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31Y1 -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31Y1
KR200491231Y1 KR2020190003432U KR20190003432U KR200491231Y1 KR 200491231 Y1 KR200491231 Y1 KR 200491231Y1 KR 2020190003432 U KR2020190003432 U KR 2020190003432U KR 20190003432 U KR20190003432 U KR 20190003432U KR 200491231 Y1 KR200491231 Y1 KR 200491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upport frame
fixed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무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무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무기전
Priority to KR2020190003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2Mobile units, e.g. for work si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가 상부지지블록과 하부지지블록이 각각 설치된 변압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블록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고정형 이동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이동부재;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며 상기 변압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Switchgear for easy transformer movement}
본 고안은 수배전반의 내부로 고중량의 변압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옥내 혹은 옥외에 설치되어 발전소로부터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아 저압의 전력으로 변압하여 빌딩, 아파트, 공장, 학교 등과 같은 집단전력수요처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배전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설비공간이 마련되며 전면에 설비공간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개폐문이 구비된 보호함체의 내부에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아 저압의 전력을 변압하기 위한 각종 개폐기, 피뢰기, 계전기, 변류기, 변성기, 파워퓨즈, 변압기 등의 수배전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한편, 변압기는 수배전반에 포함된 수배전모듈 중에서 가장 중량이 무거운 수배전모듈로서 그 중량이 대략 1~10 톤에 이를 정도로 고중량이다.
이러한 이유로 수배전반에 대한 초기설비 작업을 위해 변압기를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수배전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수배전반의 외부로 인출할 때는 전문인력과 전문장비를 동원해야 한다.
즉, 고중량물을 전문적으로 운반하는 전문 인력을 동원해야 하고 리프트나 크레인 등의 고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전문장비를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고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소비해야 함에 따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배전반의 내부 바닥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변압기의 하부에 레일과 접하는 돌출단이 설치되어 돌출단과 레일을 이용하여 변압기가 수배전반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돌출단이 레일에 높이게 하기 위해서는 변압기를 소정높이로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므로 여전히 전문인력과 전문장비를 동원해야 하고 변압기를 수배전반의 내부로 이동시켜 설치한 이후에 변압기의 고중량에 돌출단과 레일이 견디지 못하여 변형되면서 불용 상태가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배전반의 내부 바닥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변압기의 하부에 레일과 접하는 휠과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휠과 레일을 이용하여 변압기가 수배전반의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하고 이동 완료 후 결합수단으로 변압기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변압기의 고중량을 결합수단만으로 지지함에 따라 변압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합수단이 변압기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단순 나사식으로 체결됨에 따라 체결구조가 부실하여 변압기의 고중량에 고정판과 결합수단이 쉽게 파손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하면서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최초설치시 변압기를 수배전반의 내부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변압기의 고중량을 변형이나 파손될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지보수시에도 변압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2461호, 2008.12.05.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684호, 2009.11.20.자 공고.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전문인력과 전문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변압기에 대한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고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은 함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가 상부지지블록과 하부지지블록이 각각 설치된 변압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블록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고정형 이동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이동부재;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며 상기 변압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하부 중간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상기 변압기를 리프팅시켜 상기 하중지지부재의 높이 조절을 위한 회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중심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지구; 상기 축지구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부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지되는 상부회전축; 상기 상부회전축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지구; 상기 축지구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부회전축; 상기 하부회전축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고정브레킷과 함께 고정구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기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하방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는 상기 상부회전축과 상기 축지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직판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홀; 상기 축지구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과 수평으로 연통되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고정홀; 일단에 상기 제1고정홀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환설된 관통봉이 형성되는 회전방지구; 및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환설되어 상기 회전방지구의 관통봉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이동부재가 양측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변압기를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후측에 구비된 이동부재는 좌우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하여 변압기를 이동시킨 후 변압기가 좌우로 틀어진 경우 쉽게 좌우로 회전시켜 틀어진 각도를 바로 잡을 수 있다.
또한 양측의 후측에 구비된 이동부재는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막는 회전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변압기를 이동시킬 때 전후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여 이동 중에 변압기의 방향이 좌우로 틀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높이 조절되는 하중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수배전반의 내부로 이동 완료된 변압기를 유동하지 않도록 이동부재가 바닥에서 이격되게 소정높이로 들어올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중지지부재의 하부에 방진패드가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변압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높이 조절되는 리프팅부재가 구비되어 변압기를 리프팅하여 하중지지부재로 변압기를 들어올려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의 변압기를 이동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고중량의 변압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은 전문장비와 전문인력을 동원하지 않고도 변압기를 편리하고 안전하며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변압기의 고중량을 견디는 내구성을 확보하여 변형이나 파손 없이 변압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은 함체(E), 변압기(T), 연결프레임(10), 제1지지프레임(20), 제2지지프레임(30), 고정형 이동부재(40), 회전형 이동부재(50), 하중지지부재(60) 및 리프팅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함체(E)는 상면과 하면과 양측면과 후면이 폐쇄되고 전면에 개방되며 전면에 개폐를 위한 개폐문이 설치되고 내부에 변압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변압기(T)는 함체(E)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지지블록(U)과 하부지지블록(B)이 좌우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지지블록(B)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프레임(10)은 하부지지블록(B)의 하부면에 밀착된 지지판(11)과, 지지판(11)을 하부지지블록(B)에 고정하는 고정구(12)와, 지지판(11)의 양단에 하방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판(13)과, 연장판(13)의 단부에 각각 좌측과 우측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측판(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10)은 지지판(11)이 고정구(12)에 의해 하부지지블록(U)에 고정되면서 변압기(T)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지지프레임(2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연결프레임(10)의 하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프레임(20)은 연결프레임(10)의 연결측판(14) 하부면에 밀착된 수평판(21)과, 수평판(21)을 연결측판(14)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구(22)와, 수평판(21)의 양단에 하방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판(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프레임(20)은 수평판(21)이 고정구(22)에 의해 연결측판(14)에 고정되면서 연결프레임(10)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지지프레임(3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제1지지프레임(20)의 전측과 후측 사이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지지프레임(30)은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0)을 좌측과 우측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연결한다.
이때 제2지지프레임(30)은 제1지지프레임(20)의 수평판(21)에 양단이 용접되는 이격판(31)과, 이격판(31)의 전단과 후단에 하방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단이 수직판(23)과 용접되는 지지판(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형 이동부재(40)는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 전측에 각각 설치되고 변압기(T)을 이동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형 이동부재(40)는 변압기(T)를 안전하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즉, 고정형 이동부재(40)는 좌우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형 이동부재(40)는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구(22)에 의해 고정된 고정브래킷(41)과, 고정브래킷(41)의 중심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축지구(42)와, 축지구(42)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43)과, 회전축(43)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바퀴(4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형 이동부재(40)는 변압기(T)를 전후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동바퀴(44)가 축지구(42)에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압기(T)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50)는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 전측에 각각 설치되고 변압기(T)의 이동시키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형 이동부재(50)는 변압기(T)를 안전하게 수평 이동시키면서 이동 후 틀어진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모두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형 이동부재(50)는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구(22)에 의해 고정된 고정브래킷(51)과, 고정브래킷(51)의 하부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지된 상부회전축(52)과, 상부회전축(5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축지구(53)와, 축지구(53)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회전축(54)과, 하부회전축(54)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바퀴(55)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형 이동부재(50)는 변압기(T)를 전후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동바퀴(55)가 축지구(53)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회전축(54)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압기(T)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형 이동부재(50)는 변압기(T)를 좌우방향으로 밀게 되면 축지구(53)가 고정브래킷(51)의 하부 중심에 설치된 상부회전축(52)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변압기(T)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T)를 함체(E)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함체(E)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변압기(T)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이동부재(40)와 회전형 이동부재(50)에 의해 변압기(T)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문장비와 전문인력을 동원하지 않고도 변압기(T)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T)를 함체(E)의 내부로 이동시켜 설치할 때 변압기(T)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진 경우 변압기(T)의 후방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밀게 되면 회전형 이동부재(50)에 의해 변압기(T)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변압기(T)의 틀어진 방향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바로 잡을 수 있다.
여기서 변압기(T)를 이동시킬 때 회전형 이동부재(50)의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형 이동부재(50)에는 상부회전축(52)과 축지구(53)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5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56)은 수직판(23)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홀(561)과, 축지구(53)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1고정홀(561)과 수평으로 연통되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고정홀(562)과, 일단에 제1고정홀(56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563a)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고정홀(561)과 제2고정홀(562)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환설되는 관통봉(563b)이 형성된 회전방지구(563)와, 내주면에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환설되어 회전방지구(563)의 관통봉(563b)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56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방지수단(56)은 회전방지구(563)가 제1고정홀(561)과 제2고정홀(562)을 따라 수직판(23)과 축지구(53)를 관통한 후 체결구(564)와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축지구(53)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축지구(53)를 수직판(23)에 고정한다.
따라서 변압기(T)를 이동시킬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수단(56)을 회전형 이동부재(50)에 설치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함으로써 변압기(T)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T)를 함체(E)의 내부로 이동 완료한 후 변압기(T)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수단(56)을 회전형 이동부재(50)에서 분리하면 회전형 이동부재(5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변압기(T)의 틀어진 방향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중지지부재(60)는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고정형 이동부재(40)와 회전형 이동부재(50)를 바닥과 이격시켜 변압기(T)의 고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하중지지부재(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T)의 이동을 완료한 후 변압기(T)가 함체(E)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변압기(T)를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를 들어올려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하중지지부재(60)는 수평판(21)에 상단이 상부로 노출되게 수직으로 관통 설치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환설된 지지봉(61)과, 지지봉(61)의 하단에 고정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발(62)과, 지지봉(61)의 상단에 수평판(21)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나사 체결되어 지지봉(61)의 상단을 수평판(21)에 고정하는 상부체결구(63)와 하부체결구(6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체결구(63)를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지지봉(61) 상에서 상승시킨 상태에서 하부체결구(64)를 지지봉(61) 상에서 상승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지지봉(61)과 지지발(62)이 하강하면서 변압기(T)를 들어올려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지지부재(60)는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변압기(T)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의 방진패드(65)가 지지발(6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단, 하중지지부재(60)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변압기(T)의 고중량을 떠받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형 이동부재(40)와 회전형 이동부재(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지지프레임(20)의 하부 전단과 후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프팅부재(70)는 제2지지프레임(30)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변압기(T)를 상방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다.
즉, 리프팅부재(70)는 변압기(T)의 이동 작업을 완료한 후 하중지지부재(60)를 이용하여 변압기(T)의 고정 작업을 수행할 때 상부체결구(63)와 하부체결구(64)를 편리하게 회전 조작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T)를 충분한 높이로 리프팅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리프팅부재(70)는 이격판(31)의 하부에 고정된 상부승강블록(71)과, 상부승강블록(71)의 하부 양측에 각각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하 중간에 연결링크(721)가 구비되어 연결링크(721)를 중심으로 상하로 절첩되는 한 쌍의 절첩구(72), 일측 절첩구(72)의 연결링크(72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타측 절첩구(72)의 연결링크(721)에 타단이 나사식으로 관통되게 연결되며 일단 단부에 회전고리(731)가 구비된 조절스크류(73)와, 상부 양측이 절첩구(71)의 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승강블록(74)과, 하부승강블록(74)의 하부에 설치된 방진패드(75)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고리(731)를 회전 조작하면 조절스크류(73)가 회전되고 조절스크류(7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첩구(72)가 펼쳐치면서 하부승강블록(74)이 바닥에 닿는 순간부터 상부승강블록(71)이 상승하여 변압기(T)를 상방으로 리프팅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팅부재(70)를 사용하여 변압기(T)를 고정형 이동부재(40)와 회전형 이동부재(50)가 바닥에 닿지 않는 높이로 리프팅함으로써 하중지지부재(60)를 이용한 변압기(T)의 고장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부재(70)는 하중지지부재(60)로 변압기(T)를 고정 지지할 때 변압기(T)의 고중량을 하중지지부재(60)와 함께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변압기(T)를 리프팅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연결프레임
11: 지지판
12: 고정구
13: 연장판
14: 연결측판
20: 제1지지프레임
21: 수평판
22: 고정구
23: 수직판
30: 제2지지프레임
31: 이격판
32: 지지판
40: 고정형 이동부재
41: 고정브래킷
42: 축지구
43: 회전축
44: 이동바퀴
50: 회전형 이동부재
51: 고정브래킷
52: 상부회전축
53: 축지구
54: 하부회전축
55: 이동바퀴
56: 회전방지수단
561: 제1고정홀
562: 제2고정홀
563: 회전방지구
563a: 머리부
563b: 관통봉
564: 체결구
60: 하중지지부재
61: 지지봉
62: 지지발
63: 상부체결구
64: 하부체결구
65: 방진패드
70: 리프팅부재
71: 상부승강블록
72: 절첩구
721: 연결링크
73: 조절스크류
731: 회전고리
74: 하부승강블록
75: 방진패드
100: 배전반 이동장치
E: 함체
T: 변압기
U: 상부지지블록
B: 하부지지블록

Claims (5)

  1. 함체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상부지지블록과 하부지지블록이 각각 설치된 변압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블록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고정형 이동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형 이동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며 상기 변압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하방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하부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축지되는 상부회전축과, 상기 상부회전축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지구와, 상기 축지구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부회전축과, 상기 하부회전축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상부회전축과 상기 축지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수직판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홀과, 상기 축지구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과 수평으로 연통되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고정홀과, 일단에 상기 제1고정홀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환설된 관통봉이 형성되는 회전방지구와,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환설되어 상기 회전방지구의 관통봉 단부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구로 구성되어,
    상기 변압기를 이동할 때는 상기 회전방지수단을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에 설치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하고, 상기 변압기를 상기 함체의 내부로 이동 완료 후 상기 변압기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틀어진 경우에는 상기 회전방지수단을 상기 회전형 이동부재에서 분리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하부 중간에 각각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상기 변압기를 리프팅시켜 상기 하중지지부재의 높이 조절을 위한 회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이동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중심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축지구;
    상기 축지구의 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3432U 2019-08-20 2019-08-20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KR200491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32U KR200491231Y1 (ko) 2019-08-20 2019-08-20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32U KR200491231Y1 (ko) 2019-08-20 2019-08-20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31Y1 true KR200491231Y1 (ko) 2020-03-06

Family

ID=6976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432U KR200491231Y1 (ko) 2019-08-20 2019-08-20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3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370B1 (ko) * 2020-09-24 2021-07-19 이성만 내진 검사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N113690764A (zh) * 2021-08-25 2021-11-23 上海首鑫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减震动力柜
KR102445406B1 (ko) * 2021-11-19 2022-09-21 유한회사 중앙기술공사 이동성이 개선된 배전반
CN117477395A (zh) * 2023-11-08 2024-01-30 新疆希望电子有限公司 一种微电网用具有缓冲机构的电力开关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41Y1 (ko) * 1987-11-30 1991-09-12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유도전기의 방진장치 및 차륜장치의 부착부구조
KR20030035295A (ko) * 2001-10-30 2003-05-09 신태홍 볼 스크류 작키
KR100872461B1 (ko) 2008-03-18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변압기의 설치가 용이한 배전반
KR100927684B1 (ko) 2009-05-21 2009-11-20 한국산전(주)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배전반
KR100966872B1 (ko) * 2008-01-22 2010-06-30 아이에스산전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수평조절장치
KR101220119B1 (ko) * 2012-08-24 2013-01-11 옥인호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1555164B1 (ko) * 2015-03-31 2015-09-30 주식회사 대연 배전반 설치 및 중전기 인출이 용이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41Y1 (ko) * 1987-11-30 1991-09-12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유도전기의 방진장치 및 차륜장치의 부착부구조
KR20030035295A (ko) * 2001-10-30 2003-05-09 신태홍 볼 스크류 작키
KR100966872B1 (ko) * 2008-01-22 2010-06-30 아이에스산전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수평조절장치
KR100872461B1 (ko) 2008-03-18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변압기의 설치가 용이한 배전반
KR100927684B1 (ko) 2009-05-21 2009-11-20 한국산전(주)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배전반
KR101220119B1 (ko) * 2012-08-24 2013-01-11 옥인호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1555164B1 (ko) * 2015-03-31 2015-09-30 주식회사 대연 배전반 설치 및 중전기 인출이 용이한 수배전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370B1 (ko) * 2020-09-24 2021-07-19 이성만 내진 검사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N113690764A (zh) * 2021-08-25 2021-11-23 上海首鑫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减震动力柜
CN113690764B (zh) * 2021-08-25 2024-04-05 上海首鑫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减震动力柜
KR102445406B1 (ko) * 2021-11-19 2022-09-21 유한회사 중앙기술공사 이동성이 개선된 배전반
CN117477395A (zh) * 2023-11-08 2024-01-30 新疆希望电子有限公司 一种微电网用具有缓冲机构的电力开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231Y1 (ko) 변압기 이동이 용이한 수배전반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831904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KR101529657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h-형강 수평레벨 조절지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방법
KR20070122001A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KR101941946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2319939B1 (ko) 자체적인 고정력을 갖는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0416894B (zh) 户外移动式交流应急配电装置
KR102152112B1 (ko) 내진기능이 구비된 전기 보호장치
CN106019150A (zh) 发电机试验夹紧装置
US3706839A (en) Transformer station carried by a mast
CN201981995U (zh) 一种单柱设备检修抱杆梯
KR101557722B1 (ko) 변전소 보호 배전반의 전기적 접점에 의한 사활선 표시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변전소용 전력 설비의 판넬 구조체
KR101838735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CN216546298U (zh) 一种35kV及以上变电站用安放继电保护调试仪辅助装置
CN115663640A (zh) 一种便于实时监控的电网运维装置
CN109412059B (zh) 一种隔离开关检修培训平台
KR101574647B1 (ko) 변전소의 메인 부스 교체 장치
KR20150001194U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CN210201245U (zh) 户外移动式交流应急配电装置
CN208632044U (zh) 一种多功能带电作业车
CN202308904U (zh) 一种用于构件升降的自锁装置
CN204778114U (zh) 家用电梯轿顶折叠式安全护栏
CN204304290U (zh) 一种联锁机构及具有该联锁机构的抽屉式开关柜
CN214706782U (zh) 一种自动升降稳定性高的配电柜金属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