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513B1 -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513B1
KR102559513B1 KR1020210173140A KR20210173140A KR102559513B1 KR 102559513 B1 KR102559513 B1 KR 102559513B1 KR 1020210173140 A KR1020210173140 A KR 1020210173140A KR 20210173140 A KR20210173140 A KR 20210173140A KR 102559513 B1 KR102559513 B1 KR 10255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ester
circular
insulator
compression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947A (ko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5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고,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피뢰기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피뢰기가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한 설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SETTING STRUCTURE OF LIGHTNING ARRESTER FOR INDIRECT HOT-LINE WORK}
본 발명은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피뢰기를 설치할 수 있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개폐 장치는 피뢰기(LA)가 전원측 및 부하측의 각 상에 설치하여 써지(Surge)로부터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완철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완철은 겹장주(경완철)와 단일형 내장 완철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피뢰기 설치구조는 간접 활선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인 피뢰기 설치구조의 경우,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22.9 kV 전력선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 후,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완금에 피뢰기를 고정한다. 그다음, 피뢰기의 리드선 연결부 연결 작업, 특고압 리드선 연결 작업, 슬리브 커버 부착 작업 등을 활선상태에서 진행함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접촉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완금에 피뢰기를 고정하는 작업시 완금과 피뢰기 사이의 고정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볼트를 볼트구멍에 끼우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등의 정밀함이 요구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무심코 절연장갑을 벗고 조립 체결하거나 고압선 사이의 위험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조립 체결하는 작업을 하다가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정전 등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감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뢰기의 설치, 철거, 및 교체공사시 해당구간의 일부 또는 전체를 휴전하거나 정전한 후 작업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과도한 부대공사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피뢰기를 간접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설치, 철거, 및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피뢰기와 연결된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가 애자의 원형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피뢰기를 설치할 수 있고, 고정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하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뢰기가 낙뢰 등에 의해 파손되면 바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커넥터와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피뢰기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고,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피뢰기의 한쪽 원형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피뢰기가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애자의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먼저, 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압착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제1 압착부의 타측단에 연장부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좌우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형부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는 제2 압착부,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가 원형부를 장악하도록 연장부와 제2 압착부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연장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압착부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와, 몸통부가 체결홀에 체결될수록 연장부를 제2 압착부 측으로 지지하는 머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착부의 타측단과 제2 압착부의 상측단 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압착부는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원형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압착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각각 제1 압착부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 원형부의 하측의 양측을 덮는 제2 안착홈과 제3 안착홈을 구비하는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 제1 압착부, 제2 압착부, 및 제3 압착부가 원형부를 장악하도록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제2 압착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3 압착부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와, 몸통부가 체결홀에 체결될수록 제2 압착부를 제3 압착부 측으로 지지하는 머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의 상측단과 제1 압착부의 양측단 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가이드홈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압착부 또는 제3 압착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원형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3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압착부, 제1 압착부의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제1 안착홈과 마주보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연장부, 제1 안착홈과 마주보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되며 연장부의 일측면에 제1 안착홈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압착부, 가이드블록에 나사 체결되며 상측단이 제2 압착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2 압착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가이드블록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 몸통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머리부, 몸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의 일측면에 제2 압착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제2 압착부의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은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절연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는 피뢰기와 제2 연결금구 사이의 연결 부위, 피뢰기의 다수개의 날개 중 1단을 함께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연결구절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금구의 피뢰기와 연결되는 단부에 힌지연결부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연결부의 타단과 피뢰기의 전압유출부분의 단부 사이에 디스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뢰기와 연결된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가 애자의 원형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피뢰기를 설치할 수 있고, 설치구조 및 고정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하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리드선과 접지선의 설치가 불필요함에 따라 피뢰기의 설치구조가 보다 수월해지고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뢰기가 낙뢰 등에 의해 파손되면 바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커넥터와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피뢰기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피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에서 피뢰기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서 고정수단과 애자의 원형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는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20)과 전력선(30) 사이에 설치된 애자(50)에 피뢰기(60)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피뢰기(60)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피뢰기(60)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100)가 애자(50)의 한쪽 원형부(51)에 설치되고, 피뢰기(60)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200)가 애자(50)의 다른쪽 원형부(51)에 설치되어 피뢰기(60)가 애자(50)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제1 연결금구(100)와 제2 연결금구(200)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애자(50)의 원형부(51)에 설치되는 고정수단(300)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주(10)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20)과 전력선(30) 사이에 피뢰기(60)가 설치되며, 완금(20)과 전력선(30) 사이에 데드앤드클램프(40)와 애자(50)가 연결되고, 애자(50)가 피뢰기(60)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애자(50)는 몸체의 양단에 원형부(51)가 마련되고, 각각의 원형부(51) 중 한쪽 원형부(51)는 접지부이며 체결부가 마련되어 완금(20)에 핀과 다월핀(52)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원형부(51)는 활선부이며 체결부가 마련되어 데드앤드클램프(40)에 핀과 다월핀(52)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력선(30)과 연결되는 데드앤드클램프(40)가 애자(50)와 함께 완금(20)에 직렬로 연결되며, 피뢰기(60)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100)가 애자(50)의 한쪽 원형부(51)에 연결되고, 피뢰기(60)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200)가 애자(50)의 다른쪽 원형부(51)에 연결되어 피뢰기(60)가 애자(50)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금구(100)의 한쪽 단부가 피뢰기(60)의 한쪽 단부와 힌지연결부(63)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연결금구(100)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수단(300)을 통해 애자(50)의 한쪽 원형부(51)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애자(50)는 통상 현수애자로 지칭된다.
제2 연결금구(200)는 한쪽 단부가 피뢰기(60)의 다른쪽 단부에 끼워져서 너트(61)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고, 제2 연결금구(200)의 다른쪽 단부가 고정수단(300)을 통해 애자(50)의 다른쪽 원형부(5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피뢰기(60)의 전압유출부분에 디스커넥터(62)가 연결되고, 디스커넥터(62)의 출력부분의 이상전압은 완금(20)을 통해 지중으로 흐른다.
이처럼, 제1 연결금구(100)의 한쪽 단부와 피뢰기(60) 사이에는 힌지연결부(63)와 디스커넥터(62)가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연결부(63)의 한쪽 단부가 제1 연결금구(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연결부(63)의 다른쪽 단부가 피뢰기(60)의 전압유출부분의 단부와 디스커넥터(62)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디스커넥터(62)는 피뢰기(60)의 고장시 파손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63)의 다른쪽 단부와 피뢰기(60)의 전압유출부분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며, 힌지연결부(63)는 자체 하중으로 인해 한쪽 단부의 제1 연결금구(100)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다른쪽 단부가 제1 연결금구(10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처럼 피뢰기(60) 고장시 디스커넥터(62)가 파손되면서 힌지연결부(63)의 다른쪽 단부가 제1 연결금구(10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지상에서 피뢰기(60)의 파손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피뢰기(60)의 점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력선(30), 데드앤드클램프(40) 및 제2 연결금구(200)의 한쪽 단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클램프절연커버(미도시)가 데드앤드클램프(40)의 주위를 감싸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뢰기(60)와 제2 연결금구(200) 사이의 연결 부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연결구절연커버(210)가 피뢰기(60)와 제2 연결금구(200) 사이의 연결 부위를 감싸며 외물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연결구절연커버(210)는 피뢰기(60)의 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SHED) 중 중 1단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물접촉으로 인한 지락사고를 예방한다. 즉, 연결구절연커버(210)는 피뢰기(60)의 다수개의 날개 중 첫번째 날개를 완전히 덮도록 마련되어 피뢰기(60)의 도면상 우측 단부인 충전부분을 완전히 덮고 충전부분에서 이탈되거나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고정수단(300)은 제1 연결금구(100)와 제2 연결금구(200)의 애자(50)에 연결되는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애자(50)의 한쪽 원형부(51)와 다른쪽 원형부(51)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고, 아래에서는 고정수단(300)의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300)과 애자(50)의 원형부(51)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수단(300)은 제1 압착부(310)와 제2 압착부(320)로 구성되어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마련되며, 제1 압착부(310)가 제1 연결금구(100) 또는 제2 연결금구(20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압착부(320)가 간접활선 공구로 조작되는 고정부재(330)에 의해 제1 압착부(310)에 고정된다.
제1 압착부(310)는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51)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안착홈(311)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원형부(51)의 상측을 덮는 중공의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 안착홈(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압착부(310)는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312)를 구비한다.
제2 압착부(32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장부(3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제1 압착부(310)의 타측단에 연장부(312)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좌우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원형부(51)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 안착홈(321)을 구비한다.
이때, 제1 안착홈(311)은 제1 압착부(310)와 연장부(312)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원형부(51)의 도면상 좌측을 덮도록 마련되고, 제2 안착홈(321)은 데2 압착부에 원형부(51)의 나머지 부분인 도면상 우측을 덮도록 마련되어 원형부(51)를 장악한다.
이러한 제2 압착부(320)는 연장부(312)와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원형부(5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324)를 구비한다. 단, 삽입가이드부(324)는 연장부(312)의 제2 압착부(3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압착부(320)는 제1 압착부(310)의 타측단에 구속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도록, 가이드돌기(314) 또는 가이드홈(323)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14)는 제1 압착부(310)의 타측단과 제2 압착부(320)의 상측단 중 어느 한쪽에서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가이드돌기(314)는 단면이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홈(323)은 제1 압착부(310)의 타측단과 제2 압착부(320)의 상측단 중 반대쪽에 가이드돌기(314)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314)가 가이드홈(323)의 좌우방향 단부 중 어느 한쪽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314) 양측의 경사면이 가이드홈(323)의 안쪽 경사면에 지지되어 가이드홈(3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재(330)는 제1 압착부(310)와 제2 압착부(320)가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연장부(312)와 제2 압착부(320)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며, 몸통부(332)와 머리부(331)로 구성되는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330)의 몸통부(3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연장부(312)에 형성된 관통홀(313)을 통과하여 제2 압착부(320)에 형성된 체결홀(322)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30)의 머리부(331)는 몸통부(332)가 체결홀(322)에 체결될수록 연장부(312)를 제2 압착부(320) 측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머리부(331)는 몸통부(332)가 체결홀(322)에 나사 체결되기 전에는 연장부(312)와 이격되어 있다가 몸통부(332)가 체결홀(322)에 나사 체결되면 연장부(312)를 지지하며 조임 체결됨에 따라 연장부(312)와 제2 압착부(320) 사이를 밀착시킨다.
또한, 고정수단(300)은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절연커버(400)를 구비하며, 제1 압착부(310)와 연장부(312)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절연커버와, 제2 압착부(3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절연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고정수단(300)의 작동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고정수단(300)은 원형부(51)에 설치시 연장부(312)와 제2 압착부(32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원형부(51)에 안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수단(300)의 연장부(312)와 제2 압착부(320)의 삽입가이드부(324) 사이로 원형부(51)가 위치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수단(300)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원형부(51)는 삽입가이드부(324)에 가이드되며 연장부(312)와 제2 압착부(3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여 제1 안착홈(311)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부(51)가 제1 안착홈(311)에 위치되면 고정수단(300)이 하중에 의해 원형부(51)에 임시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압착부(320)를 제1 압착부(310)의 연장부(312)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가이드홈(323)과 가이드돌기(314)에 의해 제2 압착부(320)가 연장부(312) 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압착부(320)가 이동되어 연장부(312)에 밀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착부(320)를 연장부(312) 측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30)의 몸통부(332)를 제2 압착부(320)의 체결홀(322)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머리부(331)가 연장부(312)를 제2 압착부(320) 측으로 지지하며 몸통부(332)가 체결홀(322)에 조임 체결되어 제1 압착부(310)와 제2 압착부(320) 사이가 완전하게 밀착되며 원형부(51)를 장악하고 고정수단(300)이 원형부(51)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1300)과 원형부(51)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수단(1300)은 제1 압착부(1310), 제2 압착부(1320), 및 제3 압착부(1330)로 구성되어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마련되며, 제1 압착부(1310)가 제1 연결금구(100) 또는 제2 연결금구(20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가 간접활선 공구로 조작되는 고정부재(330)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1 압착부(1310)는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51)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1311)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원형부(51)의 상측을 덮는 중공의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반원통 형상의 제1 안착홈(1311)이 형성된다.
제2 압착부(132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제1 압착부(1310)의 일측단에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형부(51)의 하측 중 좌측 절반을 덮는 제2 안착홈(1321)을 구비한다.
제3 압착부(133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제1 압착부(1310)의 타측단에 제2 압착부(1320)와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형부(51)의 하측 중 좌측을 덮는 제3 안착홈(1331)을 구비한다.
이때, 도면상 제1 안착홈(1311)은 원형부(51)의 상측 절반을 덮도록 마련되고, 제2 안착홈(1321)과 제3 안착홈(1331)이 원형부(51)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마련되어 원형부(51)를 장악한다.
또한, 제2 압착부(1320) 또는 제3 압착부(133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원형부(5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1333)를 구비한다. 일예로, 도면에는 제3 압착부(1330)에 삽입가이드부(133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는 제1 압착부(1310)의 양측단에 구속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도록, 가이드돌기(1312) 또는 가이드홈(1323)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312)는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의 상측단과 제1 압착부(1310)의 양측단 중 어느 한쪽에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가이드돌기(1312)는 단면이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홈(1323)은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의 상측단과 제1 압착부(1310)의 양측단 중 반대쪽에 가이드돌기(1312)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1312)가 가이드홈(1323)의 좌우방향 단부 중 어느 한쪽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1312) 양측의 경사면이 가이드홈(1323)의 안쪽 경사면에 지지되어 가이드홈(13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재(1340)는 제1 압착부(1310), 제2 압착부(1320), 및 제3 압착부(1330)가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며, 몸통부(1342)와 머리부(1341)로 구성되는 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340)의 몸통부(13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압착부(1320)에 형성된 관통홀(1322)을 통과하며 제3 압착부(1330)에 형성된 체결홀(1332)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압착부(1320)에 체결홀(1332)이 형성되며 제3 압착부(1330)에 관통홀(1322)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머리부(1341)는 제3 압착부(1330)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340)의 머리부(1341)는 몸통부(1342)가 체결홀(1332)에 체결될수록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 사이를 밀착시킨다.
이러한 머리부(1341)는 몸통부(1342)가 체결홀(1332)에 나사 체결되기 전에는 제2 압착부(1320)와 이격되어 있다가 몸통부(1342)가 체결홀(1332)에 나사 체결되면 제2 압착부(1320)를 지지하며 조임 체결됨에 따라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 사이를 밀착시킨다.
또한, 고정수단(1300)은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절연커버(1400)를 구비하며, 제1 압착부(1310)의 외측을 감싸는 제1 절연커버와, 제2 압착부(13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절연커버와, 제3 압착부(133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3 절연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고정수단(1300)의 작동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고정수단(1300)은 원형부(51)에 설치시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원형부(51)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수단(1300)의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의 삽입가이드부(1333) 사이로 원형부(51)가 위치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300)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원형부(51)는 삽입가이드부(1333)에 가이드되며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여 제1 안착홈(1311)에 안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부(51)가 제1 안착홈(1311)에 위치되면 고정수단(1300)이 하중에 의해 원형부(51)에 임시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키며, 이때, 가이드홈(1323)과 가이드돌기(1312)에 의해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가 상호 이동되어 서로 밀착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착부(1320)와 제3 압착부(1330)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340)의 몸통부(1342)를 제3 압착부(1330)의 체결홀(1332)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머리부(1341)가 제2 압착부(1320)를 제3 압착부(1330) 측으로 지지하며 몸통부(1342)가 체결홀(1332)에 조임 체결되어 제1 안착홈(1311), 제2 안착홈(1321), 및 제3 안착홈(1331)이 원형부(51)를 장악하며 고정수단(1300)이 원형부(51)에 설치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3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2300)과 원형부(51)의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수단(2300)은 제1 압착부(2310)와 제2 압착부(2320)로 구성되어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마련되며, 제1 압착부(2310)가 제1 연결금구(100) 또는 제2 연결금구(20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압착부(2310)와 제2 압착부(2320)가 간접활선 공구로 조작되는 고정부재(2330)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1 압착부(2310)는 가운데 안쪽에 원형부(51)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2311)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원형부(51)의 상측을 덮도록 단면이 'U'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 안착홈(2311)이 형성되고, 후술할 제2 압착부(2320)의 일부가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1 압착부(2310)는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23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장부(2312)는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제1 안착홈(2311)과 마주보는 가이드블록(2313)을 구비한다.
제2 압착부(2320)는 원형부(51)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1 압착부(2310)와 함께 원형부(51)를 장악하고, 이 때 제1 압착부(2310)의 양단 사이로 삽입될 정도의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어 원형부(51)를 제1 안착홈(2311) 측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제2 압착부(2320)는 1 안착홈과 마주보는 상측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안착홈(232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압착부(2320)는 연장부(2312)의 일측면에 제1 안착홈(2311)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도면상 제1 안착홈(2311)은 원형부(51)의 상측 절반을 덮도록 마련되며 원형부(51)가 제1 안착홈(2311)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제2 안착홈(2321)이 원형부(51)의 나머지 절반을 덮도록 마련되어 원형부(51)를 안정적으로 장악한다.
그리고, 제1 압착부(2310)의 타측단은 원형부(51)가 지지되어 제1 안착홈(2311) 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지지면(231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지지면(2316)의 일부가 원형부(51)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수단(23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원형부(51)가 가이드지지면(2316)을 따라 제1 안착홈(2311) 측으로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압착부(2320)는 연장부(2312)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돌기(2315) 또는 가이드홈(2322)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315)는 연장부(2312)의 일측면에 제2 압착부(232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가이드돌기(2315)는 단면이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홈(2322)은 연장부(2312)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제2 압착부(2320)의 일측면에 가이드돌기(2315)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하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2315)가 가이드홈(2322)의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2315) 양측의 경사면이 가이드홈(2322)의 안쪽 경사면에 지지되어 가이드홈(23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재(2330)는 가이드블록(2313)에 나사 체결되며 상측단이 제2 압착부(2320)에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홈(2323)에 삽입되어 제2 압착부(2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2330)는 제1 압착부(2310)와 제2 압착부(2320)가 원형부(51)를 장악하도록 제2 압착부(2320)를 상측으로 지지하며 고정시키고, 몸통부(2332), 머리부(2331), 및 지지부(2333)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330)의 몸통부(23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마련되고, 가이드블록(2313)에 형성된 체결홀(2314)에 나사 체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고정부재(2330)가 가이드블록(2313)에 체결될수록 몸통부(2332)의 상단이 상측으로 이동하며 가이드블록(2313)의 체결홀(2314)에서 풀릴수록 몸통부(2332)의 상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부재(2330)의 머리부(2331)는 몸통부(2332)의 하단에 구비되며 간접활선용 공구가 파지할 수 있도록 각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몸통부(2332)의 상측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부재(2330)의 지지부(2333)는 몸통부(2332)의 상단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몸통부(2332)의 상단 외주면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 압착부(2320)에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홈(2323)에 삽입된다.
고정부재 삽입홈(2323)은 제2 압착부(2320)의 하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어 지지부(2333)가 삽입되며,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지부(2333)와 몸통부(2332) 사이의 단차면을 지지하는 지지턱(23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압착부(2320)는 고정부재 삽입홈(2323)과 지지부(2333) 사이에 틈새를 구비하여 고정부재(2330)가 체결홀(2314)에 체결되거나 풀리면서 회전할 때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마련되고, 고정부재(23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돌기(231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또한, 제2 압착부(2320)는 고정부재(2330)가 체결홀(2314)에 체결됨에 따라 원형부(51)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고정부재(2330)가 체결홀(2314)에 조임 체결됨에 따라 원형부(51)를 제1 안착홈(2311)과 함께 장악하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2300)은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절연커버(2400)를 구비하며, 절연커버(2400)는 제1 압착부(23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고정수단(2300)의 작동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고정수단(2300)은 원형부(51)에 설치시 원형부(51)가 제1 안착홈(2311)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압착부(2310)와 제2 압착부(2320)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원형부(51)의 일측에 위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수단(2300)의 제1 압착부(2310)에 형성된 가이드지지면(2316)에 원형부(51)가 위치되거나, 제1 압착부(2310)의 타측단과 제2 압착부(2320) 사이로 원형부(51)가 위치되도록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수단(2300)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원형부(51)는 가이드지지면(2316)에 가이드되며 제1 안착홈(2311)으로 이동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부(51)가 제1 안착홈(2311)에 위치되면 고정수단(2300)이 하중에 의해 원형부(51)에 임시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2330)를 나사 체결하며 제2 압착부(23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압착부(2320)는 가이드홈(2322)과 가이드돌기(231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제2 압착부(232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안착홈(2311)과 제2 안착홈(2321) 사이에 원형부(51)가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330)를 좀더 조이게 되면 도 11과 같이 제1 안착홈(2311)과 제2 안착홈(2321)이 원형부(51)를 장악하며 고정수단(2300)이 원형부(51)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연결금구(100)와 제2 연결금구(200)는 피뢰기(6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연결금구(100)의 고정수단(300, 1300, 2300)과 제2 연결금구(200)의 고정수단(300, 1300, 2300)을 각각 애자(50)의 양단에 동시 체결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300, 1300, 2300)의 애자(50)와의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한 설치가 편리하고 작업 난이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뢰기와 연결된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가 애자의 원형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됨에 따라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피뢰기를 설치할 수 있고, 고정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하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리드선과 접지선의 설치가 불필요함에 따라 피뢰기의 설치구조가 보다 수월해지고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뢰기가 낙뢰 등에 의해 파손되면 바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커넥터와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피뢰기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애자 51: 원형부
60: 피뢰기 61: 너트
62: 디스커넥터 63: 힌지연결부
100: 제1 연결금구 200: 제2 연결금구
300, 1300, 2300: 고정수단 310, 1310, 2310: 제1 압착부
311, 1311, 2311: 제1 안착홈 312, 2312: 연장부
313, 1322: 관통홀 314, 1312, 2315: 가이드돌기
320, 1320, 2320: 제2 압착부 321, 1321, 2321: 제2 안착홈
322, 1332, 2314: 체결홀 323, 1323, 2322: 가이드홈
324, 1333: 삽입가이드부 330, 1340, 2330: 고정부재
1330: 제3 압착부 1331: 제3 안착홈
2313: 가이드블록 2316: 가이드지지면
2323: 고정부재 삽입홈 2324: 지지턱
2333: 지지부

Claims (15)

  1.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가 상기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금구의 상기 피뢰기와 연결되는 단부에 힌지연결부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피뢰기의 전압유출부분의 단부 사이에 디스커넥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2.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가 상기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상기 원형부의 일부분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압착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상기 제1 압착부의 타측단에 상기 연장부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좌우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원형부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가 상기 원형부를 장악하도록 상기 연장부와 제2 압착부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압착부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될수록 상기 연장부를 상기 제2 압착부 측으로 지지하는 머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압착부의 타측단과 상기 제2 압착부의 상측단 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6.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가 상기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상기 원형부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압착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이 각각 상기 제1 압착부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 상기 원형부의 하측의 양측을 덮는 제2 안착홈과 제3 안착홈을 구비하는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 및
    상기 제1 압착부, 제2 압착부, 및 제3 압착부가 상기 원형부를 장악하도록 상기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 사이를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압착부의 관통홀을 통과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3 압착부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가 상기 체결홀에 체결될수록 상기 제2 압착부를 상기 제3 압착부 측으로 지지하는 머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와 제3 압착부의 상측단과 상기 제1 압착부의 양측단 중 어느 한쪽에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좌우방향 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 또는 제3 압착부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0.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설치된 애자에 피뢰기가 간접활선용 공구를 통해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피뢰기를 통과하는 이상전압이 지중으로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애자의 양단에 원형부가 마련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의 한쪽 단부에 결합된 제1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한쪽 원형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뢰기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제2 연결금구가 상기 애자의 다른쪽 원형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가 상기 애자와 병렬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금구와 제2 연결금구는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원형부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가운데 안쪽에 상기 원형부의 상측을 덮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도록 양단이 벤딩된 곡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의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안착홈과 마주보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연장부;
    상기 제1 안착홈과 마주보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1 안착홈 측 또는 그 반대 측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가이드블록에 나사 체결되며 상측단이 상기 제2 압착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압착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체결홀에 나사 체결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머리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 외주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2 압착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압착부의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절연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와 제2 연결금구 사이의 연결 부위, 상기 피뢰기의 다수개의 날개 중 1단을 함께 감싸도록 마련되어 외부와 차단하는 연결구절연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15. 삭제
KR1020210173140A 2021-12-06 2021-12-06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2559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140A KR102559513B1 (ko) 2021-12-06 2021-12-06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140A KR102559513B1 (ko) 2021-12-06 2021-12-06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947A KR20230084947A (ko) 2023-06-13
KR102559513B1 true KR102559513B1 (ko) 2023-07-26

Family

ID=8676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140A KR102559513B1 (ko) 2021-12-06 2021-12-06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5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17B1 (ko)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97B1 (ko) * 2006-10-16 2008-05-20 전유철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0893753B1 (ko) * 2007-06-14 2009-04-17 전유철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1166307B1 (ko) * 2010-07-27 2012-07-18 전유철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20190041190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전력공사 일체형 피뢰기 결합애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17B1 (ko) 2013-07-24 2014-01-23 (주)콥스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947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6273B1 (en)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US7701688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lightning arrester for electric pole
KR101945144B1 (ko) 가공 선로용 애자 장치
KR101948550B1 (ko) 폴리머 배전용 피뢰기
KR101537085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KR10116630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US11025036B2 (en) Hot stick quick connect surge arrester assembly
KR102559513B1 (ko)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KR100907917B1 (ko) 컷아웃스위치의 교체장치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KR102397714B1 (ko) 볼트리스 단로기
KR101188633B1 (ko)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BR112016028379A2 (pt) sistema de transmissão elétrica e cabo para uma fonte de aterramento acoplada a um supressor
KR102250344B1 (ko)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한 피뢰기 체결용 브라켓
CN103474906A (zh) 上桩头引流线安置器
CN214203346U (zh) 一种可拆卸避雷器
KR20130039991A (ko) 케이블 고정장치
CN219067823U (zh) 一种跌落式避雷器防护罩及安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