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581B1 -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 Google Patents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581B1
KR101753581B1 KR1020170028697A KR20170028697A KR101753581B1 KR 101753581 B1 KR101753581 B1 KR 101753581B1 KR 1020170028697 A KR1020170028697 A KR 1020170028697A KR 20170028697 A KR20170028697 A KR 20170028697A KR 101753581 B1 KR101753581 B1 KR 10175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ulator
connection
socket
termin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광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광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광전력
Priority to KR102017002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는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변류기와, 계측기기 및 선로 보호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기기를 제어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자 베이스와, ⅱ)단자 베이스의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며, 일측 단부에 제1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제2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도체바들과, ⅲ)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체와, 제1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접속핀을 가지며 제1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1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제1 절연체를 통해 제1 접속핀이 제1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변류기와 연결된 제1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제1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1 터미널 블록과, ⅳ)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 절연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연체와, 제2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접속핀을 가지며 제2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2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제2 절연체를 통해 제2 접속핀이 제2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단위기기와 연결된 제2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제2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2 터미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TERMINAL UNIT OF POWER SYSTEM CONTROL CIRCUIT FOR TRANSFORMER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변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와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를 연결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이 걸리는 송배전 선로에는 그 선로의 고장이나 통전 상태 감시를 위한 변류기를 설치하고 있다. 변류기의 1차 전류의 정격 값은 수십 암페어에서 수천 암페어까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2차 전류의 정격 값은 대부분이 5 암페어이다.
이러한 변류기는 성층 철심에 권선수가 적은 1차 코일과 권선수가 많은 2차 코일을 감아서 구성된다. 변류기의 2차 코일에는 그 변류기가 측정용 변류기(metering CT)인 경우에 전력계 및 전류계 등과 같은 계측기기(meter)가 연결된다. 그리고 변류기가 선로보호용 변류기(protection CT)인 경우 2차 코일에는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선로 보호기기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계측기기와 선로 보호기기들은 단자대(당 업계에서는 통상 "CT 단자대"라고 한다)를 거쳐 변류기와 연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에서 단자대는 단자 받침대, 다수의 도체바들 및 도전성 공통 연결바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단자 받침대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자 받침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도체바들과 도전성 공통 연결바가 설치된다.
도체바들의 1차 측은 전력계통과 연결된 변류기와 제어 케이블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2차 측은 변류기가 측정용 변류기인 경우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계 또는 전류계와 같은 계측기기에 연결되거나 그 변류기가 선로보호용 변류기인 경우 보호 계전기와 같은 선로 보호기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통 연결바는 도체바들 위를 가로지르면서 배치되며, 나사들의 조립에 의해 도체바들을 공통 연결(common connection)한다.
여기서, 도체바들의 1차 및 2차 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 케이블은 볼트를 통해 그 도체바들의 1차 및 2차 측에 각각 결선되며, 도전성 공통 연결바 또한 볼트들을 통해 도체바들과 연결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를 위해서는 볼트들을 풀어 제어 케이블을 도체바들로부터 분리하고, 볼트들을 조여 공통 연결바를 도체바들에 공통 연결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완료 후, 볼트들을 조여 제어 케이블을 도체바들에 결선하고, 볼트들을 풀어 공통 연결바의 공통 연결을 해제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 케이블의 재결선 시,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착각으로 제어 케이블을 설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의 도체바들에 오 결선 하게 되면, 변류기 전류 비의 변경으로 선로 보호기기의 오 부동작을 초래하여 정전 파급이 발생할 수 있고, 계측기기의 전류 측정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볼트를 풀거나 체결하면서 제어 케이블의 분리 및 재 결선을 반복하고, 공통 연결바의 공통 연결 및 해제를 반복함에 따라, 볼트 및 그 볼트 체결 부위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 시, 제어 케이블의 오 결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는,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변류기와, 계측기기 및 선로 보호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기기를 제어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자 베이스와, ⅱ)상기 단자 베이스의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며, 일측 단부에 제1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제2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도체바들과, ⅲ)상기 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접속핀을 가지며 제1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1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절연체를 통해 상기 제1 접속핀이 상기 제1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변류기와 연결된 제1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1 터미널 블록과, ⅳ)상기 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절연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접속핀을 가지며 제2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2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절연체를 통해 상기 제2 접속핀이 상기 제2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단위기기와 연결된 제2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상기 제2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2 터미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는, ⅴ)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 사이에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체바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공통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은 상기 도체바들의 제1 및 제2 접속 소켓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을 통해 상기 단자 베이스에 대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양단 지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양단 지지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의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단 지지돌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소켓에 접속된 상태로, 체결 볼트를 통해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양 단부에 구비된 결합 홀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에 구비된 체결 홈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 식으로 체결되는 접속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수나사 산을 외주 면에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몸체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속 몸체부의 수나사 산과 체결되는 암나사 산을 내주 면에 형성하고 있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의 하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도체바들의 중앙부에는 제3 접속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공통 연결바는 상기 제3 접속 소켓에 암수 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공통 연결바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3 접속 소켓과 이격되도록 판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단자 베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공통 연결바의 양 단부와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제3 접속 소켓에 대한 상기 결합핀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상기 공통 연결바에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중앙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절곡 탄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어 케이블을 단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어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 블록을 단자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고 그 터미널 블록을 단자 베이스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착각으로 인한 제어 케이블의 오 결선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를 풀거나 체결하면서 제어 케이블의 분리 및 재 결선을 반복하고, 공통 연결바의 공통 연결 및 해제를 반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볼트 및 그 볼트 체결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제1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제2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공통 연결바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는 일 예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 및 제어, 보호를 위해서 설치되는 변전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낮추는 역할을 하는 변압기 및 대전류를 소전류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등의 변성기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송.배전 선로 및 기타 전력계통의 구성요소를 감시하는 선로 보호기기 또는 계측기기 등의 단위 기기와 조합을 이루며, 설정된 전류 비를 출력하는 변류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류기는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선로 보호기기와 연결되는 선로보호용 변류기, 전력계 및 전류계 등과 같은 계측기기와 연결되는 측정용 변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변류기와 연결되는 선로 보호기기 또는 계측기기를 편의 상 단위기기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는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변류기(3: 도 3)와 단위기기(4: 도 3)들을 제어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변류기(3)와 연결되는 제어 케이블을 제1 제어 케이블(1)이라고 하며, 단위기기(4)와 연결되는 제어 케이블을 제2 제어 케이블(2)이라고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변류기(3)와 단위기기(4)들을 단자 별로 연결하는데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전력계통 제어회로에 채용되는 단자구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는 변류기(3)의 점검/시험,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 후, 제어 케이블(1, 2)의 오 결선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는 기본적으로, 단자 베이스(10), 도체바(30)들, 제1 터미널 블록(50), 제2 터미널 블록(70) 그리고 도전성 공통 연결바(9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 베이스(10)는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단자 받침대로 구비되며, 예를 들면 미 도시된 단자 박스에 볼트를 통하여 나사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 베이스(10)는 설정된 폭, 두께 및 길이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며,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 베이스(10)에는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각각의 구성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플레이트,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각종 부속 요소들은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단자 베이스(10)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각종 부속 요소들을 단자 베이스(10)로 통칭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자 베이스(1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 형태로 구비되는데, 양단에는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지지돌기(10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돌기(10a)는 미 도시된 단자 박스에 볼트를 통하여 나사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체바(30)들은 변류기(3)의 제1 제어 케이블(1)과 단위기기(4)의 제2 제어 케이블(2)을 연결하는 터미널 바로 구비된다. 상기 도체바(30)들의 일측 단부(당 업계에서는 통상 1차 측이라고도 한다)는 전력계통에 연결된 변류기(3)의 출력 측과 제1 제어 케이블(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체바(30)들의 다른 일측 단부(당 업계에서는 통상 2차 측이라고도 한다)는 단위기기(4)와 제2 제어 케이블(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체바(30)들은 단자 베이스(10)의 상면에 그 단자 베이스(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단자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도체바(30)들은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그 단자 베이스(10)의 상면에 한 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체바(30)들은 단자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단자 베이스(10) 상면의 요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억지 끼움 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돌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도체바(30)에서 일측 단부의 상면에는 제1 접속 소켓(31)이 돌출되게 마련되고, 다른 일측 단부의 상면에는 제2 접속 소켓(32)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도체바(30)의 상면에서 제1 및 제2 접속 소켓(31, 32) 사이의 중앙부에는 제3 접속 소켓(33)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2,3 접속 소켓(31, 32, 33)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체바(30)의 상면에 용접 식으로 접합될 수 있고, 그 상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 접속 소켓(31, 32, 33)은 상관 접속 부품이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소켓 홈을 형성하고, 상관 접속 부품에 의해 벌어지며 그 상관 접속 부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접속 소켓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제1 제어 케이블(1)을 통해 변류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고, 제1 접속 소켓(31)과의 접속이 해제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제1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제1 절연체(51)와 제1 접속부재(6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체(51)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자 베이스(10)와 별개로 그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도체바(3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단자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설정된 폭, 두께 및 길이를 가진 절연 블록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절연체(51)는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에서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암수 식으로 접속(결합)되는 것으로, 제1 접속부재(61)에는 제1 터미널 볼트(TB1)를 통하여 제1 제어 케이블(1)이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대응하여 제1 절연체(5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은 제1 절연체(51)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접속부재(61)는 제1 접속 몸체부(63)와 제1 접속핀(6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접속 몸체부(63)는 제1 절연체(51)에 나사 식으로 체결되는 제1 수나사 산(67)을 외주 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몸체부(6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터미널 볼트(TB1)가 체결되는 제1 너트 홈(6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제1 너트 홈(69)이라 함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홈으로서, 그 홈의 내주 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 케이블(1)은 제1 터미널 볼트(TB1)를 통해 제1 접속 몸체부(63)에 결선되는데, 그 결선 단부는 제1 터미널 볼트(TB1)가 결합하는 소선 터미널(1a)로 구비된다. 상기 소선 터미널(1a)은 납작하게 압착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볼트홀(1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트홀(1b)은 제1 터미널 볼트(TB1)를 결합하는데, 그 볼트홀(1b)에 결합된 제1 터미널 볼트(TB1)는 제1 접속 몸체부(63)의 제1 너트 홈(69)에 볼트 체결된다.
상기 제1 접속핀(65)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상관 접속 부품으로서, 제1 접속 몸체부(63)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핀(65)은 제1 접속 몸체부(63)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속핀(65)은 제1 접속 몸체부(63)를 나사 식으로 결합한 제1 절연체(51)에서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핀(65)은 제1 절연체(51)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암수 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 몸체부(63)는 제1 절연체(51)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1 절연체(51)에는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 몸체부(63)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5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부(53)는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 몸체부(63)를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한 제1 고정홀(5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고정홀(55)의 내주 면에는 제1 접속 몸체부(63)의 제1 수나사 산(67)과 상호 체결되는 제1 암나사 산(57)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접속 몸체부(63)가 제1 절연체(51)의 제1 고정홀(55)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됨에 따라, 제1 접속핀(65)은 도면을 기준할 때 제1 절연체(51)의 하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터미널 블록(50)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암수 식으로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핀(65)을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일측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제1 접속 소켓(31)에 대한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핀(65)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 가이드 되면서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핀(65)과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이 접속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 가이드 되면서 제1 접속 소켓(31)에 대한 제1 접속핀(65)의 접속이 해제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돌기(52)가 형성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는 제1 가이드 돌기(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가이드 홈(15)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절연체(51)는 제1 가이드 돌기(52)를 통해 제1 가이드 홈(1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과 상호 결합되거나 그 일측으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은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핀(65)이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접속된 상태로, 제1 체결 볼트(JB1)를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에 로킹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 볼트(JB1)는 제1 절연체(51)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1 결합 홀(59)에 결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1 체결 홈(11)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단자 베이스(10)로부터 제1 체결 볼트(JB1)를 풀고, 제1 접속 소켓(31)에 대한 제1 접속핀(65)의 접속을 해제하면, 제1 터미널 블록(50)은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미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 상면에는 제1 접속부재(61)들을 구분/구획하기 위한 격벽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제2 제어 케이블(2)을 통해 단위기기(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접속 소켓(32)과의 접속이 해제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제2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제2 절연체(71)와 제2 접속부재(81)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연체(71)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자 베이스(10)와 별개로 그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도체바(3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단자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설정된 폭, 두께 및 길이를 가진 절연 블록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절연체(71)는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에서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절연체(71)는 제1 절연체(51)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암수 식으로 접속(결합)되는 것으로, 제2 접속부재(81)에는 제2 터미널 볼트(TB2)를 통하여 제2 제어 케이블(2)이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대응하여 제2 절연체(7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은 제2 절연체(71)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접속부재(81)는 제2 접속 몸체부(83)와 제2 접속핀(8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접속 몸체부(83)는 제2 절연체(71)에 나사 식으로 체결되는 제2 수나사 산(87)을 외주 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속 몸체부(8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터미널 볼트(TB2)가 체결되는 제2 너트 홈(8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제2 너트 홈(89)이라 함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홈으로서, 그 홈의 내주 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 케이블(2)은 제2 터미널 볼트(TB2)를 통해 제2 접속 몸체부(83)에 결선되는데, 그 결선 단부는 제2 터미널 볼트(TB2)가 결합하는 소선 터미널(2a)로 구비된다. 상기 소선 터미널(2a)은 납작하게 압착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앙에 볼트홀(2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트홀(2b)은 제2 터미널 볼트(TB2)를 결합하는데, 그 볼트홀(2b)에 결합된 제2 터미널 볼트(TB2)는 제2 접속 몸체부(83)의 제2 너트 홈(89)에 볼트 체결된다.
상기 제2 접속핀(85)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상관 접속 부품으로서, 제2 접속 몸체부(83)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속핀(85)은 제2 접속 몸체부(83)의 하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속핀(85)은 제2 접속 몸체부(83)를 나사 식으로 결합한 제2 절연체(71)에서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핀(85)은 제2 절연체(71)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암수 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 몸체부(83)는 제2 절연체(71)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2 절연체(71)에는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 몸체부(83)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7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고정부(73)는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 몸체부(83)를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한 제2 고정홀(7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고정홀(75)의 내주 면에는 제2 접속 몸체부(83)의 제2 수나사 산(87)과 상호 체결되는 제2 암나사 산(77)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접속 몸체부(83)가 제2 절연체(71)의 제2 고정홀(75)에 나사 식으로 고정되게 체결됨에 따라, 제2 접속핀(85)은 도면을 기준할 때 제2 절연체(71)의 하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2 터미널 블록(70)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암수 식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핀(85)을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제2 접속 소켓(32)에 대한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핀(85)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 가이드 되면서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핀(85)과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이 접속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 가이드 되면서 제2 접속 소켓(32)에 대한 제2 접속핀(85)의 접속이 해제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2 가이드 돌기(72)가 형성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에는 제2 가이드 돌기(7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가이드 홈(17)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2 절연체(71)는 제2 가이드 돌기(72)를 통해 제2 가이드 홈(17)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과 상호 결합되거나 그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은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핀(85)이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접속된 상태로, 제2 체결 볼트(JB2)를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에 로킹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 볼트(JB2)는 제2 절연체(71)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2 결합 홀(79)에 결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2 체결 홈(13)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단자 베이스(10)로부터 제2 체결 볼트(JB2)를 풀고, 제2 접속 소켓(32)에 대한 제2 접속핀(85)의 접속을 해제하면, 제2 터미널 블록(70)은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미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 상면에는 제2 접속부재(81)들을 구분/구획하기 위한 격벽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도전성 공통 연결바(90)는 변류기(3)에 연결된 단위기기(4)들의 점검, 유지보수를 위해서 또는 이런 단위기기(4)들의 고장 발생 시 기기 교체를 위해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변류기(3)의 2차 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변류기(3) 2차 측의 개방은 1차 전류가 변류기(3)의 모든 철심을 자화하는 작용을 하여 그 철심이 포화되며 발열을 유발하고, 그 발열에 의한 변류기(3)의 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공통 연결바(90)는 단위기기(4)들을 변류기(3)의 2차 측으로부터 연결을 해제하기 전에, 도체바(30)들의 3상 단자를 공통연결(common connection) 시켜주며 변류기(3)의 2차 측을 단락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변류기(3)의 2차 측 단자와 단위기기(4)들의 연결을 해제하더라도 변류기(3)는 공통 연결바(90)를 통하여 여전히 단락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에 의해 소손될 염려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통 연결바(90)는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 사이에서 도체바(3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도체바(30)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공통 연결바(90)는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통 연결바(9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 사이에서 이들 터미널 블록(50, 70)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적용되는 공통 연결바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공통 연결바(9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암수 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핀(91)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핀(91)들은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상관 접속 부품으로서, 공통 연결바(90)의 블록 형태 연결 몸체(93)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도면을 기준할 때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을 향해 연결 몸체(93)의 하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핀(91)들은 연결 몸체(93)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암수 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변류기(3)의 사선 상태에서 그 변류기(3)의 점검/시험,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하는 경우, 변류기(3)의 2차 측 단락이 불필요하므로,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을 통해 도체바(30)들을 공통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상 시 변류기(3)와 단위기기(4)들을 통전 상태로 연결한 경우에도 변류기(3)의 2차 측 단락이 불필요하므로,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을 통해 도체바(30)들을 공통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변류기(3)의 활선 상태에서 그 변류기(3)에 연결된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이 필요한 경우, 변류기(3)의 2차 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을 통하여 도체바(30)들을 공통 연결하며 변류기(3)의 2차 측을 단락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공통 연결바(90)는 단자 베이스(10)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바,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선택적으로 접속(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통 연결바(90)는 결합핀(91)들이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이격되도록 판 스프링(95)을 통하여 단자 베이스(10)와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판 스프링(95)은 공통 연결바(90)의 연결 몸체(93) 양 단부와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 몸체(93)의 양 단부 하면에서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를 향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띠 형상의 띠형 판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판 스프링(95)에서 이의 상단은 연결 몸체(93)의 양 단부 하면에 고정되며, 하단은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95)은 탄성 압축 및 이완(복원)이 가능하도록 대략 중앙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절곡 탄성부(9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판 스프링(95)에 절곡 탄성부(97)를 형성함에 따라, 공통 연결바(90)의 연결 몸체(9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절곡 탄성부(97)를 통해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을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연결바(90)의 연결 몸체(93)에 외력(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는 외력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을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결합(접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판 스프링(95)은 제3 접속 소켓(33)에 대한 결합핀(91)들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탄성 복원력)을 공통 연결바(90)의 연결 몸체(93)에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통 연결바(90)의 연결 몸체(93)에 외력을 가하여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를 탄성 압축시키며 결합핀(91)들을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결합한 경우, 그 결합핀(91)들은 제3 접속 소켓(3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 제3 접속 소켓(33)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평상 시, 변류기(3)와 단위기기(4)들을 통전 상태로 연결한 경우, 변류기(3)는 제1 제어 케이블(1)을 통해 제1 터미널 블록(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위기기(4)들은 제2 제어 케이블(2)을 통해 제2 터미널 블록(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다.
상기 변류기(3)와 제1 터미널 블록(50)의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류기(3)와 연결된 제1 제어 케이블(1)들의 소선 터미널(1a)은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접속부재(61)들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부재(61)의 제1 접속 몸체부(63)는 제1 절연체(51)의 제1 고정홀(55)에 나사 식으로 체결된 상태에 있으며, 제1 제어 케이블(1)의 소선 터미널(1a)은 제1 터미널 볼트(TB1)를 통하여 제1 접속 몸체부(63)에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1 터미널 볼트(TB1)는 소선 터미널(1a)의 볼트홀(1b)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접속 몸체부(63)의 제1 너트 홈(69)에 체결되며, 소선 터미널(1a)을 제1 접속 몸체부(63)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는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1 가이드 돌기(5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1 가이드 홈(15)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과 상호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의 제1 접속핀(65)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끼워지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는 제1 체결 볼트(JB1)를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에서 양 단부에 로킹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1 체결 볼트(JB1)는 제1 절연체(51) 양 단부의 제1 결합 홀(59)에 결합되며, 단자 베이스(10) 양 단부의 제1 체결 홈(11)에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단위기기(4)들과 제2 터미널 블록(70)의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위기기(4)와 연결된 제2 제어 케이블(2)들의 소선 터미널(2a)은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접속부재(81)들에 연결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부재(81)의 제2 접속 몸체부(83)는 제2 절연체(71)의 제2 고정홀(75)에 나사 식으로 체결된 상태에 있으며, 제2 제어 케이블(2)의 소선 터미널(2a)은 제2 터미널 볼트(TB2)를 통하여 제2 접속 몸체부(83)에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2 터미널 볼트(TB2)는 소선 터미널(2a)의 볼트홀(2b)에 끼워진 상태로, 제2 접속 몸체부(83)의 제2 너트 홈(89)에 체결되며, 소선 터미널(2a)을 제2 접속 몸체부(83)에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는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돌기(7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2 가이드 홈(17)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과 상호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의 제2 접속핀(85)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끼워지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는 제2 체결 볼트(JB2)를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에서 양 단부에 로킹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제2 체결 볼트(JB2)는 제2 절연체(71) 양 단부의 제2 결합 홀(79)에 결합되며, 단자 베이스(10) 양 단부의 제2 체결 홈(13)에 체결되어 있다.
다른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변류기(3)와 단위기기(4)들을 통전 상태로 연결한 경우, 공통 연결바(90)는 판 스프링(95)을 통해 단자 베이스(10)의 양 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연결바(9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그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은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상호 이격(접속 해제)된 상태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변류기(3)의 점검/시험,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변류기(3)를 사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통 연결바(90)를 그대로 두고,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와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을 로킹 결합(체결)하고 있는 제1 체결 볼트(JB1)를 푼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제어 케이블(1)의 소선 터미널(1a)이 제1 터미널 볼트(TB1)를 통해 제1 접속부재(61)들의 제1 접속 몸체부(63)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를 들어 올린다.
여기서, 상기 제1 절연체(51)는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1 가이드 돌기(5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1 가이드 홈(15)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으로부터 상호 분리된다. 이 때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의 제1 접속핀(65)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으로부터 분리되며, 제1 접속 소켓(31)과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와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을 로킹 결합(체결)하고 있는 제2 체결 볼트(JB2)를 푼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제어 케이블(2)의 소선 터미널(2a)이 제2 터미널 볼트(TB2)를 통해 제2 접속부재(81)들의 제2 접속 몸체부(83)에 고정되어 있는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를 들어 올린다.
여기서, 상기 제2 절연체(71)는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돌기(7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2 가이드 홈(17)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호 분리된다. 이 때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의 제2 접속핀(85)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으로부터 분리되며, 제2 접속 소켓(32)과의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제어 케이블(1, 2)을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을 단자 베이스(10) 및 도체바(30)들의 제1 및 제2 접속 소켓(31, 3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변류기(3)의 점검/시험,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류기(3)의 점검/시험,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50, 70)을 단자 베이스(10) 및 도체바(30)들의 제1 및 제2 접속 소켓(31, 32)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를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1 가이드 돌기(5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1 가이드 홈(15)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제1 접속부재(61)들의 제1 접속핀(65)은 도체바(30)들의 제1 접속 소켓(31)에 자연스럽게 접속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체결 볼트(JB1)를 제1 절연체(51) 양 단부의 제1 결합 홀(59)에 결합하고, 단자 베이스(10) 양 단부의 제1 체결 홈(11)에 체결하며, 제1 터미널 블록(50)의 제1 절연체(51)를 단자 베이스(10)의 일측에 로킹 결합한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를 단자 베이스(10)의 양단 지지돌기(10a)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돌기(72)를 통해 양단 지지돌기(10a)의 제2 가이드 홈(17)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에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제2 접속부재(81)들의 제2 접속핀(85)은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자연스럽게 접속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체결 볼트(JB2)를 제2 절연체(71) 양 단부의 제2 결합 홀(79)에 결합하고, 단자 베이스(10) 양 단부의 제2 체결 홈(13)에 체결하며, 제2 터미널 블록(70)의 제2 절연체(71)를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에 로킹 결합한다.
한편, 변류기(3)의 활선 상태에서 그 변류기(3)에 연결된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변류기(3)의 2차 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통 연결바(90)를 통하여 도체바(30)들을 공통 연결하며 변류기(3)의 2차 측을 단락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이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상호 이격(접속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공통 연결바(90)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공통 연결바(90)에 가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 압축되고,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은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결합(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통 연결바(90)를 통하여 도체바(30)들을 공통 연결하며 변류기(3)의 2차 측을 단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 스프링(95)은 제3 접속 소켓(33)에 대한 결합핀(91)들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탄성 복원력)을 공통 연결바(90)에 발휘하기 때문에, 그 결합핀(91)들은 제3 접속 소켓(3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 제3 접속 소켓(33)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터미널 블록(70)을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 및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기기(4)들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터미널 블록(70)을 단자 베이스(10)의 다른 일측 및 도체바(30)들의 제2 접속 소켓(32)에 결합한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통 연결바(90)를 들어올리며,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에 대한 결합핀(91)들의 접속을 해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통 연결바(90)의 결합핀(91)들이 판 스프링(95)의 절곡 탄성부(97)를 통해 도체바(30)들의 제3 접속 소켓(33)과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통 연결바(90)에 의한 도체바(30)들의 공통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100)에 의하면,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 작업 시, 제어 케이블(1, 2)을 각각의 단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어 케이블(1, 2)이 연결된 터미널 블록(50, 70)을 단자 베이스(10)로부터 분리하고 그 단자 베이스(1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 케이블(1, 2)이 연결된 터미널 블록(50, 70)을 단자 베이스(10)로부터 분리하고 그 터미널 블록(50, 70)을 단자 베이스(10)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실수 또는 착각으로 인한 제어 케이블(1, 2)의 오 결선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볼트를 풀거나 체결하면서 제어 케이블(1, 2)의 분리 및 재 결선을 반복하고, 공통 연결바(90)의 공통 연결 및 해제를 반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볼트 및 그 볼트 체결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변류기의 점검/시험, 계측기기 또는 선로 보호기기의 점검/유지보수 또는 기기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제1 제어 케이블 1a, 2a... 소선 터미널
1b, 2b... 볼트홀 2... 제2 제어 케이블
3... 변류기 4... 단위기기
10a... 지지돌기 10... 단자 베이스
11... 제1 체결 홈 13... 제2 체결 홈
15... 제1 가이드 홈 17... 제2 가이드 홈
30... 도체바 31... 제1 접속 소켓
32... 제2 접속 소켓 33... 제3 접속 소켓
50... 제1 터미널 블록 51... 제1 절연체
52... 제1 가이드 돌기 53... 제1 고정부
55... 제1 고정홀 57... 제1 암나사 산
59... 제1 결합 홀 61... 제1 접속부재
63... 제1 접속 몸체부 65... 제1 접속핀
67... 제1 수나사 산 69... 제1 너트 홈
70... 제2 터미널 블록 71... 제2 절연체
72... 제2 가이드 돌기
73... 제2 고정부 75... 제2 고정홀
77... 제2 암나사 산 79... 제2 결합 홀
81... 제2 접속부재 83... 제2 접속 몸체부
85... 제2 접속핀 87... 제2 수나사 산
89... 제2 너트 홈 90... 공통 연결바
91... 결합핀 93... 연결 몸체
95... 판 스프링 97... 절곡 탄성부
JB1... 제1 체결 볼트 JB2... 제2 체결 볼트
TB1... 제1 터미널 볼트 TB2... 제2 터미널 볼트

Claims (10)

  1.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변류기와, 계측기기 및 선로 보호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기기를 제어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자 베이스;
    상기 단자 베이스의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며, 일측 단부에 제1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제2 접속 소켓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도체바들;
    상기 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접속핀을 가지며 제1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1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절연체를 통해 상기 제1 접속핀이 상기 제1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변류기와 연결된 제1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1 터미널 블록;
    상기 단자 베이스와 별개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절연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접속 소켓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접속핀을 가지며 제2 절연체에 고정되는 제2 접속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절연체를 통해 상기 제2 접속핀이 상기 제2 접속 소켓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단위기기와 연결된 제2 제어 케이블이 터미널 볼트를 통해 상기 제2 접속부재들에 결선된 제2 터미널 블록; 및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 사이에서 상기 도체바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도체바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공통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바들의 중앙부에는 제3 접속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공통 연결바는 상기 제3 접속 소켓에 암수 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블록은,
    상기 도체바들의 제1 및 제2 접속 소켓에 암수 식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을 통해 상기 단자 베이스에 대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양단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양단 지지돌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의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단 지지돌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소켓에 접속된 상태로, 체결 볼트를 통해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양 단부에 구비된 결합 홀에 결합되며,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에 구비된 체결 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 식으로 체결되는 접속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수나사 산을 외주 면에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접속 몸체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속 몸체부의 수나사 산과 체결되는 암나사 산을 내주 면에 형성하고 있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핀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체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연결바는,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3 접속 소켓과 이격되도록 판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단자 베이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공통 연결바의 양 단부와 상기 단자 베이스의 양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3 접속 소켓에 대한 상기 결합핀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상기 공통 연결바에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중앙 부분에 라운드 형태의 절곡 탄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KR1020170028697A 2017-03-07 2017-03-07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KR10175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97A KR101753581B1 (ko) 2017-03-07 2017-03-07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697A KR101753581B1 (ko) 2017-03-07 2017-03-07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581B1 true KR101753581B1 (ko) 2017-07-05

Family

ID=5935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697A KR101753581B1 (ko) 2017-03-07 2017-03-07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9067A (zh) * 2022-03-11 2022-06-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一种消缺专用计量联络接线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0872A (ja) * 2013-06-27 2015-01-19 中国電力株式会社 端子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0872A (ja) * 2013-06-27 2015-01-19 中国電力株式会社 端子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9067A (zh) * 2022-03-11 2022-06-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一种消缺专用计量联络接线盒
CN114629067B (zh) * 2022-03-11 2024-03-2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一种消缺专用计量联络接线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68B1 (ko) 고전압용의 스크류 조립식 접속시스템
KR101756547B1 (ko) 전기 코넥터 메카니즘용 접지 링크
US8328569B2 (en) Adapter for coupling a deadbreak bushing to a deadbreak arrestor elbow
US7955102B2 (en) Locking system to keep movable contacts apart from fixed contacts of a short circuit
US4103123A (en) Grounding device
US3643209A (en) Meter and service connector for electric service reconversion systems
JP7290046B2 (ja) 整定試験装置
KR101344039B1 (ko) 송전 특고압 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US2764749A (en) Terminal block
US20090243586A1 (en) Apparatus for testing a protective meausring or metering device as a constituent part of a high or medium voltage installation, more specifically of a utility protective relay, of a generator protective device, of a current meter, and so on, in a high or medium voltage installation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US8169292B2 (en) High voltage fuse with universal fuse terminal
US9797952B2 (en) Safety test switch with actuation lever
US4952898A (en) Transformer secondary buss adapter apparatus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KR102563998B1 (ko)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이의 설치 및 철거 방법
BR112016028379A2 (pt) sistema de transmissão elétrica e cabo para uma fonte de aterramento acoplada a um supressor
KR102559513B1 (ko) 간접활선용 피뢰기 설치구조
CN215579307U (zh) 配电箱与发电机快速连接装置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US7057883B2 (en) Conducting element for shunting an electric power supply
CN210668763U (zh) 导线接头隔离组件及导线接头隔离装置
EP3389142B1 (de) Adapter für aggregateinspeis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