉(33)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천장에서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 높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봉(33)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천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봉(33)은 상기 완철(20)의 봉삽입홀(2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거나 상기 봉삽입홀(22)이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판부(35)의 타측단에는 상기 완철연결몸체부(32)의 상기 걸림턱(32a)을 향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걸림돌기(35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5a)는 상기 체결판부(35)의 끝단 내측면에 돌출된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쇄클(30)을 사용하여 현수애자(1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승주작업 전 지상에서 도 2와 같이 쇄클(30)의 애자연결몸체부(31)에 설치된 볼아이(40)와 교체할 현수애자(10)의 결합부(12)를 연결한 후, 상기 쇄클(30)측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가 개방되도록 체결판부(35)를 열어 준 다음, 도 3과 같이 승주하여 간접활선스틱(그랩스틱)에 의해 파지된 쇄클(30)을 들어 올린다.
그리고 파지된 쇄클(30)의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를 도 4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완철(20)의 상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완철연결몸체부(32)의 천장 중앙에 형성된 고정봉(33)을 완철(20)의 봉삽입홀(22)의 상부와 일치시킨 후, 쇄클(30)을 하강시키면 도 5와 같이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개구를 통해 완철(20)이 삽입되면서 고정봉(33)과 봉삽입홀(22)이 삽입된다.
이때, 완철(20)은 완철연결몸체부(3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서 완철(20)의 상면이 완철연결몸체부(32)의 천장과 맞닿은 상태이고, 고정봉(33)의 하부 끝단은 완철(20)의 하부에 형성된 봉삽입홀(22)까지 통과한 상태이기 때문에 쇄클(30)과 간접활선스틱(그랩스틱)의 파지 상태를 분리하더라도 쇄클(30)은 자체 무게 중심에 의해 완철(20)로부터 위치 이동 및 분리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간접활선스틱(그랩스틱)을 이용하여 열린 체결판부(35)를 밀어 올리면, 도 6과 같이 체결판부(35)는 경첩부(34)에 의해 여닫이식으로 회전되면서 체결판부(35)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5a)가 완철연결몸체부(32)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2a)을 타고 상승되다가 도 7와 같이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으로써 쇄클(30)의 완철연결몸체부(32)와 체결판부(35)에 의해 완철(20)의 4면 둘레가 감싸여지도록 연결된 상태이고, 쇄클(30)의 고정봉(33)이 완철(20)의 봉삽입홀(22)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철거시공 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쇄클(30)의 체결력이 해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쇄클(30)이 완철(20)의 정해진 체결 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은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30)은 현수애자(10)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31)와, 완철(20)의 4면 둘레를 감싸주는 완철연결몸체부(32) 및 체결판부(35)와, 완철(20)의 핀홀(22)에 삽입되는 고정봉(33)이 일체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현수애자(10) 교체 시 작업자의 안전확보는 물론 작업 규모대비 공사비를 낮추면서 작업능률은 높일 수 있고, 바이패스케이블 미사용으로 인한 공간 확보가 유리하면서 교통제한 등의 대외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사용 개폐기 미사용으로 인한 계통절체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선로 미전환으로 인한 계통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현수애자 12 : 결합부
20 : 완철 22 : 봉삽입홀
30 : 쇄클 31 : 애자연결몸체부
31a : 볼아이연결홀 32 : 완철연결몸체부
32a : 걸림턱 33 : 고정봉
34 : 경첩부 35 : 체결판부
35a : 걸림돌기 40 : 볼아이

Claims (1)

  1. 현수애자와 완철을 연결하는 쇄클에 있어서,
    상기 쇄클은,
    볼아이에 의해 상기 현수애자의 결합부와 연결되는 애자연결몸체부;
    상기 애자연결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철의 둘레에 삽입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완철연결몸체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천정에서 하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가 상기 완철에 삽입될 때 상기 완철의 봉삽입홀에 삽입되는 고정봉;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체결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쇄클은 상기 완철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봉을 사이에 두고 좌우 무게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봉은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천장 중앙에서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 높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완철의 봉삽입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지고,
    상기 완철연결몸체부의 하부 개구에 대해 타측단에는 상기 체결판부의 타측단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부의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턱을 향해 대응되게 체결 또는 분리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5A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62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825A KR102629933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00A KR102550020B1 (ko) 2021-05-24 2021-05-24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5A KR102629933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00A Division KR102550020B1 (ko) 2021-05-24 2021-05-24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43A true KR20230098543A (ko) 2023-07-04
KR102629933B1 KR102629933B1 (ko) 2024-01-30

Family

ID=8444084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00A KR102550020B1 (ko) 2021-05-24 2021-05-24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6A KR102624125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8A KR102633355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5A KR102629933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7A KR102626134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000A KR102550020B1 (ko) 2021-05-24 2021-05-24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6A KR102624125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0230081828A KR102633355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827A KR102626134B1 (ko) 2021-05-24 2023-06-26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500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06Y1 (ko) * 2008-09-24 2008-12-0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KR20090039398A (ko) * 2007-10-18 2009-04-2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20120017665A (ko) * 2010-08-19 2012-02-29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KR20130039563A (ko) 2011-10-12 2013-04-22 한국전력공사 현수애자용 쇄클
KR2016014222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9398A (ko) * 2007-10-18 2009-04-2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200442706Y1 (ko) * 2008-09-24 2008-12-05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KR20120017665A (ko) * 2010-08-19 2012-02-29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전주의 양방향 볼쇄클
KR20130039563A (ko) 2011-10-12 2013-04-22 한국전력공사 현수애자용 쇄클
KR2016014222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44A (ko) 2023-07-04
KR102626134B1 (ko) 2024-01-18
KR102633355B1 (ko) 2024-02-06
KR102550020B1 (ko) 2023-07-03
KR20230098546A (ko) 2023-07-04
KR102624125B1 (ko) 2024-01-12
KR20220158351A (ko) 2022-12-01
KR20230098545A (ko) 2023-07-04
KR102629933B1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31B1 (ko)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KR101345718B1 (ko)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0861795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2243941B1 (ko)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기초대
KR200491231Y1 (ko)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KR102550020B1 (ko) 원터치식 현수애자 교체용 쇄클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20160142227A (ko) 배전선로용 쇄클
KR102491958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243944B1 (ko)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218391B1 (ko) 전선체결 일체형 라인포스트 애자 장치
KR102074639B1 (ko) 피뢰기
KR101823663B1 (ko)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구조
CN103606849A (zh) 输电杆塔多分裂导线带电作业提升装置及其专用卡具
CN109731252A (zh) 一种用于变电站电力设备检修的固定式安全带悬挂装置
KR102110436B1 (ko) 선간 조절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CN205452910U (zh) 一种gw7型闸刀带电消缺专用工具
CN106285029A (zh)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KR102052310B1 (ko) 피뢰기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102559513B1 (ko)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2657609B1 (ko) 고정용 애자활용 가공배전선 설치기구
CN204441815U (zh) 电缆桥架用吊框及使用该吊框的桥架组件
CN215954934U (zh) 盘型悬式交直流瓷复合绝缘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